교육과정개발
● 과정개발 프로그램 개발 이란 ? ● 교수체제개발의 의미와 발전과정 - 비 전문가가 단기간에 감각에 의해서 수행할 수 있는 직무가 아니다. - 단순한 과정의 차원이 아니라 하나의 과학분야로 볼 수 있다. - 하나의 학문으로서 현실적으로는 하나의 과업으로서 그 전문성을 인정 받고 있다. -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체계화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역할과 가치가 매우 큼 - 중요성과 기여는 현재도 지속되고 있음 - 이 모형을 이해하고 그 과정을 숙련하는 것이 훈련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인적자원개발을 이해 하는데 핵심적인 가치를 지닌다. ● 교수체제개발의 의미와 발전과정 - 교수체제개발은 2차 세계 대전부터 그 유래를 찾는다. 그 이전에도 있었으나 체계적인 교수개발 과정을 통해서 개발된 훈련 프로그램은 아니었음. -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짧은 시간 내에 다수의 군인을 훈련시켜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당시에 제기된 교수체계설계 및 개발 모형은 교수학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수설계 이론 및 측정.평가 등을 체제접근에 의해 통합하려는 노력에 의해서 탄생되었다. - 또한 1957년 구소련의 인공위성 스프트닉의 발사에 대한 충격으로 원인조사 결과 교육이 이러한 과학기술의 부진한 발전의 원인 가운데 하나라고 지목되었다.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미국기업에서 모형을 개발/변형 일본기업들이 일본화하여 사용 한국기업이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문화와 기업풍토의 차이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 미국의 교수체계개발 모형은 군사훈련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수업체제설계로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과 운동기능적 영역(psychomotor domain)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에 적용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과정개발 모형의 개요 과정개발 모형 과정개발 모형이라 함은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분석 틀과 프로세스를 말하는 것임. 과정개발 모형의 종류 - ISD (Instructional System Design) - CBC(Competency Based Curriculum) -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과정개발 모형별 이해 (1) ISD 모형 개념 현재와 바람직한 상태의 Gap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 필요점을 찾고 이를 교육프로그램으로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 2. 사용범주 직무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새로운 이슈의 규명과 전달 3. 절차 교육목적 규명 – 직무,요구분석 – 설계 – 개발 – 실시 – 평가 * 반드시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가 수반되어야 함. 4. 참고사항 보완이 필요하거나 새로운 직무지식, 스킬, 위주로 교육내용 구성
2. 과정개발 모형별 이해 ISD 모형의 프로세스 Incubation Analysis Design Development 교육의 필요성 제기 원인 파악, 교육필요성 및 목적 규명 기존 교육과정 및 자료 분석 요구분석(교육내용, 조직차원, 개인차원), 주제분석(요구분석을 KSA로 구분) 학습자 분석 (교육대상자의 행동심리적 자료분석), 벤치 마킹 프로그램 개발방향, 교육우선순위 결정, 교육장애요인 분석 Analysis Design 교육과정 설계의 기본방향 결정 학습목표, 학습모형(모듈MAP), 내용, 시간운영계획 교수학습전략, 매체, 평가 설계 Development 학습자- 강사 매뉴얼 개발 학습매체 개발 강사양성매뉴얼 및 평가도구 개발 Implement 강사양성, Pilot과정 실시, 보완 교육대상자 선정 및 관리 교육운영 평가계획 수립 1단계 평가 – 2단계 평가 - 과정가치평가 과정수정계획 수립 – 3단계 평가 Evaluation
과정개발 모형별 이해 (2) CBC 모형 개념 바람직한 성과를 바탕으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필요 역량과 각 역량의 Typical Action을 도출하고 Typical Action별 KSA를 도출함으로써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요소를 개발하는 것 2. 사용범주 계층·직책중심의 과정 설계 3. 절차 기대되는 성과 규명 – 성과를 나타내는 역량 도출 – 역량을 구성 하는 전형적 행동요소 도출 – 행동요소별 KSA 도출 – 설계 – 개발 – 실시 – (평가) 4. 참고사항 커리큘럼의 구성은 교육대상자의 역량개발 필요에 따라 종합적인 커리큘럼, 단위역량별 커리큘럼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음
과정개발 모형별 이해 CBC 모형의 개발 예시 현상의 파악 성과의 확인 역량의 도출 전형행동 확인 행동별KSA확인 탁월한 성과를 달성하는 직원이 있다. 구체적인 성과의 유형은 무엇인가 ? 성과의 확인 성과달성을 위해 우수 직원들이 보유한 역량은 ? 역량의 도출 전형행동 확인 우수 직원들이 표출하는 구체적 이고 반복적인 행동은 ? 행동별KSA확인 각 행동을 구성하는 KSA ? 설계,개발,실시 설계 : 커리큘럼 개발방향, 학습모듈,내용 설계 개발 : 매뉴얼, 교수학습매체, 강사양성 실시 : 파일럿과정, 실시
과정개발 모형별 이해 (3) DACUM 모형 개념 각 직무별 우수 수행자에 의한 직무분석을 바탕으로 해당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KSA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직무별 교육과정을 개발 2. 절차 직무분석 – KSA의 규명 – 직무별 필요교육설계 – 개발 – 실시 – 평가 * 반드시 교육결과에 대한 평가가 수반되어야 함. 3. 참고사항 - 직무분석을 요건으로 한다는 측면에서는 ISD모형과 유사 - 직무수행 우수자의 KSA를 중심으로 한다는 측면에서는 CBC모델과 유사
과정개발 모형별 이해 DACUM 모형의 개발 예시 직무분석 WS구성 직무분석 직무별 KSA도출 직무난이도별 KSA 구분 직무분석을 위한 Workshop의 구성 (FT, SME,Recorder,Observer) 직무영역에 대한 재검토와 열거 직무영역별 책무-작업의 열거 및 검토, 수정 작업별 실행단계의 열거 직무분석 직무수행을 위한 KSA의 도출 직무별 KSA도출 직무난이도별 KSA 구분 직무별 KSA의 난이도 구분 과정 설계 교육대상 직무의 현상문제와 직무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도출된 KSA중 교육필요 KSA로 교육과정 설계 개발,실시,평가 개발 : 매뉴얼, 교수학습매체, 강사양성 실시 : 파일럿과정, 실시 평가 : 교육실시 후 1,2,3단계 교육평가
과정개발 모형의 비교
과정개발 모형에 대한 요약 과정개발 모형은 구체적인 개발 프로세스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됨. 차이점은 과정개발의 목적이 문제점의 해결인가 / Best Practice의 제시인가에 있음. 앞에 설명된 과정개발 모형은 주로 분석단계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후 교육과정의 개발 절차는 대동소이함. ISD모델이 현실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띰.
교수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s Design) 정의 ▶ 학습자와 경영상의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육적 해결대안을 제시하고, 제시된 해결대안을 실행하기 위해 교육대상, 목표, 내용, 방법, 매체 등을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접근방법. ‘현실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개발 그렇다면 이젠 ISD- 교수체제설계란 무엇인가? 알아보도록 하겠음. ▶ ISD의 정의를 살펴보면, “학습자와 ~ 접근방법” 이라 하겠습니다. Top의 관심이나 요구사항 즉, 비지니스상의 요구 및 문제를 밝혀내고, 이를 토대로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여 수업내용, 방법, 매체 등을 설계하고 개발, 실행, 평가에 이르는 수업체제의 전 과정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구성, 조정해 가는 일련의 전략적 과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실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상대적으로 중요성을 띤다고 볼 수 있다. ▶ 그럼 여기에서 말하는 체계적이다라는 의미는 무엇일까? 체계적이다라는 말은 수업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목표와 방법과 평가의 활동이 서로 동떨어진 채 각기 무관하게 펼쳐지는 것이 아니라, 수업에 관여되는 모든 요소(목표, 방법, 평가, 매체 등) 또는 변수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유기적이고 상호보완적 작용의 관계를 완벽하게 유지하는 활동과정을 말합니다. 즉, 이런 활동과정으로 수업개선 이라든지 수업의 효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타) 한국 산업교육에 ISD가 도입돼서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년이 조금 넘음. 그동안 대기업체를 중심으로 자체의 고유한 ISD모형을 개발. 대표적으로 삼성의 S-ESD모형과 LG의 G-ISD 모형이 미국적 ISD 모형을 자체의 독특한 기업문화적 속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모형이다. 체계적이다 ? ▶ 수업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목표와 방법과 평가의 활동이 서로 유기적이고 상호보완적 작용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ISD 발달사 HPT/ISD 1945-1950 1950-1960 1960-1970 1970-1980 1980-1990 1990- ID (Instructional Design) ISD (Instructional system Design) PT (Performance Technology) PI (Performance Improvement) PE (Performance Engineering) · 단계별 프로 세스 중심 · 설계 및 개발 지향 · 요구/직무분석 없음 · ISD내에 피 드백 시스템 추가 · Formative Evaluation · 요구조사 중시 · 수동적인 교육에 대한 의구심 · 성과문제나 사업기회에 관심 · 교육외적 영역에 관심 · 교육훈련이 유일한 해결책 아님 ·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교육 중시 · 교육으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없음 · 전체적인 관점 에서 보아야 한다. · 연계 중시 교육학 기업교육에 적용 순차적인 접근 병렬적인 접근
ISD 세대별 모형 1세대 교수체제개발 모형 2세대 교수체제개발 모형 행동목표진술 사전검사 작성/실시 교육/실시 사후검사 작성/실시 2세대 교수체제개발 모형 교수개발과정 및 교수 자체에 대한 평가피드백 교수분석 실시 목표설정을 위한 요구사정 수행목표기술 평가도구개발 교수전략개발 교수매체개발 및 선정 형성평가설계 및 실시 학습자와 상황분석실시 총괄평가의 설계 및 실시
3세대 교수체제개발 모형 4세대 교수체제개발 모형 분 석 설 계 개 발 실 시 평 가 evaluation design production implementation analysis maintenance
기존 Pro.와 ISD Pro.와의 비교 기존 Process HPT/ISD Process 출발점 학습목표 실행/활동 평 가 · Popular 주제 · 사업 요구, Top · Gap 학습목표 · 강사 중심 설계 · 학습자 중심 설계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과정 P/C와 HPT/ISD P/C를 비교해보면, ▶ 기존 Process의 출발점은 인기가 있거나 대중적인 주제에 의해 개발이 되었고 학습목표가 강사중심에서 설계가 되었으며, 강의 활동이 강의식으로 교육이 진행되고 학습자의 질의와 강사응답식으로 진행이 되었으며, 평가가 학습자의 코멘트에 의해서만 마무리 되고 측정이 불가능했다면, ▶ ISD는 사업상의 요구가 있는 즉 Top의 관심이나 비지니스상의 Gap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 교육을 개발하혔고, 학습목표가 학습자 중심에서 설계가 되었으며 강의 활동이 학습자들의 토의 및 참여에 의해 교육이 진행되고 강사와 학습자 모두의 질문에 의한 쌍방향 질의 응답식으로 교육이 진행되었으며 평가가 kirkpatric의 다단계 평가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실행/활동 · 강의식 교육 진행 · 학습자질의/ 강사응답식 · 토의/ 참여에 의해 진행 · 쌍방향 질의응답 평 가 · 학습자 코멘트 · 측정 불가능 · 다단계 평가 · 측정 가능
전통적 ISD HPT/ISD 활동범위 Training Training Non-Training Non-Training · 인간수행문제 중 교육으로 해결 가능한 사항에 국한 · 인간수행문제 전반에 걸쳐 제시 → 전통전 ISD의 상위개념 ▶ 전통적 ISD는 활동범위가 인간수행문제 중 교육으로 해결 가능한 사랑들에 국한되었다면 HPT 즉 ISD는 인간수행문제 전반에 걸쳐 교육적 intervention뿐만 아니라 다른 intervention 즉 교육 외적인 부분까지 제시했다는 점에서 전통적 ISD의 상위개념(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ISD 모델 Plan Do See ▶ 교수체제설계의 기본모형은 ADDIE모형이다. 분 석 설 계 개 발 실 행 평 가 Analysis Design Develope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Feedback ▶ ISD의 기본과정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ISD의 기본모형은 ADDIE모형이다. 이 다섯가지의 단계 및 절차는 어떠한 ISD 모형에도 발견되는 핵심적인 내용이며 각각의 ISD 모형의 기초가 된다. 이외의 ISD모형에는 ASSUE, KEMP, Dick & carey 모형 등이 있다. ▶ 교수체제설계의 기본모형은 ADDIE모형이다. - 다른 ISD모형에는 ASSUE, KEMP, Dick & carey 모형 등이 있다.
ISD 단계별 내용 분 석 설 계 개 발 실 행 평 가 Analysis Design Develope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요구분석 ■교육대상자 분석 ■직무/과제 ■환경분석 ■학습목표 기술 ■평가전략, 방법 수립 ■계열화 ■교수전략 및 기법선택 ■학습자료 준비 ■메뉴얼제작 ■시범실시 ■교재/매체 제작 ■현장평가 ■수정,보완 ■실행 ■종합평가
분석단계 요구 분석 교육대상자 분석 직무/과제 분석 환경 분석 ■ 이해관계자의 명확한 정의 - 개인, 팀, 조직 ▶ 요구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교수목표를 도출할 수 있다. 요구분석단계 이전에 준비단계라고 해서 과정개발에 대한 요청을 받고 실제 개발작업에 착수 하기 전에 개발요청이 타당한지 대략적으로 검토.분석한 후 과정개발 실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 개발 전 경영자의 요청이 적절한 것인지에 대해 검토 하는 것이다 요구 분석 교육대상자 분석 직무/과제 분석 환경 분석 ■ 이해관계자의 명확한 정의 - 개인, 팀, 조직 ■ Performance가 낮은 이유 결정 ■ 교육/교육외적 문제의 구별 → 교육적으로 해결 할 수 있는 문제 기술 ■ 학습자의 선수 지식과 Skill ■ 일반적 특성: 연령, 성별, 학력, 직무, 직위 등 ■ 학습유형 학습자들이 선호 하는 학습방법 → 교육대상자에 따라 학습내용을 달리하기 위해서 ■ 대상자들의 일, 방법, 성과에 대한 시스템적 조사 ■ 비공식적 업무 파악 - 인터뷰 ■ 공식적인 업무파악 - 직무기술서 요청 서류/ 문서 검토 → 요구분석에서 나타난 영역을 세부 적으로 분석 ■ 새로운 내용을 습득하는 학습환경 의 특성 분석 ■ 습득한 지식, 기술, 태도를 활용 하는 직무환경 분석 ▶ 비즈니스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의 수준과 현재 가지고 있는 수준의 Gap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니즈 충족을 위한 현상분석과 필요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한다. 요구분석에는
평상시 정보 준비단계 수집활동 학습자 분석 직무분석 조직/전략적분석 ● 요구(Need)는 “바람직한 상태와 현재상태간의 차이”로 정의된다. ● Brinkerhoff의 요구에 대한 4가지 관점 - 수행결핍(performance deficiency) : 하고 있는 것과 해야 할 것 사이의 차이 이다. - 민주적 (democratic)관점 : 많은 사람들이 원하고 선호하는 것(집단의 다수에 의해 요구되는 바람직한 변화) - 진단적 (diagnostic) 관점 : 원래 기준이 되어야 하는 원칙이나 개념, 절차,원리 등에 문제가 존재하여 요구가 발생하는 경우 - 분석적(analytic) 관점 : 수행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찾는 관점으로 전문가의 의견, 직관, 통찰력 등을 사용하여 요구를 추출 ● 요구분석 과정 평상시 정보수집 활동 요구분석(조사-분석-해석) 교육 후 성과분석 ● 요구분석의 분석수준과 요구분석 과정 평상시 정보 수집활동 준비단계 학습자 분석 직무분석 조직/전략적분석 .경영층의 요구 에 대한 신뢰성 입증 .평상시 조직내 활동에 대한 정보 확보 ■ 학습자 분석 : 학습자의 기본적인 특성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한다(성별, 나이,사전학습정도, 이전훈련경험등) 이 학습자 특성을 기반으로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중요한 지침을 제공 할 수 있다(과정의 내용, 과정의 수준, 교육매체, 전달수단, 과정의 길이, 요구되는 장비등) 또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훈련내용과 관련된 학습자들의 요구를 찾기 위해서 지식, 기술,태도의 수준을 측정하는 것도 포함한다
■ 직무(과업)분석 : 특정 직무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하위직무 또는 과제들을 분석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서 어떤 종업원이 훈련을 받아야 하는가에 대한 결정을 하기 위하여 특정 직무나 집단에 대하여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과업분석의 결과는 주로 수행의 적절한 기준, 과업수행의 방법 및 기준 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종업원이 획득해야 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포함한다. □ 5단계 과업분석 단계 ◇ 직무기술 개발 ◇ 과업파악(각각의 과업에서 수행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진술/실제로 수행되고 있는 사항에 대한 진술) - 자극-반응-피드백, 시간표집, 중대사건기법, 직무목록, 직무-의무-과업, 초점집단 면접 ◇ 해당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기타 사항 진술 ◇ 훈련을 통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영역 파악 ◇ 훈련을 통해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의 우선순위 결정(시급성/중요성) □ 과업분석의 초점은 현장직무에 있다. 현장의 직무가 수행되기 위해서 어떤 과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직무담당자에게는 어떤 지식, 기술,태도,특성이 요구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과업분석의 목적이다 ■ 조직/전략분석 : 조직에 대한 전반적인 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따라서 분석의 중요한 요소로 조직목적, 조직자원, 조직풍토, 환경적 제약사항을 포함한다
설계단계 학습목표 기술 평가전략 수립 계열화 교수전략 및 기법선택 = 수업설계 ■ ABCD Rule에 의해 목표를 기술 ▶ 요구분석을 실시 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청사진을 구성하는 단계 학습목표 기술 평가전략 수립 계열화 = 수업설계 교수전략 및 기법선택 ■ ABCD Rule에 의해 목표를 기술 - Audience - Behavior - Condition - Degree → 목표기술의 이점 ■ 평가유형 선택: 필기, 역할연기, 관찰 ■ 과정평가 설문 구성 ■ 진단/ 형성/ 총괄 평가/ 강의평가 ■ ARCS이론 ■ 계열화 내용의 기법 - 낮은 → 높은 스킬 시작 → 최종 단계 단순 → 복잡 쉬운 → 어려운 것 ■ 계열화 결정 계열의 중요성 판단 · 내용간의 복잡성, · 교수 시간, · Topic간의 상호관계 ■ 학습내용과 학습 활동을 가장 효과 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교수전락과 교수매체 선정 내용제시(교수순서 , 내용, 사례) 학습자 참여(연습. 피드백) 매체형식(교재,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 학습과정이나 학습경험을 통해 학습자가 이루고자 하는 행동의 변화(K,S,A) ▶ 평가전략 수립의 목적은 학습자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또한 강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 수업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ARCS라는 수업설계의 원칙이 있다. 이는 학습자들에게 동기유발을 시키기 위하여… Attention(관심) / Relevance(관계성) / Confidence(자신감) / Satisfaction(만족도)
■ 교수목표는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가에 초첨을 두어야 한다 . 교수목표는 결과에 이르는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결과, 즉 도달한 상태를 기술하는 것이다. 즉 기대되는 학습자의 상태를 의미한다. ■ 교수목표의 의미는 요구분석의 결과를 반영 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개념이다. 그래서 교수목표는 요구분석을 기반으로 진술되어야 하며, 요구분석결과를 핵심요소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훈련 요구 그 자체가 교수목표가 되지는 못한다. 교수목표는 그 달성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구체화 되고 측정 가능한 요소가 교수목표에 포함되어야 한다 ■ 교수목표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첫째, 하나의 목표를 위한 교수 개발을 완료하는 데에 충분한 비용과 시간의 지원가능한가 둘째, 교수개발을 승인 할 최종책임자가 수용할만한가 ? 셋째, 이 교수목표는 확인 된 요구에서 나온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인가 ?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교수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교육적인 방법으로 해결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 하위교수목표의 분석 : 교수목표를 설계과정과 개발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하위교수목표로 분석하여 구체화 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즉 보다 상세한 수준의 교수목표를 만드는 과정이 하위교수목표의 분석과정이다. ■ 특히 교수목표설정이후에 교수방법을 결정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의 실시목적, 시간과 비용의 문제, 여타 지원의 활용가능성, 훈련참가자의 특성과 선호도등을 고려해야 한다. 한편 프로그램 개발과 진행에서 투입이 가능한 시간과 비용을 고려하는 것은 교수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매우 의미심장한 요소로 작용한다. ■ 평가와 교수목표는 불가분의 관계로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 교수목표를 매우 상세하게 기술하는 경우 이를 질문의 형태로 재진술하면 평가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수목표가 곧 평가의 기준인 셈이다.
목표의 기술방법 구성요소 Audience(대상) Behavior(행동) Condition(조건) Degree(기준) 기술방법 목표기술의 이점 구체적으로 기술 대상이 명확하면 생략 가능 Audience(대상) 목표달성여부의 확인 평가에 용이 (목표설정에 이미 평가방법이 내재) 교육내용의 선정기준 조직의 목표와 연계성 확인 효과성과 효율성 제고 검증가능하고 관찰가능하며 측정가능 할 것 Behavior(행동)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자원 바람직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상황 가능하면 현장과 유사한 수준에서 Condition(조건) 양적/질적 수행정도 실수의 허용도 Degree(기준)
개발단계 ▶ 설계단계의 상세한 설계도를 기초로 교재, 강사메뉴얼, 시청각매체, 평가도구를 개발 및 시범과 수정등의 단계 ▶ 설계단계의 상세한 설계도를 기초로 교재, 강사메뉴얼, 시청각매체, 평가도구를 개발 및 시범과 수정등의 단계 학습자료 준비 매뉴얼 제작 시범 실시 교재/매체 제작 ■ 설계 단계에서 만들어진 청사진에 따라 실제 수업 또는 수업자료를 개발하 고 제작 ■ 연습 및 피이드백 활동 제작 ■ 필요한 자원 정보 추가 ■ 학습자용 매뉴얼 ■ 강사용 매뉴얼 → 교재용과 강의용 이 매뉴얼이 같을 필요는 없다 → 강의용 TP에 아이 콘 활용함 ■ 학습대상자 중 소수 인원을 통한 Formative Evaluation ■ 실제 학습상황을 통한 수정 ■ 내용 및 매체전문 가를 통한 피이드백 - 대부분의 기업이 외부에 주문하여 제작함 ■ Instruction 구조화 교수전략에 맞게 간결하게 명확한 그림 및 삽화 사용 제작
▶ 분석에서 교수자료개발 단계까지 이루어 진 후 수정보완을 목적 Formative Evaluation ▶ 분석에서 교수자료개발 단계까지 이루어 진 후 수정보완을 목적 → 실제 수업을 실시하기 전에 개발된 수업자료, 프로그램, 메체, 평가도구 등을 검증함으로써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형성평가의 결과에 따라 개발된 자료들은 또 다시 수정이 이루어 짐 이후 수업자료 및 프로그램 제작등을 실시 ▶형성평가란 무엇인가? 분석에서 교수자료개발 단계까지 이루어진 후 수정보완을 목적으로 형성평가를 실시 즉, 실제 수업을 실시하기 전에 개발된 수업자료, 프로그램, 매체, 평가 도구 등을 검증함으로써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형성평가라고 말한다. 이때 물론, 형성평가의 결과에 따라 개발된 자료들은 또 다시 수정이 이루어 질 것이고, 이후 수업자료 및 프로그램 제작 등을 실시 할 것이다.
-.수업전략의 적절성, 시간배정의 적절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인터뷰를 통하여 수정이나 보완 3단계 1. 일대일 평가(one-to-one) -.수정할 데이터를 얻기 위해 학습자와 같이 학습 -.목적; 수업 프로그램에 현저한 잘못을 발견하여 제거하며,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일차적인 반응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한명의 학습자를 대상 → 실제 수업처럼 진행 -.수업전략의 적절성, 시간배정의 적절성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인터뷰를 통하여 수정이나 보완 2. 소집단 평가(Small group) -.소집단 평가를 위해서는 8~20명의 학습자를 선정 -.반드시 일대일 평가의 결과에 따라 수정된 학습 자료를 가지고 실행 일반적으로 형성평가는 다음 3단계를 거친다. ▶ 일대일평가 ~ 이때 주의할 점은 비록 한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것과 똑같이 해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야만, 수업전략의 적절성, 시간배정의 적절성 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개별 학습자와의 학습이 끝난 후 인터뷰를 통하여 수정이나 보완해야 할 부분에 대한 데이터를 얻습니다. ▶ 소집단 평가 소집단 평가란 일대일 평가에서 이루어진 수정의 효율성을 결정하고 아직도 남아 있을 학습상의 문제를 찾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소집단 평가를 위해서는 8~20명의 학습자를 선정해야 하며, 반드시 일대일 평가의 결과에 따라 수정된 학습자료를 가지고 실행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는 가능한 한 실제 수업을 진행하고자 하는 대상학습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선정해야 한다. ▶ 현장평가 이는 개발된 수업프로그램이 최종적으로 활용될 학습장면과 유사한 장면에서 평가해 보는 것이다. 현장평가의 목적은 소집단 평가의 결과에 더해서 수정된 프로그램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정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실제적으로 의도한 수업상황에서 잘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3. 현장평가(field-test) -.실제 학습장면과 유사한 장면에서 평가해 보는 것 -.목적; 소집단 평가의 결과에 더해서 수정된 프로그램이 보다 효과 적으로 수정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
▶ 실제로 학습대상자에게 개발된 코스를 학습하게 하는 단계 실행 및 평가단계 ▶ 실제로 학습대상자에게 개발된 코스를 학습하게 하는 단계 ▶ 수업 프로그램의 가치를 판단하는 총괄평가 실시 실행 평가 ■ 학습촉진 분위기 조성 - 경영자로 부터 공개적인 지원 확보 - 비공식적 여론주도 리더를 파악하고 그들의 지지를 얻어낸다 - 강사양성 과정 실시 ■ 유지/ 보수 - 모니터링 매커니즘을 만든다 - 학습에 필요한 교보재 및 장비 점검 및 준비 -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계속 혁신시킨다 ■ 다단계 평가 → Kirkpatrick L 1 : 반응평가 (설문서, 교육 만족도) L 2 : 학습평가 (교육목표 달성도) L 3 : 행동평가 (현업적용도 평가) L 4 : 업적평가 (성과기여도) L 5 : ROI (Return of Investment) 프로그램 이익 – 프로그램 소요비용 행동평가 실행계획 수립 → 계획의 실천도 평가 핵심 실행사항 설정 → 실천도 평가 업적평가 생산성, 이익기여도 사전평가 – 업무조건, 업무실적, 성과지표 현황 사후평가 – 업무조건의 변화, 업무실적의 변화, 성과지표의 변화 X 100 프로그램 소요비용
→ 목적: 수업프로그램을 계속 사용할 것인가, 새로운 수업프로그램을 채택할 것인가에 관한 결정을 수행 Summative Evaluation ▶ 수업이 완전히 끝난 후에 실시하는 것 → 목적: 수업프로그램을 계속 사용할 것인가, 새로운 수업프로그램을 채택할 것인가에 관한 결정을 수행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 수업 프로그램과 목적간의 일치도 수업 프로그램에 제시된 내용의 완벽성과 정확성 수업전략의 양호도, 유용성, 학습자에 대한 영향 학습자의 성취도, 태도 교사의 태도 및 수행 요건별 프로그램의 장단점
■ 평가는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 제공하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평가는 단순한 결과의 평가뿐만 아니라 과정도 평가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과정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프로그램 요구분석, 교육목표설정, 교육기획, 교육방법, 프로그램 실시 중의 행동, 교육자료 및 교육환경등이 있다. ■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 훈련 프로그램 폐기 또는 유지에 대한 결정, 훈련 프로그램의 수정에 대한 결정,
ISD 모델의 특징 □ Systemic(시스템적) – 구성 요소들간에 상호의존성 □ Systematic(체계적) – 논리적, 순차적 □ Empirial(경험적) – 현업에서 수집된 자료 중심 □ Iterative(반복적) – 각 단계를 반복 □ Creative – 상상력 발휘 결국,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다 줌. 1) 교육목표나 교육내용의 선정근거 명확하여 교육방법 및 매체와 평가간의 관계가 유기적으로 통합됨으로써 학습효과 극대화. 2) 경영과 교육의 관계 밀접하게 연결 경영의 동반자로서 교육의 중요성을 새롭게 정립 3)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질 위주의 교육가능 (경영이나 현장의 요구에서부터 출발) ▶ 시스템적 : 하나의 요소라도 빠지면 불완전한 시스템이 되는 것처럼 구성요소들간에 상호의존성이 높음 ▶ 체계적: 각 단계가 논리적, 순서적으로 되어 있어 투입-산출 모델이 됨 ▶ 경험적: 현업에서 수집된 자료 중심의 의사결정 ▶ 반복적: 각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순환적인 의사결정을 함 ▶ 창의적: 해결안이 자료로 부터 바로 나오지 않으므로 상상력을 발휘해서 바람직한 대안을 찾는 특징.
ISD 모델의 장단점 장점 단점 · 일반성을 갖고 있다. · 광범위한 문제에 적용 가능하다. · 품질관리를 위한 수단이 된다. · 진척도를 관리할 체크리스트를 제공 ·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한다. 단점 · 현업의 상황을 수용해야 한다. ·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 분석단계에서 창의성을 요구한다. · 각 절차가 무시되거나 부적절하게 수행되면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한다. · 절차가 세분화 되어 있다.
ISD의 구성 및 내용 정리 단 계 중 점 실시 내용 분 석 니즈분석 요구분석, 직무분석, 교육대상자 분석 교육목표, 방법, 내용에 관한 개략적 설계 학습목표설정, 평가방법 수립, 과정활동, 전달방법 설 계 과목선정, 내용구성, 교보재 제작 학습자료 준비, 매뉴얼, 교재/ 매체 제작, 형성평가 실시 개 발 실 행 과정운영 과정안내, 과정실시 반응평가 학습평가 행동평가 성과평가 총괄평가 실시 평 가
C B C
“CBHRD 전체 Process 1 2 3 4 5 6 의류담당 정의 및 주요 직무 기술 Result Wanted 기술 Competency 및 K/S/V 기술 Definition : 원하는 결과(Result Wanted) Competency K/S/V 주요직무(Major Tasks) 기술 1 2 3 1 2 3 ( FGI )2) ( FGI ) ( FGI ) 4 5 6 검증(수정/보완) 작업 Competency 분석 “Competency Profile” 완성 - Competency 누락/중복 여부 - Competency에 따른 K/S/V 적절성 검토 (1,2차 / SME 대상 실시) - Competency 중요도/시급도 분석 - Competency 보유수준 파악 (현수준 vs.목표수준) Competency 그룹핑 - K/S/V Matrix 작성 - 과제해결을 위한 가공 (FGI / 설문조사) (설문조사 / 자체분석) (자체분석) 1) CBHRD : Competency Ba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 FGI : Focus Group Interview (해당 직군 전문가 그룹 토론)
의류영업 담당의 정의 1차 도출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제공하며, 이를 기초로 고객만족과 더불어 이윤을 창출하는 사람 -고객(내부고객 포함)의 만족도를 높이고 매출을 달성하기 위한 제반 사항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사람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적절히 선택하여 고객만족과 함께 매출증진을 위한 활동을 하는 사람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판매사원의 서비스 마인드 개조와 서비스 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 -시즌에 부합하고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을 매장에 연출하여 고객의 구매동기를 매출로 연결하는 모든 활동을 하는 사람 -고객만족과 이익창출 극대화를 위해 매장 내 제반 활동을 관리하는 사람 -판매사원이 판매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관리하고 조성하는 일련의 활동을 담당하는 사람 -판매사원 인원관리, 판매관리, 매출수치 관리를 담당하는 사람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협력업체와 준비하고 판매사원의 능력을 배양해서 많은 판매가 일어날 수 있도록 매장을 운영하고 지원하는 사람
2차 도출 3차 도출 정의 의류 및 패션산업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상품을 협력업체와 함께 정확한 상권분석을 통한 고객이 원하는 상품선택과 판매사원의 서비스 능력 향상 활동을 바탕으로 고객만족과 더불어 회사의 이익창출을 도모하는 활동을 하는 사람 -협력업체와 함께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제공하고 판매사원의 판매능력을 향상시켜 원활한 판매활동을 통해 고객만족과 회사이윤의 극대화를 이룩하는 모든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 -고객의 욕구를 파악해서 필요한 제반 사항을 준비하고 관리하여 이윤창출을 극대화하는 사람 -의류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서비스에 대한 기본 마인드를 가지고 판매활동을 위한 제반 여건을 조성하고 관리 및 유지하는 모든 활동을 하는 사람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협력업체와 준비하고 판매사원의 판매 및 서비스 능력을 배양시켜 고객만족과 회사의 이윤증대를 위한 활동을 하는 사람 3차 도출 의류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패션산업에 대한 이해 -고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상품을 협력업체와 함께 준비하여 판매와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활동 정의 의류 및 패션산업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상품을 협력업체와 함께 준비하여 판매와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모든 활동
주요 직무(Major Tasks) 1차 도출 2차 도출 협력업체와의 긴밀한 유대관계 아이디어 개발 패션 트렌드에 대한 지속적 학습 판매사원 면접 판매사원 상담 및 교육 고객욕구 파악을 위한 주기적 시장동향 조사 상품지식 및 트렌드 습득 협력업체 상담 매출분석 및 관리(브랜드 및 시장점유율) 매출계획 VMD강화 행사상품 진열 행사 스케줄 확정 판매분석 경쟁점 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시장조사 주변 상권분석(고객연령대, 객단가, 고객체험 등) 전단/광고/프로모션의 기획 및 실행 불평불만 처리 및 예방 고객만족에 대한 지속적 관심 및 교육 매장환경 관리 매출분석을 통한 인기상품 파악 내외부 고객의 소리 조사 및 조치 유능한 판매사원 확보 조회 준비 및 실시 경쟁점 시장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고객욕구 파악을 위한 주기적 시장동향 조사 판매사원 서비스 교육 상품지식 및 트렌드 습득 판매사원 면접(입퇴점 관리) 유능한 판매사원 확보 내외부 고객의 소리 조사 및 조치 불평불만 처리 및 예방 서비스 및 상품지식 교육 조회 준비 및 실시 고객만족에 대한 지속적 관심 및 교육 협력업체와의 긴밀한 유대관계 아이디어 개발 매장 정리정돈(동선, 창고, 천장, 고객시설물, 상품진열, 디스플레이, 비주얼 프리젠테이션) -VMD 강화 -전단/광고/프로모션의 기획 및 실행 -매출분석 및 관리(브랜드/마진) -매출분석을 통한 인기상품 파악 -매출계획 -행사기획 및 전개(각 행사장) -행사상품 진열 및 행사 스케줄 확정
원하는 결과(Results Wanted) 1차 도출 2차 도출 고객만족을 통한 이윤창출 서비스 품질 향상 조직활성화 판매를 위한 최적의 판매촉진책 개발 매출증대, 고객만족, 우수 브랜드 유치 및 유지(상품 포함) 패션 지식 및 정보획득 협력업체와의 관계 개선 고객만족을 통한 경쟁우위 선점 점포확장 및 구매력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 매출 및 이익률 극대화를 통한 이윤창출 의류 구매자로서의 전문가 양성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매장 만들기 이윤창출, 고객만족, 자기계발, 회사 위상 향상 서비스 증진(판매사원+담당) 고객만족 상품 전문가(고객+생산과정+패션 트렌드)고객의 욕구수용 판매사원 서비스 향상을 통한 판매력 증대 판매를 위한 최적의 프로모션 개발 의류 전문가 매장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협력업체와의 유대관계 구축
Track Description Track Name 의류담당 Competency Definition Results Wanted 의류 및 패션산업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의 욕구에 부합하는 상품을 협력업체와 함께 준비하여 판매와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및 관리하는 모든 활동 Results Wanted 판매사원 서비스 향상을 통한 판매력 증대 판매를 위한 최적의 프로모션 개발 의류 전문가 매장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협력업체와의 유대관계 구축 Major Tasks -경쟁점 시장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협력업체와의 긴밀한 유대관계 -고객욕구 파악을 위한 주기적 시장동향 조사 -아이디어 개발 -판매사원 서비스 교육 -매장정리정돈 -상품지식 및 트렌드 습득 -VMD 강화 -판매사원 면접(입퇴점 관리) -전단/광고/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 -유능한 판매사원 확보 -매출분석 및 관리(브랜드/마진) -내외부 고객의 소리 조사 및 조치 -매출분석을 통한 인기상품 파악 -불평불만 처리 및 예방 -매출계획 -서비스 및 상품지식 교육 -행사기획 및 전개 -조회 준비 및 실시 -행사상품 진열 및 행사 스케줄 확정 -고객만족에 대한 지속적 관심 및 교육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판매사원의 서비스 역량 개발 1.1 고객만족의 극대화를 위해서 감성에 기초하여 판매사원에게 서비스 마인드를 고취시킬 수 있는 능력 지 식 -행동심리학 -최신정보 습득능력 -상황에 맞는 서비스 지식 -판매사원 경력사항 -서비스 관련 지식 및 사례 -브랜드 및 판매사원의 특성 기 술 -상황에 따른 대화법 -프리젠테이션 능력 -판매사원의 심리상태 파악 -마인드 컨트롤 -판매사원에 대한 설득력 -판매사원 교육능력 -면담자료 관리기술 태 도 -솔선수범 -감성적 관계 유지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판매사원의 서비스 역량 개발 1.2 불평불만의 다양한 유형을 분석, 예방, 처리함으로써 고객관리 방법을 지도 및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 지 식 -불평불만의 유형 -소비자 유형별 특성 -고객감동 사례 기 술 -불평불만의 대처방법 -상황에 따른 대화법 -마인드 컨트롤 태 도 -감성적 관계 유지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2. 판매를 위한 최적 프로모션 개발 2.1 시장을 정확히 분석 및 예측하여 최적의 프로모션을 제안 및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지 식 -소비자 정보 -경쟁사 정보 -자사 정보(내부자원 등) -통계적 지식 -의류상품의 판매주기 기 술 -정보수집 활용능력 -상권 동향 분석 -동종업계 벤치마킹 -독특한 테마개발 태 도 -시장에 대한 지속적 관심 -사회 및 경제동향에 대한 관심 -호기심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2. 판매를 위한 최적 프로모션 개발 2.2 시연 가능한 여러 가지 판매 프로모션을 적시에 실행할 수 있는 능력 지 식 -프로모션의 유형 및 장단점 -의류상품의 판매주기 -소비자 정보 -경쟁사 정보 -내부자원 기 술 -기존 프로모션의 결과분석(효과성) -시즌별 프로모션 기획력 -고객특성 파악 -소비자 조사 -판매사원 설득 태 도 -새로움에 대한 관심 -유연한 태도 -추진력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3. 의류 전문가 3.1 패션 트렌드를 이해 및 예측하여 고객의 요구에 맞는 패션제안을 할 수 있는 능력 지 식 -MD별 브랜드 동향 -패션 트렌드의 이해 -패션업체 히스토리 -상품에 대한 전문지식 -의류에 대한 기본지식 -소재파악 -브랜드 특성파악 기 술 -트랜드 분석 및 예측 -브랜드별 상품지식 습득력 태 도 -패션잡지를 통한 트렌드 학습 -주기적 시장조사를 통한 패션 트렌드 학습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3. 의류 전문가 3.2 상품의 기획에서 생산 및 판매에 이르는 전체 MD 능력을 판매 사원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능력 지 식 -의류 판매기법 -의류 생산과정 -생산과정의 이해 -제품에 맞는 취급방법 기 술 -현장견학을 통한 MD의 이해도 향상 -판매사원에 대한 지식전파 -업체상담시 협상력 제고 -브랜드별 상품지식 습득력 태 도 -판매사원에 대한 관심과 배려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4. 매장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4.1 상품의 적절한 구성 및 진열을 통해 컨셉에 적합한 매장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 지 식 -상품진열법 -매장연출법 -패션 트렌드 -VMD지식 -벤치마킹 사례 기 술 -시간관리 요령 -매장연출 능력 -디스플레이 기법(통일감 및 일체감) -경쟁업체 조사 태 도 -솔선수범(정리정돈) -매장의 청결유지 -매장근무의 중시 -기본원칙 준수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4. 매장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4.2 판매사원들의 태도 및 근무 상황을 파악하여 고객중심의 매장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 지 식 -판매사원 근무환경의 이해 -주기적 VMD교육 기 술 -공감적 화법 -판매사원 설득력 -고객의 구매행태 파악 태 도 -매장근무의 중시 -판매사원에 대한 관심
Competency Profile Results Wanted Competency KSA 지 식 기 술 태 도 5. 협력업체와의 유대 관계 구축 5.1 협력업체와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함으로써 업무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능력 지 식 -협력업체 담당자의 프로파일 파악 -협력업체에 대한 정보 -협력업체의 특성 파악 기 술 -협상력 -설득력 -원활한 의사소통 태 도 -유대관계 유지노력 -대화에서의 경청 -자신감
Buyer Competency Profile Competency Model 개요 Results Competencies Competency Model 성공적인 신상품 개발 1.1 필요한 모든 Data를 수집/가공하여 신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 1.2 제품 구성요소의 원가를 분석/산출하여 적절한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능력 1.3 고객 need/상품/경쟁점/선진업체/협력업체 동향 등의 전반적인 시장 trend 파악 능력 1.4 외국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어학능력-영어회화/독해) 매장영업과 협력관계 구축 협력업체 관리 최적의 상품 구색 및 관리 2.1 상품에 대한 전문성 2.2 우수 협력 업체 발굴/육성 등의 업체 관리 능력 2.3 의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협상 능력 가격책정 및 관리 Buyer Needs 및 Trends 파악 Buyer 상품 Loss 및 재고관리 상품 기획, 도입 및 개발 실적/성과 관리 3.1 상품의 Life Cycle 관리 능력 3.2 정확한 Data에 근거한 MD Mixing 능력 3.3 판매 추세 분석 및 관리 능력 3.4 적정 재고 관리 능력 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 이익 개선 상품운영 및 관리 효율적인 상품 운영 및 관리 4.1 가격 관리 능력 4.2 상품군별 면적 및 고객동선, 소비형태를 감안한 진열 관리 능력 4.3 판촉 및 이벤트 기획/실행할 수 있는 능력 4.4 지도 및 교육을 통해 점포를 Leading 할 수 있는 능력
바이어 역량 Profile “역량 도출 프로세스(CBHRD)”를 통해 바이어 역량 Profile을 완성(정의)하고, 내/외부 전문가의 검증과 경쟁사(Wal-Mart)와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갖춤 역량 Definition Needs/Trend 파악 고객의 요구나 트렌드, 제품 지식, 경쟁점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상품 기획, 도입 및 개발 고객의 요구나 트렌드, 매장의 특성에 부합하는 신상품을 기획하고 도입하거나 개발할 수 있는 능력 가격 책정 및 관리 제품 구성 요소들의 원가를 산출하거나 비교,검증하여 적정한 가격을 책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프로모션의 기획 및 실행 아이템에 따라 전략적으로 효과적인 프로모션을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 상품의 운영 및 관리 상품의 특성에 맞게 상품 판매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진열하고, 상품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상품의 Loss 및 재고 관리 상품특성에 따른 진열, 상품관리, 판매량의 예측을 통해 상품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적정 재고를 관리하는 능력 실적/성과 관리 실적 분석(매출/매익관리)과 그 결과에 대한 대책 및 세부 실행안 수립을 할 수 있는 능력 협력업체 관리 우수한 협력 업체를 발굴하고 육성하며 긴밀한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갈 수 있는 능력 매장 영업과의 협력관계 구축 내부고객과 지속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긴밀한 관계를 구축(유지)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는 능력
* 마트 vs. Wal-Mart 역량 비교분석 1. 개 요 2. 역량 비교 ( 각 역량에 대한 세부 정의는 첨부 참조 ) 구분 LG Mart 역량 Wal-Mart 역량 도출과정 Buyer SME 8명 협의(FGI/2회) Buyer 전체 F/B(2회/설문) 상품팀장 및 상품팀 P/L 검증 월마트 미국 본사 內 “머천다이징 위원회 (US merchandising committee)”에서 정의함 특징 총 9 개 역량 ( 5개의 직접 역량과 4개의 간접 역량 ) 총 7 개 역량 ( Buyer 고유 업무 Process에 의해 정의 ) 2. 역량 비교 ( 각 역량에 대한 세부 정의는 첨부 참조 ) ㅇ 도출된 9개 역량 중 5개의 고유 직무역량은 월마트의 7개 직무역량과 동일함 (월마트의 ‘경쟁점 분석’ 역량은 도출된 역량 중 “Needs/Trend파악”의 세부요소에 포함 되어 있음 - 첨부참조) ㅇ 도출된 4개의 간접 직무 역량 중 “협력업체 관리” 와 “매장과의 협력관계 구축”의 2개 역량은 월마트의 간접 직무역량의 내용과 유사함 - 월마트의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쉽” 역량은 당사의 “협력업체 관리” 및 “매장과의 협력관계 구축” 역량을 포함하고 있음 ㅇ “실적/성과 관리” 역량은 매출,이익에 대한 목표/실적 관리 영역에 해당되며 월마트에서는 간접 직무역량 중 재정관련 스킬에 해당됨 (상품팀장 의견) ㅇ 도출된 역량은 월마트와 마찬가지로 바이어 고유 직무 Process에 근거하고 있음 (보유/향상 시급도와는 별도) * 영업담당의 주요 역량 중의 하나인 ‘상품Loss 및 재고 관리’ 가 바이어 역량으로 선정된 이유는 바이어 활동의 현 상황이 현실적으로 반영된 것임 (상품팀장 의견) Wal Mart LG Mart 고객예측(Needs/Trend) Needs/Trend 파악 바이어 고유 업무 Process에 의한 역량 구분 경쟁점 분석 상품기획,도입 및 개발 고유 직무 역량 상품전략 수립 가격책정 및 관리 상품구색 계획 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 판매촉진 계획/마케팅 상품의 운영 및 관리 상품운영능력 * 상품Loss 및 재고관리 간접 직무 역량 상품개발/카테고리 관리 실적/성과 관리 * 간접 직무역량 협력업체 관리 재정관련 스킬(3개) - 재정(재무) 분석 - 재정배분계획 수립 - 재정전략 수립 매장과의 협력관계 구축 관리 스킬 (3개) - 커뮤니케이션 - 리더쉽 - 기업문화 이해
역량 우선순위 분석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역량 시급도(중요도 및 현 보유수준과 기대수준간의 Cap)”을 분석함 – 세부사항 첨부 참조 大 3 상품기획, 도입 및 개발 우선개발 필요역량 정의 Gap Needs 및 Trend 파악 ㅇ 중요도가 높은 역량 중 현재 보유 수준이 낮고, 기대수준과의 Gap이 큰 역량으로 결정 역량D 프로모션의 기획 및 실행` 시급도 역 량 역량F 역량A 상품기획, 도입 및 개발 2 상 역량 G 역량 E Needs 및 Trend 파악 역량 B 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 역량 I 역량 C 가격 책정 및 관리 역량 H 중 협력업체 관리 우선개발 필요 역량 확정 1 상품 운영 및 관리 상품의 Loss 재고 관리 <설문 조사 대상> ㅇ 영업담당 42명 ㅇ 바이어 35명 ㅇ 상품팀장 하 실적 및 성과 관리 매장 영업과의 협력관계 구축 중요도 小 우선 개발과정 : 신상품 기획 과정 / 상품 프로모션 과정 개발 필요 1 2 3 4 5 6 7 8 9 ◆ 역량 구분 A : Needs/ Trend 파악 B : 가격 책정 및 관리 C : 협력업체 관리 D : 상품기획, 도입 및 개발 E : 상품의 운영 및 관리 F : 프로모션의 기획 및 실행 G: 상품의 Loss 및 재고관리 H : 실적 및 성과 관리 I : 매장 영업과의 협력관계 구축
추진내용 – 바이어 교육과정 체계 개요 신상품 기획 및 프로모션 추진내용 – 바이어 교육과정 체계 개요 정의된 바이어 역량 Profile를 토대로 내/외부 전문가와의 FGI1)를 통해 “역량 향상 교육과정 체계”를 작성함 Special Forum 전문 직무 교육 일반 Skill 교육 Buyer Function 역량별 교육 Matrix 협력업체 관리 실적 및 성과 관리 초급 중급 고급 전문가 매장 영업과 협력관계 구축 상품의 Loss 및 재고 관리 상품 운영 및 관리 가격책정 및 관리 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 Needs 및 Trends 파악 상품기획, 도입 및 개발 역량 레벨 상품 매대 관리 시스템 Special Forum 전략적 신상품 기획 및 프로모션 효율적 상품 운영 및 관리 (뮬류, 배송…) 협력업체 관리 전략 협상력강화 커뮤니케이션 성과 관리 Skill 신상품 기획 및 프로모션 상품 매대 관리 시스템 성과 관리 Skill 협상력 강화 * 전체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대략적인 체계도임(미 확정) 1) FGI : Focus Group Interview (해당 직군 전문가 그룹 토론)
추진내용 – 우선 개발 교육과정 전체 교육(과정)체계 중 “신상품(PB포함) 기획” 및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을 우선 역량 향상과정으로 선정하고 개발함 과정명 과정 구성 신상품 기획 및 전략적 프로모션 Main 교육 모듈 신상품(PB포함) 기획 (예정: 3 days) 전략적 프로모션 (예정 : 3 days) 프로젝트 발표 Action Learning (테마수행 프로젝트) 프로젝트 소개 및 팀 구성 신상품 기획 수립 프로모션 전략안 개발 ㅇ 테마(신상품/PB상품 기획, 프로모션 실행 안 기획) 수행 - 조(3~5명)별 운영 / 전체 2개월(과정 종료 시 경영회의 보고/평가) (예정: 2개월) Special Forum 고객들의 요구와 소비 형태의 변화 시장 Trends를 읽어라 아이템별 Trends 성공 사례
추진내용 – 우선 개발 교육과정 개요 ㅇ 신상품(PB포함) 기획 및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 개요 개 요 관련역량 교육대상 추진내용 – 우선 개발 교육과정 개요 ㅇ 신상품(PB포함) 기획 및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 개요 본 과정은 신상품 기획, 개발, 도입과 프로모션에 대한 일반적인 기법과 전략을 기본으로 자사의 프로세스나 시스템의 활용 및 적응 능력을 배양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바이어들이 자사의 환경 및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신상품을 기획하고 프로모션을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 요 관련역량 상품기획, 도입 및 개발, Needs 및 Trends 파악, 프로모션 기획 및 실행, 가격 책정 교육대상 Buyer ( 우선 실시 25 ~ 30 명 ) 총 2개월의 과정으로 3일간의 신상품 기획 과정과 3일간의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 및 Action Learning(2개월) 프로젝트(테마수행)로 이루어짐. 교육시간 교육활동 강의, 사례 연구, 실습, 테마수행, Special Forum 등 이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은, 신상품 도입 및 개발에 대한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다. 신상품 도입 및 개발에 필요한 여러가지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신상품 기획에 필요한 시장/환경을 분석하고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신상품 도입 및 개발에 대한 다양한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시장의 수요를 창출하는 성공적인 신상품의 도입이나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일반적인 프로모션의 트렌드와 방법론을 습득할 수 있다. 프로모션의 다양한 전략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다. 자사의 프로모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다. 프로모션의 다양한 기법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다. 자사 환경에 적합한 프로모션 기법을 활용하거나 개발할 수 있다. 프로젝트 팀 단위로 신상품 기획안 및 프로모션 전략안을 완성할 수 있다. 과정목표
추진내용 – 우선 개발 교육과정 내용 “신상품(PB포함) 기획” 및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의 교육과목/내용 선정은 내부 SME(상품팀 허찬회 부장, 이웅 과장, 구정모 대리, 전략2팀 박진화 부장)와 외부 전문가 (이마트 MSV2팀장 이성순 부장, 현대백화점 지식경영팀장 김승래 차장, 명지대 유통대학원 이동훈 교수)의 FGI를 통하여 선정함 신상품(PB포함) 기획 과정 * FGI : Focus Group Interview (해당분야 전문가 그룹 토의)
Ⅲ. 추진내용 – 우선 개발 교육과정 내용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
Ⅲ. 추진내용 – 우선 개발 교육과정 내용 “신상품(PB포함) 기획” 및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의 세부적인 내용 구성과 강의를 전담할 강사의 선정은 인화원 및 외부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 자체 선정함 – 세부내용 준비 중 신상품(PB포함) 기획 과정 전략적 프로모션 과정
Buyer Competency Profile Needs/Trends 파악 Definition 고객의 요구나 트랜드, 제품 지식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Level 초급 중급 고급 전문가 기존의 제한된 채널 (거래처, 매장)을 활용하여 고객의 요구를 파악, 정리한다. 대중매체(Media)에 나오는 광고나 유행을 파악한다. 상품 특성별 고객의 Needs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안다. 경쟁사 및 의류전문 샵 중심의 모델매장을 설정하여 정기적인 시장조사를 한다.(의류잡화) 고객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 채널을 확보한다 트렌드 상품을 분석하여 자료를 구체화한다. 상품의 흐름 및 시세(가격) 흐름을 파악한다. 시즌별 전년도 인기 상품의 아이템 숙지 후 비교 분석한다. 고객/Trend 정보에서 상품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한다. 현재의 현황 및 수집된 자료를 통해 미래의 트렌드를 예측한다. 고객의 잠재된 Needs를 정확히 파악한다. 수집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비즈니스나 Buyer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전사적으로 공유한다 Index 제품에 대한 전문지식, 매장의 판매 트렌드나 영업 성과에 지속적인 관심과 분석/관련 정보 수집, 고객 정보 수집, 경쟁점 분석, 정확한 상품 정보, 신제품 발표회 참관 및 제품 소개서 습득, 시장 조사, 선진업체 벤치마킹, 업체 신상품 정보, Target 고객의 특성, 경쟁점 조사, 고객 요구 분석, 지속적 정보 수집, DB활용 능력, 각 채널별 정보 수집
Buyer Competency Profile 상품 기획, 도입 및 개발 Definition 고객의 요구나 트랜드, 매장의 특성에 부합하는 신상품을 기획하고 도입하거나 개발할 수 있는 능력(PB 상품 포함) Level 초급 중급 고급 전문가 협력업체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신상품 개발 /도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기존의 자료를 거래처에 전달하여 상품 개발을 의뢰한다. 동업계 상품 개발 현황을 조사, 분석한다. 대표 상품군에 대한 제조공정을 안다. 실적 데이터, 상권, 경쟁사 및 고객의 요구 사항들을 파악하여 상품 개발 및 도입에 반영한다 선진 유통업체의 상품 트랜드를 주기적으로 파악한다. 해외 유통업체의 Hit 상품 중 국내 미판매 상품을 앞서 수입한다. 고객을 대상으로 특정 PB 상품의 개발 여부를 조사한다. 패션(색,무늬,원단,디자인)에 대한 감각과 패션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다.(의류잡화) 상품 구성 요소별 원가분석을 통한 고품질, 저원가 상품 개발(방향)을 제시한다. 최적 상품군을 구성하기 위한 상품 구색파악을 통하여 신상품 개발 포인트를 도출한다. 우수 중소기업과 전략적 제휴 파트너쉽을 맺어 성공예감 상품을 독점적 기획, 개발한다. 최적의 판매수량과 판매가격을 도출한다. 협력업체에 신상품 개발에 필요한 자료(매출 데이터 등) 및 물적 지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신상품을 확보한다. 신 상품의 생산, 마케팅, 판매, 가격 책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Control 한다. 고객의 Needs 및 트랜드를 선도할 수 있는 상품을 기획한다. Index 신상품 조기 도입 능력, 협력업체와 연계된 상품 개발, 상권분석 능력, 소비자 입장으로서의 사고 전환, 기획력, 상품과 차별화 포인트 도출 (PB상품), 창의력, NB비즈니스 감각, 매출 데이터 분석, 특가/기획상품의 개발능력, PB 로 부적합한 분야에 대한 포기(적정 PB 아이템 선 정), 사업기획력, 기존의 PB 상품에 대한 지속적인 upgrade
DACUM(Developing A Curriculum) 어떤 JOB을 분석하는 하나의 접근방법 다른 산업교육 부문에서도 폭넓게 활용. 이점: -실제 업무와 상관성이 높다 (Relevant) -DACUM PROCESS의 결과로 얻게 되는 JOB MODEL 은 사용하는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DACUM PROCESS는 6주만에 완성되므로 매우 빠르고 비용이 효과적이다.
DACUM의 기본철학 그 JOB에 있어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 받은 사람(EXPERT WORKER)만큼 업무를 정확히 정의하고 기술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어떤 JOB이든 그 JOB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에 의해서 정의될 때 가장 효과적이고 명확하다. 어떤 업무이든 그것을 올바로 수행하기 위해 보유해야 하는 지식이나 기술 또는 태도 등을 내포하고 있다.
적합한 DACUM 활용 적 합 부 적 합 Training 우선순위를 정하고자 할 때 적 합 부 적 합 Training 우선순위를 정하고자 할 때 현재 교육가능 한 적합한 교육을 정의하고자 할 때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결정하고자 할 때 “As Is”를 설명하고자 할 때 업무수행 평가를 위해 활용하고자 할 때 어떤 필요에 의해 적임자를 선발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Should Be”를 설명하고자 할 때
DUTY 와 TASK 어떤 관련된 TASK를 임의로 묶어 놓은 것 DUTY 한 JOB에 8~12개 정도로 제한 일의 단위 반드시 관찰,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보통 한 DUTY당 6~30개 정도로 제한 한 JOB에 있어서는 50~200개 정도로 구성
JOB TASKS 하나의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해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업무 수행단위.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 또는 어떤 결정의 산출을 위해 행해 지는 것. 일반적으로 관찰과 측정이 가능함. 시작과 마침이 명확함. 짧은 시간 내에 수행이 가능함. 다른 일과는 독립적으로 수행이 가능함.
TASK를 포함하는 문장 문장이 간결한 것 반드시 행동으로 연결되는 한 개의 행위동사와 한 개의 목적어 만을 포함할 것. 갈 수는 있어도 형용사적 표현은 반드시 포함하지 말 것. 간결, 명료하고 하나의 의미만을 내포할 것. 그 TASK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태도 등을 언급하지 말 것. 그 TASK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 기법, 기계 등을 언급하지 말 것.
JOB, DUTY 및 TASK 의 관계 JOB TASK DUTY
핵심 DACUM 용어 한 TASK를 수행하기 위한 Data, 개념 지식 Doing 이라기 보다 Knowing (ex)회사 인사규정, 전기에 대한 기본원칙 지식 (Knowledge) 한 TASK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솜씨, 능력 Knowing이라기 보다 Doing (ex)회의 진행, 프리젠테이션 준비 기술 (Skill) 속성 (Attribute)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특질 내지 특성 (ex)Professionalism, 융통성, 높은 성취욕구,High Energy
DACUM Panel 참가자의 역할 Facilitator Recorder 합의된 TASK 문장을 적는 사람 DACUM PROCESS 의 전문가 JOB을 분석하는 과정을 돕는 사람 합의의 중재자 ,토론의 방향을 잡도록 도와주는 사람 Facilitator Recorder 합의된 TASK 문장을 적는 사람 항상 Facilitator 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탁월한 업무 수행자 (EXPERT WORKER) JOB의 내용을 가장 잘 아는 사람 단어를 공급하는 사람 무엇이 포함되고 배제되어야 하는지 판정하는 사람 Panelist Observer 그냥 관찰만 하는 사람
DACUM Panel 진행순서 DACUM JOB 정의 DUTY 정의 TASK 정의 DACUM 오리엔테이션 검토 및 확인 우선순위 결정 지식,기술 및 속성 등 정의 DACUM 오리엔테이션 JOB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DUTY (그 JOB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주가 되는 책임) 정의 각 DUTY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TASK 정의 정의된 TASK 와 DUTY 에 대한 검토 및 확인 확인된 TASK 와 DUTY 의 우선순위 결정 확인된 TASK 와 DUTY 를 수행하기 위한 지식, 기술 및 속성 정의
DACUM Panel 진행요령 모든 사람이 똑같이 참여해야 한다. 아이디어나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할 것.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의견에 “Hitchhike”할 것. 부정적 비판보다는 건설적인 제안을 하도록 힘쓸 것. 모든 TASK 문장은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Observer 는 참여 불가능!! 모든 TASK문장은 반드시 행위동사로 시작하고 관찰 가능한 행위를 포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