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사 국가고시 모의고사 실기 12:10~1:15.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Chrom-ID 배지를 이용한 MRSA,VRE,ESBL 균주의 검출
18. Real-time PCR을 이용한 HBV DNA의 정량
적분방법의 연속방정식으로부터 Q=AV 방정식을 도출하라.
(생각열기)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모즐리의 주기율표 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기준은? ( )
SDS-PAGE analysis.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크로마토그래피 장준우.
액체크로마토그래피 (HPLC) 대한 이해 ㈜ 휴텍스.
혈액배양배지의 비교 미생물계 박지연.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ECO-IOC 200 제품 사용 설명서 친환경 이온성 탈지제 (침적 및 전해탈지용)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4-6. 광합성 작용(1).
Ch. 2 Force.
인체기생충학 (14강) - 기생충검사법 -.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항바이러스 한약제 검사 바이러스팀 최유정, 이대희.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Protein.
Catalase 음성 그람양성구균의 동정 원주의대 어 영.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전해질 수용액에 전류가 흐르는 원리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여라 ! 수용액에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입자 전해질과 비전해질의 모형.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6-10. 앙금을 만드는 이온을 찾아라!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Titration of magnesium with EDTA)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Chromatography.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영양소와 검출 시약의 정색 반응을 말할 수 있다. 2. 검출 시약을 이용해 음식물 속의 영양소 를 검출할 수 있다.
ENDOGENOUS INTERFERENCES IN CLINICAL CHEMISTRY
빛을 가장 잘 받는 색깔은? 물메초등학교 6학년 홍민선.
1-5 용해도.
van Deemter 식을 이용한 기체크로토그래피의 최적화
비열.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식품의 냄새.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86.
(생각열기)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몸 밖으로 보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설명) 배설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Flowcytometer.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영구적 염모제의 원리 학번 : 이름 : 윤다현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Titration of magnesium with EDTA)
지시약의 작용원리 실험방법 1. 지시약의 최대흡수파장 측정
아스피린(Aspirin)의 정량.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검사과정
Presentation transcript: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모의고사 실기 12:10~1:15

1. 다음은 MRSA (methicillin-resistant S 1. 다음은 MRSA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를 동정하기 위한 PBP2’(penicillin binding protein)의 western blot의 결과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것은? ① Lane 1이 정제된 PBP2’이라면 lane 2,3,5,6은 MRSA에 감염되었다고 본다. ② 만약 lane 4와 7이 MRSA와 관계가 있다면 PCR로 하여 mecA gene을 검출할 수 있다. ③ 만약 ② 의 내용이 맞다면 lane 4와 7은 oxacillin에 감수성을 보인다. ④ 왼쪽 kDa의 단위는 PCR을 했을때에 사용해도 괜찮다.

2. 다음 해당되는 설명으로 옳은것은? (단, (a)는 oxidase test, (b)는 beta-lactamase test, (c)는 CTA 배지의 성상이다) 1 2 Glucose/Lactorse/Sucrose/Maltose ① (a)의 양성인 세균은 N. gonorrhoeae, P. aeruginosa, V. cholerae, K. pneumoniae등이 있다. ② (b)는 주로 chromogenic cephalosprin disk법을 사용하고 penicillin 내성균주는 beta-lactamase 양성으로 간주한다. ③ (c)에 해당되는 세균은 N. gonorrhoeae와 N. meningitidis이다. ④ (a)와 (c) 모두 양성인 세균이 N. lactamica라면 ONPG (-)이다.

3. 다음은 CAMP test이다. 설명 중 틀린 것은? (1) (2) (3) ① 만약 (1)이 양성이면 Group B Streptococcus agalactiae이다. ② (2)은 Staphylococcal β-lysin 을 생성하는 S. aureus 이다. ③ 만약 이 test가 Reverse CAMP test라면 (1)은 Clostridium perfringens 이다. ④ Listeria monocytogenes 는 (3)에 해당이 된다.

4. 다음은 Gram staining에 관한것중 틀린 설명은? (B) ① Peptidoglycan 층에는 음전하를 띠는 산성물질이 있어 염기성 염색시약과 잘 친화한다. ② (A)는 Gram positive의 cell wall이고 (B)는 Gram negative이다. ③ 만약 S. aureus를 염색을 하다가 iodine 과정을 생략했다면 violet으로 보일 것이다 ④ Gram (-)가 Gram (+)와 구별이 되는것은 높은 지방질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5. 다음은 Elek gel diffusion (젤 확산)법 결과이다. 옳지않은것은? 1 2 3 ① 침강반응을 이용한 test이다. ② 1,2균주는 독소생성 Corybacterium diphtheriae이다. ③ 가운데 여과지는 항독소 성분이다. ④ 3번 균주는 디프테리아를 일으킨다고 볼 수 있다.

6. 다음은 자동 혈액배양기기 (BacT/Alert)이다. 설명 중 옳지 않은것은? ① 통상적으로 5일 배양 후 증식이 없으면 음성으로 보고한다. ② 원리로는 CO2 증가를 비색법으로 증식을 검출한다. ③ sodium citrate나 EDTA는 세균배양을 증식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④ 균혈증이나 패혈증때 배양한다.

7. 다음은 Haemophilus에 관한 설명중 옳지 않은것은? (c) (b) ① (a)에서 일직선으로 그은것은 S. aureus이며 V인자를 제공한다. ② (a)에서 S. aureus가 없다면 S.pneumoniae를 사용해도 괜찮다. ③ (b)에서 해당되는것은 H. parainfluenzae이다. ④ (c)는 porphyrin test인데 7시방향에 보이는것은 양성이고 X인자를 요구하는 세균이며 H. influenzae이다.

8. 다음은 MUG test이다. 설명 중 옳은 것은? (A) (B) ① (A)는 E. coli이고 (B)는 E. coli O157:H7이다. ② (A)의 해당되는 세균은 sorbitol MacConkey agar (SMAC)에서 sorbitol을 분해하여 pink 색의 집락을 보인다. ③ (B)에 해당되는 세균은 IMViC은 ++--이다. ④ 이 MUG test는 beta-galactosidase 유무를 보는 시험이다

9. 다음 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B) (C) (a) ① (A)는 갈매기 날개모양으로 배양할때 선택배지로서 Skirrow나 Butzler배지를 사용한다. ② (A)는 Oxidase (-)이지만 CLO test는 (+)이다. ③ (B)의 화살표는 Nalidixic acid 디스크 감수성을 나타낸 것이다. ④ (C)는 마뇨산 가수분해 시험이고 만약 (A),(B),(C)가 C. jejuni라면 (C)의 시험에서 S. agalactiae는 (C)의 (a)의 반응을 보일것이다.

10. 다음 그림을 보고 옳지 않은것은? (A) (B) (C) (D) ① (A)가 만약 Mycobacterium tuberculosis라면 암발색군에 해당된다. ② (B)는 균삭 형성(cord formation)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특징이다. ③ (C)에서 잡균억제로 Malachite green을 사용한다. ④ (D)의 positive 결과로 보았을때 Mycobacterium simiae의 일부 균속도 이 시험의 양성을 보인다. (A) (B) (C) (D)

11. 그림 (A)는 Phenlyalanine deaminase (PAD), 그림 (B)는 Urease test, 그림 (C)는 Indole test이다. 설명 중 틀린것은? - + - + - + (A) (B) (C) ① (A)의 양성은 Proteus, Providencia, Morgagella등이 있다. ② (A)와 (B)의 동시에 양성인 균은 Proteus vulgaris와 Proteus mirabilis이다. ③ (A), (B), (C)의 동시에 양성인 균은 Proteus vulgaris이다. ④ (A), (B), (C)의 동시에 양성인 균은 유주현상 (swarming)을 보이고 Orinithine decarboxylase는 양성이다.

12. 다음에 시험에 모두 positive에 해당되는 균은? Growth on NaCl broth On TCBS agar String test ① V. parahemolyticus ② V. cholerae ③ V. vulnificus ④ V. alginolyticus Oxidase test (2번)

- 미량(미세)림프구세포독성검사에 사용하기 위한 림프구 분리 pack 13. 다음은 아래의 사진과 관련된 내용이다. - 미량(미세)림프구세포독성검사에 사용하기 위한 림프구 분리 pack 항응고혈액 (heparin 처리 혈액) - Ficoll 용액 ; SG 1.077-1.078 - 림프구분리 (Lymphocyte isolation) pack 양상(사진) 분리된 층 중 림프구층은 ? ① A ② B ③ C ④ D

14. 위의 사진은 Hep-3 세포주를 이용한 간접형광항체법의 항핵항체 양성 pattern 이다. - 핵내 여러개의 과립상 핵소체가 형광염색 - 통상 6개정도의 핵소체부분 염색이 된다. 해당되는 형광양상(pattern)은 ? ① Homogenous ② Peripheral(Shaggy) ③ Speckled ④ Nucleolar ⑤ Discrete-speckled(Centromere)

① CD2- T cell ② CD3- B cell ③ CD4- T cell ④ CD16- NK cell 15. 아래 사진은 면양혈구를 이용한 rosette 형성을 관찰한 것이다. 면양혈구항원에 대한 표면분자수용체를 가진 면역세포는 ? ① CD2- T cell ② CD3- B cell ③ CD4- T cell ④ CD16- NK cell ⑤ CD32- macrophage

16. 다음은 아래의 사진과 관련된 내용이다 위 검사방법은 ? ① RPHA ② RIA ③ CLA 위 사진의 해당 번호에 대한 설명이다. 1. microwell상 항원과 항체(검체)반응 2. 효소표지항체용액 과 기질용액 첨가후 반응 3. 반응정지액을 넣은후의 최종발색 4. 시약구성 ; microwell plate, 효소표지항체,기질액,반응정지액, 세척용액, 검체희석액 위 검사방법은 ? ① RPHA ② RIA ③ CLA ④ ELISA(EIA) ⑤ FPIA

17.

18.

19. 다음 초자기구의 용도는? ① 용액의 여과 ② 용액의 증류 ③ 질소화합물 분해 ④ 간단 추출 ⑤ 표준용액 제조 19. 다음 초자기구의 용도는? ① 용액의 여과 ② 용액의 증류 ③ 질소화합물 분해 ④ 간단 추출 ⑤ 표준용액 제조

20. 사진은 유리기구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① cuvette이다. ② 표준 규격이 10 mm이다. ③ 시료가 들어간다

21. 다음은 안전표시이다. 방사능 위험인 것은 ?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22. 용액의 액성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 ① pH 미터이다 ② 수소이온(H+)을 측정한다 ③ 온도의 영향을 받는다 ④ pH 4.01 표준 완충용액은 barbital buffer를 이용한다. ⑤ 시료는 지시전극에 의하여 감응하여 전위값(Mv)을 나타 낸다.

23.그림은 원자흡수분광계의 배치도 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 ① A는 중공음극램프를 사용한다. ② B에서 시료는 여기상태이다. ③ C는 광전자증배관이다. ④ D는 C2H2 연료이다. ⑤ E는 중금속을 측정할 시료이다.

24. 사진은 분석기기의 부속품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① 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② A는 plane 칼럼이다 24. 사진은 분석기기의 부속품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 ① 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② A는 plane 칼럼이다. ③ B의 이동상은 기체이다. ④ 약물검사에 사용한다. ⑤ 고정상과 친화성이 강한 성분이 먼저 분리(용출, elution)된다. A B

25. Levey-Jennings QC Charts이다. 설명이 옳은 것은. ① A는 위반규정의 허용범위이다 25. Levey-Jennings QC Charts이다. 설명이 옳은 것은 ? ① A는 위반규정의 허용범위이다. ② B가 나타날 수 있는 것은 정규분포곡선에서 0.3 % 이다. ③ C는 표준용액이 점점 분해될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④ D는 표준용액의 농축 때문이다. ⑤ E는 downward shift 이다.

26. 그림은 Westgard multirule QC Charts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① A는 1-2s 이다 26. 그림은 Westgard multirule QC Charts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 ① A는 1-2s 이다. ② B는 우연오차이다. ③ C는 계통오차이다. ④ E는 unrest 이다. ⑤ F는 R-4s 이다.

27. 혈청 단백질의 전기영동 결과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① 통상 PH8. 6의 완충액을 이용한다. ② PH8 27. 혈청 단백질의 전기영동 결과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 ? ① 통상 PH8.6의 완충액을 이용한다. ② PH8.6에서 단백질 분자는 모두 (-)로 하전한다. ③ 등전점에서 단백질은 양극(+)으로 이동한다. ④ 염색시약은 폰소우-3R이 이용되었다. ⑤ 완충액의 이온강도가 높을수록 이동도는 감소 한다.

28. 단백질 전기 영동 결과이다. 분획 ②에 해당되는 것은 28. 단백질 전기 영동 결과이다. 분획 ②에 해당되는 것은? ① prealbumin ② LDL ③ Ceruloplasmin ④ HDL ⑤ Immunoglobulin

29. Lipoprotein 전기 영동 결과이다. 외인성 triglyceride를 가장 많이 함유한 것은 29. Lipoprotein 전기 영동 결과이다. 외인성 triglyceride를 가장 많이 함유한 것은? ① LDL ② VLDL ③ HDL ④ IDL ⑤ Chylomicron

30. 아래 기계와 그래프는 빙점강하를 원리로 한 것이다.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① 입자의 크기 ② 입자의 몰수 ③ 입자의 원자량 ④ 입자의 비중 ⑤ 입자의 질량

31. 요중에 나타날 수 있는 기생충이며 비대칭형으로 무색투명하며 성인에서도 검출되나 주로 어린이에게 더 많이 검출된다 31. 요중에 나타날 수 있는 기생충이며 비대칭형으로 무색투명하며 성인에서도 검출되나 주로 어린이에게 더 많이 검출된다. 무엇인가? 요충 반크롭트사상충 질트리코모나스 장트리코모나스 빌할쯔주혈흡충

32. 아래 위침사는 무슨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인가? 광학 현미경 편광 현미경 위상차 현미경 간섭 현미경 형광 현미경

33 2 1 3 4 5 위 그림 중 알카리성 뇨침사가 아닌것은? 1.1 2.2 3.3 4.4 5.5

1) 감마선 계측기 2) 베타선 계측기 3) 알파선 계측기 4) 흡광도 계측기 5) 반도체 검출기 34. 3H 또는 14C를 처리한 검체의 방사능 측정기기이다. 바른 것은? 1) 감마선 계측기 2) 베타선 계측기 3) 알파선 계측기 4) 흡광도 계측기 5) 반도체 검출기

35.아래의 그림은 방사선의 효과와 영향에 대한 그림이다. 틀리게 설명한 것은? 1) 결정적 영향을 설명하고 있다 2) 타 원인에 의한 증상과 구분이 된다. 3) 탈모나 불임등 신체의 급성장해가 나타난다. 4) 유전적 영향으로 백혈병등의 병이 나타난다. 5) 선량크기가 장해의 중증도에 비례한다. Critical level 발생빈도 심각도 발단선량 선량

36. 위의 사진에서 보이는 거대 세포는? Macrophage Megakaryoblast 3) Promegakaryocyte 4) Megakaryocyte 5) Monoc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