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통상정책과 한·중 FTA 2012. 7. 20 김영무 외교통상부 FTA 정책국 심의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김학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실장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한국의 통상협상방향 (목) 통상교섭실장 김학도 제 128 회 세종로국정포럼.
Advertisement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세계 스마트폰 시장 현황 및 당사 매출 분석 보고서 전략기획팀 이상훈 팀장.
1 아태지역의 경제통합 동향과 한국의 대응 이현훈 강원대학교 국제무역학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PASSION PASSION Spanish Language! 최고를 위한 열정 스페인어과.
2004 년 3/4 분기 경영실적 설명회 ( 금 ) 동부제강㈜. 본 자료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작성된 것으로 일부 내용은 회계감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업경제 1 학년 2 학기 지역별 경제통합체 Ⅴ. 국제 경영과 국제경제 >3. 국제 경제 환경 >14/19.
한국의 대외무역관계와 FTA 정책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 태 호 교수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해외조달시장 진출현황 및 전략 발표자 : 외교통상부 정상천 서기관. 1. 해외조달시장 개요 2. 미국 조달 시장 3. EU 조달 시장 4. 중국 조달 시장 5.UN 조달 시장 6. 해외조달시장 진출전략.
싱가포르 무역관 싱가포르 공동물류센터 사업 설명회. 싱가포르 무역관 2/13 목 차목 차 싱가포르 공동물류센터 입지 장점 싱가포르 물류허브 활용 사례 공동물류센터 지원내용 싱가포르 공동물류센터 참가방법.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제주 FTA 활용지원센터 사업 안내 ( 금 )-. 2 CONTENTS 1.FTA 활용지원센터 추진현황 2.FTA 활용지원센터 설립목적 및 역할 년 향후 사업추진 계획 4. 기대효과.
WTO & Doha Development Agenda 민경태 민경태.
환 태평양경제동 반 자 협 정(TPP) Trans-Pacific Partnership 박 소 영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설치하기.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2008 년 11 월 29 일 BSC 시뮬레이션 결과 보고서 박종국, 박철우, 서경석, 서승찬.
Nov. 2 nd (Fri.), 2012 韓国工作機械産業動向説明会. 1 Korean Economic Trend [3.6]2012 1/42/43/44/41/42/ 경제성장률 [3.7]2012 1/42/43/44/41/42/4.
2 차 전지 성장성과 수익성은 지속 2010 년 IT 용 2 차 전지 시장은 전년대비 15% 성장 예상 스마트폰 및 넷북 수요 확대로 소형 2 차전지 수익성 지속 모멘텀 글로벌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확대 애플 아이폰 출시와 같은 스마트폰 수요증가 다음주 애플 테블릿 PC.
교회 myLG070 무선 인터넷 전화 세계 선교지를 하나로 100% 무료 통화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중국경제의 성장둔화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조원 금융보험학사 학위논문 김효정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한국의 FTA 추진 정책 안세진 산업통상자원부 FTA협상총괄과장.
아모레퍼시픽과 IT기술 아모레퍼시픽에서 쓰이는 IT기술.
세계시장 탐방 제 1 강 Introduction 우리나라 수출입동향 무역학과 고중현 교수.
주간 자산관리 전략( ) Wealthcare센터 서경덕 차장.
한-인도 CEPA 주요내용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무역관리사 과정 한국무역협회 자격증 Global Trade Professional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한.아세안 FTA 협정의 기대효과 와 의의 무역학과 최영도 이상철
GNP/GDP 국민계정.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경제통합(FTA)의 정치경제학 Pusan National University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수출 경쟁력
Fax Installation Setting
АБИИ (Азиатский банк инфраструктурных инвестиций)
월별 외국인 입국통계와 국내에서의 card 이용액
한중 한일 FTA에 대한 협상전략 민감 산업 분야 분석.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UNISDR ONEA-GETI 안내.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빅맥지수와 GDP per capita 의 상관도
바나나는 왜 싸지? -값싼 바나나의 숨겨진 비용.
서울건해산물㈜ 겸영사업 내용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엔프라넷.
부분균형과 무역.
Trans Pacific Partnership Rinchen 고은영 김수겸 김용현 유태림 이선민.
한우수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원점에서 토론을 위한 제안) ㈜ 순 우 리 金 建 壽.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년 11월호 영업현황1p 요약 재무제표 4p 주가동향 6p.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Bizforms PowerPoint 표준 신년도 사업계획서(제조업) 원본 PPT 바로가기 >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철강기술솔루션 및 아이디어 공모 (안내) 1. 주관 / 후원 :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회 (주관) / 포스코 (후원)
00분야 기획방향 # 10분이내 발표내용 # 특별한 템플릿(배경, 글꼴, 에니매이션, 동영상 등)을 사용하지 않고, 흰색 바탕에 내용 편집 # 내용에 따라 글씨 크기 조절 가능 # 과도한 디자인 요소는 자제요망.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의 통상정책과 한·중 FTA 2012. 7. 20 김영무 외교통상부 FTA 정책국 심의관

목 차 우리나라의 FTA 정책 및 추진방향 중국의 경제현황과 FTA 정책 한·중 FTA 추진방향

I. 우리나라의 FTA 정책 및 추진 방향 1. 한국 FTA 정책의 기본 방향 2. 한국의 FTA 추진 현황

1-1. 한국 FTA 정책의 기본 방향 ❐ FTA 정책 추진 배경 ❐ FTA 추진 로드맵(2003년 작성) DDA 사실상 좌초 → 각국 경쟁적 FTA 추진 세계 총 교역 중 FTA 교역 비중 50% → 한국은 약 35% (2012) 이에 따라 2003년 이후 FTA 적극 추진 ❐ FTA 추진 로드맵(2003년 작성) 대상국 선정 기준: 경제적 타당성, 정치 및 외교적 함의, 우리나라와의 FTA에 대한 관심도 거대 선진경제권, 신흥시장 국가, 자원부국 위주 단기·중기·장기로 나누어 여러나라와 동시다발적인 FTA 추진

1-2-1. 한국의 FTA 추진 현황 ❐현재 발효 중인 FTA (45개국 8건) ❐협상 타결 국가 (2개국 2건) 칠레(2004), 싱가포르(2006), EFTA(2006), ASEAN(2009), 인도(2010), EU(2011. 7.1), 페루(2011. 8.1), 미국(2012. 3.15) ❐협상 타결 국가 (2개국 2건) 터키, 콜롬비아 ❐협상중인 국가(12개국 7건) 캐나다, 멕시코, GCC, 호주, 뉴질랜드, 중국, 인도네시아 ❐협상개시 준비 국가(15개국 8건) 일본(2004년 협상 중단), 한·중·일 FTA 등

1-2-2. 우리의 FTA 추진현황 Global FTA Network 조기 구축 추진 목표 - 국민소득 4만불, 세계7위 경제 대국 건설을 위한 성장동력 창출 - 에너지·자원의 안정적 확보에도 기여 캐나다 EFTA 몽골 EU 중국 미국 터키 일본 이스라엘 한국 멕시코 인도 중미 베트남 GCC 콜롬비아 ASEAN 싱가포르 페루 말레이시아 MERCOSUR 인도네시아 칠레 호주 뉴질랜드 발효 또는 타결 협상 진행 중 사전 준비 단계 ※원의 크기는 수입시장 규모와 비례

II.중국의 경제현황과 FTA 정책 1. 중국 경제 현황 2. 중국의 FTA 정책

2-1-1. 중국의 경제 ❐ 2011년 세계 GDP 성장률 1위(10.8%) ❐ 중국 32개 지방정부 경제성장률 > 전세계 경제성장률(2011) ❐ GDP는 일본을 추월(2010) ❐ 수출액과 제조업 GDP는 미국을 추월(2010) 중국 GDP (십억달러($)기준,경상가격) 중국 지방정부 (32) 여타 국가들(182) 연평균 GDP 성장(%) (십억달러($)기준,경상가격) 제조업 GDP 미국 중국 수출액 (조달러($)기준,경상가격) 일본

2-1-2. 중국 경제 (내수시장 확대) ❐ 경제구조 전환(2012년 양회) : 수출주도형 → 내수주도형 GDP 성장률 8%이상 유지에서 7.5%로 하향 조정 교역액 10% 증가 목표치 설정, 대외무역 의존도 감소 11년 교역액 3.58조불, 전년대비 22.5% 증가 ❐ 중국의 내수시장 급속 성장 추세 ※ 중국 내수시장 급속 성장 중 : 연평균 18% 세계 소비시장 비중 증가 전망: 2009년 7.6%→2020년 21.4% 급속한 도시화 진전 : 매년 분당급 도시 30개

2-2-1. 중국의 FTA 정책 ❐ 추진 정책 ❐ 추진 동향 중국은 FTA를 통한 경제적 효과 뿐 아니라, ①역내 위상 강화(아세안, 홍콩, 대만 등), ②자원 확보(칠레, 페루 등), ③ 개도국에 대한 영향력 확보(파키스탄, 코스타리카 등)을 고려하여 FTA 대상국을 선정 ❐ 추진 동향 초기 중화권 및 아시아 국가(홍콩, 마카오, ASEAN 등) → 중남미, 유럽국가들로 확대 중대만 ECFA : 11.1월 800여 개에 대해 조기수확 프로그램 발효, 향후 확대 협상 추진 예정

2-2-2. 중국의 FTA 정책 (추진 현황) 현황 대상국(발효/협상개시) (10건, 18개국) 중·홍콩 CEPA(’04), 중·마카오 CEPA(’04), 중·ASEAN FTA(’04, EHP; ’05, 상품; ’07, 서비스, ’09 투자), 중·칠레 FTA(’06, 상품; ’10, 서비스/투자), 중·파키스탄 FTA(‘06, 상품; ’07, 서비스; ’09, 투자), 중·뉴질랜드 FTA(’08), 중·싱가포르 FTA(’09), 중·페루 FTA(’10) 중·대만 ECFA(’10), 중·코스타리카 FTA(’11) 협상중 (7건, 16개국) 중·SACU FTA(’04), 중·GCC FTA(’05), 중·호주 FTA(’05), 중·노르웨이 FTA(’08), 중·아이슬란드 FTA(’07), 중·스위스 FTA(’11), 중·한 FTA(’12), 추진 · 검토 (2건, 3개국) 한·중·일 FTA, 중·인도 RTA

III. 한중 FTA 추진방향 한·중 FTA 필요성 한·중 FTA 기대효과 한·중 FTA 추진 방향 한·중 FTA 추진 경과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의 함의 향후 일정

중국 내수시장 확대에 대응 3-1-1. 한중 FTA 필요성 (내수시장 선점) 자동차(10년, 1,806만대), 휴대전화 가입자(10년, 약 8.6억명), LCD 패널(11년, 4,200만대) 등 세계 최대시장으로 부상 자동차시장 연도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내수 판매량 2,377 3,271 4,391 5,145 5,758 7,130 8,832 9,336 13,645 18,062 전년대비 증감 13.9 37.6 34.2 17.2 11.9 23.8 23.9 5.7 46.1 32.4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액 중 일반무역과 가공무역의 비중 변화 추이> 3-1-2. 한중 FTA 필요성 (교역 패턴 변화) 가공무역 축소 및 일반무역 비중 확대에 대응 중국시장: 가공무역의 비중 감소, 일반무역의 비중 증가 중국의 가공무역/총무역 비중: 38%(90년)→48%(00년)→39%(10년) 최근 중국진출 우리기업들도 내수시장 공급비중 확대 추세 관세환급이 적용되는 가공무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관세가 적용 되는 일반무역 비중 확대를 위해서는 한·중 FTA 체결 시급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액 중 일반무역과 가공무역의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출처: 무역협회)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일반무역 29.8% 29.1% 31.4% 33.7% 32.7%  가공무역 54.0% 54.1% 52.7% 53.3% 51.4%

한국 중국 미국 일본 EU 3-1-3. 한중 FTA 필요성 (투자허브) 투자의 유입 상품의 수출 ❐ 한국으로의 투자가 집중되는 허브 효과  고용창출, 경제활성화로 연결 미국∙EU∙일본의 투자가 유입되어 한국 내 생산을 통하여 한 ∙중 FTA를 이용, 중국에 수출 중국의 투자가 유입되어 한국 내 생산을 통하여 한 ∙미, 한 ∙EU FTA 이용, 미 ∙EU에 수출

3-2. 한중 FTA 기대효과 2. 외국인의 국내 투자 증가를 통한 일자리 창출 1. 내수시장 선점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 중국의 내수시장은 급속 성장(연평균 18% 이상)중 중국의 세계 소비시장에서의 비중 증가 전망(2009년 7.6%→2020년 21.4%) 2. 외국인의 국내 투자 증가를 통한 일자리 창출 2012.1월 정상회담시 후진타오 주석은 중국의 對韓 투자확대 언급 3. 중국진출 우리 기업/국민의 이익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중국 진출 우리 기업 약 2만3천개 (300대 제조업 기업 70% 중국진출) 4. 글로벌 FTA 허브국가 `완성 한중 FTA 체결시 미국, EU, 인도, ASEAN 등 거대경제권과 FTA를 체결한 유일한 국가 5. 정치·외교적 효과

1단계 협상 2단계 협상 ❐ 민감분야 보호방식 ❐ 일괄 타결방식의 전면 협상 3-3. 한중 FTA 추진 방향 : 단계별 협상 우선 합의 상품, 서비스, 투자, 규범 등 각 분야/이슈별 자유화방식에 대한 양해 도출 특히, 상품분야 민감품목 보호를 위해 다양한 접근방안 고려 ❐ 일괄 타결방식의 전면 협상 1단계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상품, 서비스, 투자, 규범 등 전 분야에 대한 본격 협상 일괄타결(single-undertaking)을 추진

3-4-1. 한중 FTA 추진 경과 ❐ 2005-2006년간 민간공동연구 진행 ❐ 2007.3월-2010.5월 양국간 산관학 공동연구 진행 산관학 공동연구 보고서 주요 내용 (기본 원칙): ① 포괄성, ② 실질적 자유화, ③ WTO 규범과의 합치성, ④ 민감부문 고려, ⑤ 지속가능한 개발 ❐ 2010.9월부터 민감성 처리방안 등에 관한 정부간 사전실무협의 진행 중국측은 그간 한·중 FTA 협상의 조기 개시를 강력히 희망 ❐ 2012년 2월부터 국내 절차 진행 공청회(2.24), 대외경제장관회의 의결(4.16), 국회 외통위 보고(4.23) 범부처 차원에서 약 120회 차원의 여론수렴 활동 전개

3-4-2. 한중 FTA 추진 경과 ❐ 2012.5.2 한·중 통상장관회담에서 한·중 FTA 협상 개시 선언 단계별 협상, 민감분야 보호방식, 역외가공지역 조항 등이 포함된 공동성명 발표 ❐ 2012.5.14 한중FTA 제 1차 협상(북경) 주요 결과 협상운영세칙(TOR) 확정, 무역협상위원회(TNC) 설립, 협정 대상 범위 논의, 통계자료 교환 ❐ 2012.7.3-5 한중FTA 제 2차 협상(제주) 상품분야 모델리티 논의, TNC 산하 서비스/투자 작업반 설치, 협정 대상범위 논의 등

3-5-1.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의 함의 주요 경제 공동체별 경제력 비교 (2010년) 동아시아 지역은 EU, NAFTA와 함께 세계경제 3대축 형성, 향후 제1의 경제권으로 부상 가능성 ※“ASEAN+3 경제규모는 2014년 미국, 2020년 EU를 추월할 전망” (ADB 연구소장) (단위 : 억명, 조달러, %)   인구 (비중) GDP (비중) 교역액 (비중) 韓中日 15.1 (22.2) 10.8 (18.6) 4.0 (16.0) ASEAN 5.8 (8.5) 1.5 (2.5) 1.5 (6.1) ASEAN+3 20.9 (30.7) 12.3 (21.1) 5.5 (22.1) ASEAN+6 33.2 (48.7) 14.6 (25.1) 6.3 (25.2) EU 5.0 (7.3) 16.4 (28.4) 9.3 (37.0) NAFTA 4.5 (6.6) 3.8 (15.0) 자료: Global Insight(10.4월), WTO(10.5월)

TPP RCEP 3-5-2.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의 함의 동아시아 동아시아 경제통합 논의의 중층적 전개 한중 FTA :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중심축 한중일 FTA : NAFTA, EU에 필적하는 거대경제권 동아시아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SEAN 10개국 + 한.중.일.호주.인도.뉴질랜드 참여 희망국에 문호 개방 RCEP Trans Pacific Partnership 미국 등 9개국 + 일본.멕시코.캐나다 참여 희망 장기적으로 동아시아 FTA와 병존 TPP

3-5-3.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의 함의 동아시아 경제 통합 주도 역내 경제통합 논의의 흐름 파악 우리의 대응 전략 한중/한일 FTA로 경제적 이익 극대화 한중일 FTA와의 유기적 연계 통해 동아시아 경제 통합 논의의 중심축 역할 역내 경제통합 논의의 흐름 파악 TPP 논의 동향 파악 (참여국 대부분과 FTA 체결 또는 추진중) RCEP 논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

3-5-4. 동아시아 경제통합에의 함의 동아시아 경제통합 구도 한국 중국 일본 TPP 한.중.일 FTA RCEP

3-6. 향후 일정 ❐8월 중 중국에서 3차 협상 개최 예정 ❐ 여론수렴 활동 지속 상품, 서비스, 투자 등 품목별 모델리티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 ❐ 여론수렴 활동 지속 다양한 여론 수렴을 통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노력 분야별 이해당사자, 국회, 시민단체 및 학계 등과 활발한 소통을 통한 투명한 협상 진행 노력

한중F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