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린6시그마 그린벨트 인증 필기시험 (예시) 소 속 성 명 계급(직급) 군번(순번) 평가점수 결 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SNS ! 건대 ▶ 오리 정보 제공 : 해당 지역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서비스, 제품의 기업에게 정보 제공.
Advertisements

제3장제3장 제3장제3장 이산균등분포  확률질량함수 :  평균 :  분산 : 공정한 주사위를 한 번 던지는 경우 나온 눈의 수를 확률변수 : X 확률질량함수 : 평균 : 분산 :
- Define, Measure, Analyze, Improve, Control - 삼성 6 시그마아카데미 DMAIC 기본 Tools DMAIC 기본 Tools 대외비 Green Belt 교재 ( Ⅱ )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출석수업 과제 – 총 5문제, 10월 25일 제출 정보통계학과 장영재 교수.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B4-1.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4.3.3 초기하분포 (Hypergeometric distribution)
3일차 - 가설검정.
Entity Relationship Diagram
Ⅱ. 측정(Measure) (2) Gage R&R (Crossed) – ANOVA 방법 [1] Data 입력
수치해석 6장 예제문제 환경공학과 천대길.
Report #2 - Solution 문제 #1: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제9장 샘플링과 오차 표본: 시료, Sample 모집단 : 공정, Lot Sampling
통계분석 특강(속성) 서구원 한양사이버대학교 미디어MBA.
제12주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4M: Man, Machine, Material, and Method 그림 14.1 그림 14.4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공정능력과 공정실적.
SqlParameter 클래스 선문 비트 18기 발표자 : 박성한.
제 13 장 정규분포곡선과 확률히스토그램 동전던지기와 정규분포 개념이 다른 두 히스토그램 : 경험적 히스토그램과 확률히스토그램
CH 4.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4.1 확률 확률실험 (Random Experiment, 시행, Trial) : 결과를 확률적으로 예측 가능, 똑 같은 조건에서 반복 근원사상 (Elementary Event, e) : 시행 때 마다 나타날 수 있는 결과 표본공간.
ANOVA.
상관분석 (p , p ).
DMAIC 기본 Tools M-2. Y’의 데이터 수집계획.
C&E 매트릭스 Cause & Effect Matrix.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Ⅲ. 이 차 방 정 식 1. 이차방정식과 그 풀이 2. 근 의 공 식.
DMAIC Template (제조).
제1장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자료와 수집 제3장 자료 분석 방법
셍산관리시스템 작업일보 등록 ☞ ☞ 작업일보등록 - 실행화면 C B A 사용설명
(independent variable)
6 Sigma 테마 Guideline.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2012년 8월 2차 QI 활동 방법 지표 관리 회의록 작성법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 경영학부 최은지 경영학부 이창현
8장. spss statistics 20의 데이터 변환
두 모집단에 대한 검정.
Frequency distributions and Graphic presentation of data
Project Leader [DMAIC] : O O O.
제4장 검사 및 품질인증 II Topic: 품질관리 Q: 대량생산되는 부품의 품질은 어떻게 관리하는가?
보고서 #7 (기한: 6/2) 2개의 스택, stk1, stk2를 이용하여 큐를 구현하라.
판매 교육 발표자: [이름].
⊙ 이차방정식의 활용 이차방정식의 활용 문제 풀이 순서 (1)문제 해결을 위해 구하고자 하는 것을 미지수 로 정한다.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Week 3-2: 데이터분포 3_2장_1(백분율:Percentile)에서 동영상 1,2
제3장 함수와 배열수식 전진환
Sampling Distributions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1. MTBF의 정의 평균고장간격시간 (Mean Time Between Failures)의 의미로 신뢰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척도의 속성 - 목 차- 자료수집과정 척도의 속성 -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리커트척도 3.Data(자료)
최소의 실험 횟수에서 최대의 정보를 얻기 위한 계획방법 분석방법: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상관계수.
Week 4: 다변수(2변수) 데이터분석 5장_1(산포도: scatter plot) 동영상 1,2,3,4,5
2015년도 2학기 제 10 장 기술통계와 도수분포 마케팅조사.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제 16장 비율의 정확성 머리말 신뢰구간 신뢰구간의 해석.
CH3. 데이터의 기초적 정리방법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 (Population) , 표본 (Sample, 시료) 그림 3.1
CH3. 데이터의 기초적 정리방법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 (Population) , 표본 (Sample, 시료) 그림 3.1
6시그마및품질관리 과제 – Define의 적용.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국방부 린6시그마 그린벨트 인증 필기시험 (예시) 소 속 성 명 계급(직급) 군번(순번) 평가점수 결 과 2011. 12. 5   국방부 린6시그마 그린벨트 인증 필기시험 (예시) 2011. 12. 5   한국표준협회 소 속 성 명 계급(직급) 군번(순번) 평가점수 결 과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각 2점] 1. 시그마(σ)가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 3 ) 1. 시그마(σ)가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은? ( 3 ) 1) 그리스 문자(영어의 S에 해당) 2) 표준편차 3) 고객만족지수 4)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2. 다음 중 정규 분포 (Normal Distribution)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3 ) 1) 확률 밀도함수는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종 모양이다. 2) 정규분포 곡선은 X축에 맞닿지 않으므로 확률변수 X의 값은 좌우 무한대이다. 3) 정규분포의 모양은 평균의 의해 결정된다. 4) 정규분포 곡선과 X축 사이의 전체면적은 “1”이다. 3. 6 시그마 경영의 정의에 대해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3 ) 1) 품질향상을 통해 고객을 만족시켜 기업의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 전략이다. 2) 우리의 위치와 목표인식을 비교하고 측정하는 통계적 척도이다. 3) 현재의 방식대로 6 시그마를 달성하여 품질수준을 향상시키는 개선활동이다. 4) 처음부터 잘하자, 현명하게 일하자는 우리의 일하는 방식이다. 4. 다음 중 산포의 의미가 잘못된 것은? ( 3 ) 1) 중심치로부터 벗어난 정도이다. 2) 데이터의 퍼진 정도를 의미한다. 3) 성과기준을 벗어난 서비스나 제품을 의미한다. 4) 표준편차로도 측정한다. 5. 3시그마 수준의 프로세스를 6시그마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프로세스의 표준편차를 현재 대비 얼마만큼 줄여야 하는가? ( 4 ) 1) 1/5 2) 1/4 3) 1/3 4) 1/2 6. 다음 중 DEFINE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이 아닌 것은? ( 1 ) 1) Y에 영향을 주는 잠재원인 X의 규명 2) 프로젝트 CTQ의 도출 3) 대상 프로세스의 명확한 정의 4) 프로젝트 팀원의 구체적인 역할 규정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각 2점] 7. Project 발굴 시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 4 ) 1) 고객에의 영향(CCR 충족) 2) 경쟁사와의 차별화 경쟁 역량 3) 전략 방향과의 일치성 및 경영 Impact 4) 창의적인 Idea 및 개선 방안 8. 다음 중 프로젝트를 정의 할 때 필요한 각 항목에 대해서 올바르게 정의되지 못한 것은? ( 3 ) 1) 추진 배경 : 현재의 사업 현황과 시장환경 등의 설명 2) 문제 기술 : 개선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기술 3) 목표 기술 : 개선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 4) 예상 효과 : 예상 재무성과 및 체질개선 효과의 기술 9. 다음 중 Measure단계에서 할 일이 아닌 것은? ( 4 ) 1) 프로젝트 Y의 확인 2) 측정시스템의 분석을 통한 데이터의 신뢰성 평가 3) 공정능력 분석을 통한 현재수준 확인 4) 핵심인자( Vital Few X's) 확정 10. 다음 중 측정시스템 분석과 거리가 먼 것은? ( 4 ) 1) 분석할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다. 2) 평소 측정을 담당하는 작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3) 측정은 가능하다면 측정시스템 평가 사실을 동일한 작업자가 모르고 있는 상태에서 평소 작업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는 것이 좋다. 4) 일반적으로 공정능력분석 후에 실시한다. 11. 제품의 길이가 평균 10㎝, 표준편차 2㎝인 정규분포를 따를 경우 제품을1개 샘플링 하여 길이를 재어보니 14㎝이였다. Z값으로 변환하면 얼마인가? ( 2 ) 1) 1 2) 2 3) 3 4) 4 12. 다음 중 6시그마 수준의 공정의 능력과 거리가 먼 것은? ( 4 ) 1) 3.4 ppm 2) Zlt = 4.5 3) Zst = 6.0 4) 수율 99.9%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각 2점] 13. 프로젝트에서 CTQ를 대변하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지표를 무엇이라 하는가? ( 1 ) 1) Y 2) X 3) Z 4) t 14. 다음 중 Pareto Char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2 ) 1) 근본원인이 되는 인자들을 중요도 순으로 나열 2) 다수의 사소한 인자를 찾아줌 3) 19세기 이탈리아 경제학자 Vilfredo Pareto와 관련 있음 4) 80:20 법칙과 밀접한 관련 있음 15. 특성요인도의 일반적인 카테고리가 아닌 것은? ( 3 ) 1) 사람 2) 방법 3) 프로그램 4) 재료 16. 하나의 독립변수와 하나의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수학적 모형으로 추정하여 Y=f(X)의 관계식을 나타내고자 사용하는 분석은? ( 2 ) 1) 정규 분석 2) 회귀분석 3) 종속 분석 4) Interaction 분석 17. 상관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 4 ) 1) 두 변수간의 직선적인 상관관계를 정량적인 수치로 보여준다. 2) 0인 경우 상관관계가 없음을 의미한다. 3) 층별을 통해 상관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4) 값은 0~1사이의 값을 갖는다. 18. 근무 년수, 고과점수가 직원의 급여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주는지 알고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떤 분석 방법이 적절한가? ( 4 ) 1) 2 비율 검정 2) 2표본 T 검정t 3) 일원 분산분석 4) 회귀분석 19. 다음의 경우 중에서 아이디어 도출 등을 통한 최적의 대안을 선정해야 경우가 아닌 것은? ( 4 ) 1) 프로세스의 흐름을 최적화 해야 하는 경우 2) 실용적인 개선 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경우 3) 프로세스의 흐름을 표준화 해야 하는 경우 4) 프로세스 핵심인자의 최적 조건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 20. 다음 중 개선안 도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 3 ) 1) SCAMPER 2) 친화도법 3) 관리도 4) 브레인스토밍

※ 다음 물음에 맞으면 (O), 틀리면 (X)표를 하시오. [각2점] 4. 프로젝트 Y의 현수준은 프로세스나 제품의 특성이 고객요구에 얼마나 부합하느냐를 나타내 준다. ( O ) 5. 현수준에 대한 공정능력 분석 결과는 개선 목표 설정에 대한 Baseline이 될 수 있다. ( ○ )

※ 다음보기에서 아래설명에 맞는 용어(분석도구)를 써 넣으세요. [각 2점] ※ 다음보기에서 아래설명에 맞는 용어(분석도구)를 써 넣으세요. [각 2점] 1. 소수의 중요한 항목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하여,수평축에 빈도수가 큰 것 순으로 항목을 놓고 각 항목의 도수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며, 누적율을 표시하는 그래프 ( 파레토도 ) 2. 5M1E에 준하여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문제에 대한 잠재원인을 도출하여 그림으로 나타내는 방법 ( 특성요인도 ) 3. 하나의 인자에 대하여 5개 수준(그룹)간 평균치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검정을 실시하는 방법 ( One-Way ANOVA ) 4. 데이터의 중심과 산포, 이상치의 존재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앙값,1,3사분위수를 상자와 선으로 나타내는 방법 ( Box Plot ) 5. 여러 개의 항목 혹은 그룹별로 발생빈도수를 조사하여, 항목 혹은 그룹이 발생빈도수와 관련이 있는지를 검정하는 방법 ( Chi-Square ) 특성요인도, 산점도, 히스토그램, BOX-PLOT(상자그림), 파레토도, 1-Sample t(1-표본 t), 2-Sample t(2-표본 t), 2-Proportion(2-비율), Chi-Square Test(카이-제곱 검정), One-Way ANOVA(일원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F-검정(등분산검정), 실험계획 SWOT분석, 정밀도, 반복성, 재현성, 친화도, 계통도, QFD, SIPOC, 벤치마킹, X-Y Matrix, MSA, Histogram, 프로세스 맵, Run Chart, SPC(통계적 공정관리) , 공정능력분석, 대용특성, 제약특성, 하위특성, CTQ, 군내변동, 군간변동, 우연원인, 이상원인, 표본오차, Pareto Chart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OO 반점은 고객의 가장 큰 불만 사항인 배달시간을 단축하기로 하였다. 고객 조사를 통하여 배달시간이 30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최근 1개월의 배달 시간을 측정하여 현수준을 파악한 것이다. 주어진 데이터에 이용하여 다음질문에 답하시오.  [총 8점] [ 평균 : 24분, 표준편차 : 4분 , USL=30 ] 1) 현재의 시그마 수준을 구하시오.(풀이 과정 기술 필수)  [2점]      답 ; Z = (30-24)/4 +1.5 = 1.5 +1.5 = 3.0 2) 배달시간을 6시그마 수준으로 개선하려고 한다. 평균 시간을 20분으로 줄일 경우 표준편차는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 (소수점 이하 1자리까지만 표기)  (풀이 과정 기술 필수, )  [3점] 답 ;   Z = (30-20)/S +1.5 = 6  S = 2.2     3) 배달시간을 6시그마 수준으로 개선하려고 한다. 표준 편차를 현재의 수준 으로 유지한다면 평균 배달시간은 몇 분이 되어야 하는가? (풀이 과정 기술 필수)  [3점] 답 :  Z = (30-평균)/4 +1.5 = 6     평균 = 12 분 2. 어떤 업무에서 1번 담당자와 2번 담당자의 업무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2-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P-Value가 0.553 이었다. 2-표본 t 검정의 목적과 결과 P-Value를 해석하시오. [4점] 정답: 목적 – 두 담당자의 업무 결과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 결과해석 – P값이 0.05보다 크므로 두 사람간의 업무결과의 평균에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없다.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3~4문제. 다음 연속형 자료의 공정 능력을 파악한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3. Zlt, Zst, Zshift 값은 각각 얼마인가 ? [3점] 정답 : 차례로 0.85, 0.99, 0.14 4. 현재 공정의 공정능력(수준)을 파악하는데 있어 관측 성능 값을 사용하지 않고, 기대 성능 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4점] 정답 : 관측 성능 값은 샘플의 불량율이며, 우리가 알고자 하는 공정의 모집단 의 불량율은 정규분포 곡선에서 추정한 확률값으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 5. 다음 공정의 Zusl, Zlsl, PPM Total 값을 구하시오. [4점] [ 규격 상한: 120, 규격 하한: 70, 공정의 평균: 100, 공정의 표준편차: 10 ] * 표준정규분포 누적확률 : Z=1일 때 0.159, Z=2일 때 0.0228, Z=3일 때 0.00135 정답: Zusl: 2 , Zlsl : -3 , PPM Total : 0.0241

※ 다음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6. 식스시그마 DMAIC 문제해결 프로세스 과정에서 각 과정별 주요 활동을 간단히 기록하시오 (각 단계별 2가지 항목 이상) [6점] - Define : BUSINESS 기회정의, 고객요구사항 확인, 프로젝트 선정/등록 - Measure : 측정대상 선정, 측정시스템 검증, 공정능력 파악, 목표수립 - Analyze : 잠재인자 도출, 인과관계 규명, 치명인자 선정 - Improve : 개선안 도출, 개선안 실행, 개선결과 검정 - Control : 관리시스템 구축, 표준화, 사후관리 7. Zlt, Zst, Zshift 가 무엇을 뜻하는지 각각의 의미를 쓰시오. [6점] 정답 : Zlt - 산포의 이동(편차)가 반영된 장기간의 공정능력 or 현재의 실질적인 공정능력 Zst - 산포의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공정능력으로 공정의 고유의 기술능력 Zshift - Zst와 Zlt의 차로써 계산되며, 산포의 이동의 크기를 나타내므로 관리수준을 판단하는 지표 8. 옆의 회귀분석 결과에서 (1)과 (2)의 의미는 무었인가 ? [6점] 정답 : (1) 회기식의 현실적인 중요성 에 대한 값으로 위 회기식이 결과값을 90.9% 만큼 잘 설명해 준다는 뜻임 (2) 회기식의 통계적인 유의성에 대한 값으로 p=0 이므로 위 회기식이 유의함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