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와 문법역할 통사론 기초 2016. 3. 1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rrect the false usage. The girl made friends with a wild dog, name Rontu.
Advertisements

★질문 1: Pai 가 원하는 것은 할아 버지의 ( ) 과 ( ) 이 다. ★질문 2: Maori 족 선조의 이름과 직업은 ?? ( ), ( ) Attention 관심 Love 사랑 이름 Paikea 직업 the whale rider.
Where God Wants Me 나를 항상 인도해주시는 하나님 Sit back and let the show run by clicking ‘slide show’
영어의미론 단원 7 직시와 한정성 복습 발화 / 문장은 특정한 시간 및 장소와 관련되어 있는가 ? “A/The man from Dundee stole my wallet.” 라는 발화에서 화자는 청자가 그 사람을 아는 것으로 가정하는가 ? 담화세계는 부분적으로 허구일.
현재 시제 과거 시제 2-1. 한국어의 과거시제 : 영어 과거시제 + 현재완료 한국어의 과거시제는 영어의 과거 시제와 현재완료의 개념을 포함한다. I hate him. He is rich 현재의 일 I enjoy listening to music. I take.
Classroom English How do you say _________ in Korean? _________ 는 한국어로 뭐예요 ?
영어영문학과 강성문.  YES/NO Question formation -Are you happy? -----> Yes, I am./ No I’m not.  Wh- Question formation  Who is she? -----> She is Mary.
영한 번역 : 유샤인 여자의 눈물 Tears of a Woman.
Mechanical clocks were invented in the northern hemisphere by inventors who were trying to make models of the sun's movement in the sky. To watch the.
K3-L1 Lecture Notes 날씨와 계절 [Weather & Seasons] Prof. Mickey Hong Foreign Language & Humanities.
정의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일부가 될 때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데 이것을 간접의문문이라고 한다.
A: Could you tell me how to make a call from this phone
→ 3개 이상의 사물이나 사람을 비교할 때, 그 정도가 가장 높음을 나타내는 표현을 최상급이라 한다.
주의해야 할 It~that 강조용법 Who interviewed you?
Unit 2. No Time for Exercise?
Lesson To have the students know the meaning of the body parts
제 11 장 < 시제 종류와 완료형 >.
Hi, Nice to Meet you again
양태, 증거성, 의외성 통사론 기초
LISTEN AND UNDERSTAND LISTEN AND SING
영어 7-b Lesson 11. Characters Are Everywhere (4/8) Talk And Talk.
-으세요 ② 아버지가 테니스를 좋아하세요? 네, 테니스를 좋아하세요. Sogang Korean 1B UNIT 3 “–으세요②”
제 14 장 < 조 동 사 >.
한국어 통사론의 기본 개념 통사론 기초
Sung-Hae Jun 자연어 처리의 이해 Sung-Hae Jun
After You Read, Talk and Talk
품사와 문법역할 한국어 문법론
2014년 2학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담당: 김양진
시제, 相, 양태, 증거성, 의외성 Tense, Aspect, Modality,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한국어문법론
제 20 장 < 가 정 법 >.
Open Class Lesson- L2B3 Greeting (5’ 00”) Word Like Daddy, Like Mommy
태(voice) 피동, 사동을 중심으로 한국어문법론
조동사 must can will would may should.
제5장 조동사 must can will would may should.
7. Korea in the World One more step, DIY reading 영어 8-b단계
대우법 통사론 기초
성문영어구문 pattern 관계대명사의 생 략.
세계의 명절 과목명 영어 2학년 2학기 LESSON 10 Holidays in Fall (1/9) [제작의도] [활용방법]
영어 7-a단계 Lesson 4. Help! Help! >> One More Step >> 8/8
어미 2: 전성어미 한국어 문법론
존재 동사, 지각 동사, 자세 동사, 기타 동사 한국어 어휘와 표현
제 10 장 < 접 속 사 >.
1. 동사의 시제와 태 이해하기 2. 조동사 이해하기 3. 준동사 이해하기 4. 가정법 문장 이해하기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 Lesson 9 Four Seasons in One Day? (8/8)
6. Surfing is fun How to Say It
Read and Think 영어 8-a단계 A Story of Two Seeds(3/8) [제작의도] [활용방법]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나와 함께 깨어 있으라 하시고(마태복음 26:38)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포트폴리오의 목적 전문성 개발 자신의 독창력 표현, 학습한 내용을 창의적으로 적용 취업
어순 한국어 문법론
Speaking -두 번째 강의 (Part 1 실전테스트 1,2) RACHEL 선생님
English Grammar in Middle School
English Grammar in Middle School
제17장 화 법 1. 화법의 종류 형 성 평 가 2. 화법의 전환 (1) 3. 화법의 전환(2) 4. 시제 일치.
부정사1 부정사란? 동사의 목적보어 용 법 의미상의 주어 형 성 평 가 (1) 형 성 평 가 (2)
< 시제 종류와 완료형 >.
문장의 구성 1. 8 품사 2. 문장의 구성 3. 5 문형 4. 구와 절 5. 형성평가.
English Proverbs.
Intermediate Korean 1 : Chapter 12
Elementary Korean 2 :Chapter 7 review
Intermediate Korean 1 :Chapter 9 Conversation 2
Fifth theme Superhero powers
Korean, is it really a difficult language?
As ~ as 구문 익히기 영어 2학년 1학기 Lesson 3. Dear. Mr. Warm-Heart [6/8) [제작의도]
Introduction to Christianity 최지만 간사 오클랜드 주님의 교회 청년부
Foreign Language & Humanities
Prof. Mickey Hong Foreign Language & Humanities
K1-L2 Lecture Notes 대학교 캠퍼스 [The University Campus]
Speaking -여섯 번째 강의 (Review ) RACHEL 선생님
We went dancing! Interchange 7강.
Presentation transcript:

품사와 문법역할 통사론 기초 2016. 3. 11.

학문 연구의 출발은 대개 분류 어떤 대상들을 연구할 때, 그 대상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 (classification)하는 것이 기초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 전통적으로 생물학, 화학에서는 특히 그러했음. 분류 자체를 위한 분류가 아니라, 대상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는 분류 를 하는 것이 중요. 예: 사랑의 삼각형 이론 문법(특히 통사론) 연구의 출발점은 단어. 따라서 단어들을 적절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작업은 문법 연구의 기 초적 작업. 그러한 분류 작업을 품사분류라 하고, 그 결과로 나온 부류(class)를 품사 (parts of speech) 또는 단어 부류(word class)라 함.

학문 활동에서 범주, 범주화, 분류의 중요성 새로운 범주, 분류체계를 제시하는 것 자체가 큰 학문적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새로운 범주, 분류체계를 제시하는 것 자체가 큰 학문적 가치가 있을 수 있다. 생물학에서 생물분류학(taxonomy), 새로운 생물 종의 발견 화학에서 원소의 분류: 주기율표, 새로운 원소의 발견 뒤르켐의 ‘자살론’: 이기적 자살, 이타적 자살 퍼스: 기호의 종류 –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 돈키호테형 인간과 햄릿형 인간 언어의 분류: 고립어, 굴절어, 교착어, 포합어 인간은 분류 및 범주화에 대한 본능이 너무 강해서, 어쩔 때는 무리한 분류를 하기도 하므로 경계해야 한다. 혈액형과 성격의 관계 cf.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의 연구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13/02/18/2013021805000 27/201302180500027_1.html 사상의학: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분류의 목적과 분류 기준 어떤 대상들을 분류할 때 어느 하나의 기준에 의한 분류 체계만이 유일 한 정답이라고 할 수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동일한 대상들에 대해서 여러 분류 기준에 따른 복수의 분류 체계가 있 을 수 있으며, 이들 중 어느 것이 더 나은가는 분류의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악기들을 분류할 때 발생 지역/문화권이라는 기준에 따라 서양 악기와 동양 악기로 분류할 수도 있고, 연주하는 방식에 따라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 두 기준을 함께 적용하여 분류할 때에도 어느 기준을 상위에 두느냐 에 따라 서로 다른 분류 체계가 나올 것이다. 두 기준 중 어느 것을 중시/우선시할 것인가?

분류 기준의 우선순위 음악대학에서 학과 체제를 편성할 때에는 발생 지역이라는 기준을 더 중시한다. 음악대학에서 학과 체제를 편성할 때에는 발생 지역이라는 기준을 더 중시한다. 학생들을 교육할 때 그것이 편리하고, 그런 식의 분류가 음악계의 현실 에 더 적합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악기를 나타내는 명사들이 연주 행위를 나타내는 어떠한 동사들과 공기하는가를 중시하는 언어학자의 입장에서는, 연주 방식이라는 기준 이 더 중요하다. 동양 악기든 서양 악기든 현악기는 ‘켠다’고 하고 관악기는 ‘분다’고 하고 타악기는 ‘친다’고 하기 때문이다. 분류를 위한 분류가 아니라, 분류 대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줄 수 있 어야 한다.

상하위 관계와 전체-부분 관계 상위범주와 하위범주가 맺는 관계는 전체와 부분이 맺는 관계와 다르다. 생물-동물-포유동물, 자동차-엔진-실린더 상위범주를 하위범주로 나누거나 하위범주들을 상위범주로 묶는 것이 분류라면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는 것은 분석(analysis). 분류와 분석 모두 매우 중요한 지적 작업이다. 이 둘을 명확히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 둘이 서로 밀접히 관련되기도 한다.

분석의 사례 사람의 몸은 순환계, 신경계, 소화계, 배설계, 생식계로 이루어져 있다. 소설에는 주제, 구성, 문체의 3대 구성요소가 있고, 구성은 인물, 사건, 배 경의 세 요소로 이루어진다.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 온전한 의미의 사랑이 되기 위해서는, 친밀감, 열정, 결단(commitment)의 세 요소가 있어야 한다.

분석과 분류의 관계 통찰력 있는 분석은 통찰력 있는 분류를 낳는 모태가 된다. 사랑의 삼각형 이론에 따른 사랑의 분류 친밀감만 있는 경우: 친구 사이 열정만 있는 경우: 풋사랑 결단만 있는 경우: 허울뿐인 사랑 친밀감과 열정만 있는 경우: 낭만적 사랑 열정과 결단만 있는 경우: 얼빠진 사랑 친밀감과 결단만 있는 경우: 동반자적 사랑 친밀감, 열정, 결단 모두 갖춘 경우: 온전한 사랑

Triangular Theory of Love

사랑의 삼각형 이론

품사 분류의 기준 동일한 대상들을 여러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음. 어떤 기준이 더 좋은지는 분류의 목적에 따라 다름. 사람: 성별, 연령대, 출신지, 거주지, 종교, 국적, 직업, 의상 등등에 따라 분류 가능 어떤 기준이 더 좋은지는 분류의 목적에 따라 다름. 단어들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음. 길이: 1음절어, 2음절어, 3음절어, … Origin: 고유어, 외래어, 한자어, 혼종어 수준, 등급: 초급어휘(기초어휘, 기본어휘), 중급어휘, 고급어휘 문법론(특히 통사론)에서 단어를 분류하는 목적은, 단어들이 결합하여 문 장을 구성하는 질서와 원리를 탐구하기 위해서임. 따라서 문법론/통사론을 위한 단어 분류는 단어의 결합적 속성에 따라 이루어져야 함. (어떤 단어와 결합하는가?) 어떤 단어와 결합해야 하는가? 어떤 단어와 결합할 수 있는가? 이를 분포(distribution)라 부를 수도 있음: 어떤 환경/위치에서 나타나는가?

분포/결합적 속성에 따른 품사 분류 체언: 관형어가 그 앞에 올 수 있고(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고), 조사가 그 뒤에 올 수 있음. 명사: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음. 대명사, 수사: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음. 용언: 부사어가 그 앞에 올 수 있고(부사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고), 선어말어 미가 그 뒤에 올 수 있고, 어말어미가 그 뒤에 와야 함. 동사: ‘-느-’계 어미(느, 는, ㄴ)와 결합할 수 있음. 형용사: ‘-느-’계 어미와 결합할 수 없음. 관형사: 체언이 그 뒤에 와야 함(체언을 수식해야 함). 부사: 용언, 부사, 절(, 드물게 체언)이 그 뒤에 와야 함(용언, 부사, 절, 드물게 체언을 수식해야 함). 조사: 체언 뒤에 와야 함. 어미: 용언 뒤에 와야 함. 간투사: 특별한 결합 제약 없이, 즉 문장 내의 다른 단어와 문법적 관계를 맺지 않고, 따로 존재함.

학교문법의 품사 분류 (어미 추가) 체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 조사 어미 명사(noun) 대명사(pronoun) 수사(numeral) 용언 동사(verb) 형용사(adjective) 수식언 관형사(adnominal): 새, 이/그/저, 모든 부사(adverb): 빨리, 매우, 너무 독립언 간투사(interjection): 아, 아이쿠, 예 접속사(conjunction): 그러나, 그리고 조사 격조사 보조사 어미 어말어미(final ending) 종결어미 평서형 종결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명령형 종결어미 청유형 종결어미 약속형 종결어미 감탄형 종결어미 연결어미 대등적 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 보조적 연결어미 전성어미 명사형어미 관형(사)형어미 부사형어미 선어말어미(prefinal ending) 높임법 선어말어미: -시- 시상 선어말어미: -었-, -겠-, -더-

품사 명칭 부여 방식 한 언어의 품사 분류는 철저히 그 언어 내에서 분포(결합적 속성)에 기반 을 두고 이루어짐. 이 분류 작업을 통해 도출된 부류들(품사, 단어부류)의 명칭은 어떻게 붙 이든 상관없음. 심지어 A류, B류, C류, … 식이어도 괜찮음. 그런데 한 언어의 한 단어부류와 다른 언어의 한 단어부류가 대응되는지 판단하고 그들 단어부류에 명칭을 부여할 때는 의미에 기반을 두고 판단 이 이루어짐. 사람, 사물, 장소를 가리키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부류는 명사(noun) 동작, 행위, 과정,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부류는 동사 (verb) 속성,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부류는 형용사(adjective) 방식(manner), 정도(degree)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포함하는 부류는 부사 (adverb)

單語部類/品詞에 對한 類型論的 接近의 意義 한 言語 內에 어떠한 品詞들이 있고 이들이 各各 어떻게 定義되는가 는 그 言語 內部의 事情에 依해 決定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決定된 品詞 體系가 어떤 特徵이 있는지는 類型論的 檢討를 通해서만 알 수 있다. 特定 部類의 存在, 不在 特定 部類의 顯著性, 非顯著性 構成員 單語의 타입/토큰 頻度 等

품사의 의미적 기반 한 언어 내에서 의미에만 입각해서 품사분류를 할 수는 없음. ‘공격’, ‘공격하-’ 둘 다 행위를 나타내지만 이들의 품사는 다름. 그렇기는 하지만 각 품사(특히 그 핵심 구성원)는 일정한 의미적 기반을 가지고 있음. 명사의 핵심 구성원은 사람, 사물, 장소를 나타냄. 동사의 핵심 구성원은 의도적 행위를 나타냄. 형용사의 핵심 구성원은 속성(property)을 나타냄. 언어간 비교/동일시(identification)를 가능케 하는 것도 이러한 의미적 기 반임. A 언어에서 확인된 부류 X와 B 언어에서 확인된 부류 Y를 동일시하고 이들에 명사 라는 동일한 이름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은 두 부류 모두 핵심 구성원으로서 사람, 사물, 장소를 나타내는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부류에 포함된 단어들의 외연/범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말이다.

품사의 의미적 기반의 사례 Givón (1984/2001), Syntax: 시간안정성(time stability) 명사는 시간안정성이 높은 개체를 나타내고 동사는 시간안정성이 낮은 개체를 나타내고 형용사는 명사와 동사의 중간쯤 됨. (명사와 동사에 비해 의미적 기반이 불안정) 名詞와 動詞가 汎言語的으로 거의 普遍的이고 매우 安定的인 單語部類인 데 比 해 形容詞의 單語部類로서의 地位가 어정쩡하고 不安定한 것도 이에 말미암는다. Dixon의 형용사 연구 형용사가 개방부류인 언어도 있고 8개~수십개에 불과한 폐쇄부류인 언어도 있 는데 크기(dimension), 나이(age), 가치(value), 색(color)의 네 부류는 반드시 포함하고 형용사 부류의 크기가 어느 정도 이상이면 물리적 속성, 인간의 성질, 속도의 부 류도 대개 포함한다. 난이도, 유사성, 질적 특성, 양적 특성, 위치, 수 등의 개념 범주는 매우 크기가 큰 형용사 부류에만 나타난다.

時間 安定性의 觀點에서 본 形容詞의 性格/異質性 形容詞는 大蓋 靜的(static)인 事態를 나타낸다. 靜的인 事態 가운데 狀態(state)는 時間 安定性이 낮고 屬性(property)은 時間 安定性이 높다. 狀態 槪念은 形容詞뿐 아니라 動詞로 表現되는 境遇가 많이 있다. 形容詞 部類의 크기가 매우 작은 言語는, 狀態는 動詞로, 屬性은 名詞로 表現되는 傾向이 있다. 形容詞 部類 全體를 名詞에 가깝게 取扱하는 言語도 있고(名詞性 形容 詞 nouny adjective) 形容詞 部類 全體를 動詞에 가깝게 取扱하는 言語도 있다.(動詞性 形容 詞 verby adjective)

Dixon (1977), Where have all the adjectives gone Dixon (1977), Where have all the adjectives gone?, Studies in language, 19-80. Dixon (1982), Where have all the adjectives gone? and other essays in semantics and syntax, Berlin: Mouton.

屬性 形容詞와 名詞의 差異 Wierzbicka (1986), What's in a noun? (Or: How do nouns differ in meaning from adjectives?), Studies in Language 10-2, 353-389. 屬性 形容詞와 名詞가 時間 安定性의 側面에서는 別 差異가 없으나 前者는 하나의 屬性을, 後者는 屬性들의 다발(bundle)을 나타낸다는 點 에서 큰 差異가 있다고 主張하였다. 이는 意味 記述/定義에 있어서 形容詞보다 名詞가 훨씬 더 複雜함을 意味한다.

Langacker의 名詞-動詞 區分 理論 Langacker (1987), Nouns and Verbs, Language 63-1, 53-94. Also in Langacker (1990), Concepts, Image and Symbol, Mouton de Gruyter, Chap 3. Langacker는 名詞와 動詞가 槪念的으로 큰 差異가 있음을 指摘한다. ‘攻擊’과 ‘攻擊하-’, 英語의 ‘attack’의 두 用法은 皮相的으로 볼 때 모두 行爲를 나타내지만 名詞 用法과 動詞 用法은 認知的 觀點에서 差異가 있다. 動詞: sequential scanning 名詞: summary scanning 名詞는 認知的 空間 內의 一定한 region을 나타낸다.

Langacker (1987), p. 71

Langacker (1987), p. 75

Croft (1991)의 單語部類 理論 單語의 意味와 話用機能 사이에 相關關係가 있다. 特定 意味를 지니는 單語가 自身에게 어울리는 原型的인 話用機能으 로 쓰일 때에는 構造的으로 無標的이고 그 外의 話用機能으로 쓰일 때에는 構造的으로 有標的이다. 指示 修飾 敍述 個體 無標的 名詞 of N be N 屬性 A-ness 無標的 形容詞 be A 事態 派生名詞, 不定詞, 動名詞, 名詞節 分詞, 關係節 無標的 動詞

Croft (1991)의 主張에 對한 評價 屬性을 나타내는 單語(形容詞)의 原型的/無標的 話用機能이 修飾이라는 것은 유럽語에 立脚한 偏見. 形容詞는, 敍述的, 名詞的, 修飾的 用法 中, 敍述的 用法과 修飾的 用法의 比率이 비슷비 슷함. 修飾的 用法의 比率이 動詞의 境遇보다 높기는 하나, 셋 중 修飾的 用法의 比率이 壓倒的 으로 높은 것은 아님. 動詞의 境遇, 셋 中 敍述的 用法의 比率이 가장 높음. 形容詞가 動詞性인 言語의 境遇, 形容詞의 主된 話用機能은 修飾 못지않게 敍 述도 重要함. 形容詞 動詞 形容詞+終結 4319 13.2% 動詞+終結 186135 15.0% 形容詞+連結 111200 34.1% 動詞+連結 598807 48.5% 形容詞+名詞形 9208 2.8% 動詞+名詞形 47604 3.8% 形容詞+冠形形 162317 49.8% 動詞+冠形形 401493 32.5% 計 325920 100% 1234039

Croft (2001)의 radical constructionism과 그 含蓄 이렇게 하면 無數히 많은 單語部類를 낳게 되고 major word class와 minor word class를 體系的/原理的으로 區別하기 어렵게 된다고 主張. 各 單語部類 定義에 어떤 構文을 使用할 것인지 分布 定義에 使用되는 特定 構文이 major WC의 區分 基準인지 minor WC의 區 分 基準인지 等等이 不分明하기 때문. 特定 構文만 基準으로 選擇하고 다른 構文은 排除하는 것은 方法論的 機會主義. 또한 品詞의 言語間 同一視가 不可能하게 됨. 品詞 定義에 使用되는 各 構文은 該當 言語에 特定的인 것이 많기 때문. Dryer, LaPolla, Cristofaro 等도 이에 同調.

Croft (2001)의 主張에 對한 評價 單語部類 定義에 使用되는 分布的 基準(構文)도 계층적으로(hierarchically) 分 類할 수 있다. 보다 上位의 構文도 있고 보다 下位의 構文도 있다. 構文文法(construction grammar)에서 그런 構文의 位階的 分類를 試圖하고 있다. 位階上 높은 位置에 있는 基準은 major WC의 定義에 利用되고 位階上 낮은 位置에 있는 基準은 minor WC, subclass의 定義에 利用된다. 한 言語에 存在하는 수많은 構文들을 이런 式으로 位階지워 分類하는 作業은 쉽지 않은 일이지만 原則上 不可能한 일은 아니다. 機會主義的이지 않은 方法으로 單語들을 分類할 수 있다. 傳統的인 品詞 分類의 效用價値에 對해 지나치게/쓸데없이 悲觀的인 態度를 지닐 必要 는 없다. 傳統文法의 여러 槪念들이 유럽語的 偏見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相當 한 效用價値가 있기 때문에 2千年 以上 버려지지 않고 使用되어 온 것이다. 이렇게 定義된 各 部類의 核心 構成員은 一定한 意味的 基盤을 갖고, 이것이 言語間 同一視의 基盤이 됨. 單語部類의 普遍性, 言語間 對應 可能性에 對해 지나치게 悲觀的일 必要는 없다.

單語部類 普遍性: 名詞-動詞 區分? 各 言語에 따라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品詞들이 많이 있지만 名詞와 動詞는 모든 言語에 普遍的일 것이라는 믿음이 言語學者들 사이 에 오랫동안 있었다. もの concept: 名詞 こと concept: 動詞 그런데 exotic한 言語들에 對한 field work를 하던 言語學者들 中, 名詞- 動詞 區分이 없는 言語에 對한 報告가 이따금 있었다. 大蓋 該當 言語에 對한 보다 꼼꼼한 檢討 結果 名詞와 動詞를 區分하는 基準이 우리에게 익숙한 言語와 달라서 捕捉하 기 어렵기는 해도 微妙하게라도 名詞-動詞 區分의 根據를 찾아내곤 했다. 그러나 몇몇 境遇는 只今까지도 繼續 論難이 되고 있다.

名詞-動詞 區分에 對한 論難이 있었던 言語들 Mundari Tagalog Fijian Wakashan 諸語, Salish 諸語 名詞-動詞 區分이 없다는 主張이 있었으나 Evans & Osada (2005)가 論駁. 名詞-動詞 conversion이 活潑한 言語일 뿐, 名詞-動詞 區分이 없는 것은 아님. Tagalog Bloomfield가 名詞-動詞 區分 없이 full word와 particle의 區分만으로 文法 記述. Schachter가 論駁 Fijian Milner는 모든 單語가 base라고 主張. Dixon이 論駁 Wakashan 諸語, Salish 諸語 名詞-動詞 區分이 없다는 主張이 줄곧 있었으나 이를 反駁하는 主張도 있음.

Mundari 例示 buru =ko bai -ke -d -a. mountain=3pl.S make-compl-tr-indic ‘They made the mountain.’ saan =ko buru -ke -d -a. firewood=3pl.S “mountain”-compl-tr-indic ‘They heaped up the firewood.’ maNDi=ko jom-ke -d-a. food =3pl.S eat -compl-tr-indic ‘They ate the food.’ jom=ko nam-ke -d -a. “eat”=3pl.S get-compl-tr-indic ‘They got the food.’

其他 言語 例示 Nootka Fijian ʔi’ḥ-ma’ qo’ʔas-ʔi’ be.large-3sg.indicative man-article ‘The man is large’ qo’ʔas-ma ʔi’ḥ-ʔi man-3sg.indicative be.large-article ‘The large one is a man’ Fijian e dredre a tuuraga 3sgS laugh article chief ‘The chief is laughing’ e tuuraga a tama -qu 3sgS chief article father-1sg.possessor ‘My father is a chief’

名詞-動詞 區分에 對한 論難이 있었던 言語들 Iroquoian 諸語 Classical Nahuatl Sasse가 名詞-動詞 區分이 없다고 주장 Mithun이 반박 Classical Nahuatl 모든 單語가 述語로 쓰일 수 있는 omni-predicative 言語. 그러나 名詞-動詞의 微細한 差異는 있음. Late Archaic Chinese Bisang이 語彙部에서는 品詞 區分이 없고, 모든 單語가 統辭部에서 名詞로도 動詞로도 實現될 수 있다고 主張. 意味에 따라 名詞-動詞 實現의 傾向性이 있을 뿐. Sagart, Baxter, 白銀姬 等의 硏究에 따르면, 名詞 用法과 動詞 用法이 文字로는 똑같이 表記되더라도 聲調나 子音에 差異가 있었다고 推定됨.

Tongan에 對한 Broschart의 主張 Broschart (1997), Why Tongan does it differently: Categorial distinctions in a language without nouns and verbs, Linguistic Typology 1, 123-165. Tongan에서, 語彙部에서는 品詞 區分이 없고, 모든 單語가 統辭部에서 名詞로도 動詞로도 實現될 수 있다고 主張. 語彙範疇와 統辭範疇를 區別해야 함. Tongan에서는 名詞-動詞 區分 代身 type-token 區分이 重要. 語彙部에 있는 單語는 個體를 指示하든 事態를 指示하든 type을 나타냄. 이 單語가 統辭部에서 冠詞와 結合함으로써 特定 個體 token을 가리키게 되든지 TAM 要素와 結合함으로써 特定 事態를 나타내게 됨. Dixon은 Fijian과 마찬가지로 Tongan에도 名詞-動詞 區分의 根據가 있 을 테지만, Broschart가 이 根據를 過小評價했다고 봄.

Tongan 例示 na’e ‘alu (‘)a Sione ki kolo PAST go ABS Sione ALL town’ ‘Sione went to town’ na’e kau faiakó ‘a e Siasí PAST PL teacher:DEF ABS ART Church:DEF ‘The Church provided the teachers’

Broschart가 區分한 두 類型의 言語

Bisang, Broschart 理論의 含蓄: 語彙部 未明細 理論 語彙部에 貯藏되어 있는 各 單語는 部類 全體에 該當되는 情報는 部類 全體 次元에서 明示(specify)되고 그 單語의 部類 情報 및 그 單語 特有의 音韻 情報, 意味 情報, 統辭 情報가 明示되어 있다. 이들 情報는 많은 發話를 接함으로써 歸納的으로 얻은 것이다. 言語 學習者가 充分한 證據를 얻지 못하면 一部 情報가 未明細된 (under-specified) 狀態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語彙部 未明細의 種類와 程度 어떤 情報가 어느 程度로 未明細로 남아 있을 수 있는가는 言語에 따라 다르다. 어떤 情報가 어느 程度로 未明細로 남아 있을 수 있는가는 言語에 따라 다르다. 韓國語에 比해 英語는 動詞의 論項構造 情報가 未明細인 程度가 높거 나, 語彙部의 論項構造 情報를 쉽게 override할 수 있다. John sneezed the napkin off the table. 構文文法의 核心 主張 韓國語에서 一部 動詞-形容詞, 自動詞-他動詞 等의 subclass 情報가 語 彙部에서 未明細로 남아 있을 可能性이 있다. 韓國語에서 動詞-形容詞 區分의 根據는 活用 樣相. 活用이 極히 制限되어 있어서 冠形形 等 한두 가지 活用形밖에 使用되지 않는 用言의 境遇 言語 學習者가 이 資料를 根據로 해서 그 用言이 動詞인지 形容詞인지 判定하 기 어려울 수 있음. 例: 隣接하-, 이웃하-, 막다르-, 熱띠-; -(具)

명사성 형용사와 동사성 형용사 형용사는 속성이나 상태를 나타내는데 명사, 동사에 비해 범주적 지위가 불안정함. 대체로 명사성 형용사와 동사성 형용사를 양 극단으로 하는 연 속체상의 어딘가에 각 언어를 위치시킬 수 있음. 한국어: 동사성 형용사의 극단에 가까움. 독일어 등의 유럽어: 명사성 형용사의 극단에 가까움. 영어: 중간에서 약간 명사성 형용사 쪽 일본어: 동사성 형용사와 명사성 형용사 둘 다 가짐.

한국어의 형용사가 동사성인 이유 동사와 비슷한 성질을 많이 지닌다. 명사와 비슷한 성질을 별로 지니지 않는다. TAM(tense-aspect-modality/mood) 표지(예: 었, 겠, 더)가 붙어 활용한다. 계사(copula)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절의 서술어 기능을 할 수 있다. 명사를 수식할 때에 동사와 똑같이 관계절 내지 분사(participle)의 꼴을 취해야 한다. 명사와 비슷한 성질을 별로 지니지 않는다. 격(case), 수(number), 性(gender), 한정성(definiteness) 등의 표지가 붙지 않는다. 문장에서 논항으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논항으로 쓰이려면 먼저 명사화되어야 한다. 혼자서 명사구를 이룰 수 없다.

유럽어의 형용사가 명사성인 이유 명사와 비슷한 성질을 많이 지닌다. 동사와 비슷한 성질을 별로 지니지 않는다. 절의 서술어 역할을 하려면, 명사와 똑같이 계사의 도움이 필요하다. 격, 수, 성, 한정성 등의 표지가 붙을 수 있다. 혼자서 명사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동사와 비슷한 성질을 별로 지니지 않는다. 혼자서는 절의 서술어 역할을 할 수 없다. TAM 표지가 붙지 않는다. 명사를 수식할 때에 (동사와 달리)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 없이 그 자체로서 수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tassen (1997)의 硏究 對象 한 자리 述語(one-place predicate)의 表現 方式에 對한 類型論的 探究. 硏究 對象의 核心的 側面에 焦點을 맞추기 爲해, 卽 덜 核心的인 屬性 으로 因해 發生하는 複雜性에 휘말리지 않기 爲해, 다음과 같이 硏究 對象을 좁혀서 잡음. 다음의 對立關係에서 뒤쪽 項은 除外하고 앞쪽 項에만 焦點을 맞춤. 主節 : 內包節 平敍文 : 疑問文, 命令文 等의 其他 文章類型 直說法 : 종속(서)법(subjunctive mood) 等의 其他 敍法 限定的(definite) 主語 : 非限定的(indefinite) 主語

Stassen (1997)의 接近法과 硏究 對象 表現論的 觀點에서 接近 이 冊의 硏究 對象이 되는 槪念 領域 解釋論的(semasiological) 觀點: 形式→意味/槪念 表現論的(onomasiological) 觀點: 意味/槪念→形式 이 冊의 硏究 對象이 되는 槪念 領域 事件 述語(event predicate) 例: He died. 屬性 述語(property predicate) 例: He is honest. 部類 所屬 述語(class membership predicate) 例: He is a boy. 處所 述語(locational predicate) 例: He is in the room. 事件 槪念, 屬性 槪念, 部類 槪念, 位置 槪念을 하나의 entity로 把握하고 이 entity를 論項으로 하여 述語와 結合시켜서 命題를 形成할 수도 있겠 으나, 여기서는 그런 경우가 關心의 對象이 아니라 이들 槪念이 어떤 entity(大蓋 1次 entity)에 對해 述語 役割을 하면서 命 題를 形成하는 경우가 關心의 對象.

네 類型의 述語의 表現 方策(encoding strategy) 動詞的 方策(verbal strategy) 該當 述語에 時制-相-敍法이나 主語와의 一致 標識를 直接 붙여서 該當 述語를 마치 動詞처럼 取扱. 事件 述語에 가장 適合. 名詞的 方策(nominal strategy) 該當 述語와 主語를 繫辭(copula)로 連結하거나 零 繫辭(zero copula)를 許容하는 言語의 경우에는 零 繫辭로 連結. 卽 主語와 述語를 直接 結合. 部類 所屬 述語에 가장 適合. 處所的 方策(locational strategy) 存在 動詞(existential verb)의 도움을 받아 該當 述語를 表現. 述語를 마치 處所(location)처럼 取扱. 處所 述語에 가장 適合. 屬性 述語는 自己만을 爲한 表現 方策을 따로 가지고 있지 않음.

表現 方策의 例示: Biloxi (Siouan) 事件 述語: 動詞的 方策 Ay -toto 2sg-fall ‘You fall’ 屬性 述語: 動詞的 方策 Ay -iN’hiNṭotaN’ 2sg-brave ‘You are brave’ 部類 述語: 動詞的 方策 Nk -sįto 1sg-boy ‘I am a boy’ 處所 述語: 處所的 方策 Éwa n -yuḳĕ’-di there 1pl-stand-DUR ‘We were there’

領域의 擴張: 轉有(takeover) 各各의 方策은 自身에게 가장 適合한 述語를 表現하는 데 그칠 수도 있 지만, 다른 類型의 述語에까지 自身의 領域을 擴張할 수도 있다. 卽, 本來는 남의 領域인데 거기에 侵入해 들어가서 自己 것으로 삼는 것 이다. 屬性 述語는 自身만을 爲한 方策을 따로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다른 述 語를 爲한 方策에 依해 轉有될 運命에 處해 있다. 다시 말하면, 屬性 述語 領域이라는 無主空山을 놓고 세 가지 方策이 벌 이는 爭奪戰이 이 冊의 觀戰 포인트가 된다.

意味地圖 模型(semantic map model)에 立脚한 解釋 남의 領域에 浸透해 들어가기 爲해서는 于先 自己 領土를 確 固히 지키고 있어야 함. 힘이 세서 自己 領土뿐 아니라 남의 領土에까지 侵入한 方策 도 있고 자기 領土를 차지하는 데 그친 方策도 있고 힘이 弱해서 自己 領土를 남에 게 빼앗긴 方策도 있을 수 있음. 네 類型의 述語가 이루는 槪念 空間(conceptual space)

槪念 空間의 分割 樣相: 韓國語 部類 述語는 繫辭 ‘-이-’의 도움을 받아 表現되므로 名詞的 方策. 部類 述語는 繫辭 ‘-이-’의 도움을 받아 表現되므로 名詞的 方策. 處所 述語는 存在動詞 ‘있-’의 도 움을 받아 表現되므로 處所的 方 策. 事件 述語와 屬性 述語는 時制-相- 敍法 標識와 곧장 結合하므로 動 詞的 方策. 卽 動詞的 方策이 屬性 述語 領域 을 轉有.

槪念 空間의 分割 樣相: 滿洲語 事件 述語는 動詞的 方策. 處所 述語는 處所的 方策. 繫辭를 使用하는 名詞的 方策 이 本來의 自己 領域인 部類 述語를 차지할 뿐 아니라 屬性 述語까지 轉有.

crosslinguistic distribution: 410箇 言語에 對한 調査 結果 槪念 空間 分割 樣相 統計: A-패턴 V: 動詞的 方策, N: 名詞的 方策, L: 處所的 方策 1 2 3 4 5 6 7 8 事件述語 V 屬性述語 N L 部類述語 處所述語 單一옵션 10 28 67 交替옵션 11 25 9 32 38 122 計 21 53 42 189

crosslinguistic distribution: 410箇 言語에 對한 調査 結果 槪念 空間 分割 樣相 統計: B-패턴, C-패턴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事件述語 V L N 屬性述語 部類述語 處所述語 單一옵션 1 交替옵션 99 136 47 132 8 5 4 計 148 48 141 B-패턴 C-패턴

槪念 空間 分割 樣相 單一 옵션과 交替 옵션 A-패턴의 특징 單一 옵션: 하나의 言語에서 하나의 패턴만 可能한 경우 交替 옵션: 하나의 言語에서 複數의 패턴이 可能한 경우 A-패턴의 특징 動詞的 方策이 優勢하여, 本來의 自己 領域뿐 아니라 다른 領域에까지 擴張. 全 領域을 完全히 席卷할 수도 있으나(패턴 1) 領土 擴張이 部分的인 水準에 그치는 것이 一般的. 動詞的 方策이 屬性 述語까지만 擴張된 패턴 8이 가장 頻度가 높음.

動詞的 方策의 領土 擴張 樣相 部類 述語까지 擴張되려면, 그에 앞서 屬性 述語 領域을 차지해야 함. 中間에 있는 屬性 述語 領域을 건너뛰고 部類 述語 領域을 차지하는 일 은 없음. 앞서 槪念 空間의 그림에서 事件 述語와 部類 述語를 直接 連結하는 線 이 없는 것은 바로 이 事實을 나타냄. Givón (1984: 51-56)의 時間 安定性의 側面에서도, 屬性 述語는 事件 述語와 部類 述語의 中間에 位置함.

B-패턴과 C-패턴의 特徵 B-패턴 C-패턴 名詞的 方策과 處所的 方策 兩者의 싸움으로 要約됨. 動詞的 方策의 힘이 그리 세지 않아서, 本來의 自己 領土인 事件 述語 領域만 지키고 있음. 單一 옵션으로는 드물고, 交替 옵션으로는 흔함. C-패턴 動詞的 方策의 힘이 매우 弱해서 本來의 自己 領土마저 남에게 빼앗긴 경우. 全般的으로 매우 드묾. 名詞的 方策과 處所的 方策 兩者의 싸움으로 要約됨. 어느 한 쪽이 相對를 壓倒하는 경우도 있고(9, 12, 13, 18) 兩者가 힘의 均衡을 이루고 있는 경우도 있음.

交替(switching) 어느 한 가지 述語 類型을 하나의 方策이 온전히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둘 以上의 方策이 分占할 수도 있다. 分離(splitting): 어떤 述語 類型에 屬하는 單語들 中 一部는 A 方策으로 表現되고 다른 一部는 B 方策으로 表現되는 경우 交替(switching): 同一한 單語가 어떤 條件에 따라 A 方策으로 表現되기 도 하고 B 方策으로 表現되기도 하는 경우 다른 述語도 이러한 交替의 戰場이 될 수 있으나, 亦是 屬性 述語가 가 장 熾烈한 競爭의 場이 된다.

형용사의 표현 방식과 의미 명사는 형용사에 비해 시간 안정성이 높음. 형용사를 명사적으로 표현하면, 시간 안정성이 높은 해석이 유발됨. 아프다 대 환자이다; 담배를 피운다 대 골초이다 “누가 어디에 있다“는 처소 표현은 시간 안정성이 낮음. 형용사를 처소적으로 표현하면, 시간 안정성이 낮은 해석이 유발됨. 어떠하다 대 어떠한 상태에 있다 중세 한국어에서 형용사에 ‘-어 잇-’을 붙이면(즉 처소적 표현) 일시적인 해석이 유발됨. 어떠하다 대 어떠해 있다 일시성 대 항구성의 대립을 표현하는 장치가 많은 언어에 존재함. 대개 형용사의 수식적 용법은 항구적 해석, 서술적 용법은 일시적 해석과 상관관 계가 있음. 러시아어 형용사의 長形은 항구적, 短形은 일시적 해석과 상관관계가 있음.

屬性 述語의 表現 方策의 交替 adjectival switching 屬性 述語가 動詞的·處所的으로 表現될 때에는 一時的인 狀態 (temporary state)를 나타내는 傾向이 있고 名詞的으로 表現될 때에는 恒久的인 屬性(permanent property)을 나타 내는 傾向이 있다. 이러한 一時性-恒久性의 對立은 일찍이 러시아의 불릐기나(Bulygina), 奥田靖雄 等의 注目을 받은 바 있고 러시아語 形容詞는 長形-短形의 區別이 있어, 이 둘이 一時性-恒久性의 意味 差 異를 보이는 일이 있다고 함. 最近 工藤真由美 等에 依해 活潑히 硏究되고 있음.

屬性 述語의 動詞的 表現 對 名詞的 表現 adjectival V-N-switching (1) Maori (Austronesian, Poynesian) a. Ka pai te whare nei 動詞的 表現: 一時性 INCEP good ART house this ‘This house is good’ b. He pai te koorero 名詞的 表現: 恒久性 ART.INDEF good ART talk ‘The talk is good’ (2) Luo (Nilo-Saharan, West Nilotic) a. À -b'r 動詞的 表現: 一時性 1SG-good.NONPERF ‘I am good’ b. Án má -b'r 名詞的 表現: 恒久性 1SG.EMPH NOMNL-good

屬性 述語의 動詞的 表現 對 名詞的 表現 adjectival V-N-switching (3) Ngiyambaa (Australian, Pama-Nyungan) a. Birai -ya -na 動詞的 表現: 一時性 hungry-PRES-3SG.ABS ‘He is hungry’ b. Bura:y wara:y ga -ra 名詞的 表現: 恒久性 child.ABS bad.ABS COP-PRES ‘The child is bad’ (4) Rama (Chibchan) a. Nsut tiiskiba-dut s -angaling-i 動詞的 表現: 一時性 1PL child -PL 1PL-hungry -PRES ‘We children are hungry’ b. Ning suurak mliima 名詞的 表現: 恒久性 this pineapple good ‘This pineapple is good’

屬性 述語의 動詞的 表現 對 名詞的 表現 adjectival V-N-switching (5) Samoan (Austronesian, Poynesian) a. Sa ma'i le teine 動詞的 表現: 一時性 PAST ill ART girl ‘The girl was ill’ b. Ua leaga le fuāmoga 動詞的 表現: 一時性 PERF bad ART egg ‘The eggs are bad’ c. ‘O le fafine le pua'a lea 名詞的 表現: 恒久性 ABS ART woman ART pig DEM ‘This pig is female’ d. ‘O ona fulufulu ‘o le matuā auro mamā lava 名詞的 表現: 恒久性 ABS its feather ABS ART EMPH gold pure EMPH ‘Its feathers are (made of) pure gold’

屬性 述語의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adjectival N-L-switching (6) Spanish (Indo-European, Romance) a. Juan es enfermo 名詞的 表現: 恒久性 Juan COP.PRES.3SG ill ‘Juan is ill (i.e. he is an invalid)’ b. Juan está enfermo 處所的 表現: 一時性 Juan be.PRES.3SG ill ‘Juan is ill (i.e. he is now ill, but can be expected to recover, or was until recently in good health)’ (7) Southern Basque (isolate) a. Gela hau hotz-a d -a 名詞的 表現: 恒久性 room this.ABS.SG hot -ABS.SG 3SG.ABS-COP.PRES ‘This room is hot (permanently)’ b. Gela hau hotz-a d -ago 處所的 表現: 一時性 room this.ABS.SG hot -ABS.SG 3SG.ABS-be.PRES ‘This room is hot (for now)’

屬性 述語의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adjectival N-L-switching (8) Modern Irish (Indo-European, Celtic) a. Is breoite é 名詞的 表現: 恒久性 COP.PRES ill he ‘He is ill (permanently)’ b. Tá sé breoite 處所的 表現: 一時性 be.PRES he ill ‘He is ill (now)’ (9) Scottish Gaelic (Indo-European, Celtic) a. Is làidir e 名詞的 表現: 恒久性 COP.PRES strong he ‘He is strong (permanently)’ b. Tha e làidir 處所的 表現: 一時性 be.PRES he strong ‘He is strong (now)’

屬性 述語의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adjectival N-L-switching (10) Maltese (Afro-Asiatic, Semitic) a. It -tifel (hu) kwiet 名詞的 表現: 恒久性 ART-boy (3SG.MASC) quiet ‘The boy is quiet (in general)’ b. It -tifel qiegħed kwiet 處所的 表現: 一時性 ART-boy be.MASC.SG quiet ‘The boy is (playing at being) quiet’ c. It -tifel jinsab kwiet 處所的 表現: 一時性 ART-boy be.MASC.SG quiet ‘The boy happens to be in a quiet state, (but it could very well have been otherwise)’ (11) Tamil (Dravidian) a. Raaman nalla-van 名詞的 表現: 恒久性 Raaman good-SG.MASC.NOMNL ‘Raaman is good’ b. Paţam nall -aa iruntatu 處所的 表現: 一時性 film good-ADV be.3SG.NEUT.PAST ‘The film was good’

屬性 述語의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adjectival N-L-switching (13) Finnish (Uralic, Balto-Finnic) a. Tyttö on pieni 名詞的 表現: 恒久性 girl.NOM.SG be.3SG.PRES small.NOM.SG ‘The girl is small’ b. Hän on sairaa-na 處所的 表現: 一時性 he be.3SG.PRES sick -ESSIVE ‘He is sick (now)’ (14) Estonian (Uralic, Balto-Finnic) a. Asjad on halvad 名詞的 表現: 恒久性 things be.3SG.PRES bad.SG.NOM ‘Things are bad’ b. Asjad on halvasti 處所的 表現: 一時性 things be.3SG.PRES bad.ADV ‘Things are badly (i.e. are going badly, are in a bad state)’

屬性 述語의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adjectival N-L-switching (15) Archi (Dagestanian) a. Bošor hiba -tu w-i 名詞的 表現: 恒久性 man 1.good-PCP 1-be.PRES ‘The man is good’ b. Bošor hiba -ši w-i 處所的 表現: 一時性 man 1.good-CONVERB.DUR 1-be.PRES ‘The man is (being) good’ (16) Northern Basque (isolate) a. Zakurr-a beltz-a da 名詞的 表現: 恒久性 dog -ABS.SG black-ABS.SG 3SG.ABS.PRES.be ‘The dog is black’ b. Gizon-a da on -ik 處所的 表現: 一時性 man -ABS.SG 3SG.ABS.PRES.be good-PART.SG ‘The man is good (temporarily)’ c. Kontent-ik duzu 處所的 表現: 一時性 glad -PART.SG 3SG.PRES.be ‘He is glad’

部類 所屬 述語의 表現 方策의 交替 屬性 述語뿐 아니라 部類 所屬 述語도 두 表現 方策의 競爭의 場이 될 수 있다. 屬性 述語뿐 아니라 部類 所屬 述語도 두 表現 方策의 競爭의 場이 될 수 있다. 名詞的 方策으로 表現되면 恒久的 本質(essence)을 나타내는 傾向 이 있고 處所的·動詞的 方策으로 表現되면 一時性, 偶然性(contingency), 一 時的 職業(occupation、profession)을 나타내는 傾向이 있다.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nominal N-L-switching (20) Modern Irish (Indo-European, Celtic) a. Is múinteoir é 名詞的 表現: 本質 COP teacher he ‘He is a teacher’ b. Tá sé ina mmúinteoir anois 處所的 表現: 一時性 be.PRES he in-his teacher now ‘He is a teacher now’ (21) Scottish Gaelic (Indo-European, Celtic) a. Is duine làidir e 名詞的 表現: 本質 COP man strong he ‘He is a strong man’ b. Tha e 'na thuathanach 處所的 表現: 一時性 be.PRES he in-his farmer ‘He is a farmer’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nominal N-L-switching (22) Spanish (Indo-European, Romance) a. Julia es enfermera 名詞的 表現: 本質 Julia COP.3SG.PRES nurse ‘Julia is a nurse’ b. Julia está de enfermera 處所的 表現: 一時性 Julia be.3SG.PRES PREP nurse ‘Julia works as a nurse’ (23) Maltese (Afro-Asiatic, Semitic) a. Pietru (hu) l -eżaminatur 名詞的 表現: 本質 Pietru (3SG.MASC) ART-examiner ‘Pietru is the examiner’ b. Pietru qiegħed l -eżaminatur 處所的 表現: 一時性 Pietru be.PRES.3SG.MASC ART-examiner ‘Pietru is temporarily the examiner’

名詞的 表現 對 處所的 表現 nominal N-L-switching (24) Tamil (Dravidian) a. Avaru (oru) ḑakţar 名詞的 表現: 本質 he (one) doctor ‘He is a doctor’ b. Ippo oru ḑakţar-aa taan irukkaraaru 處所的 表現: 一時性 now one doctor -ADV EMPH be.3SG.HON.PRES ‘Now he is a doctor’ (25) Finnish (Uralic, Balto-Finnic) a. Ystävä-ni on pappi 名詞的 表現: 本質 friend -my be.3SG.PRES vicar.NOM ‘My friend is a vicar’ b. Hän oli siellä opettaja-na 處所的 表現: 一時性 he be.3SG.PAST there teacher -ESS ‘He was a teacher there / he worked there as a teacher’

動詞的 表現 對 名詞的 表現 nominal V-N-switching (27) Tongan (Austronesian, Polynesian) a. Ko ha tu'i ia 名詞的 表現: 本質 FM INDEF.ART king 3SG.EMPH ‘He is a king’ b. ‘Okú ne tu'i 動詞的 表現: 一時性 PRES 3SG king ‘He is a (possibly temporary) king’ (28) Mundari (Austro-Asiatic, Munda) a. Neko dasi tan -a -ko 名詞的 表現: 本質 3PL servant COP-INDIC-3PL ‘They are servants’ b. Dasi -akan-a -ko 動詞的 表現: 一時性 servant-PERF-INDIC-3PL ‘They are (acting as) servants’

屬性 述語의 表現 方策의 分布

屬性 述語의 表現 方策의 分布 유라시아 大陸의 大部分 地域에서는 大蓋 屬性 述語가 名詞的 方策 에 依해 表現된다. 卽 名詞性 形容詞(nouny adjective)를 갖는다. 反面에 유라시아의 東쪽 極端, 中國, 東南아시아, 오스트로네시아, 北 아메리카에서는 大蓋 屬性 述語가 動詞的 方策에 依해 表現된다. 卽 動詞性 形容詞(verby adjective)를 갖는다.

形容詞의 性格과 다른 特性의 相關關係 Stassen은 위의 相關關係를 記述하는 데 그치지 않고 說明하고자 함. 卽 屬性 述語의 表現 方式과 깊은 相關關係를 맺고 있는 다른 變因이 或是 있는지 찾아보고자 함. 그러한 探索의 결과, 形容詞의 性格은 時制性(tensedness)과 깊은 相關 關係가 있음을 發見. 名詞性 形容詞 言語는 時制(tensed) 言語이다. 動詞性 形容詞 言語는 非時制(tenseless) 言語이다. 그가 調査한 400餘箇의 言語에서 少數의 例外가 있기는 하지만 大部 分의 境遇는 이 相關關係가 들어맞음.

相關關係가 생기는 原因 形容詞는 大蓋 超時間的 屬性을 나타냄. 따라서 時制(事態 發生의 時間的 位置를 標示)는 形容詞와 안 어울림. 韓國語 等의 言語에서 ‘예쁘다’, ‘예뻤다’처럼 形容詞에 時制가 自然스럽게 標示 되는 것을 보면, Stassen의 이 主張은 疑心스러움. 無時制 言語에서는 形容詞가 動詞와 같이 取扱되어도 별 問題가 없음. 時制 言語에서는 形容詞가 動詞와 같이 取扱되려면 時制가 標示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不適切함. 따라서 時制가 있는 言語에서는 形容詞가 動詞와 결별하고 名詞에 가 깝게 表現될 수밖에 없다는 것.

相關關係의 通時的 解釋 無時制 言語가 時制 言語로 發達할 때, 그 言語의 形容詞도 動詞性에서 名詞性으로 變貌하는 일이 흔히 있음. 形容詞의 性格과 時制性의 相關關係를 支持하는 證據로 看做될 수 있음. 日本語: 이러한 通時的 解釋에 들어맞음. 本來 無時制 言語였고 動詞性 形容詞만 있었음. 時制 言語로 發達하면서, 名詞性 形容詞를 따로 갖게 됨. 韓國語: Stassen의 豫測에 어긋남. 時制 言語인데 動詞性 形容詞를 가짐. Stassen은 日本語와 비슷하게 解釋하려고 試圖하나 별로 신통치 않음. 古代 韓國語의 時制-相-敍法 體系가 아직 不明이나, 非時制 言語였을 可能性을 열어 놓고 接近할 必要가 있음. 中世 및 그 以後에 現在 時制 標識로 쓰이는 ‘’>’느’가 古代에는 時制 要素가 아니라 (恒久 性을 나타내는) 敍法 要所였을 可能性이 있음. Stassen의 理論이 이러한 探究의 실마리를 提供함.

形容詞와 다른 特性의 相關關係 Dixon (2004) 韓國語는 Stassen과 Dixon의 主張에 對한 反例임. 名詞性 形容詞 言語는 依存要素 標示 言語 動詞性 形容詞 言語는 核 標示 言語 Stassen의 理論에 比해 資料에 對한 說明力이 떨어짐. 韓國語는 Stassen과 Dixon의 主張에 對한 反例임. 名詞性 形容詞 言語이면서 時制 言語인 유라시아의 巨大 言語 地域과 動詞性 形容詞 言語이면서 非時制 言語인 中國, 東南아시아, 太平洋, 아메리카 의 巨大 言語 地域 사이의 接境地帶에 位置하고 있기 때문인 듯.

巨大 言語 地域(macro linguistic area) 유라시아 巨大 言語 地域 名詞性 形容詞 時制 言語 流音(liquid) 音素가 2箇 分類詞(類別詞), 聲調 微弱 名詞의 數 範疇 發達 綜合的 言語(屈折語, 膠着語)가 많음. 環太平洋 巨大 言語 地域 動詞性 形容詞 無時制 言語 流音 音素가 1箇 分類詞, 聲調 發達 名詞의 數 範疇 微弱 分析的 言語(孤立語 및 그에 가까운 言語)가 많음.

巨大 言語 地域: 名詞 敍述과 處所 敍述의 異同

松本克己(2007): 流音 音素의 分布

한국어 형용사를 둘러싼 논란 ‘한국어에는 형용사가 없다.’ 또는 ‘한국어에서는 동사와 형용사가 구별 되지 않는다.’는 진술을 심심찮게 들을 수 있음. Min-Joo Kim (2002), The Absence of the Adjective Category in Korean, 『韓國 語學會 第2回 國際學術大會 發表論文集』, 596-612. 이런 주장이 나오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이런 주장의 근거는? 그러나 이런 주장은 명사성 형용사를 가진 유럽어에 익숙한 언어학자들 의 편견의 소산 명사성 형용사와 동사 사이의 큰 차이에 비해 동사성 형용사와 동사 사이의 차이는 작음. 차이가 작을 뿐, 없는 것은 아닌데, 이 차이를 무시하면 곤란함. 작은 차이를 무시할 것인가 중시할 것인가는 소모적 논쟁을 낳기 쉬움. 큰 차이에 입각해서 대부류를 나누고, 그 다음에 차츰 작은 차이에 입각해서 소 루뷰를 나누는 식으로, 품사분류를 계층적으로(hierarchically) 하면 됨.

Cross-linguistic identification의 문제 목정수: 한국어학자들이 관형사라고 불러 온 것이 사실은 형용사이다. ‘크-’, ‘좋-’ 등은 형용사가 아니라 정태 동사이고 ‘~적’, ‘새’, ‘미끌미끌’ 등을 오히려 형용사로 보아야 한다. 후자의 분포적 특성이 흔히 말하는 (서양어의) 형용사에 더 가깝기 때문 이것은 형용사란 무엇인가 하는 근본 conception에 있어서 유럽중심주의적 편향을 보여줌. 이런 주장이 타당하다면, 거꾸로 한국어의 ‘크-’ 등이 형용사라는 전제로부터 영어의 ‘differ’, ‘know’, ‘abound’ 등이 형용사라는 주장도 성립할 것이다. 품사의 정립은 각 언어 내의 분포적 기준에 입각해서 하고 이들 사이의 cross-linguistic identification 및 명칭 부여는 의미적 기반에 입 각해서 해야 함. 여러 언어의 특정 부류를 똑같이 형용사라고 부를 수 있는 근거는 분포적 특 성이 아니라 (각 부류의 핵심 구성원의) 의미적 특성에서 찾아야 함.

韓國語 形容詞 語彙에 對한 計量的 槪觀 標準國語大辭典에 登載된 形容詞 11839箇 主標題語 2200箇 副標題語 9634+5=9639箇 同一 主標題語(語基) 밑에 2箇의 形容詞가 副標題語로 登載되어 있는 경우 5箇 순-되다/하다, 숫-되다/하다, 외람-되다/하다, 편벽-되다/하다, 허황-되다/하다 한국어의 형용사의 수가 많기는 하지만, 유럽어보다는 적음. 유럽어에는 관계 형용사(relational adjective)가 많음: historical, American 유럽어의 관계 형용사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대개 명사 (상당 표현)이 됨. chemical reaction 화학 반응 單純語(單一語) 하이픈 標示가 없는 것 422-24(찮)-15(잖)-4(재밌다, 시답다, 시서느렇다, 흖다) = 379箇 1音節 80箇 2音節 203箇 3音節 96箇

1音節 形容詞 80箇 감다04, 같다, 걸다01, 검다02, 겹다, 곯다03, 곱다02, 곱다03, 곱다04, 괄다, 괠다, 굵다, 굻다01, 굽다02, 길다02, 깊다, 깜다, 껌다, 낫다02, 낮 다, 냅다01, 넓다, 놀다02, 높다, 늦다, 달다07, 덥다, 되다04, 뜨다13, 많 다, 맑다01, 맵다, 멀다02, 묽다, 밉다, 밝다, 밭다04, 밭다05, 밭다06, 배 다04, 벋다02, 벌다03, 붉다01, 빨다03, 살다02, 설다01, 섧다, 솔다03, 솔다04, 솔다05, 쉽다, 시다01, 싫다01, 싶다, 싸다04, 쓰다06, 얇다, 얕 다, 없다01, 엇다01, 엷다01, 옅다01, 옥다01, 옳다01, 외다03, 욱다02, 익다02, 일다03, 있다01, 작다01, 잦다03, 좁다, 좋다01, 질다01, 짙다02, 짜다03, 짧다, 춥다, 크다01, 희다

1音節 形容詞의 意味 部類 色(color): 감다, 검다, 깜다, 껌다, 맑다01, 묽다, 붉다, 옅다, 짙다, 희다 크기(dimension): 굵다, 길다, 깊다, 낮다, 넓다, 높다, 솔다03, 얇다, 얕다, 엷다, 작다, 좁 다, 크다 存在: 없다, 있다 數量: 많다, 적다, 배다, 잦다 遠近: 뜨다, 멀다, 밭다, 벌다 模樣: 곱다02, 곱다04, 굽다, 빨다, 옥다, 욱다 難易: 겹다, 쉽다 比較: 같다, 낫다 맛: 달다, 맵다, 시다, 짜다; 떫다 感覺: 곱다03, 냅다, 덥다, 솔다04, 솔다05, 춥다 感情: 싶다, 밉다, 섧다 速度(speed): 늦다 價値(value): 옳다, 외다, 좋다 Dixon의 硏究 結果와 大體로 符合됨.

2音節 形容詞 203箇 가깝다, 가늘다, 가렵다, 가맣다, 가멸다, 가볍다, 가엽다, 가엾다, 가직다, 감풀다, 개르 다, 갸울다, 거멓다, 거볍다, 거세다, 거차다, 거칠다, 게르다, 고깝다, 고렇다, 고르다 03, 고리다01, 고맙다01, 고프다, 괴롭다, 구덥다, 구리다, 구쁘다, 구질다, 궁굴다01, 귀엽다, 그렇다, 그르다01, 그립다, 기껍다, 기닿다, 기쁘다, 까맣다, 꺄울다, 꺼멓다, 꺽지다, 나쁘다01, 나쁘다02, 날래다, 날쌔다, 내리다02, 너르다, 노랗다, 노르다, 노리 다03, 노엽다, 놀랍다, 뇌랗다, 누렇다, 누르다02, 누리다02, 뉘렇다, 뉘쁘다, 느껍다, 느리다01, 다랍다, 다르다01, 다습다, 달갑다, 당차다, 대끼다03, 더디다01, 더럽다, 더 리다01, 도지다02, 도탑다, 동글다, 두껍다, 두렵다01, 둥글다01, 드물다, 드습다, 들먹 다, 따갑다, 따습다, 뜨겁다, 뜨습다, 마디다, 마렵다, 말갛다, 매섭다, 먈갛다, 머줍다, 멀겋다01, 멀겋다02, 메꿎다, 모이다02, 모질다, 무겁다, 무디다, 무럽다, 무섭다, 무질 다, 물리다03, 미덥다, 미쁘다, 밀겋다, 바르다03, 바쁘다, 바잡다, 반갑다, 발갛다, 배 뚤다, 버겁다, 벅차다, 벌겋다, 부럽다, 부르다02, 부시다02, 부프다, 비뚤다, 비싸다, 빠지다02, 빨갛다, 빼뚤다, 뻘겋다, 삐뚤다, 사납다, 살피다02, 상기다, 생기다, 서럽다, 서툴다, 선겁다, 성글다, 성기다, 쇠지다, 수줍다, 슬겁다01, 슬프다, 시리다01, 시쁘다, 싱겁다, 쓰리다, 아깝다, 아니다, 아리다, 아쉽다, 아프다, 애긋다01, 야리다, 야물다, 어둡다, 어떻다, 어렵다, 어리다02, 어리다03, 어물다, 어줍다, 어질다01, 여리다, 여물 다, 열쌔다, 예쁘다, 오래다, 오지다01, 옹글다, 외긋다, 외롭다, 외오다01, 요렇다, 우 습다, 웅글다, 이렇다, 이지다01, 일쩝다, 자라다02, 자리다01, 잔질다, 재겹다, 저렇다, 저리다01, 조렇다, 즐겁다, 지겹다, 지리다02, 질기다, 쩍지다, 찌이다, 찐덥다, 차갑다, 추지다, 치뜰다, 코리다, 쿠리다, 터지다, 팽기다01, 푸지다, 하리다02, 하얗다, 할갑다, 허옇다, 헐겁다, 헤프다, 호되다, 후지다01, 흐리다02, 희떱다

3 音節 形容詞 96箇 가냘프다, 가녀리다, 가즈럽다, 가파르다, 강파르다, 개으르다, 게으르다, 겨우르다, 고달프다, 구슬프다, 군시럽다, 군지럽다, 근지럽다, 기다맣다, 깔끄럽다, 껄끄럽다, 날카롭다, 너그럽다, 누그럽다, 뉘우쁘다, 다라지다, 다부지다, 단지럽다, 당그랗다, 댕그랗다, 던지럽다, 덩그렇다, 덩그맣다, 덩다랗다, 뎅그렇다01, 동그랗다, 동그맣다, 둥그렇다, 듣그럽다, 똥그랗 다, 뚱그렇다, 매끄럽다, 매스껍다, 메스껍다, 미끄럽다, 바끄럽다, 바냐위 다, 바드럽다, 바자위다, 반드럽다, 반지랍다, 번드럽다, 번지럽다, 보드랍 다, 부드럽다, 빤드럽다, 뻔드럽다, 사느랗다, 사랑옵다, 사랑홉다, 산드럽 다, 상그럽다01, 서그럽다, 서글프다, 서느렇다, 서투르다, 성가시다, 스스 럽다, 시끄럽다, 싱그럽다, 싸느랗다, 쌍그렇다, 써느렇다, 쓰라리다, 아니 꼽다, 아리땁다, 아무렇다, 아스랗다, 안쓰럽다, 안타깝다, 애달프다, 얄따 랗다, 어리석다, 어설프다, 어여쁘다, 어지럽다, 자그럽다, 자그맣다, 장그 랍다, 쟁그랍다, 조그맣다, 조끄맣다, 지나치다, 징그럽다, 쪼그맣다, 쪼끄 맣다, 쭈르랗다, 파르랗다, 팡파지다, 펑퍼지다, 포시럽다

複合(complex) 形容詞 X-하다: 52(主標題語) + 9627(副標題語) = 9679箇 實際로 使用되는 것은 훨씬 많음. X-스럽다 698개 X-바르다 18개 X-다르다 7개 X-없다 156개 X-다랗다 14개 X-뜨다 X-지다 125개 X-사납다 X-붉다 X-롭다 88개 X-세다 13개 X-적다 X-맞다 53개 X-있다 10개 X-마르다 6개 X-같다 49개 X-빠르다 9개 X-치다 X-차다 38개 X-푸르다 …… X-나다 30개 X-답다 8개 X찮다 24개 X-쩍다 X-빠지다 X잖다 17개 X-궂다 22개 X-겹다 X디-X다 35개

‘X-하다’型 複合 形容詞의 語基 1音節: 175箇 2音節: 6083箇 3音節: 256箇 4音節: 559箇 5音節: 17箇 1音節: 175箇 固有語 69箇(39.4%) 外來語 106箇(60.6%) 2音節: 6083箇 固有語 644箇(10.6%) 外來語 5439箇(89.4%) 3音節: 256箇 固有語 146箇(57.0%) 外來語 110箇(43.0%) 4音節: 559箇 固有語 130箇(23.3%) 外來語 429箇(76.7%) 5音節: 17箇 固有語 10箇(58.8%) 外來語 7箇(41.2%) …… 完全重疊 25(1音節) + 571(2音節) + 65(3音節) = 661箇

語種別 統計 主標題語 2195箇 中 副標題語 9639箇 中 全體 11834箇 中 固有語 1497箇(68.2%), 外來語 698箇(31.8%) 西洋 外來語 26箇: 나이브하다, 다이내믹하다, 드레시하다, 로맨틱하다, 루스하다, 리드미컬하다, 리버럴하다, 리얼하다, 섹시하다, 센티멘털하다, 센티하다, 쇼킹하 다, 스마트하다, 스펙터클하다, 스포티하다, 시니컬하다, 아이러니컬하다, 아카데 믹하다, 언밸런스하다, 에로틱하다, 와일드하다, 유머러스하다, 컬러풀하다, 타이 트하다, 핸섬하다, 히스테릭하다 最近 西洋 外來語가 增加하는 趨勢. 副標題語 9639箇 中 固有語 2962箇(30.7%), 外來語 6677箇(69.3%) 西洋 外來語 5箇: 디테일하다, 아이러니하다, 캐주얼하다, 코믹하다, 허스키하다 全體 11834箇 中 固有語 4459箇(37.7%), 外來語 7375箇(62.3%)

21世紀 世宗計劃 1999~2001年 550萬 語節 形態分析 코퍼스 형용사 빈도 1 없 37412 2 같 18102 3 그렇 10910 4 크 9402 5 많 9058 6 좋 7779 7 어떻 5368 8 이러하 5147 9 이렇 5140 10 다르 3885 11 새롭 3741 12 어렵 3314 13 중요하 2854 14 높 2837 15 필요하 2732 16 쉽 2541 17 작 2419 18 길 1944 19 그러하 1894 20 깊 1794 21 가능하 1777 22 어리 1666 23 아름답 1635 24 젊 1540 25 멀 1449 26 가깝 1344 27 강하 1338 28 힘들 1256 29 아프 1237 30 다양하 1216 31 적 1197 32 심하 1186 33 분명하 1100 34 넓 1070 35 이상하 1069 36 비슷하 1044 37 빠르 1005 38 나쁘 992 39 싫 948 40 무섭 937 41 불과하 929 42 낮 901 43 늦 872 44 짧 845 45 심각하 832 46 어떠하 830 47 엄청나 827 48 커다랗 815 49 자유롭 809 50 단순하 783 51 옳 766 52 정확하 751 53 바쁘 720 54 당연하 711 55 어둡 704 56 푸르 694 57 밝 58 희 690 59 재미있 682 60 가볍 678 61 수많 670 62 검 661 63 고맙 635 64 지나치 633 65 불가능하 66 뜨겁

高頻度 形容詞의 意味 部類 指示: 그렇다, 어떻다, 이러하다, 이렇다, 그러하다, 어떠하다 크기(dimension): 크다, 많다, 높다, 작다, 길다, 깊다, 멀다, 가깝다, 강하다, 적다, 넓다, 낮다, 짧다, 커다랗다, 밝다, 어둡다, 가볍다, 뜨겁다, 무겁다, 약하다, 좁다 程度: 심하다, 심각하다, 엄청나다, 지나치다, 부족하다, 충분하다 價値(value): 좋다, 중요하다, 이상하다, 나쁘다, 불과하다, 옳다, 당연하다, 훌륭하다, 바람직하다, 진정하다, 괜찮다, 적절하다 樣態(modality): 필요하다, 가능하다, 분명하다, 불가능하다, 자연스럽다, 확실하다 存在: 없다, 다양하다 比較: 같다, 다르다, 비슷하다, 똑같다 나이(age): 새롭다, 어리다, 젊다 難易: 어렵다, 쉽다 模樣(shape):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感覺: 힘들다, 아프다, 부드럽다 感情: 싫다, 무섭다, 고맙다, 즐겁다, 행복하다, 놀랍다 速度(speed): 빠르다, 늦다 色(color): 희다, 검다, 하얗다

類型論的 觀點에서 본 韓國語 形容詞 傳統的으로 形容詞로 불려 온 것은, 動詞性 形容詞임. Dixon의 意味 部類를 考慮할 때에, 이것을 形容詞라 부르는 것이 妥當함. 固有語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形容詞(屬性 述語)를 만들어내는 것보다는 漢 字語/外來語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形容詞를 만들어내는 것이 훨씬 生産的 (productive)임. 이들 가운데에는 ‘X-하다’型과 (성실하다) ‘Y的-(이다)’型이 가장 生産的임. (적극적이다) ‘Z-이다’型도 조금 있음. (열심이다) 여기서 ‘X’, ‘Y的’, ‘Z’ 等을 單語로 看做한다면 이들은 名詞性 形容詞라 부를 만함. ‘Y的’, ‘Z’은 否定文 形成 方式이 名詞와 다름. 名詞: N-이 아니다 / *N-이지 않다 ‘Y的’: 적극적이 아니다 / 적극적이지 않다 ‘Z’: 열심이 아니다 / 열심이지 않다 ‘國際, 强力, 醫療, 單純’ 等: 助詞가 붙을 수 없어 名詞와 다름. 名詞性 形容詞 부류가 漸漸 커지고 있음. 이 事實은 睦正洙의 指摘과 一致. 다만, 睦正洙처럼 動詞性 形容詞를 形容詞가 아니라고 볼 必要는 없음.

‘Y的’ 派生語의 生産性 標準國語大辭典에 登載되어 있는 派生語 코퍼스에서 抽出한 타입 頻度(type frequency) ‘-롭-’ 派生語: 175 種 ‘-스럽-’ 派生語: 957 種 ‘-的’ 派生語: 1,045 種 코퍼스에서 抽出한 타입 頻度(type frequency) ‘-롭-’ 派生語: 69 種 ‘-스럽-’ 派生語: 262 種 ‘-的’ 派生語: 1,882 種 코퍼스에서 抽出한 토큰 頻度(token frequency) ‘-롭-’ 派生語: 2,078 箇 ‘-스럽-’ 派生語: 1,477 箇 ‘-的’ 派生語: 20,599 箇 Baayen의 生産性 尺度 V: 코퍼스에 나타난 派生語의 타입 頻度. 該當 接辭의 使用의 範圍를 알려 주는 指標. P = n1/N n1 = 코퍼스에 1回 出現한 派生語(hapax legomena)의 數 N = 코퍼스에서 該當 接辭를 가진 派生語의 總 토큰 數

Baayen의 生産性 尺度를 앞의 세 接辭에 適用한 結果 V n1 N P -롭- 69 19 2078 0.00914 -스럽- 262 118 1477 0.07989 -的 1882 751 20599 0.03646 V를 考慮할 때 ‘-的’이 使用의 範圍가 가장 넓음. P를 考慮할 때 新造語를 만들어내는 能力은 ‘-스럽-’이 가장 높고 ‘-的’ 도 相當히 높음.

意味役割, 意味役 semantic role, thematic role, θ-role [述語가 나타내는 사태] 속에서 [論項이 나타내는 참여자가] 수행하는 역할의 유형/종류. 논항이 述語에 대해 갖는 의미상의 자격/역할/지위 참여자/논項이 어떠어떠한 의미역할을 갖는다고 말함. 모든 유형분류가 그렇듯이, 의미역할의 분류도 다양한 층위에서(거칠게 또 는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언어적 일반화를 도출하는 데에 유용해야 함. 가장 거친 구별: 2분법 Actor, Proto-Agent, Macro-Agent 能動的, 意識/意志 있음, 原因(影響을 끼침), 位置 可變的 Undergoer, Proto-Patient, Macro-Patient 受動的, 意識/意志 없음, 結果(影響을 받음), 位置 固定的

(標準的인) 意味役割의 目錄 Agent 動作主, 行爲主, 行爲者: 自身의 意志에 依해 行爲를 하는 主體. Patient 被動作主, 被行爲主, 被害者: 어떤 事態로 因해 影響을 입는 存在. Theme 대상: 어떤 位置·狀態에 놓여 있거나 位置·狀態의 變化를 겪는 存在. Location 처소: 어떤 存在가 놓여 있는 空間的, 時間的, 抽象的 位置. Goal 목표, 도착점, 종착점: 位置·狀態 變化가 일어날 때 그 變化가 指向하는 方向, 目標點, 終着點. Source 기원, 출발점: 位置·狀態 變化가 일어날 때 그 變化가 始作된 出發點. Experiencer 經驗主: 知覺·感情·認知·思惟 等의 作用을 經驗하는 存在. Stimulus 자극: 知覺·感情·認知·思惟 等의 作用을 誘發하는 存在. Criterion 기준: 判斷, 評價의 基準이 되는 存在. Companion 동반자: 어떤 行爲를 할 때 함께 同參하는 存在. Content 내용: 思惟나 發話의 內容. Instrument 도구: 어떤 行爲에 中間的 媒介體로서 使用되는 存在. ……

意味役割을 어디까지 細分할 것인가 Fillmore가 標準的인 意味役割의 目錄을 提示한 以後 그 目錄이 너무 거칠므로, 더 細分할 必要가 있다는 指摘이 頻繁히 있 었음. 任洪彬: 40餘個의 細分된 意味役 目錄 提示 世宗電子辭典: Goal과 Final State 區分 그러나 意味役割의 導入 趣旨는 差異點뿐 아니라 共通點도 捕捉하기 爲한 것. The door opened. vs. He opened the door. 따라서 細分하는 것만이 能事는 아님.

意味役割의 位階 意味役割들이 單純한 目錄이 아니라, 一定한 位階(hierarchy)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면, 여러 言語現象을 理解하는 데에 도움이 됨. 어떤 意味役割을 지닌 論項이 主語가 될 것인가? 意味役割 位階 Agent > Experiencer > Theme/Patient > Location/Goal > Source 모든 意味役割을 1列로 줄세울 수 있는 것은 아니나, 하나의 述語의 共 論項(co-argument)들은 거의 恒常, 對等하지 않고 位階를 이룸. 意味上 對等한 論項들도 文法的으로는 對等하게 取扱하지 않을 수 있음. 철수와 영희는 結婚했다. vs. 철수는 영희와 結婚했다.

格(case)의 본래적 개념 ‘格’ 개념은 古典 그리스어, 라틴어에 對한 전통문법에서 발생했음. 이들 言語는 屈折語. 名詞는 文章 內의 資格에 따라 一定하게 꼴바꿈을 함: 曲用(declension)/격변화 動詞는 時制-相-敍法 等에 따라 一定하게 꼴바꿈을 함: 活用(conjugation) 명사가 곡용할 때 취할(꼴바꿈할) 수 있는 형태의 수는 각 언어마다 정 해져 있음. 독일어 4, 라틴어 6, 고전 그리스어 5 이 본래的 개념에 따르면 한국어의 명사는 곡용(격변화)을 하지 않음. ‘책상’, ‘하늘’, ‘철수’ 등은 문장 내에서 어떤 자격을 지니든 항상 똑같은 모습으 로 나타남.

格의 확장된 개념 많은 언어(특히 굴절어가 아닌 언어)에서, 명사 자체는 꼴바꿈을 하지 않지만 많은 언어(특히 굴절어가 아닌 언어)에서, 명사 자체는 꼴바꿈을 하지 않지만 名詞 앞이나 뒤에 접사(affix), 접어(clitic), 부치사(adposition)를 붙임으 로써 曲用과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이 많이 있음. 이것도 흔히 格이라 불림. 격표지(case marker) 명사 자체의 꼴바꿈에 비해 가짓수가 많은 경향이 있음. 하나의 언어에서 명사 자체의 꼴바꿈과 부착되는 격표지를 함께 사용하 는 일도 흔히 있음.

여러 格의 명칭 主格 nominative 對格/目的格 accusative 屬格/冠形格 genitive 斜格 oblique 處格/處所格 locative 與格 dative 向格 allative 奪格 ablative 具格, 道具格, 造格 instrumental 共同格 comitative 比較格 comparative 引用格 quotative 呼格 vocative ……

意味役割과 格의 關係 意味役割과 格 사이의 關係는 意味範疇와 그에 對應하는 文法範疇 사이의 關係로 볼 수 있음. 意味役割과 格 사이의 關係는 意味範疇와 그에 對應하는 文法範疇 사이의 關係로 볼 수 있음. 時間指示-時制, 樣態-敍法, 話行類型-文章類型 意味役割의 類型은 자세히 나누면 매우 많지만, 이것을 모두 文法 的으로 區分해 주기는 어려우므로, 重要한 것만 少數 뽑아서 形式 的으로 區別해 놓은 것. 따라서 하나의 格이 複數의 意味役割에 對應될 수밖에 없음. syncretism

格 syncretism 樣相의 言語間 差異 여러 意味役割들을 어떻게 뭉뚱그려서, 어디에서 境界線을 그어서 하나의 格에 對應시킬 것인가는 言語마다 다름.

格은 지극히 표면적 개념/현상 格은 언어학/문법에 처음 도입되었을 때부터 줄곧, 매우 표면적인 현상을 포착하기 위 한 개념이었음. 屈折語에서 어떤 명사가 두 문장에서 매우 상이한 통사/의미적 지위를 갖는다 하더라 도, 형태가 같으면 같은 格으로 간주함. Ich half ihm(3격, 직접목적어) Ich gab ihm(3격, 간접목적어) ein Buch 부착되는 격표지를 갖는 언어에서, 어떤 명사+격표지가 두 문장에서 매우 상이한 통사 /의미적 지위를 갖는다 하더라도 격표지가 같으면 같은 格으로 간주함. 醫師가(主格, 主語) 죽었다. 철수가 醫師가(主格, 補語) 되었다. 후자의 格을 ‘補格’이라 부르는 것은 格의 본래 도입 취지에 어긋남. 그래서 그러한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의미나 통사기능을 연상시키는) 主格, 對格, 處格 같은 명칭 대신 자의적인 명칭을 붙이거나 (독일어 문법: 1~4格) 표면형에 입각한 명칭을 붙이기도 함. 日本 학계: が格, を格, に格 의미나 통사기능과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므로 전통적인 격 명칭을 유지하되, 표면적 인 개념임을 잊지 말아야 함.

文法役割(grammatical role)의 必要性 많은 言語學者들은 意味役割과 格이 서로 密接히 關連되어 있으면서 各各 深 層現象과 表面現象에 該當하는 것이라는 데에는 同意하면서도 格이 지나치게 表面的이어서, 關連 言語現象을 捕捉/說明하는 데에 不足한 面 이 있음을 느끼게 됨. 그래서 格보다는 若干 抽象的/深層的인 槪念으로서 文法役割이라는 層位를 想 定하게 됨. cf. 古代 印度의 Panini 學派는 文法役割을 따로 導入하지 않고 徹底하게 格 槪念만 가지 고 文法 理論을 展開함. 文法關係(grammatical relation), 文法機能(grammatical function)이라 불리기 도 함. 여러 層位에서 各 成分의 地位를 나타내는 用語로 ‘役割(role)’을 統一的으로 쓰는 게 좋 을 듯. 意味役割, 文法役割 話用役割(pragmatic role)/情報役割(informational role): 主題/話題(topic), 焦點(focus) Force dynamic role: Protagonist, Antagonist (Talmy 1988/2000) Gestalt role: Figure, Ground (Talmy 2000)

格과 문법역할이 불일치하는 경우 격과 문법역할은 상관관계가 있기는 하나 둘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님. 항상 일치한다면 오히려 둘 다 있을 필요가 없음. cf. Panini 학파의 산스크리트어 문법 하나의 格이 複數의 문법역할과 대응하는 경우 의사가(주어) 죽었다 vs. 철수가 의사가(보어) 되었다 철수를(목적어) 죽였다 vs. 3時間을(부가어/부사어) 잤다 accusative of extent 하나의 문법역할이 複數의 格과 대응하는 경우 철수가(主格, 主語) 대회를 개최하였다. 우리 협회에서(處格, 主語) 대회를 개최하였다. 단체 주어 많은 언어에서 主語가 主格뿐 아니라 與格으로도 실현되는 현상이 있음. 특히 경험주 의미역할을 갖는 경우 dative subject; differential subject marking 私(に)はこれが分からない。 誰にもわからない私の痛み

학교문법에 입각한 어절, 문법역할 학교문법에서는 문장을 이루는 단위 중, 그 앞이나 뒤에는 休止(pause)를 둘 수 있으나 내부에는 휴지를 둘 수 없는 단위를 어절이라 한다. 어절은 문장을 글로 쓸 때 띄어쓰기의 단위가 된다. 하나의 단어가 곧 하나의 어절이 되는 경우도 있고: 빨리, 모든 [체언+조사]나 [용언+어미]가 하나의 어절이 되는 경우도 있다. 어절이 문장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문법역할 grammatical role, 문장성분) 을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서술어(predicate): 절이 나타내는 사태의 유형과 기본 골격을 결정함. 주어(subject):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성분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것. 목적어(object):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성분 중 주어 다음으로 지위가 높고, 서술어 가 나타내는 행위의 대상을 나타내는 성분. 보어(complement):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성분 중 주어 이외의 성분.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함. 부사어: 용언이나 부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함. 독립어: 문장의 핵심 구조에서 벗어나 독립되어 있음.

어절의 내부 구성 서술어: 용언+(선어말어미)+종결어미: 먹었다, 예쁘다, 학생이다 주어: 체언+(주격조사): 철수가 왔다, 한 학생이 결석했다 목적어: 체언+(대격조사): 철수를 때렸다, 저 학생을 좋아한다 보어: 체언+(조사): ~이 아니다, ~이 되다; ~에게 인사하다, ~보다 낫다 관형어 관형사: 모든 학생, 이 사람, 한 학생, 새 책 체언+(속격조사): 철수의 동생, 영희 사진 용언+(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철수를 때린 사람, 영희를 좋아하는 사람 부사어 부사: 빨리 뛰어라, 매우 좋다 체언+부사격조사: 운동장에서 놀았다, 2시에 만나자 용언+부사형어미: 고기가 까맣게 탔다, 멋있게 춤을 추었다 독립어 간투사: 아, 봄인가 보다. / 예, 그렇게 할게요. / 아니, 그러면 안 돼. 접속사: 그러나, 그리고, 따라서, 요컨대 체언+(호격조사): 철수야, 놀자.

학교문법 체계 내에서, 품사와 문법역할의 관계 품사는 단어의 분류이고, 문법역할은 어절의 분류이므로 이 둘은 서로 다른 층위에 존재하는 개념이기는 하지만 문장의 구조를 설명할 때 이 둘을 밀접히 관련시켜야 함. 앞에 오는 어떤 문법역할의 어절이 뒤에 오는 어떤 품사의 단어와 관련 을 맺는다는 식으로 記述해야 함. 관형어는 뒤에 오는 (주어, 목적어가 아니라) 체언을 수식함. 부사어는 뒤에 오는 (서술어가 아니라) 용언을 수식함. 주어, 목적어, 보어는 뒤에 오는 (서술어가 아니라) 용언과 관계를 맺음. 한 소년 이 서울 에서 오 ㄴ 소녀 를 매우 사랑하 다 관형사 명사 조사 동사 어미 부사 선어말어미 어말어미 관형어 주어 보어/부사어 목적어 부사어 서술어

IC 분석을 도입했을 때의 문법역할 어절 개념을 문법에서 폐기하고, IC 분석에 입각해서 각 성분 (constituent)의 문법역할을 생각해 볼 수 있음. ADN N JK N JK V EM N JK ADV V EP EF 한 소년 이 서울 에서 오 ㄴ 소녀 를 매우 사랑하 ㄴ 다

핵(head) 결합하는 두 요소 중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을 핵이라 함. ADN N JK N JK V EM N JK ADV V EP EF 한 소년 이 서울 에서 오 ㄴ 소녀 를 매우 사랑하 ㄴ 다

한국어에서 핵 위치의 경향 한국어는 핵이 거의 일관되게 뒤에 오는 경향이 있음. (SOV) 그러나 모두 그런 것은 아님. Head-final language 그러나 모두 그런 것은 아님. 동사구-선어말어미, 명사구-보조사, 격조사구-보조사 동사구는 어말어미와 결합해야 한다는 결합상의 속성을 지니는데, 여기에 선어말 어미가 붙어도 그 속성에는 변함이 없음. 명사구는 격조사구가 붙어서 문장 내에서의 문법역할이 결정된다는 속성을 지니 는데, 여기에 보조사가 붙어도 그 속성에는 변함이 없음. 격조사구(=명사구+격조사)는 핵인 격조사에 따라 일정한 문법역할을 수행하는데, 여기에 보조사가 붙어도 그 속성에는 변함이 없음. Celtic 어들은 핵이 앞에는 경향이 강함. (VSO) 영어, 프랑스어는 핵이 앞에 오는 경향이 약간 있으나 그리 강하지 않음. (SVO) 형용사+명사, 명사구+’s, 주부+술부

文法役割의 位階 意味役割이나 格처럼 文法役割도 位階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하면 言語 現象을 說明하는 데에 도움이 됨. 主語 > 直接目的語 > 間接目的語 > 斜格語 > 冠形語 文法役割의 位階에서 아래로 갈수록 特定 格과의 對應 關係가 規則的임. 位階의 윗부분에서는 둘 사이의 對應이 훨씬 複雜함. 統辭現象 中에는 文法役割의 位階에서 一定 線 以上의 것에만 適用되고 그 아래의 것에는 適用되지 않는 것이 많이 있음. 接續 削減/接續文 削除(conjunction reduction) 韓國語의 경우 主語에만 適用됨. 철수는 영희를 銃으로 쏘고서 죽었다. 後行節의 主語는 철수로만 解釋됨. 關係化(relativization) 英語, 韓國語는 거의 大部分의 成分이 關係化 可能. Malagasy는 主語만 關係化 可能.

格의 位階 意味役割처럼 格도 位階를 이룬다고 보면 여러 言語現象을 理解하는 데 에 도움이 됨. 主格 > 對格 > 斜格 > 屬格 텍스트 出現 頻度, 構造的 有標性, 여러 統辭的 現象을 通해 位階를 알 아낼 수 있음. 어떤 文章成分의 格을 바꾸는 統辭的 操作이 있을 때, 이것은 昇格 (promotion)일 수도 있고 降等(demotion)일 수도 있음. 能格言語의 格 位階 絶對格(absolutive) > 能格(egative) > 斜格 > 屬格

韓國語의 (暫定的인) linking rules 1. Agent가 있으면 Agent가 主語로 實現된다. 2. Agent가 없고 Experiencer가 있으면 Experiencer가 主語로 實現된다. 3. Agent와 Experiencer가 없고 Theme이 있으면 Theme이 主語로 實現된 다. 4. Agent와 Theme이 있으면, Agent가 主語, Theme이 直接目的語로 實現 된다. 5. Goal은 處格, 與格, 向格으로 實現된다. 6. Theme이 없고 Goal이 있으면 Goal이 直接目的語로 實現될 수도 있다. 7. Source는 奪格으로 實現된다. 8. Criterion은 比較格으로 實現된다. 9. Companion은 共同格으로 實現된다. 10. Content는 引用格으로 實現된다.

격 정렬의 유형(case alignment typology) 格의 基本 機能은 文章 內에서 名詞 論項들의 地位를 區分해 주는 것임. 論項이 1箇만 있는 경우에는 이 區分이 不必要함. 論項이 2箇 以上 있는 경우에 비로소 格의 必要性이 發生함. 論議를 單純化하기 爲해 一旦 自動詞節(論項 1箇)과 他動詞節(論項 2箇) 만 考慮할 때 自動詞節의 唯一한 論項: S 他動詞節의 두 論項 中 意味役割 位階上 높은 것(Actor): A 他動詞節의 두 論項 中 意味役割 位階上 낮은 것(Undergoer): O/P 이 세 論項을 어떻게 取扱할 것인가(무엇과 무엇을 같게 또는 다르게 取 扱할 것인가)는 言語마다 다름.

격 정렬의 유형 3분 체계: S ≠ A ≠ O (제 구실을 함. 비경제적) (主格-)對格 체계 (제 구실을 함. 경제적) S(主格) = A(主格) ≠ O(對格) (絶對格-)能格 체계 (제 구실을 함. 경제적) A(能格) ≠ S(絶對格) = O(絶對格) Active(-Inactive/) 체계, Active(-Stative) 체계 (제 구실을 함. 경제적) split intransitivity, semantic alignment S가 SA와 SO로 나뉨. SA = A ≠ SO = O 主格-對格 體系가 가장 흔함. 한 言語 內에 둘 以上의 體系가 共存할 수 있음. split ergativity 시제에 따른 분리: 과거는 능격 정렬, 현재는 대격 정렬 품사에 따른 분리: 명사는 능격 정렬, 대명사는 대격 정렬

絶對格-能格 體系의 例: Dyirbal ŋuma banaga-nyu father+ABS return-NONFUT 'father(S) returned' yabu banaga-nyu mother+ABS return-NONFUT 'mother(S) returned' ŋuma yabu-ŋgu bura-n father+ABS mother-ERG see-NONFUT 'mother(A) saw father(O)' yabu ŋuma-ŋgu bura-n mother+ABS father-ERG see-NONFUT 'father(A) saw mother(O)'

Active-Inactive 體系의 例: Lakhota ma -yá -kté 1sg+PAT 2sg+AGT kill 'You killed me' ø -wa -kté 3sg+PAT 1sg+AGT kill 'I killed him' ni -ø -kté 2sg+PAT 3sg+AGT kill 'He killed you' wa -hi 1sg+AGT arrive 'I arrived' ma -khúže 1sg+PAT sick 'I am sick' ya -ʔú 2sg+AGT come 'You are coming' ni -hske 2sg+PAT tall 'You are tall'

정렬(alignment) 개념의 확장 정렬 및 그 유형분류를 격뿐 아니라 다른 현상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음. 영어, 중국어에서 S, A, O 모두 격에 의해 구분되지 않음. 즉, 격 정렬이 중립 정렬임. 그러나 어순의 측면에서 보면 대격적 정렬임. S, A는 동사 앞에 오고, O는 동사 뒤에 옴. 일치/indexing도 정렬의 유형분류를 할 수 있음. 격은 능격적 정렬을 하면서도 일치는 대격적 정렬을 하는 경우가 많음. 통사적 조작(syntactic operation)도 정렬을 따질 수 있음. 재귀사 결속, 통제(control), 관계화, 접속 삭감 등 접속 삭감: John shot Mary, and e died. 존은 매리를 찌르고 e 죽었다. 위 문장에서 죽은 사람은 존임. 따라서 영어, 한국어의 접속 삭감은 대격적 정렬 Dyirbal은 격, 일치, 여러 통사적 조작에서 철두철미하게 능격적 정렬을 보임. 이런 언어는 드묾. 격에 비해 대격적 정렬의 경향성이 훨씬 더 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