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세포암종 간세포암종의 특성 간세포암종의 진단 감시검사 확진방법 간세포암종의 치료.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 환자에서 임의뇨 Na/K 비율의 임상적 의의 R3 김은영 1. 2 Introduction Detection of diureticresistance or diuretic-sensitivity by spot urine Na/K ratios in 729.
Advertisements

간세포암 무작위 등록사업 보고 대한간암연구회 간암등록사업위원회 보건복지가족부 중암 암등록본부.
대장암의 검진과 예방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대전지역본부 교육정보센터 전 이 구 목 차 대장암 이란 대장암 발생현황 발생원인 대장의 구조 대장내시경 검사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7 질의 및 응답.
암의 위험요인과 조기검진.
안와 근염 형태로 나타난 미분화 결체조직질환 1례 이완수, 김윤성, 김현숙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간소세포암)
HBV DNA Viral Load Test 비교 COBAS TaqMan 48 과 COABS AmpliPrep 소개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간염과 간질환 임상시험센터 김 경 희.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종양표지자 CA19-9 검사 - Cobas Core 와 Elecsys 의 비교 -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Liver Conference 소화기 센터 회의실.
총담관에 삽입된 금속스텐트가 방사선 치료 중 위치 이동한 증례
Doxorubicin-eluting Bead TACE
GI conference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RFA)
Liver Cancer Conference
Case 1 History 신O식 55/M 55/M, B-viral LC(Child A(6), MELD 9) 로 F/U 중 월 HCC 3개 발견되어 TACE #1 차 시행후 f/u 중인 환자임. f/u MR 상 viable tumor (S5,
반복된 우상복부 동통과 발열을 주증상으로 병원에 온 31세 남자
EISD in Early Esophageal Cancer
인하대병원 소화기내과 박현주, 유성수, 권계숙, 김형길, 신용운
Liver Cancer Conference
Case 박O석 M/56 adm C.C) for DM control
제1회 다학제 종양 컨퍼런스 소화기 소화기내과
Liver Conference 점상출혈 소화기 센터 회의실.
Effectiveness of Recommendations to Prevent Reactivation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 Antagonists Loreto.
Liver Cancer Conference
Liver Cancer Conference
Liver Cancer Conference
Liver Conference 소화기 센터 회의실.
Liver Conference 점상출혈 소화기 센터 회의실.
내시경 집담회 증례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이태윤.
Multidisciplinary Bowel conference
KCP 807 대한세포병리학회 2014 봄 학술대회 슬라이드 세미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전공의 4년차 조의주.
Case 오O 수 M/56 adm C.C) known hepatic mass
. Chronic renal failure Hanjong Park, PhD, RN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Liver Cancer Conference
간염의 증상과 치료 Dae Hee Choi, M.D. Ph.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2016 전공의 연수강좌 [갑상선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문재훈.
구강악안면 영역의 낭종 및 종양 낭종.
체질량지수와 지방과의 연관관계 체지방 (%) 체질량지수 (kg/m2) 여성 남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증례 집담회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내과 조규현.
Current clinical practice for cholecystectomy after ERCP
Biliary atresia Registry for 10 years ( )
Impact of metabolic risk factors on HCC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R3 김민규 / Pf. 이윤빈.
장소 : 인하대학교병원 날짜 : 2010년 6월 15일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 안형수 고봉민 홍수진
Recurrence Patterns of Curative Resected Ampulla of Vater Cance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대한갑상선영상의학회 춘계학술대회, 2011 Basic & Update Thyroid Radiology
HCC risk in inactive HBV carrier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Acid Phosphatase 검사의 현황
간과 AST, ALT.
국가검진에서 발견된 간 검사이상의 접근법 진단, 감별진단, 치료 원칙 김진욱.
그레인 브레인 (Grain brain) : 탄수화물이 뇌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폭로한다
암의 예방과 조기발견 CRC B팀 정연.
Major diagnosis : Pancreatic cancer with liver, bone metastasis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HUMAN LIFE AND DISEASES)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외과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Major diagnosis : Pancreatic cancer with liver, bone metastasis
Fig. 7.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microvascular invasion
Presentation transcript:

간세포암종 간세포암종의 특성 간세포암종의 진단 감시검사 확진방법 간세포암종의 치료

[ 2013년 주요 암 발생 현황 : 남녀전체 ] 10만명당 발생률

2014년 주요 암종별 사망률 : 남녀전체 암종 사망자수 분율(%) 조사망률 모든 암 76,611 100.0 150.9 폐암 76,611  100.0 150.9 폐암 17,440 22.8 34.4 간암 11,566 15.1 위암 8,917 11.6 17.6 대장암 8,397 11.0 16.5 췌장암 5,116 6.7 10.1 담낭 및 기타 담도암 3,931 5.1 7.7 유방암 2,271 3.0 4.5 * 전체 암사망자는 총 76,611명이고 조사망률은 100,000명당 150.9명

간세포암종의 발생위험 요소 Cirrhosis of any cause Male sex Older age Persistent increase in aminotransferase level Increased a-fetoprotein (AFP) level Progressive impairment of liver function.

간세포암종발생 위험인자 Factor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Hepatocellular Carcinoma Common Unusual Cirrhosis from any cause Primary biliary cirrhosis Hepatitis B or C chronic infection Hemochromatosis Ethanol chronic consumption α1-antitrypsin deficiency NASH/NAFL Glycogen storage diseases Aflatoxin B1 or other mycotoxins Citrullinemia Porphyria cutanea tarda Hereditary tyrosinemia Wilson’s disease Abbreviations: NAFL, nonalcoholic fatty liver; 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Chronic Liver Diseases Hepatocellular Carcinoma Development of HCC Liver Cirrhosis Chronic Liver Diseases Hepatocellular Carcinoma Chronic viral hepatitis B and C, Alcoholism, Primary Biliary Cirrhosis, Autoimmune hepatitis, Nonalcholic Steatohepatitis, Wilson’s disease, Hemochromatosis, Alpha-1 antitrypsin deficiency, Aflatoxin, Glycongen storage disease, Hereditary fructose intolerance, Citrullinemia, Porphyria cutanea tarda, Hereditary tyrosinemia …….

HBV Infection HCV infection Alcoholics Relative risk 5~100 Most of HCC (70-90%) accompany LC HCV infection Relative risk 15~20 Most HCC in advanced fibrosis or cirrhosis Alcoholics Linear increase in risk with alcohol at > 60g /day Fibrosis in 40% and Cirrhosis in 10-20% 1-2% of LC are diagnosed with HCC

우리나라 간세포암종 역학적 특성 발생위험인자 암발생률 6th (남 4th, 여 6th) 나이가 들수록(특히40-50대 이후) 발생률 증가 최근 10년간 발생률 감소, 발생수 증가 암종으로 인한 사망률 2nd 발생위험인자 HBV 감염 HCV 감염 과도한 음주 국가5대암 검진사업 (2003) 간경변증

간세포암의 발생 위험요소 중 원인, 나이, 성별만을 고려할 때, 다음 환자들 중 간세포암종 발생 위험성이 가장 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는 ? 윌슨씨병에 의한 간경변증이 있는 46세 남자 자가면역성간염을 앓고 있는 45세 여자 B형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경변증이 있는 65세 남자 C형 만성간염으로 치료받고 있는 50세 여자 알코올성 지방간염이 있는 40세 남자 .

간세포암종의 진단 간세포암종의 특성 간세포암종의 진단 감시검사 확진방법 간세포암종의 치료

복부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 소견이다. 추정진단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WBC 3760/mm3, Hemoglobin 13.8 g/dL, Platelet 79000/mm3, Prothrombin time 1.07(INR) 79%, alpha-fetoprotein 2.8 ng/mL, Cholesterol 146 mg/dL, Protein 6.8 g/dL, Albumin 4.5 g/dL, Bilirubin 0.9 mg/dL, Alkaline phosphatase 161 IU/dL, AST/ALT 15/20 IU/L. HBsAg/Ab(+/-), anti-HCV(-), HBV DNA : not detected HCC 2) Adenoma 3)FNH 4) Hemangioma 5) Abscess

간종괴의 진단 (focal liver lesion) Approach to FLLs. CCA, cholangiocarcinoma; CT, computed tomography; FLL, focal liver lesion; FNH, focal nodular hyperplasia; HCA, hepatocellular adenoma;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H / O, history of;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Am J Gastroenterol. 2014;109:1328-47

간종괴의 임상적 접근 간 종괴 만성간질환 간경변증 Present Suspect HCC first !! Absent Suspect non-HCC first Cyst Hemangioma Metastasis …..

증상이 나타나 검사를 받은 경우 우연히 건강 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주기적으로 병원 진료를 받던 중 발견된 경우 간세포암종의 발현 진행성 간암 증상이 나타나 검사를 받은 경우 우연히 건강 검진에서 발견된 경우 주기적으로 병원 진료를 받던 중 발견된 경우 간염보유자 조기 간암

간세포암종의 감시검사(Surveillance) 세계 및 우리나라 주요 암종 간세포암종 발생 고위험군 HBV, HCV, alcohol (LC) 발생위험인자, 지역적 차이 안전하고 용이한 선별검사법(USG, AFP) 정확한 확진 방법 효과적인 치료법

Noncirrhotic HBV carriers A family hx of HCC Organization Target Surveillance AASLD Cirrhotic patients Noncirrhotic HBV carriers A family hx of HCC Africans and African Americans Asian male > age of 40 years Asian female > age of 50 years USG every 6 months EASLD Active hepatitis Noncirrhotic Chronic HCV and advanced fibrosis (F3) APASL Cirrhotic patients with HBV or HCV infection USG plus AFP every 6 months JSH Noncirrhotic chronic HBV infection Noncirrhotic chronic HCV infection USG plus AFP/AFP-L3%/DCP every 3 to 6 months AASLD,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AFP, alpha-fetoprotein; AFP-L3%, Lens culinaris agglutinin A-reactive fraction of AFP; APASL, Asian Pacific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DCP, serum des-carboxy prothrombin; EASL,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HBV, hepatitis B virus;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HCV, hepatitis C virus; JSH, Japan Society of Hepatology; USG, ultrasonography.

Alpha-fetoprotein(AFP) Organization Target Surveillance KLCSG/NCC HBV infection HCV infection Cirrhosis. USG and AFP regularly KLCSG,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NCC, National Cancer Center; AFP, alpha-fetoprotein; HBV, hepatitis B virus;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HCV, hepatitis C virus; USG, ultrasonography. Alpha-fetoprotein(AFP) Monitoring Interval Doubling time : 29 to 398 days (a median of 117 days) Most rapidly growing one took 5 months from 1cm to 3 cm

감시검사의 효과 Stage distribution, treatment,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HCC in the screened and control groups Cumulative mortality in screening group and control group. J Cancer Res Clin Oncol. 2004;130:417

감시검사의 효과

복부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 소견이다. 추정진단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46/M, WBC 3760/mm3, Hemoglobin 13.8 g/dL, Platelet 79000/mm3, Prothrombin time 1.07(INR) 79%, alpha-fetoprotein 2.8 ng/mL, Cholesterol 146 mg/dL, Protein 6.8 g/dL, Albumin 4.5 g/dL, Bilirubin 0.9 mg/dL, Alkaline phosphatase 161 IU/dL, AST/ALT 15/20 IU/L. HBsAg/Ab(+/-), anti-HCV(-), HBV DNA : not detected . HCC 2) Adenoma 3)FNH 4) Hemangioma 5) Abscess

간세포암종을 확진하기 위해 다음으로 시행하여야 할 검사와 특징적인 소견은 ? Dynamic MRI – persistent enhance in arterial, venous phase Dynamic CT – arterial enhance, venous or delayed washout Contrast USG – hyperechoic capsule Enhanced CT – heterogenous arterial enhance Lipiodol CT – compact lipiodol uptake with capsule

간세포암종의 진단 임상적 진단 : 고위험군 (HBV양성, HCV양성, 간경변증)에서 병리학적 진단 Diagnosis 임상적 진단 : 고위험군 (HBV양성, HCV양성, 간경변증)에서 1cm 이상 결절 : 영상검사 1 하나 혹은 둘 이상2에서 합당한 소견3 1cm 미만 결절 : 간염활동 억제된 환자에서 AFP 정상범위 이상 지속적 상승하며 영상검사 둘 이상에서 합당한 소견 병리학적 진단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전형적인 임상적 진단 소견을 보이지 않는 경우 생검 1 역동적 조영증강 CT, 역동적 조영증강 MRI, 간세포특이 조영제를 이용한 MRI 2 1-2cm 크기 결절의 경우, 최상의 영상장비를 갖춘 전문 기관에서는 하나의 최적 영상만으로도 진단 가능, 최적의 영상이 아닌 경우에는 적어도 영상검사 둘 이상에서 합당한 소견 확인 3 간실질과 비교하여 동맥기 조영증강과 문맥기 또는 지연기 조영감소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KLCSG) guideline in 2014

고위험군 ①HBV 양성, ②HCV 양성, ③간경변증 영상검사 합당한 영상소견 역동적 조영증강 CT (Dyanamic CT) 역동적 조영증강 MRI (Dynamic MRI) 간세포특이조영제를 이용한 MRI 합당한 영상소견 동맥기 조영증강과 문맥기 또는 지연기 조영감소 Gd-EOB-DTPA; gadolinium ethoxybenzyl diethylenetriamine pentaacetic acid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KLCSG) guideline in 2014

간세포암종의 발생 조기간세포암종(Early HCC)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 PV HA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 이형성결절(Dysplastic nodule) 1-1.2cm 조기간세포암종(Early HCC) Dysplastic nodule with subfoci of HCC Small nodular HCC with indistinct margin 소간세포암종(Small HCC) 2cm

Changes of Intranodular Blood Supply on Hepatocellular Nodule Arterial supply Portal supply RN DN DN HCC HCC low high wd pd Progressison Portal supply Hepatic arterial supply Abnormal arterial supply

Arterial Hypervascularization and Venous Washout Diagnosis

Sensitivity Specificity NPV PPV 61.7% 96.6% 54.9% 97.4% 동맥기 조영증강과 문맥기 또는 지연기 조영감소 Diagnosis of hepatic nodules 20 mm or smaller in cirrhosis: Prospective validation of the noninvasive diagnostic criteria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Forner A1, et al. Hepatology. 2008;47:97-104 Sensitivity Specificity NPV PPV 61.7% 96.6% 54.9% 97.4%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KLCSG) guideline in 2014

간세포암종을 확진하기 위해 다음으로 시행하여야 할 검사와 특징적인 소견은 ? Dynamic MRI – persistent enhance in arterial, venous phase Dynamic CT – arterial enhance, venous or delayed washout Contrast USG – hyperechoic capsule Enhanced CT – heterogenous arterial enhance Lipiodol CT – compact lipiodol uptake with capsule .

간세포암종의 치료 근치적 치료법(curative) 보존적 치료법(palliative) 간절제술 간이식술 국소치료(RFA) 경동맥화학색전술(TACE) 방사선치료 항암약물치료(Sorafenib)

환자의 상태 암종의 특성 간기능 간암 치료법의 선택 ECOG 분류 종괴의 갯수와 크기 증상 혈관침범 간외 전이 간암의 치료 환자의 상태 ECOG 분류 증상 암종의 특성 종괴의 갯수와 크기 혈관침범 간외 전이 간기능 Child-Pugh class 혈중 빌리루빈, 알부민 문맥압항진증

Korean Liver Cancer Study Group (KLCSG) guideline in 2014

The BCLC staging system and treatment allocation AASLD guideline 2010

Early Advanced Poor Good RFA TACE, EBRT Supportive Sorafenib Transplantation Hepatectomy Early Advanced HCC Poor Good Liver function/Performance

. 다음 간세포암종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 RFA Hepatectomy TACE Sorafenib 2014-04 2015-12 RFA Hepatectomy TACE Sorafenib Systemic chemotherapy 46/M WBC 3760/mm3, Hemoglobin 13.8 g/dL, Platelet 79000/mm3, Prothrombin time 1.07(INR) 79%, alpha-fetoprotein 2.8 ng/mL, Albumin 4.5 g/dL, Bilirubin 0.9 mg/dL, Alkaline phosphatase 161 IU/dL, AST/ALT 15/20 IU/L. HBsAg/Ab(+/-), anti-HCV(-), HBV DNA : not detected .

. 다음 간세포암에 대한 적절한 치료는 ? RFA Hepatectomy TACE Sorafenib Systemic chemotherapy 36/F WBC 6890/mm3, Hemoglobin 14.6 g/dL, Platelet 80,000/mm3, Prothrombin time 1.39(INR) 55%, alpha-fetoprotein 4.0 ng/mL, Albumin 3.9 g/dL, Bilirubin 1.9 mg/dL, Alkaline phosphatase 1022 IU/dL, AST/ALT 81/42 IU/L. HBsAg/Ab(-/+), anti-HCV(-), heavy alcoholic .

TACE #1 CT TACE # 2 ~ # 9 CT / MRI Hepatectomy NED AFP 18,598 20,904 2009/11/19 2009/11/24 2009/12/18 2010/01/08 ~ 2012/01/27 2012/05/22, 06/20 2012/06/26 2016/02/28 AFP 18,598 20,904 9,625 ~ 760 1,132 189.1 2.3 TACE #1 CT TACE # 2 ~ # 9 CT / MRI Hepatectomy NED

간세포암종 간세포암종의 특성 간세포암종의 진단 감시검사 확진방법 간세포암종의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