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검사의 이해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창훈.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건강검진센터 HEALTH EXAMINATION CENTER - 당신 건강의 지킴이가 되겠습니다 -
Advertisements

응급검사의 이해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창훈. * 응급검사란 ? * TAT(Turn Around Time) 란 ? 1) 넓은 의미 order  문서보고 2) 좁은 의미 ; 1 시간 검사실 검체 접수  문서보고.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간이식의 적응증 및 이식 시기 결정 소화기내과 심재준.
측정법에 따른 갑상선자극호르몬 결합억제면역글로블린의 임상적 유용성 검토
목차 Ⅰ Ⅱ Ⅲ Ⅳ Ⅴ 체액의 분포와 기능 신체의 항상성과 조절계 체온의 항상성 조절 체액의 산, 염기 항상성 조절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Chapter 22 내분비 장애 대상자 간호 -당질 대사장애 : 당뇨병
Advances in the laboratory diagnostics of acute pancreatitis The Finnish Medical Society Duodecim, Ann Med 1998; 30: 임상병리과 생화학계 김정란.
How to assess hypertensive patients?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B형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Hitachi 7600을 이용한 Glycoalbumin 검사 소개
종양표지자 CA19-9 검사 - Cobas Core 와 Elecsys 의 비교 -
총담관에 삽입된 금속스텐트가 방사선 치료 중 위치 이동한 증례
81병동 Case Study 이수미.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퇴행성 신경질환.
운동 생리 및 실습 혈액 검사.
ABGA & Electrolytes Urinalysis
신장질환 식사요법 영양관리 이론과 기준 세브란스병원 김 정 남.
PET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와 Kt/V 검사의 소개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화기내과 강 창돈
소화기계 간담도 검사 [Hepatobilliary Scan] 혈관종 검사 [Hemangioma scan]
안재석 ∙ 김지나 ∙ 원우재 국립암센터 핵의학과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뇌및기타 중추신경계통의 기타부분의 양성신생물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Feb NICS Co..
1) 혈관외 용혈(Extravascular hemolysis)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신,요로 질환 환아 간호.
ECG (ElectroCardioGram)
서양의학의 이뇨제 서양의학에서 사용되는 이뇨제의 종류 및 약리작용.
전기진단검사 I.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수혈 부작용 응급검사실 신선옥.
결핵 진단을 위한 COBAS AmplicorTM 검사의 유용성
Protein.
99mTc-MAA를 이용한 간세포암의 간동맥 관류 스캔의 유용성
박진우 Buffer(완충제).
노인의 설사.
10장. 혈액계 질환.
병리학의 영역 박 주 완.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효소를 이용한 간 기능 검사.
간과 AST, ALT.
지식회고 소장전막 내분비기관 화학 조절 미량 체액
Preg-Q를 이용한 임신반응검사의 평가 진단검사의학과 생화학계 이 상 연.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혈액 검체의 채혈안내 ♦ 바코드 정보 ♦ 채혈방법 ♦ 검체 취급 시 주의사항 1.검사명과 검체 용기 일치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월례집담회 영남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용길.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ENDOGENOUS INTERFERENCES IN CLINICAL CHEMISTRY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이화의대 소화기내과 김성은·심기남·염혜정·조유경·이종수·이창배·정성애
내분비계 건강문제 - 학령기 아동의 조절장애 1 1.
급, 만성 신부전 환자 관리 김현정.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피 그것이 알고 싶다!!.
Presentation transcript:

응급검사의 이해 건국대학교 충주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창훈

응급검사란. TAT(Turn Around Time)란 * 응급검사란 ? * TAT(Turn Around Time)란 ? 1) 넓은 의미 order  문서보고 2) 좁은 의미 ; 1 시간 검사실 검체 접수  문서보고

* 응급검사의 종류 1. 혈액학 검사 CBC with diff (morph, ESR은 아님) PT, aPTT, CT, BT(routine 검사) 혈액형 및 수혈검사 ; 별도 검사 (X-matching, 3단계 실시; 약 40-50분 소요)

2. 생화학 검사 AST/ALT, BUN/Cr, Amylase, Glu, T. bil, Albumin, Micro T 2. 생화학 검사 AST/ALT, BUN/Cr, Amylase, Glu, T.bil, Albumin, Micro T.pro (9 종) Electrolyte (Na, K, Cl), ABG, NH3 Tn-T, (CK-MB, Tn-I ; 응급실) Urinalysis(10 종) with micro

주요 응급검사의 의미 Bilirubin (T. bil/D * 주요 응급검사의 의미 Bilirubin (T.bil/D.bil) : 황달의 반영 대사            origin; heme --  Hb in RBCs(70%) --> 산화, 환원                    liver(15%)                                         기타 ; B.M, kidney                                  --> unconjugate bil(지용성) + s-alb(δ-bil), 일부 free form (신생아 황달)        --> conjugation in hepatocyte       --> 혈중분비, 일부 stool로 배설, 일부 재흡수 (urobilinogen, enterohepatic circulation)  일부 소변으로 배설 * 포합과정; glucuronyl transferase, glucuronic acid와 결합, 수용성               

고빌리루빈혈증의 분류               분  류                기  전                        질  환            비포합형    과생산(overproduction)      용혈(hemolysis)                        간세포 흡수(uptake) 장애         Gilbert 증후군                        빌리루빈 포합(conjugate)     Crigler-Najjar 장애 증후군    포합형             간세포성                  간염, 간경변증                                   간담즙성                일차성 담즙성 간경변증                                    담즙성                    담도계 폐쇄                                                        (췌장암, 담관암, 총담관결석증)

  각종 효소검사      효소 : 생체내에서 많은 화학반응을 촉매하는 단백질로 세포질 핵, 그외 microsome, mitochondria, lysosome 등에 존재   임상 이용 조건     ; 각 조직세포에서의 효소농도의 변화는 그 조직의 건강 및 질병상태를 반영       --> 혈중 효소농도의 변화는 그 조직이나 기관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평형을 이룬다는 가정          효소측정의 중요성      ; 세포손상과 proliferation의 척도, damage localization

Aminotransferase (AST/ALT) ; indicators of hepatocellular damage AST (SGOT) ; heart, liver, muscle, RBC : cytoplasm (20%), mitochondria (80%) ALT (SGPT) ; liver : only cytoplasmic --> severe hepatocellular damage ; mitochondrial AST ↑     --> mild hepatocellular damage   ; cytoplasmic AST & ALT ↑

AST/ALT ratio (De Ritis ratio) ; normal ; 1 or slightly more          ↑ ; severe chronic liver disease, alcoholic liver disease          ↓ ; 급성간염의 초기가 아닌 진행기 혹은 만성 간염       * AST          - alcoholic liver disease          - monitoring therapy with potentially hepatotoxic drugs  (T/A 및 MI 환자 감별)             * ALT          - more liver specific (예; hepatitis)          - for donor blood screening - non-alcoholic fatty liver

Amylase ; 췌장과 이하선에서 합성  신장으로 배설 급성췌장염; 수 시간내 정상치의 3-6배  3-4일후 정상화 기타;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의 천공, 모르핀 및 마약성 진통제, 화상, 신부전, 골수종 등 (특이도 40%), 이하선 염 (동위효소 감별법; 전기영동)

심근경색 표지자 검사

NH3(암모니아) ; 단백질 대사산물로 중추신경계에 독성 간에서 Urea cycle  담도, 장으로 배설 간기능 장애; 급만성 간염, Reye 증후군, 위장관 출혈, 과도한 단백 섭취, 감염, 약물, 전해질 및 산염기 부전, 신부전  간성혼수 (수치와 간성혼수 정도와는 상관성이 없음) * 채혈후 15분내 검사 (냉장 이송)

BUN (Blood Urea Nitrogen) BUN ; 혈중 요소질소, urea cycle 에서 암모니아  요소 대부분 신장으로 배설, 일부 재흡수 증가 ; 신전성 : 화상, 소화관 출혈, 탈수 등 신 성 : 신부전, 신증후군, 요독증 (통산 사구체 여과량 반 이하로 감소) 신후성 : 요로 폐쇄, 요로 결석 등 기타 ; 고단백 섭취  0-3 mg/dl 변화 근육 100g 파괴  4g BUN 생성 -> 화상, 악성종양 등 증가 감소 ; 간 기능 저하(간경변, 간염, 이뇨제)

Cr (Creatinine) Cr ; 근육내 크레아틴에서 생합성되는 질소 화합물, 식사 등 외적 인자에 영향 받지 않는 신장 기능 지표 신장에서 재흡수나 분비가 되지 않음 -> 사구체 기능 Ccr 이 유용 증가 ; GFR의 저하(사구체 신염, 신부전, 울혈성 심부전), 혈액 농축 (탈수, 화상), 말단 비대증, 거인증 감소 ; 뇨 중 배설량 증가(요붕증, 임신), 근 디스트로피, 갑상선 질환, 간장해 * BUN/Cr ratio ; 10:1 -> 증가 ; 신외성 인자 감소 ; 신성 인자를 고려

Urinalysis 1. 요단백 ; 양성 -> 24 시간 소변검사 Severe ; 3 Urinalysis 1. 요단백 ; 양성 -> 24 시간 소변검사 Severe ; 3.5g/day 이상; 신증후군, 급성 및 사구체 신염, 루푸스 신염 악성 고혈압, 임신성 중독 Moderate ; 1.0-3.5 g/day; 신경화증, 다발성골수종, 독성 신증, 약물, 방사선 치료 Mild ; 1.0 g/day 이하; 만성신우신염, 만성간질 성 신염, 선천성 신질환, 기능성 단백뇨 등

2. 요당 (Glucose) 예민도 ; 50-100 mg/dL 의의 ; 혈당치 170-180 mg/dL 이상 혹은 사구체의 여과속도가 높은 경우 * 위음성 ; 요중 과량의 Vit C나 ketone 등 3. 요케톤체 (Ketone body) ; 지질의 불완전 대사산물 심한 운동, 기아, 스트레스, 구토, 탈수, 소화기 질환, 절식 지속적 다량 배출; 당뇨병성 케톤산 혈증, von Gierke 병등 의심

4. 요빌리루빈 혈중 수용성 빌리루빈(Direct) 증가시 요중으로 배설 ; 담도페쇄, 간질환, 헤모글로빈 대사이상 등 위양성; chlorpromazine계 약물, 위음성; pyridium, serenium 등의 약제 대사물, Vit C 및 nitrite등 과량 존재, 빛에 오래 노출시 5. 요잠혈 요로나 비뇨계의 출혈 혈색소뇨; 수혈 부작용, 용혈성 질환등 적혈구 파괴 * 위음성; 증가된 요비중, 요단백, 과량의 Vit C 함유

6. 유로빌리노젠 정상; 1mg/dL, trace(+) 주간리듬(diurnal rhythm); 오후 2-4시 사이 용혈성 및 신생아 황달; 요 빌리루빈 음성, 유로빌리노젠 양성 임. 간암, 간경화, 간염, 간세포성 황달 ; 요빌리루빈 양성, 유로빌리노젠 양성

7. 요아질산(Nitrite) Nitrite reductase를 생산하는 요로감염(10 5개/mL 이상) 예; E 7. 요아질산(Nitrite) Nitrite reductase를 생산하는 요로감염(10 5개/mL 이상) 예; E. coli, Klebsiella, Aerobacter, Citrobacter 등 위음성; 비생성 환원효소 균, 4시간 이상 저류되지 않은 소변, 요 비중 증가, 질산염이 포함된 식사를 못한 경우 등 8. 요백혈구 요중 백혈구가 10개/uL 를 의미 위양성 ; 질배설물이 많은 경우 위음성 ; 증가된 요비중, 요당, oxalic acid나 cepha계 항생제 투여

9. 요비중 (Specific gravity) random U.; 1.003-1.030 24 hr U.; 1.016-1.030 증가; 탈수, 중등도 이상의 당뇨, 단백뇨 감소; 신세뇨관 상해 등 10. pH 알칼리성 뇨; 급, 만성 신질환, 대사성 및 호흡성 알칼리혈증, 구토, 요로감염, 야채등 알칼리 음식 산성 뇨; 대사성 및 호흡성 산혈증, 심한 설사, 고열, 탈수증 및 육류등 산성 음식 섭취

Electrolyte & ABG 1. Electrolyte; sodium ion, potassium ion, chloride ion, bicarbonate ion (총 CO2)등 4가지 Osmolality (삼투압) = 2 x Na+ + Glu/20 + BUN/3 Anion gap = (Na+ + K+) – (Cl- + HCO3-) = 약(135+5) – (100+25) = 15 mmol/L

2. ABG 측정값; pH, PO2, PCO2 계산값; bicarbonate 등 몇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