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Advertisements

 연방준비제도의 공식 구조 중앙은행과 연방준비제도의 구조. 연준은행, 연방준비제도이상회 (Board of Governors),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연방자문위원회 연준은행 : - 12 개 지역, 뉴욕,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3 개 연준은행이 연방준비제도.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통화제도통화제도 화폐의 정의와 기능 화폐란 ?  사람들이 재화와 서비스 거래에 사용하는 자산 화폐가 없다면 ?  물물교환 경제와 쌍방간 요구의 일치 시간과 노력의 낭비 화폐의 3 가지 기능  교환의 매개수단 (Medium of Exchange)  회계의 단위.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제 24 장 금융위기 제 1 절 양적 완화 제 2 절 출구전략 제 3 절 맺음말. 제 1 절 양적 완화 (quantitative easing) 1. 양적 완화 ○ 유동성 함정 확장적 재정정책 - 시차, 승수의 크기, 재정적자 축소정책, … 양적 완화 - 일본 :
제24장 금융위기 제1절 양적 완화 제2절 출구전략 제3절 맺음말.
외환제도의 역사 과거에 국가간 무역거래와 금융거래의 형태는? 금본위제도(1821~1914) 금환본위제도( 중간기 )
화폐의 정의와 기능 화폐란? 사람들이 재화와 서비스 거래에 사용하는 자산 화폐가 없다면? 물물교환 경제와 쌍방간 요구의 일치
4. 금융의 국제화 가.국제화와 세계경제 (1)국제화와 세계경제의 변화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통화제도.
제 10 장 전자화폐와 통화신용정책.
제 29 장 통화제도.
환율과 개방경제 CHAPTER 30.
11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개방경제.
제 29 장 통화제도.
제2장 주요 거시경제변수 제1절 : 국내총생산 제2절 : 실업률 제3절 : 생계비용의 측정 제4절 : 맺음말.
GNP/GDP 국민계정.
환율의 결정 Ch 환율결정의 메커니즘과 요인 5.2 전통적 플로우접근법 5.3 자산시장접근법
국민소득의 측정.
1.화폐수요의 정의 2.화폐수량설 3.유동성선호설 4.신화폐수량설
제6장 상품 및 화폐시장 제1절 : 상품시장과 IS곡선 제2절 : 화폐시장과 LM곡선 제3절 : IS-LM곡선과 정책효과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경제학원론 7장 국민소득 수준의 결정.
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1장 화폐시장을 고려한 케인스이론(IS-LM모형)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 2007 Thomson South-Western.
단기에서의 총지출과 총생산 CHAPTER 26.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22장 화폐와 통화량.
제19장 국민소득 결정이론 민간소비 및 투자활동과 국민경제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 18 장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디플레이션의 정의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종 류 ① 좋은 영향을 미치는 디플레이션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 29 장+ 30 장(일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9장 거시경제학 개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 기본 개념.
경기안정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CHAPTER 27.
통화제도.
제 13 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 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저축, 투자와 금융제도.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3장 화폐와 금융시장.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16장 화폐공급의 결정요인.
부분균형과 무역.
국제수지와 환율 1학년 Ⅷ. 국민경제와 합리적 선택>3.세계 시장의 경제 경쟁과 협력> 13-14/16 사회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미래에 부자가 되는 길 행복한 미래를 만드는 기술자 김송호.
총수요와 총공급.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제 18 장 화폐, 연방준비제도와 통화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통화제도.
기업과 거시경제 제3장 거시경제 관련 용어 분석(Ⅱ) 국제통상학부 장성열 교수.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Presentation transcript: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국제수지의 기초개념

국제수지의 의의 한 나라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에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모든 경제거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기록 1) 유량(flow)의 개념 2) 경제활동의 근거지 3) 상품 ∙ 서비스 ∙ 자본 거래, 유상 ∙ 무상 거래, 유환 ∙ 무환 거래 4) 복식부기의 원리

국제수지의 작성 복식부기의 원리: 모든 대외거래를 차변과 대변에 동시에 기입 국제수지: 차변은 - 값으로, 대변은 + 값으로 계산 → 차변합계 + 대변합계 = 0 차변항목과 대변항목의 구분 ① 회계학의 원리 적용  ② 자금의 이동방향 기준

우리나라 국제수지의 체계 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자본수지: 자본이전, 비생산-비금융자산 금융계정: 직접투자, 증권투자, 파생금융상품, 기타 투자, 준비자산 오차와 누락 ※ 기초수지: 경상수지 + 장기의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 → 대외지급상태의 장기동향 파악 ※ 종합수지: 기초수지 + 단기의 자본수지 및 금융계정 + 오차와 누락 (준비자산 제외) → 총체적인 대외유동성 파악

국내총생산과 국민소득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소득 GDP: 일정한 기간 동안에 한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 ※ 유량 개념, 생산지역 기준, 중간재 가치 제외, 시장에서 합법적으로 거래된 상품과 서비스 GDP = 국민소득(NI) = 국내총소득(GDI) 국민총소득(GNI): 생산요소 공급자의 국적 기준 GNI = GDP + 순해외수취요소소득 * GDP = NI = GNI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소득 최종생산물에 대한 지출 형태 소비(C): 일반 소비자들의 지출 투자(I): 기업의 지출 (자본재, 재고자산) 정부지출(G): 정부의 지출 순수출(NX): 수출(X) – 수입(M) ※ 순수출 ≑ 경상수지(CA) 국민소득항등식 Y = C + I + G + (X-M) = C + I + G + CA ※ 2013년(조원) C = 681, I = 410, G = 198, CA = 93 (2010년 가격)

명목국민소득과 실질국민소득 명목변수: 화폐단위로 표시된 변수 실질변수: 상품단위로 표시된 변수 명목 GDP: 현재가격으로 GDP 측정 * 명목GDP 증가 → 생산량 증가, 생산물가격 상승 실질GDP: 불변가격(기준연도 가격)으로 GDP 측정 * 실질GDP 증가 → 실제 생산량 증가

경상수지의 이해

경상수지와 순해외투자 순해외투자 = (내국인의 해외투자) – (외국인의 국내투자) ※ 순해외투자 = 순국제투자 = 순대외자산 순해외투자 증가 [감소]→ 미래의 국부 증가 [감소] 경상수지 흑자: 대외부채 상환 또는 해외자산 매입 → 순해외투자 증가 경상수지 적자: 대외부채 증가 또는 해외자산 감소 → 순해외투자 감소 경상수지 = 순해외투자 → CA = If ※ 우리나라 : 1960-70년대 경제개발, 1997년 외환위기

경상수지의 결정원리 국민소득항등식: Y = (C + I + G) + CA = A + CA * C + I + G = A (국내총지출, domestic absorption) CA = Y – A Y = A ↔ CA = 0 Y > A ↔ CA > 0 → 현재 소비 수출, 미래 소비 수입 Y < A ↔ CA < 0 → 현재 소비 수입, 미래 소비 수출 * 경상수지 적자 축소 → Y 증가 또는 A감소

경상수지와 국내저축(1) 국내저축(S): S = Y - C – G Y = C + I + G + CA → S = I + CA CA = S - I : CA > 0 ↔ S > I , CA < 0 ↔ S < I 국내저축(S) = 민간저축(Sp) + 정부저축(Sg) (Sp = Y - T – C, Sg = T - G) CA = S - I = (Sp + Sg) - I CA = (Sp - I) + (T - G) = (Sp - I) - (G - T) (G - T < 0 → 재정적자) ※ 미국 : 쌍둥이 적자, 통상압력

화폐시장

통화량 통화량(화폐공급량):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총액 화폐: 상품 ∙ 서비스 구매 시 사용하는 통상적인 지불수단 1) 현금 통화량(화폐공급량):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총액 화폐: 상품 ∙ 서비스 구매 시 사용하는 통상적인 지불수단 1) 현금 2) 요구불예금: 자기앞수표, 당좌수표 3)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 신용카드 ? 통화량(M1) = 민간보유 현금 + 요구불예금 + 수시 저축성예금 MS = CP+ DD ※ 우리나라 통화량(M1): 2013년 12월말 504 조원

본원통화와 통화량 본원통화: 중앙은행이 발행한 현금의 총액 → 민간, 예금은행 (시재금, 중앙은행예치금) 본원통화: 중앙은행이 발행한 현금의 총액 → 민간, 예금은행 (시재금, 중앙은행예치금) 본원통화 = 민간보유 현금 + 예금은행의 지급준비금 H = CP + RB 본원통화 ① 민간보유 현금 → 통화량 증가 ② 예금은행으로 유입 → 요구불예금 → 통화량 증가

본원통화와 통화량 예) 예금은행을 통한 화폐창출 (지급준비율 = 10%) * 예금은행을 통한 화폐창출의 크기 신규 대출 통화량증가 1,000,000 900,000 810,000 729,000 729,000 … * 예금은행을 통한 화폐창출의 크기 → 지급준비율과 현금선호비율에 의해서 결정

본원통화와 통화량 지급준비율(α) : RB = α·DD, 0 < α< 1 현금선호비율(β) : CP = β·DD, 0 < β < 1 MS = CP + DD = β·DD + DD = (1 + β)DD H = CP + RB = β·DD + α·DD = (α +β)DD m = 통화승수 (m > 1) ※ 우리나라 2013년 (평균잔액): H = 91조, m = 5.54

중앙은행의 통화량 관리 중앙은행의 현금 공급 1) 정부 ∙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 → 국내여신(DC) 2) 국내 외환시장에서 외화 ∙ 외화표시 증권 매입 → 중앙은행의 대외준비자산(IR) H = DC + IR 통화관리수단 국내여신: 공개시장조작, 재할인율조정, 지급준비율변경 대외준비자산: 중앙은행의 외화자산 매매 ※ 불태화정책: ΔIR = -ΔDC

국제수지와 통화량 변동환율제도 국제수지 흑자 → 외환의 초과공급 → 환율하락 → 경상수지 악화 → 국제수지 균형 회복 → 본원통화와 통화량 불변 고정환율제도 국제수지 흑자 → 외환 초과공급 → 중앙은행 외환 매입 → 대외준비자산 증가 → 본원통화와 통화량 증가 ※ 이자율 하락 → 금융계정 악화 → 투자 증가 → 국민소득 증가 → 수입 증가

화폐에 대한 수요, 화폐시장의 균형 화폐에 대한 수요의 결정요인: 소득(Y) 증가, 물가(P) 상승 → 화폐에 대한 수요 증가 이자율(R) 상승 → 화폐에 대한 수요 감소 명목화폐수요(MD): 화폐단위로 측정 실질화폐수요(L): 화폐의 구매력(상품단위)으로 측정 L = L(R, Y) → MD = P∙ L(R, Y) → MD/P = L(R, Y) 화폐시장의 균형: MS = MD → MS/P = L(R, Y) 균형이자율: 실질통화량과 실질화폐수요를 일치하도록 만드는 이자율

화폐시장의 균형조건 이자율(R) A R0 L(R, Y0) 실질화폐수요(L) 실질통화량(Ms/P) MS0/P

통화량 증가와 이자율 이자율(R) A B R0 C R1 L(R, Y0) 실질화폐수요(L) 실질통화량(Ms/P) Ms1/P

실질국민소득의 증가와 이자율 이자율(R) C R1 A B R0 L(R, Y1) L(R, Y0) 실질화폐수요(L) 실질통화량(Ms/P)

거시경제이론: 개요

총수요와 총공급 총수요 : 모든 경제부문에서 일정 기간 동안 구매하려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액 총공급 : 모든 경제부문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하여 공급하려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액 거시경제균형: 총수요 = 총공급 → 균형 국민소득(GDP) 총수요 ≠ 총공급 → 물가조정을 통해 균형 달성    단기: 경직적인 물가 : 균형달성 지연 또는 불가능 장기: 신축적인 물가 : 균형달성 용이

고전학파와 케인즈학파 거시경제이론 고전학파 : 물가 신축성 가정 → 경제의 장기현상 중시 케인즈 학파    고전학파 : 물가 신축성 가정 → 경제의 장기현상 중시    케인즈학파 : 물가 경직성 가정 → 경제의 단기현상 중시고전학파 물가의 신축성 → 모든 시장에서 공급량 = 수요량 완전고용 상태 → 총생산(국민소득) = 잠재적 GDP   공급중시이론 케인즈 학파 물가의 경직성 → 수요량 ≠ 공급량 → 균형 회복 곤란 불완전고용 → 총생산(국민소득) < 잠재적 GDP    수요중시이론

케인즈 학파의 거시경제모형 케인즈의 단순모형 (교재, 제8장) 힉스(J. Hicks)의 IS-LM 모형 → 폐쇄경제 모형    힉스(J. Hicks)의 IS-LM 모형 → 폐쇄경제 모형    먼델(R. Mundell)과 플레밍(M. Fleming)의 IS-LM-BP 모형 → 개방경제 모형 (교재, 제9장)     

케인즈의 단순모형

케인즈의 단순모형: 가정 1) 물가 고정 → 국민소득(총생산)이 총수요에 의해서 결정 2) 화폐시장 등 금융자산 시장 무시 → 생산물시장만 고려 3) 자본거래 무시 → 국제수지가 경상수지만으로 구성 4) 이자율과 환율 등 모든 가격변수가 고정 ※ 총수요(AD) = 모든 경제부문에서 이루어지는 총지출     AD = C + I + G + CA

케인즈의 단순모형: 총수요의 결정요인 소비(C): C = C(Y) (국민소득 증가 → 소비 증가) 투자(I): 정부지출: 수입: M = M(Y)  (국민소득 증가 → 수입증가) 수출: (소국경제 가정) 경상수지: CA(Y) = - M(Y) ※총수요:

국내총지출 소비(C) 투자(I) 정부지출(G) O 국민소득(Y)

경상수지 수출(X), 수입(M) 경상수지(CA) M(Y) A O Y0 국민소득(Y) CA(Y)

총수요 총수요(AD) 국내총지출 경상수지(CA) A O Y0 국민소득(Y) CA(Y)

케인즈의 단순모형: 균형국민소득 균형국민소득 (균형 GDP): 총수요 = 총공급(총생산량, GDP)인 상태의 국민소득 균형조건(1) 균형조건(2)

균형국민소득의 결정(1) 총수요(AD) 45° AD A 45° 국민소득(Y) O Y1 Y2 Y3

균형국민소득의 결정(2) 경상수지(CA) 순해외투자(If) If = S - I Y0 O 국민소득(Y) CA0 CA = X - M

케인즈의 단순모형: 예시 총수요가 다음과 같을 때 균형국민소득과 경상수지는? C = 0.8Y + 20, I = 20, G = 40, X = 40, M = 20 + 0.3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AD(Y) = (0.8Y + 20) + 20 + 40 + {40 – (20 + 0.3Y) Y = AD(Y) → Y = 0.5Y + 100 → 0.5Y = 100 → Y0 = 200, CA0 = - 40 2) S = Y – C – G = 0.2Y – 60 → If = S – I = 0.2Y – 80 CA = 20 – 0.3Y If = CA → 0.2Y – 80 = 20 – 0.3Y

케인즈의 단순모형: 승수효과 케인즈의 단순모형:     투자정부지출 ∙ 수출 증가 → 총수요 증가 → 국민소득 증가 → 총수요 증가 → 국민소득 증가 (예) 소득의 80% 소비(10%는 수입품), 20% 저축 총수요 국민소득 소비 저축 수입 1,000(G) 1,000 800 200 100 700 560 140 70 490 392 98 49 ……

케인즈의 단순모형: 승수효과 국민소득 증가 = 1,000 + 1,000(0.7) + 1,000(0.7)2 + … 국민소득 증가 =  1,000 + 1,000(0.7) + 1,000(0.7)2 + … = 1,000(1 + 0.7 + 0.72 +…) = 1,000{1/(1 - 0.7)} = 1,000(1/0.3) = 3,333 승수효과: 총수요 증가 → 국민소득이 연쇄적으로 증가 승수효과의 크기: 국민소득 증가가 총수요를 얼마나 유발하는가에 따라 결정

케인즈의 단순모형: 승수효과 한계소비성향(MPC): 국민소득 증가 → 소비 증가 비율 (0 < MPC< 1) 한계저축성향(MPS): 국민소득 증가 → 저축 증가 비율 (0 < MPS < 1) * MPC + MPS = 1 한계수입성향(MPM): 국민소득 증가 → 수입품에 대한 지출 증가 비율 (0 < MPM < MPC)

케인즈의 단순모형: 승수효과 예시) MPC = 0.8, MPS = 0.2, MPM = 0.1, ΔG = 1,000 → ΔY = {1/(1-0.7)} 1,000 1 – 0.7 = 1 – (MPC – MPM) = (1 – MPC) + MPM = MPS + MPM ΔY = {1/(MPS + MPM)}ΔG * 1/(MPS + MPM) = 개방경제승수 * 개방경제승수는 MPS와 MPM이 작을수록 커진다. ΔCA = - MPMΔY = - {MPM/(MPS + MPM)}ΔG

케인즈의 단순모형: 승수효과 (예시) C = 0.8Y + 20, I = 20, G = 40, X = 40, M = 20 + 0.3Y 인 상태에서 정부지출이 60으로 증가하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G = 40 → Y0 = 200, CA0 = - 40 MPC = 0.8, MPM = 0.3, MPS = 0.2, ΔG = 20 → 1/(MPS + MPM) = 1/0.5 = 2 ΔY = 2∙20 = 40 → Y1 = 240 ΔCA = - (0.3/0.5)∙20 = -12 → CA1 = -52

케인즈의 단순모형: 해외반향효과 소국경제: 외국 국민소득이 자국 수출과 무관 대국경제: 외국 국민소득이 자국수출에 영향            → 자국 수입이 자국 국민소득에 영향 A국과 B국이 대국경제: 해외반향효과    A국 수입증가 → B국 수출 증가, 국민소득 증가, 수입 증가 → A국 수출 증가, 국민소득 증가, 수입 증가 → .......

IS-LM-BP 모형

IS-LM-BP 모형: 가정 물가 고정 → 국민소득(총생산)이 총수요에 의해서 결정 2)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을 동시에 고려 → 이자율이 화폐시장에서 결정 3) 국제적인 자본이동 가능 → 국제수지가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구성 ※ (구)자본수지 = (신)자본수지 + 금융계정

IS-LM-BP 모형: 생산물시장 소비: C = C(Y) (Y 증가 → C 증가) 투자: I = I(R) (R 상승 → I 감소) 정부지출: 수입: M = M(Y, q) (Y 증가, q 하락 → M 증가) 수출: X = X(q) (q 상승 → X 증가) 생산물시장의 균형조건: Y = AD Y = C(Y) + I(R) + + CA(Y, q) ※ CA(Y, q) = X(q) ― M(Y, q)

IS곡선의 도출(1) 총수요(AD) 45° AD(R2) B AD(R1) A 45° 국민소득(Y) O Y1 Y2

IS곡선의 도출(2) 이자율(R) C R1 D R2 IS Y1 Y2 국민소득(Y)

IS-LM-BP 모형: IS 곡선 IS곡선: 생산물시장이 균형을 이루는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곡선

IS곡선의 기울기 이자율(R) C B R2 A R1 IS Y2 Y1 국민소득(Y)

IS곡선의 이동: 정부지출 증가, 실질환율 상승 이자율(R) A B R1 IS(G2) IS(G1) O 국민소득(Y) Y1 Y2

IS-LM-BP 모형: 화폐시장의 균형 화폐시장의 균형조건: Ms : 중앙은행이 결정 (외생변수) P : 외생변수   L(R, Y) : R 상승 → L 감소 Y 증가 → L 증가

LM곡선의 도출(1) 이자율(R) R2 B L(Y2) A R1 L(Y1) O 실질통화량 실질화폐수요(L)

LM곡선의 도출(2) 이자율(R) LM D R2 C R1 O Y1 Y2 국민소득(Y)

IS-LM-BP 모형: LM 곡선 LM 곡선: 화폐시장의 균형을 이루는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곡선  ※ 화폐시장의 균형: 화폐에 대한 수요(Liquidity) = 통화량(Money supply) LM곡선의 기울기 > 0 통화량 또는 물가수준 변화 → LM곡선 이동

LM곡선의 기울기 이자율(R) LM B C R2 R1 A O Y1 Y2 국민소득(Y)

LM곡선의 이동: 통화량 증가, 물가하락 이자율(R) LM(M1) LM(M2) A B R1 O Y1 Y2 국민소득(Y)

IS-LM-BP 모형: 국제수지 균형 국제수지: 경상수지 + 자본수지 = 종합수지 경상수지: CA = CA(q, Y) 국제수지: 경상수지 + 자본수지 = 종합수지 경상수지: CA = CA(q, Y)  ※ q 상승, Y 감소 → 경상수지 개선 자본수지:  KA = KA(R, (Ee ― E)/E) ※ R 상승, (Ee – E)/E 하락 → 자본수지 개선 종합수지: BP = CA(q, Y) + KA(R, (Ee ― E)/E) 국제수지 균형 → 종합수지 균형:     BP = CA(q, Y) + KA(R, (Ee ― E)/E) = 0

BP곡선의 도출 이자율(R) C BP D A R1 F B O Y2 Y1 Y3 국민소득(Y)

IS-LM-BP 모형: BP 곡선 BP 곡선: 국제수지 균형을 이루는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모든 조합을 연결한 곡선 높은 자본이동성 → R이 조금 상승해도 자본유입이 크다. 낮은 자본이동성 → R이 크게 상승해도 자본유입이 작다.

BP곡선의 이동: 실질환율 상승 이자율(R) BP(q1) BP(q2) A R1 B O Y1 Y2 국민소득(Y)

자본이동성과 BP곡선의 기울기 이자율(R) BP2 D R3 C R2 BP1 R1 B A O Y1 Y2 국민소득(Y)

IS-LM-BP 모형: 완전한 자본이동성 완전한 자본이동성의 조건 1) 자본규제가 전혀 없다. 2) 국내자산과 해외자산이 완전대체제이다. 완전한 자본이동성   → 커버되지 않은 이자율평가조건이 성립   → R과 R*에 차이가 있으면 자본이 즉시 이동 → R = R* 성립 (예상환율상승률은 일정)

완전한 자본이동성과 BP곡선 이자율(R) A B R=R* BP O Y1 Y2 국민소득(Y)

IS-LM-BP 모형: 균형 IS-LM-BP모형의 균형조건: 1) 생산물시장의 균형 2) 화폐시장의 균형 3) 국제수지의 균형    1) 생산물시장의 균형 2) 화폐시장의 균형 3) 국제수지의 균형 IS-LM-BP 모형의 균형 → IS곡선, LM곡선, BP곡선이 모두 교차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이자율(R) LM A R1 B IS O Y1 국민소득(Y)

생산물시장·화폐시장의 균형과 국제수지 이자율(R) LM BP A IS O 국민소득(Y)

IS-LM-BP 모형의 균형(1) 이자율(R) LM BP A R0 IS O Y0 국민소득(Y)

IS-LM-BP 모형의 균형(2) 이자율(R) LM A R0=R* BP IS O Y0 국민소득(Y)

거시경제정책

거시경제정책: 목표 및 수단 거시경제정책의 목표 대내균형의 달성: 완전고용 실현, 실질 GDP 증대, 지속적 경제성장 등 대외균형의 달성: 종합수지 균형 등 거시경제정책의 수단 통화정책: 통화량 변동 재정정책: 정부지출 ∙ 조세제도 조정 환율정책: 환율변경

통화정책: 고정환율 + 완전한 자본이동성 이자율(R) LM0 LM1 A R0=R* BP R1 B IS0 O Y0 Y1

재정정책: 고정환율 + 완전한 자본이동성 이자율(R) LM0 LM1 B R1 R1 C A R0=R* BP IS1 IS0 O Y0 Y1 Y2 국민소득(Y)

거시경제정책: 고정환율제도 + 완전한 자본이동성 확대 통화정책:   일시적으로 R 하락 → I 증가 → Y 증가   R 하락 → 자본 유출 → BP 적자 → MS 감소 → R 상승 → I 감소 → Y 감소   최종 결과: 국민소득 불변 확대 재정정책:   일시적으로 R 상승 → I 감소 (구축효과) → Y 작게 증가 R 상승 → 자본 유입 → BP 흑자 → MS → R 하락 → I 증가 → 구축효과 상쇄 → Y 크게 증가   최종 결과: 구축효과 완전 상쇄 → 국민소득 크게 증가

통화정책: 변동환율 + 완전한 자본이동성 이자율(R) LM0 LM1 C A R0=R* BP B R1 IS1 IS0 O Y0

재정정책: 변동환율 + 완전한 자본이동성 이자율(R) LM0 B R1 R1 A R0=R* BP IS1 IS0 O Y0 Y1

거시경제정책: 변동환율제도 + 완전한 자본이동성 확대 통화정책:   일시적으로 R 하락 → I 증가 → Y 증가   R 하락 → BP 적자 → 환율 상승 → CA 개선 → Y 증가 최종 결과: I 증가 + CA 개선 → 국민소득 크게 증가 확대 재정정책: Y 증가, R 상승   일시적으로 R 상승 → I 감소 (구축효과) → Y 작게 증가   R 상승 → 환율 하락 → CA 악화 (국제구축효과) → Y 감소 최종결과: I 감소 + CA 악화 → 완전한 구축효과 → 국민소득 불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