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표준 치료방사선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기술 개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HYPERTHERMIA, 한국의학물리학회에 바란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김 명 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교실 김 명 세.
Advertisements

Theory and Design for Mechanical Measurements Prof. Bumkyoo Choi Depart. of Mechanical Engineering.
Plasma Electronics Laboratory Hanyang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Bio-Decontamination of Water and Surfaces by DC Discharge in Atmospheric Air.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김예슬 김원석 김세환. Info Northcutt Bikes Northcutt Bikes The Forecasting problem The Forecasting problem The solution 1~6 The.
Lesson 11 What’s Your Type? 여러분의 유형은 무엇인가요 ?. What job do you want to have in the future? 여러분은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갖고 싶은가 ? p.218.
도 입 Introduction 여러분 중에 부모인 분 손들어보세요. How many of you are parents? 여러분의 아이가 태어난 날부터 아이의 성장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 아이를 키우시겠습니까 ? What specific ways are you concerned.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New Infrared Technologies의High Speed 열화상 스캔 시스템 소개
User activities and proposals at FRIB
Background  In the Helsinki policemen Study Hyperinsulinemia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all-cause and CV mortality independent of other risk factors.
국제 저명인사 초청 멀티스케일 에너지 강좌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 프론티어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서울대학교
Imaging Modalities in Wounds and Superficial Skin Infections
Everolimus-Eluting Bioresorbable Scaffold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무선 충전 국제 표준 현황 -AirFuel Alliance-
Chapter 7 ARP and RARP.
Effectiveness of Recommendations to Prevent Reactivation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 Antagonists Loreto.
6.9 Redundant Structures and the Unit Load Method
Journals & Conferences
Dose calculation and verification for external beam therapy
Heavy Ion Facility, Present and Future
Nondestructive Material Testing with Ultrasonics
한-아세안 FTA 설명회 자료 한-아세안 FTA 주요내용 창원세관 통관지원과.
모형설계제작 서강대학교 기계공학과
Sentinel Lymph Node Biopsy in Multifocal or Multicentric Breast Cancer An approach by subareolar injection of blue dye HTG Dae-Kyum Kim, Sang-Uk Woo,
사망의 과정과 심폐소생술 생존 호흡부전 무수축 순환 회복 심실세동 기도폐쇄 뇌사 심폐소생술 심정지 대량실혈 뇌손상 사망 쇼크.
Delivery and Routing of IP Packets
방사선치료학 Radiation Oncology
생체계측 및 의료기기 (2004, 3rd quarter)
Internet Computing KUT Youn-Hee Han
KRISS 제6차 한∙중 국가표준기관장회의 참석 출장자: 원장 강 대 임 제출일자 :
DynaMed-What is EBM -What is Evidence-Based Medicine ?-
2016 전공의 연수강좌 [갑상선암]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문재훈.
소재제거 공정 (Material Removal Processes)
ICH-GCP, KGCP의 배경 및 기타 관련 규정
5장 측정표준과 참조표준 표준화와 측정.
신제품 출시 - EliA PR3S.
유방암 환자에서 Breast-Specific Gamma Imaging(BSGI)의 유용성
Current clinical practice for cholecystectomy after ERCP
Ⅳ-1 일반사항 (압력과 진공) 壓力 구분 眞空 구분 白色矮星 太陽中心 木星中心 地球中心 月中心 海構 大氣 核爆發 최고동압력
제 14 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1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Trends and Features of Urban Decline in Korea
숭실대학교 마이닝연구실 김완섭 2009년 2월 8일 아이디어  - 상관분석에 대한 연구
제 3장 임상시험 관련 규정 및 윤리적 이슈 학습목표 1. 의학윤리와 관련된 공식적인 기구 또는 협약 설명
SungKyunKwan University
방사선치료학 Radiation Oncology
Medical Instrumentation
적외선분광광도법 (infrared spectroscopy)
4-1 Gaussian Distribution
의료용 초음파 필드 실험 (바이오 융합 프로젝트1)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식물 세포 와 동물 세포 조영희
Department of AD & PR, Youngsan University
1.1 반도체 물질 1.2 고체의 종류 1.3 공간격자 1.4 원자결합 1.5 고체내의 결함과 불순물
Inferences concerning two populations and paired comparisons
Tae-Young Park1, Rae-Jun Park2 Sang-Suk Lee1
중대사고(Severe Accident)에 대한 이해와 전망
감마선스펙트럼 방사능측정 불확도 Environmental Metrology Center
안과 레이저 (Opthalmology laser)
제 세 동.
BMJ Best Practice - Your instant second opinion
저널클럽 검출기 조기현.
Lect28; Avalanche photo diode (APD)
이산수학(Discrete Mathematics)
Definitions (정의) Statistics란?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Nd YAG laser 한방의료공학과 김희주.
The R&D Boundaries of the Firm: An Empirical Analysis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창조론과 진화론 사상독서스쿨 아가피아 스쿨 5반.
Chapter 4. Energy and Potential
Presentation transcript:

(비 표준 치료방사선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기술 개발) 치료방사선량 절대측정기술 개발 현황 (비 표준 치료방사선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기술 개발) 2018. 05. 23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가속기과학과 전 국 진

전리방사선에 의한 세포사멸 Ionization of atom Destruction of molecular bonding Cancer cells are more sensitive to radiation damage compared to healthy cells Destruction of molecular bonding Damage to DNA Cell death

Radiotherapy 원리 Repair Repopulation Reoxygenation Redistribution 정상세포 보호 종양세포 사멸 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Radiotherapy vs Radiosurgery Vnormal Vtarget >> 1.0 Use 4R’s Vnormal Vtarget << 1.0

Radiosurgery - requirements 100 병소: 최대선량 (처방선량) 병소 주변 정상세포: 최소선량 Highly accurate Steep dose gradient

Radiosurgery, How? 입자빔: 양성자, 헬륨, 탄소 감마선, 고 에너지 X-선 Bragg peak Come from many directions 감마나이프 LINAC

측정 물리량-물 흡수선량, 정밀측정 장비-열량계 흡수선량 (D ) : Absorbed Dose 매질에 입사한 방사선 (직접, 간접)에 의하여 매질의 단위질량 당 부여된 평균에너지 : 미소질량 내에 부여된 평균에너지 열량계를 이용한 흡수선량 측정 (Calorimetric Measurement) 흑연 (물) 열량계와 Wheatstone Bridge를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매질에 흡수되는 에너지를 매질의 온도변화로 직접 측정하여 흡수선량 결정 (C) E : 체적에 흡수된 에너지  : Thermal Defect Meff: 체적의 유효질량 C : 체적의 비열 (specific heat)

가장 정확한 흡수선량 측정법 = 열량계를 이용 온도변화 직접 측정 열량계를 이용한 물 흡수선량 측정 물 흡수선량 (Absorbed Dose to Water) : 방사선 조사 시 물에 흡수되는 선량 인체 흡수선량 평가 첨단방사선치료 기기 : 인체 대상, 1회 고 선량 (20~60 Gy) 정확한 물 흡수선량 측정이 매우 중요 흑연 열량계 물 열량계 흑연 흡수선량 절대측정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 물- 흑연 환산인자 물 흡수선량, Dw 가장 정확한 흡수선량 측정법 = 열량계를 이용 온도변화 직접 측정

열량계 개발 현황 및 물 흡수선량 국가표준 현황 국가 국가표준장비 (표준기관) 미 보유 국제도량형국 (BIPM) 이온전리함 (흑연열량계로 전환 : 2010) 미 국 (NIST) 물 열량계 호 주 (ARPANSA) 흑연열량계 영 국 (NPL) 네덜란드 (Nmi) 벨기에 (LSDG) 오스트리아 (BEV) 캐나다 (NRCC) 이탈리아 (ENEA) 독 일 (PTB) (화학선량계) 프랑스 (BHN-LNHB) 스위스 (METAS) 러시아 (VNIIFTRI) 아시아 국가 (NMIJ, BARC, NIM) 미 보유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 및 보급 현황 (감마나이프) DW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 물 흡수선량 교정 및 보급체계 : 이온전리함을 기준방사선장에서 교정 이온전리함의 NDw 값 제공 NDw 를 적용하여 감마나이프 빔에 대한 물 흡수선량 측정 IAEA TRS-398 프로토콜을 준용하여 선량 측정 기존 물 흡수선량 교정 체계의 문제점 빔 방향, 개수 등 방사선치료장비 치료환경이 교정조건과 상이 이온전리함: 물 열량계보다 부정확 빔 크기 10 x 10 cm2 에서의 NDw : 작은 크기의 치료빔에서 부정확 물 흡수선량 측정/교정 기준조건 ≠ 첨단방사선치료/수술 치료환경

첨단 방사선치료기기 물 흡수선량 측정의 문제점 표준선장 (standard field) : IAEA code of practice 적용 방사선장 첨단 방사선치료 환경에서의 선장: 비 표준선장 (nonstandard field) IAEA TRS 398 Novalis CyberKnife Gamma Knife Calibration water air/water Beam single 192/201 SSD 100 cm 80 cm ~ 40 cm Field size 100x100 mm (min. 3 mm) 60mm circle (min. 5 mm) 16/18 mm (min. 4 mm) Phantom plastic Depth 5 g/cm2 8 g/cm2 주된 문제점 IAEA+AAPM working group 제안 열량계의 소형화 표준선장에서 교정된 이온전리함의 교정정수를 이용한 비 표준선장에서의 흡수선량 측정: 선장의 크기가 작을수록 dosimetric error가 급격하게 증가 방사선치료장비의 비 표준선장이나 IMRT 치료기법의 small field의 선량 평가 시 새로운 개념의 장비 특성 보정인자 및 치료빔 특성 보정인자 적용 제시 Small field 물 흡수선량 측정용 소형 열량계 개발 11

Dosimetry of Small Static Fields Used IN External Beam Radiotherapy 1) For conventional radiotherapy, dosimetry is based on widely adopted codes of practice (COPs) such as IAEA TRS-398 (Absorbed Dose Determination in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for Dosimetry Based on Standards of Absorbed Dose to Water),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AAPM) publication titled AAPM’s TG-51 Protocol for Clinical Reference Dosimetry of High-Energy Photon and Electron Beams. 2) These and other dosimetry protocols are based on measurements using an ionization chamber with a calibration coefficient in terms of absorbed dose to water, traceable to a primary standards dosimetry laboratory (PSDL) for reference conditions, such as a conventional field size of 10 cm × 10 cm. Departure from reference conditions, such as the determination of absorbed dose to water in beams of different field sizes, were considered in less detail, or not included at all. 3) However, in radiotherapy there has been an escalation in the use of small static fields that has been facilitated by the generalized availability of standard and add-on multileaf collimators (MLCs) and a variety of treatment machines of new design. 4) This has increased the uncertainty of clinical dosimetry and weakened its traceability to reference dosimetry based on conventional COPs. At the same time, dosimetric errors have become considerably larger than with conventional beams, mostly for two reasons: (a) The reference conditions recommended by conventional COPs cannot be realized in some machines; (b) The measurement procedures for determination of absorbed dose to water in small and composite fields are not standardized. In some cases accidents have occurred owing to the use of methods and procedures that are appropriate for large fields but not for small fields. 5) In 2008 this working group published a formalism for the dosimetry of small and composite fields. 6) This formalism introduced the concept of two new intermediate calibration fields: (i) a static machine specific reference (msr) field for those modalities that cannot establish conventional reference conditions and (ii) a plan class specific reference field that is closer to the patient specific clinical fields and thereby facilitates standardization of composite field dosimetry. 12

Small field 물 흡수선량 정밀측정 기술 현황 이온전리함 (Pin-Point), Diamond detector, Diode Detector 등을 이용한 측정기술  작은 수집체적 (sensitive volume) 측정장비 제작기술의 발전으로 100 % 상용화 예: PTW 31014 (0.015 cm3), Exradin A16 (0.007 cm3), PTW type 60003 (1.9 cm3)  Field size가 2×2 cm2 이하에서 측정장비 별 측정값의 차이가 급격히 증가  측정되는 물리량 (전하량 또는 전류)을 선량으로 전환하기 위한 small field에서의 정확한 NDW 값의 결정이 필요  소형 측정장비의 측정반복성에 대한 안정도 (long term stability)가 낮아서 측정값의 신뢰도 미흡  Small field에서 물 흡수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절대측정장치 개발이 필수적임

Small field 물 흡수선량 정밀측정 기술 현황 물 흡수선량 절대측정용 소형 열량계 개발 현황 단면적이 2×2 cm2인 흑연열량계 개발 (prototype)에 관한 소수의 논문 발표  환산인자 (물-흑연) 적용 필요 기계적 가공의 한계 (dmin > 5 mm)  여전히 치료빔 사이즈보다 큰 크기 6mm 10 mm Renaud et al., Medical Physics, 2013 6 mm diameter x 10 mm long Duane et al, 2012 5 mm diameter

열량계 소형화 핵심기술: 미세유체 기반 초소형 열량계 개발 Parylene 박막 미세 물 채널 개략도 Wang et al. J. Micro. Sys. 2008 미세유체 초소형 열량계 핵심기술 미세유체 (microfluidic) 기반 물 열량계  Parylene 박막 (~ 5 μm) 미세 물 채널 진공 박막 구조 + 고감도 thermistor 온도센서  미세 물 채널 외부의 진공 단열  정밀 열량측정 (ΔT < 10-4 ℃) Membrane

입자빔 방사선장 (small field) 물 흡수선량 정밀측정 기술 소 조사야 입자빔 방사선장 물 흡수선량 측정으로의 초소형 열량계 적용기술 평행평판형 이온전리함 (Markus, Roos 등)을 이용한 입자빔 방사선장 측정  선량측정은 여전히 교정기관의 기준 물 팬텀을 이용하여 NDW 값 결정 입자빔 방사선장에 대한 물리적 현상은 전자기파 방사선장과는 전혀 다르며 고 에너지 입자선의 물과 고분자에 조사 시 일어날 핵반응 등을 고려한 선량측정 기술은 아직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 않음. 최근에 개발되는 입자빔 가속기는 pulsed accelerator 기반임.  Pulse의 반복성과 각 pulse 당 dose의 정확한 측정은 매우 중요한 사안임.  Pulse 당 전달선량의 불확도를 1 %로 달성하고 pulse에 따른 선량값의 차이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정밀측정기술 개발 (pulse 당 선량값이 20 배까지 차이가 날 수 있다고 보고됨)이 요구됨. Beam scanning 시 depth 방향과 transverse 방향으로의 선량분포 측정기술 개발이 필수적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