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완전경쟁시장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의 특성 경쟁의 의미 경쟁(competition)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음. 시장의 구조(structure)와 관련된 특성 경제이론에서는 경쟁의 행위보다 시장의 구조적인 측면을 강조함. 판매자와 구매자의 행위(conduct) 기업가들의 통상적인 관점으로 이윤을 둘러싸고 다른 기업과 벌이는 치열한 싸움 경제이론에서의 경쟁은 동일한 상품을 생산공급하는 기업의 수가 너무 많아 어느 한 기업이 다른 어떤 기업과 경쟁한다는 사실조차 느낄 수 없는 상태로 시장의 구조적인 측면을 강조함.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의 특성 완전경쟁시장을 위한 조건 완전경쟁(perfect competition)이라는 상황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 가격수용자(price taker)로서의 공급자와 수요자 동질적인 상품(homogeneous product) 자원의 완전한 이동성, 즉 자유로운 진입(entry)과 이탈(퇴출 : exit)이 가능해야 함. 완전한 정보 위의 네 가지 조건을 두루 갖춘 시장을 현실에서 발견하기란 매우 어려움. 그러나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음. 현실예측력과 이상적인 시장형태라는 점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완전경쟁시장을 위한 조건 단기와 장기 초단기(very short-run) 또는 시장기(market period) 고려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 상품의 공급량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 공급곡선은 수직형태 단기(short-run) 기존 기업의 산출량 변화를 통한 공급의 조절은 가능해도, 신규 기업이 진입이나 기존 기업의 이탈을 통한 공급의 조절은 불가능한 기간 장기(long-run) 신규 기업의 진입이나 기존 기업의 이탈이 가능할 만큼 충분히 긴 시간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이윤극대화 완전경쟁시장에서 개별 기업은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은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임. 가격수용자(price taker) 이는 산업 전체로 볼 때 시장수요곡선은 우하향하지만, 개별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시장 전체의 수요공급곡선에 의해 균형가격이 결정되면 개별 기업은 주어진 가격수준에서 원하는 만큼 판매가 가능함. 개별 기업은 자신의 생산능력 범위 내에서 생산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시장가격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하며, 주어진 가격으로 원하는 만큼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개별 기업이 인식(또는 직면)하는 수요곡선은 수평 형태가 됨. 완전탄력적(perfectly elastic)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이윤극대화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이윤극대화 산업 전체로 볼 때 수요곡선은 우하향함. 그러나 개별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수요곡선은 시장에서 결정된 균형가격과 같은 높이를 갖는 수평선이 됨. 앞에서 수요곡선으로부터 한계수입곡선을 도출하였는데, 수요곡선이 수평 형태이면 바로 그것이 한계수입곡선이 됨. 따라서 어떤 상품의 가격(P)이 P*이면 한계수입(MR)도 P*로 일정하므로 한계수입곡선은 수평 형태가 됨. 이윤극대화 생산량은 단기한계비용곡선(SMC)과 한계수입곡선(MR)의 교차점에서 생산량이 Q*일 때임.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음. P(=MR)=MC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이윤극대화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이윤극대화 여기서 선분 BC와 상품 판매량인 선분 AB의 곱인 □P*ABC의 면적이 이윤의 크기를 나타냄. 그런데 P=MC라는 조건이 충족된다고 해서 반드시 이윤이 발생하는 것은 아님. 즉,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음. 이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것은 단지 손실이 극소화되었음을 의미할 뿐임. 기업이 생산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실을 극소화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극소화된 손실이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매몰비용(sunk cost)보다 작은 한 의미가 있음. 그러나 극소화된 손실이 매몰비용보다 더 크면 생산을 중단하고 매몰비용만큼 손해를 보는 것이 더 나음.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기업은 주어진 가격이 한계비용과 일치하는 수준에서 상품을 생산하고 공급함. 그러나 한계비용곡선 자체가 바로 기업의 공급곡선이 되지 않음. 왜냐하면 주어진 가격이 너무 낮아 극소화된 손실이 매몰비용보다 더 크면 생산을 중단하는 것이 더 나음. 따라서 공급량은 0이 됨. 즉, 가격이 이렇게 낮은 경우에는 한계비용곡선은 공급곡선의 일부가 될 수 없고 공급곡선은 원점에서 시작하는 수직선(초록색 선분 0P2)과 일치함. 고정비용 전체가 매몰비용의 성격을 갖는다면, 총수입(TR)이 총가변비용(TVC)보다 작을 때 기업은 생산을 중단하게 됨.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이 경우에는 손실이 총고정비용(즉, 매몰비용)보다 더 커지기 때문에 생산량을 0으로 줄임. 왜냐하면 매몰비용만큼만 손해를 보는 것이 더 낫기 때문임. 기업이 생산을 중단하는 선택을 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음. 고정비용 전체가 매몰비용의 성격을 갖는다고 가정함. 총수입(TR)총가변비용(TVC)일 때 생산을 중단함. 이 가격을 생산중단가격(shutdown price)이라 함. 그리고 총가변비용(TVC)이 최저가 되는 점을 생산중단점(shutdown point)이라 함. 손실=총비용(TC)-총수입(TR)총고정비용(TFC)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총비용(TC)=총고정비용(TFC)+총가변비용(TVC)의 관계를 이용하여 식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총비용(TC)-총수입(TR)총고정비용(TFC) TFC+TVC-TRTFC 총가변비용(TVC)총수입(TR) 위 식의 양변을 생산량(Q)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음. 평균가변비용(AVC)가격(P) 결국, 평균가변비용(AVC)이 가격(P)을 상회하면 생산을 아예 중단하는 것이 나음.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기업의 단기공급곡선 완전경쟁기업은 가격(P)과 한계비용(MC)이 일치하는 점(P=MC)에서 생산하므로 평균가변비용곡선(AVC)의 최저점을 상회하는 한계비용곡선(MC)이 완전경쟁기업의 단기공급곡선임. 손익분기점 생산중단점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산업(industry)이란 동일한 상품을 생산하는 여러 개의 기업들(firms)로 구성된 기업들의 집합을 말함. 개별 기업의 단기공급곡선이 주어져 있을 때 이들을 수평으로 합하면 완전경쟁산업의 단기공급곡선이 도출됨( SS곡선). 그러나 이 도출과정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모든 기업들이 동시에 생산량을 늘려도 생산요소들의 가격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 현실에서는 한 산업 내의 모든 기업이 동시에 생산량을 늘리면 그 산업에서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는 투입요소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투입요소의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임.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왜냐하면 투입요소 수요의 증가에 따라 투입요소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개별 기업의 단기한계비용곡선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 즉, 개별 기업은 투입요소의 가격이 불변인 경우보다 더 높은 가격을 받아야만 상품을 공급하려는 태도를 보임. 그 결과 투입요소 가격이 변화하는 경우 산업 전체의 공급곡선은 더욱 가파른 기울기를 가질 것임(SS곡선). 비탄력적인 공급곡선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산업의 단기공급곡선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산업의 단기균형 단기에서 시장 전체의 균형(short-run equilibrium)은 시장공급곡선과 시장수요곡선이 교차하는 E점에서 달성되고 균형가격은 P*, 균형량은 QM*가 됨. 개별 기업은 시장 전체의 균형가격 P*를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한계수입곡선(MR)과 단기한계비용곡선(SMC)이 교차하는 F점에서 Q*의 생산량을 선택함. 개별 기업은 비용조건에 따라 단기적으로 초과이윤 또는 정상이윤을 얻을 수도 있고, 그리고 손실을 볼 수도 있음. 가격(P)이 단기평균비용(SAC)을 상회하면 초과이윤, 가격과 단기평균비용이 일치하면 정상이윤, 그리고 가격이 단기평균비용을 하회하면 손실을 봄.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단기균형 산업의 단기균형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 장기균형의 개념 장기균형이란 더 이상 기존 기업의 이탈(퇴출 : exit)이나 신규 기업의 진입(entry)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함. 장기균형하에서는 기존 기업의 설비규모 조정도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음. 장기조정과정 기존 기업에 의한 장기조정 장기에는 기존 기업의 설비규모 자체도 자유롭게 선택이 가능함. 즉, 기존 기업은 자신의 장기비용곡선상의 한 점을 선택하여 P=LMC를 만족시키는 B점에서 생산량은 를 선택하고 이때 SAC2를 대표하는 설비규모를 선택함. 기존 기업은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시장상황에 적응함. K ─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 장기조정과정 기존 기업에 의한 장기조정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 장기조정과정 산업의 장기조정 신규 기업들의 진입과 기존 기업들의 이탈을 통한 장기조정도 이루어짐. 경제적 이윤이 정(+)의 값(초과이윤)을 갖는 한 신규 기업이 진입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산업 전체의 공급량이 증가하여 시장공급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함. 그 결과 상품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어 수익성이 나쁜 기업들이 이탈함에 따라 공급량이 감소하여 시장공급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켜 상품의 가격은 점차 상승하는 방식으로 장기조정이 이루어짐.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 장기균형 완전경쟁하의 시장이 장기균형(long-run equilibrium)의 상태에 도달했다는 것은 다른 교란요인이 없는 한 현재의 생산량과 가격이 계속 유지될 것임을 의미함. 완전경쟁하에서 장기균형 상태가 성립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음. 현재의 시장가격에서 각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선택해야 함. 즉, 가격(P)과 장기한계비용(LMC)이 일치해야 함: P=LMC 이 시장에 진입하려는 기업도 없고 이탈하려는 기업도 없어야 함. 즉, 가격(P)과 장기한계비용(LMC)이 일치하여 기업은 0의 경제적 이윤인 정상이윤만 얻어야 함. 시장에서의 수요량과 공급량이 서로 일치해야 함.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 장기균형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에서는 다음과 같은 등식관계가 성립함(그림에서 F점). 가격(P)과 장기평균비용곡선(LAC)의 최저점과 일치함. 즉, 초과이윤도 손실도 없는 상태임. P=LMC와 P=LAC 장기균형점인 F점에서는 다음의 관계가 성립함. P=AR=MR=SMC=SAC=LMC=LAC 완전경쟁시장은 장기에서 생산과 소비의 효율성이 나타나므로 가장 바람직한 시장형태임.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하의 장기균형 장기균형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장기공급곡선의 도출 산업 전체의 단기공급곡선은 개별 기업의 단기공급곡선(한계비용곡선)을 수평으로 합계하여 도출됨. 그런데 장기에는 진입과 이탈이 이루어져 기업의 수가 가변적이므로 개별 기업의 장기공급곡선을 수평으로 합계하여 산업 전체의 장기공급곡선을 도출할 수 없음. 그리고 산업 전체의 장기공급곡선은 시장의 장기균형점들을 연결하여 도출하게 됨. 장기에는 손실이 발생할 경우 개별 기업은 생산을 중단할 것이므로 개별 기업의 장기공급곡선은 장기평균비용비용곡선(LAC)의 최저점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장기한계비용곡선(LMC)이 됨.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장기공급곡선의 도출 장기균형 상태에서 어떤 이유로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초과이윤이 발생하게 되고, 초과이윤이 발생하면 신규 기업의 진입으로 생산량이 증가함. 산업 전체 생산량이 증가하면 요소수요가 증가하게 되는데 요소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요소가격이 불변인 경우(비용불변산업)에는 장기공급곡선은 수평의 형태로 도출됨. 반면, 요소가격이 상승하는 경우(비용체증산업)에는 장기평균비용(LAC)과 장기한계비용(LMC)이 상방으로 이동하므로 장기공급곡선은 우상향의 형태로 도출되고, 요소가격이 하락하는 경우(비용체감산업)에는 장기평균비용(LAC)과 장기한계비용(LMC)이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장기공급곡선은 우하향의 형태로 도출됨.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비용불변산업(constant cost industry)의 장기공급곡선 수요 증가 가격 상승 초과이윤 발생 신규 기업 진입 생산량 증가 요소수요 증가 요소가격 불변 비용곡선 불변 장기공급곡선 수평 형태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비용체증산업(increasing cost industry)의 장기공급곡선 수요 증가 가격 상승 초과이윤 발생 신규 기업 진입 생산량 증가 요소수요 증가 요소가격 상승 비용곡선 상방이동 장기공급곡선 우상향 형태 사례 : 건축경기 과열시 건축지재의 가격 상승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산업의 장기공급곡선 비용체감산업(decreasing cost industry)의 장기공급곡선 수요 증가 가격 상승 초과이윤 발생 신규 기업 진입 생산량 증가 요소수요 증가 요소가격 하락 비용곡선 하방이동 장기공급곡선 우하향 형태 사례 : 교통 및 통신망의 확충 또는 금융서비스상의 이점 발생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의 후생경제학적 의미 완전경쟁시장의 평가 장점 완전경쟁시장에서는 단기 및 장기에서 항상 시장가격(P)이 한계비용(MC)과 일치함. 한계비용 가격설정(marginal cost pricing) 한계비용 가격설정은 사회적인 관점에서 자원배분이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후생이 극대화됨. 장기균형에서 생산자는 정상이윤만 획득함. 장기균형에서는 장기평균비용(LAC)의 최저점에서 생산됨. 최적시설규모하에서 최적생산량
제10장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의 후생경제학적 의미 완전경쟁시장의 평가 단점 완전경쟁시장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시장형태는 현실적으로 존재하지 않음. 자원배분의 효율성은 달성되지만 소득분배의 공평성은 보장하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