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listen to me, you will know what is right, just, and fair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Korea Office Germany today – 20 years after unification Christoph Pohlmann Resident Representative, Friedrich-Ebert-Stiftung (FES) Korea Hannam University.
Advertisements

★질문 1: Pai 가 원하는 것은 할아 버지의 ( ) 과 ( ) 이 다. ★질문 2: Maori 족 선조의 이름과 직업은 ?? ( ), ( ) Attention 관심 Love 사랑 이름 Paikea 직업 the whale rider.
Theology (1) Lecture Part IV: The Work of God Chapter 15 Providence ( ) Jintae Kim, PhD Alliance Theological Seminary Nyack, NY (845)
Where God Wants Me 나를 항상 인도해주시는 하나님 Sit back and let the show run by clicking ‘slide show’
“ PPT WORLD PowerPoint template, you can become an expert. Your wishes for the successful presentation. Our company wishes to own a successful presentation.
현재 시제 과거 시제 2-1. 한국어의 과거시제 : 영어 과거시제 + 현재완료 한국어의 과거시제는 영어의 과거 시제와 현재완료의 개념을 포함한다. I hate him. He is rich 현재의 일 I enjoy listening to music. I take.
2009 년 12 월 27 일 송년 주일 예배 설교 Christmas Service Sermon: Dec. 27, 2009 성경 : 요 17:20-23 Bible: Jn. 17:20-23 제목 : 그리스도안에서 하나됨 Title: United in Christ.
Leadership Meeting Please sign attendance sheet Let us give praise to God for what He is doing in our midst! 네가 하는 일을 여호와께 맡겨라. 그러면 네가 계획한 일이.
Lesson 2 A Caring Friend. Making true friends is hard. Keeping them is even harder. To keep a good friendship, you need to care about others. Then, how.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전개 -응용: 연구주제 선정 연습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전개 -응용: 연구주제 선정 연습 한성대 김양우.
영한 번역 : 유샤인 여자의 눈물 Tears of a Woman.
2009 년 6 월 28 일 영어 연합예배 설교 English Joint Service: June 28, 2009 성경 : 마 28:16-20 Bible: Mt. 28:16-20 제목 : 삼위일체 하나님의 초청 Title: The God who is the Holy Trinity.
Lesson 11 What’s Your Type? 여러분의 유형은 무엇인가요 ?. What job do you want to have in the future? 여러분은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갖고 싶은가 ? p.218.
도 입 Introduction 여러분 중에 부모인 분 손들어보세요. How many of you are parents? 여러분의 아이가 태어난 날부터 아이의 성장을 위해 어떤 방법으로 아이를 키우시겠습니까 ? What specific ways are you concerned.
평코칭 리더용 제2과: 자산평가와 자기발견 GO Thrive Coaching S Belmont Dr
선생님께서 아실만한 내용이죠..
Green Ajou Administrative Procedures그린아주 운영절차
A: Could you tell me how to make a call from this phone
1-1. How to Make a Strong First Impression vocabulary
성인지 예산의 이해 책임연구자 강남식·공동연구자 강선미.
노 화 노화란 무엇인가? 노화 현상의 특성 (노인의 특성)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Seoul Jar Project SMVD | 양소은 | 정은지 Design P&R Assignment Concept Research.
Unit 2. No Time for Exercise?
Journals & Conferences
한반도 정세와 동북아 안보.
LISTEN AND UNDERSTAND LISTEN AND SING
공지사항 5월27일 (수) “정당개혁: 저자와의 대화” 행사 5월 28일 (목) 4시 30분 법학과 401호
주일예배 2012년 03월 17일 존귀하신 주님의 이름으로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제 14 장 < 조 동 사 >.
주일예배 2012년 01월 27일 존귀하신 주님의 이름으로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Notice Holiday 멕시코 휴일 안내 - 죽은 자의 날 - Nov 안녕하세요!
사도들의 행적 I Melbourne City Church Apostles Acts
Talk and Talk 영어 8-a Lesson 6 I’m a Sea Turtle>TALK AND TALK>4/8
One more step 영어 8-b Lesson11 Loving is Doing >ONE MORE STEP>8/8
제 14 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Chapter 2. Finite Automata Exercises
KMS 구현 및 활용사례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02년 5월 28일(화) 김 연 홍 상무 / 기술사
Team no.13 Tech TonicS.
주일예배 7교회.
Plácido Domingo und John Denver
If the world were a village of 100 people
The Best Thing I've Learned This Year
Write and say bye to friends,
패러다임과 과학혁명.
성문영어구문 pattern 관계대명사의 생 략.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GOD.
현대정당의 이해 (CONTEMPORARY political parties) PROF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Read and Think 영어 8-a단계 A Story of Two Seeds(3/8) [제작의도] [활용방법]
: 부정(negative)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나와 함께 깨어 있으라 하시고(마태복음 26:38)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The Character of God and the Christian Life
Speaking -두 번째 강의 (Part 1 실전테스트 1,2) RACHEL 선생님
제 세 동.
현상이 아니라 말씀이 때를 알려준다!! Melbourne City Church The Acts of Paul 06
2005년 3분기 경영실적(잠정) October, 2005.
1&2 PETER I 세상소망이 아니라 하늘소망으로 살라!! Melbourne City Church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요21:15-17.
평생 간직할 멋진 말 Excellent thought applicable through our whole life
물질(Matter)의 이론 (사물의 본질에 대한 의문)
• I was touched by my friends’ effort.
Jintae Kim, PhD Alliance Theological Seminary Nyack, NY (845)
Presentation by Timothy Kane
1월(Jan) 역대지상 4장10절   야베스가 이스라엘 하나님께 "나에게 복에 복을 더해 주시고, 내 영토를 넓혀 주시고, 주님의 손으로 나를 도우시어 불행을 막아 주시고, 고통을 받지 않게 하여 주십시오" 하고 간구하였더니 하나님께서 그가 구한 것을 이루어 주셨다. Jabez.
빈칸에 알맞은 것을 [보기]에서 골라 문장을 완성하시오
주일예배 2012년 03월 31일 존귀하신 주님의 이름으로 모든 분들을 환영합니다.
Ⓒ Copyright CARROT Global. All Rights Reserved.
Speaking -여섯 번째 강의 (Review ) RACHEL 선생님
Sawasdee ka.
Presentation transcript:

If you listen to me, you will know what is right, just, and fair If you listen to me, you will know what is right, just, and fair. You will know what you should do. You will become wise, and your knowledge will give you pleasure. your insight and understanding will protect you and prevent you from doing the wrong thing. They will keep you away from people who stir up trouble by what they say-men who have abandoned a righteous life to live in the darkness of sin, men who find pleasure in doing wrong and who enjoy senseless evil, unreliable men who can not be trusted.

You will be able to resist any immoral woman who tries to seduce you with her smooth talk, who is faithless to her own husband and forgets her sacred vows. If you go to her house, you are traveling the road to death. To go there is to approach the world of the dead. No one who visits her ever comes back. He never returns to the road to life. So you must follow the example of good men and live a righteous life. Righteous men-men of integrity-will live in this land of ours. But God will snatch wicked men from the land and pull sinners out of it like plants from the ground.

제 11장 역량강화와 사회복지실천 1, 의식향상 여성운동 초기에 성행하던 활동으로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와 여성 모두가 처한 사회적 상황을 인식하고 문제의식을 갖고 여성운동에 동참하도록 돕기 위해 자주 사용되었다-여성의 전반적인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여성문제에 대한 의식이 향상됨. 여성을 위한 의식화로 여성들이 직면한 삶의 조건과 문제들이 여성 개인의 문제이기보다는 여성들이 처해 있는 사회 제도적이고 구조적인 모순에서 나온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의식향상훈련 과정 1) 개방 = 지지적이고 온화한 분위기에서 여성으로서의 개인적 경험을 나누면서 친밀감과 신뢰감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행동으로서의 출발점은 개인적 경험인 여성으로서의 삶의 모순을 인식하고 벗어나기 위한 노력으로서, 자신의 삶을 개방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개방은 여성 특유의 경험들과 부정적이고 수치스러운 경험에 대해서도 개방할 수 있는 용기를 가짐으로써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2) 공유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상황에서 여성의 위치를 찾으며 주관적인 경험을 객관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여성문제의 사회적 근원을 인식하게 됨에 따라 응집력이 강화된다. -개인적인 경험들=혼자만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인 문제라는 것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두가 힘을 합해야 한다는 것에 대한 공감대 형성 3) 분석 여성의 성역할 분업을 재검토하며 사회에서 여성의 위치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개인적인 경험을 통합한다. 여성들이 당면한 문제들이 어디서 기인하는 것인지를 사회구조적으로 분석해 보며 그 원인을 파악해 보는 과정이다.

자신 내부에 잠재된 능력에 대한 통찰과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수단과 능력에 대한 통찰과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수단과 능력에 대한 인식을 나눈다. 의식향상집단을 위한 기본적 기술은 문제제기 대화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나는 누구인가?’ ‘누가 말하는가?’, 이러한 정의로부터 누가 이익을 보는가?’ 무엇이 변해야 하며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이다.

2. 자기주장훈련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거나 생각을 표현하기보다는 절제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겨왔다. 여성스럽지 못한 여자로 인식되어 왔던 것을 불식하는 것은 물론 여성들이 좀 더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자기주당의 기본적 요소 첫째, 상대방의 말을 경청한다. 둘째, 상대방에 대해 예의를 지킨다 셋째, 자기주장을 하기 전에 상대방을 공감적으로 이해한다. 넷째, 자신이 자기주장을 하는 이유를 간단히 설명한다

다섯째,.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지 말고 서로가 받아들일 수 있는 타협안을 제시한다. 여섯째, 자신의 말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분명히 전달하기 우해 “나 전달법”을 사용한다. 일곱째,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참지 않고 표현한다. 여덟째, 자신의 마음속에 있는 그대로를 정직하게 나타낸다. 아홉째,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직접 나타낸다 (최선화, 2005).

사람들이 자기주장을 하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적 이유: 자기주장을 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권리, 문화적 가치, 행동규범 등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나 판단. 둘째, 정서적 이유: 자기주장을 하고 난 뒤 상대방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에 대한 염려나 불안 또는 걱정을 하는 경우, 또는 아직 자기주장을 하는 방법이나 기술. 셋째, 행동적 이유: 자기주장을 하는 방법이나 기술, 또는 요령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 고 하였다 (Rakos & Schroeder, 1980; 이은숙, 1996: 5 최선화에 의해 재인용).

자기주장훈련 첫째, 행동적 주장훈련은 자기주장을 못하는 원인을 감소시키고 자기주장을 학습하도록 훈련하는 방법을 말한다. 행동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자기통제이론 행동적 주장훈련은 시범(modeling), 관찰(Observation), 역할연기(role-playing), 지도 (coaching), 행동연습 (Behaviour rehearsal), 훈련자 및 지도자에 의한 피드백, 실제장면에서 자기주장을 하도록 과제를 제시하는 방법. 둘째, 인지적 주장훈련이란 자기주장과 관련된 인식을 변화시켜 자기주장을 할 수 있게 하는 훈련이다. 인지적 학습방법에서 강조된 합리적-정서적 치료와 자기언어는 실제로 주장훈련에서 많이 활동되고 있다.

셋째, 정서적 주장훈련은 주로 자기주장과 관련된 불안이나 두려움 때문에 자기주장을 해야 할 장면에서 자기주장을 못하게 되는 정서적 원인에 근거하여 개발된 주장훈련의 한 방법이다. 정서적 주장훈련 방법은 자기주장과 관련된 불안이나 두려움을 줄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Rakos & Schroeder, 1980; 이은숙, 1995 최선화에 재인용)

3. 역량강화(empowerment)의 관점 역량강화는 과정과 결과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강점을 강조하며 문제에 부딪혀 있는 클라이언트도 잠재능력과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Guitierrez(1994)는 역량강화를 증가하는 개인적.대인관계적.정치적 힘의 과정이다. 따라서 잠재된 자원인 본인의 강점을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삶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는 것이다. 과정으로서 역량강화는 사회정치적 영역에서 사건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같이 개인적 문제에 대한 심리적 통제와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지역사회 생활에 있어서 결과물로서 역량강화는 개인적인 힘이나 정치적 힘을 쟁취한 상태를 의미한다.

첫째. 인간체계에 대한 가설 P.112 둘째. 변화에 대한 가설 셋째, 역량강화에 대한 가설

2.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역량강화 과정 사회복지사들은 대화를 통하여 서비스 사용자와 협력관계를 발전 시킨다. 서비스를 제공하고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실천가들과 서비스 사용자는 변화를 위한 계획을 만들기 위해 자원들을 파악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발전과정에서 사회복지사와 서비스사용자는 대인 관계적.제도적 자원들을 활성화하고 다른 사람들이나 체계들과 연결하고, 사회자원의 재분배를 위한 새로운 기회들을 창조해 낸다. P. 114 도표 참조

3. 저소득층을 위한 역량강화 실천모델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통합이론 개인영역 대인관계영역 정치영역

경제적 자원이 부족한 저소득 여성들은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부적합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매일 접하게 된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불평등하게 만드는 성차별주의적 사회구조 속에서 살고 있음에도 지금까지 제공되어 왔던 전통적인 서비스에는 여성들의 경험과 욕구가 배제되어 있다. 첫째, 개인적인 역량강화 자기주장, 의사결정, 정서적 지원체계 유지, 자원 접근 등 향상된 지식과 기술을 강조한다.

둘째, 대인관계적 역량강화 지원과 시민교육 집단 셋째, 정책적 역량강화 본인과 타인의 이익을 위해 보다 넓은 지역사회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을 통해 발생한다. 비판적인 사고와 의식향상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에 공헌 타인과의 교류 자신의 외적 환경을 통제하고 긍정적으로 변화 시킨다 리더십 개발 프로젝트 및 지역복지 권리조직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 함으로써 역량강화를 얻을 수 있다.

역량강화를 하는 장(setting)의 특징 역량강화를 하는 조직은 구성원 개개인의 자신감과 능력을 조장하는 기관이며,역량강화가 된 조직은 환경과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점에서 서로 구별 된다. Zimmerman (1995) 은 풀 뿌리 조직은 이 두 개의 특성을 모두 가질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 하였다. 역량강화를 하는 장(setting)의 특징 고무적이다 강점 중심적이다 개인의 잠재력에 초점을 둔 실천철학과 신념체계 접근하기 쉬운 역할 구조 고무적이고 유능하며 기관과 구성원 모두에게 헌신하는 리더십 지역사회 의식을 제고하는 지원체계를 들고 있다.

여성주의 역량강화 두 가지 관점 첫째, 개별과정은 여성이 문제해결 과정에서 융통성을 발휘한다. 최대한의 범위에서 대인관계 기술과 삶의 기술을 개발하여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원조한다. 둘째, 여성 혹은 소수집단 여성이라는 이유로 이들을 평가절하하고 경시하는 외부조건들을 여성들이 이해 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준다 *성역할 분석, 영향력 분석, 재구성, 자기주장훈련, 심리요법, 의식향상 등과 같은 특정한 개입전략이 필요 하다

Postmodernism is a term applied to a wide-ranging set of developments in critical theory, philosophy, architecture, art, literature, and culture, which are generally characterized as either emerging from, in reaction to, or superseding, modernism. Postmodernism (sometimes abbreviated Pomo[1]) was originally a reaction to modernism (not necessarily "post" in the purely temporal sense of "after"). Largely influenced by the disillusionment induced by the Second World War, postmodernism tends to refer to a cultural, intellectual, or artistic state lacking a clear central hierarchy or organizing principle and embodying extreme complexity, contradiction, ambiguity, diversity, and interconnectedness or interreferentiality.[2]

Postmodernity is a derivative referring to non-art aspects of history that were influenced by the new movement, namely the evolutions in society, economy and culture since the 1960s.[3]. When the idea of a reaction to - or even a rejection of - the movement of modernism (a late 19th, early 20th centuries art movement) was borrowed by other fields, it became synonymous in some contexts with postmodernity. The term is closely linked with poststructuralism (cf. Jacques Derrida) and with modernism, in terms of a rejection of its bourgeois, elitist culture.[4] The term was coined in 1949 to describe a dissatisfaction with modern architecture, leading to the postmodern architecture movement.[5]. Later, the term was applied to several movements, including in art, music, and literature, that reacted against modern movements, and are typically marked by revival of traditional elements and techniques.[6]

Postmodernist ideas in the arts have influenced philosophy and the analysis of culture and society, expanded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eory, and been the point of departure for works of literature, architecture, and design, as well as being visible in marketing/business and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law and culture, starting in the late 20th century. These developments — re-evaluation of the entire Western value system (love, marriage, popular culture, shift from industrial to service economy) that took place since 1950/1960, with a peak in the Social Revolution of 1968 — are described with the term postmodernity, as opposed to the "-ism" referring to an opinion or movement. As something being "postmodernist" would be part of the movement, "postmodern" would refer to aspects of the period of the time since the 1950s, a part of contemporary history;[citation needed] still both terms may be synonymous under some circumstances.

Postmodernism is a movement of ideas arising from, but also critical of elements of modernism. Because of the wide range of uses of the term, different elements of modernity are viewed as being coterminous; and different elements of modernity are held to be critiqued. Each of the different usages of 'postmodernism' is also inevitably related to some argument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known in philosophy as epistemology. Individuals who invoke the expression nowadays are implicitly arguing either that there is something fundamentally different about the transmission of meaning in postmodern works of art; or else that there inheres in modernism certain fundamental flaws in its epistemology.[citation needed] The argument against the need for the concept is that the "modern" era has not yet arrived at its term; and that the most important social and political project of our age remains modernism's project of replacing counter-enlightenment and emotionalist tendencies, as well as combating widesperead cultural ignorance, pervasive superstition, and mindless resistance to technological and social innovations.

From this perspective, the realities of the modern era, and its philosophical underpinnings, are being challenged by a backlash from precisely that reactionary quarter against which modernism in fact began its initial late 19th-century crusade. On the other hand more nuanced non-postmodernist thinkers and writers (quoted below) hold that postmodernism is at best simply a period following upon modernism; a hybrid variety of it; or an extension of modernism into contemporary times; and therefore not a separate period or idea which represents a quantum leap from the theories of art familiar to us from Stravinsky, Mann, Kandinsky, Mondrian and Baudelaire.

Postmodern feminism is an approach to feminist theory that incorporates postmodern and post-structuralist theory. The largest departure from other branches of feminism, is the argument sex is itself constructed through language. The most notable proponent of this argument is Judith Butler, in her 1990 book, Gender Trouble, which draws on, and critiques the work of Simone de Beauvoir, Michel Foucault and Jacques Lacan. Butler criticises the distinction drawn by previous feminisms between (biological) sex and (socially constructed) gender. Butler's argument is that this does not allow for a sufficient criticism of essentialism: although feminists have recognized that gender is not naturally given but socially constructed, they have nonetheless tended to assume that gender is always constructed in the same way.

This argumen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re is no single cause for women's subordination, and no single approach towards dealing with the issue. This has led to criticism of postmodern feminism for offering no clear path to action. Butler herself rejects the term "postmodernism" as too vague to be meaningful.[1] Although postmodernism resists characteriz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certain themes or orientations that postmodern feminists share. Mary Joe Frug suggested that one "principle" of postmodernism is that human experience is located "inescapably within language." Power is exercised not only through direct coercion, but also through the way in which language shapes and restricts our reality. However, because language is always open to re-interpretation, it can also be used to resist this shaping and restriction, and so is a potentially fruitful site of political struggle.

Judith Butler (born February 24, 1956) is an American post-structuralist philosopher who has contributed to the fields of feminism, queer theory, political philosophy, and ethics. She is the Maxine Elliot professor in the Departments of Rhetoric and Comparative Literatur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Butler received her Ph.D. in philosophy from Yale University in 1984, and her dissertation was subsequently published as Subjects of Desire: Hegelian Reflections in Twentieth-Century France. In the late-1980s, between different teaching/research appointments (such as at the Humanities Center at Johns Hopkins University), she was involved in "post-structuralist" efforts within Western feminist theory to question the "presuppositional terms" of feminism. Her most recent work focuses on Jewish philosophy, engaging in particular with "pre-Zionist criticisms of state violence." [1][2]

Gender Trouble was first published in 1990, selling over 100,000 copies internationally and in different languages [citation needed]. Alluding to the similarly named 1974 John Waters film Female Trouble starring the drag queen Divine[3], Gender Trouble critically discusses the works of Simone de Beauvoir, Julia Kristeva, Sigmund Freud, Jacques Lacan, Luce Irigaray, Monique Wittig, Jacques Derrida, and, most significantly, Michel Foucault. The book has also enjoyed widespread popularity outside of traditional academic circles, even inspiring an intellectual fanzine, Judy!.[4]

The crux of Butler's argument in Gender Trouble is that the coherence of the categories of sex, gender, and sexuality—the natural-seeming coherence, for example, of masculine gender and heterosexual desire in male bodies—is culturally constructed through the repetition of stylized acts in time. These stylized bodily acts, in their repetition, establish the appearance of an essential, ontological "core" gender. This is the sense in which Butler famously theorizes gender, along with sex and sexuality, as performative. The performance of gender, sex, and sexuality, however, is not a voluntary choice for Butler, who locates the construction of the gendered, sexed, desiring subject within what she calls, borrowing from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regulative discourses." These, also called "frameworks of intelligibility" or "disciplinary regimes," decide in advance what possibilities of sex, gender, and sexuality are socially permitted to appear as coherent or "natural."

Regulative discourse includes within it disciplinary techniques which, by coercing subjects to perform specific stylized actions, maintain the appearance in those subjects of the "core" gender, sex and sexuality the discourse itself produces.[5]

Individualist feminism is a term for evolving feminist ideas which seek to celebrate or protect the individual. An "individualist" feminism was expressed in anti-capitalist publications such as Liberty, and by individualists highly critical of capitalism such as Voltairine de Cleyre and Ezra Heywood.[1] Today, individualist feminism is marked by minarchist or individualist anarchist perspectives, such as those of Wendy McElroy and Cathy Young (individualist anarchist feminism has most adherents in the United States, while in Europe anarchist feminism as has more emphasis on collectivism.[2].). Another approach to individualist feminism, with views often different than McElroy and Young, is promoted by the Association of Libertarian Feminists, founded by Tonie Nathan. Individualist feminists who have promoted this point of view include Joan Kennedy Taylor and Sharon Presley.

A book which discusses the history of individualist feminism is Reclaiming the Mainstream: Individualist Feminism Rediscovered by Joan Kennedy Taylor. A core principle of individualist feminism is that all human beings have a moral and / or legal claim to their own persons and property, not to any sort of affirmative action policies or privileges.[3] In most parts of Europe it is viewed as postmodern feminism because of its pluralistic view of female nature.[citation needed] While other schools often stress that women in general are living under similar circumstances, individualist feminists stress that all women are unique and have unique goals.[citation needed]

Marxism Marxists see society in terms of a conflict between economic classes. A dominant class (the bourgeoisie or 'capitalist' class) owns and controls the means of production; an industrial working class, the 'proletariat', is exploited by them. The marxist analysis of welfare concentrates principally on its relationship to the exercise of power. The state can be seen either as an instrument of the ruling capitalist class, or as a complex set of systems which reflects the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it is part of. It is often argued that welfare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strength of working-class resistance to exploitation.

Marxism is not a single doctrine; it has come to stand for a wide range of opinions within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is critical of 'capitalist' society. Neo-marxists argue that the state has two main functions. The first is to improve the conditions for the accumulation of capital - that is, the chance for industries to make profits. The second is to legitimate the capitalist system, by introducing measures (like welfare policies, pensions and health services) which lead people to accept the system as it stands. The requirements of accumulation and legitimation may be contradictory, and the costs of legitimation have led to a 'legitimation crisis'.

Individualist feminism contra other feminisms Some individualist feminists have applied the label gender feminism to describe feminists they see as holding that an animosity exists between genders and calling for statist measures to intervene in gender relations.[4] Thus individualist feminism is distinct from both mainstream and radical feminist movements. In their rhetoric, individualist feminists emphasize individual empowerment, responsibility, and in the legal/political realm, equality of rights.

The basic objections to marxist analyses are that the description of 'capitalism' is false; that power in society is divided, and not based in ownership; and that states which promote the welfare of their citizens are not pretending to be more legitimate - they are more legitimate. By http://www.wikipedia.org

여성주의 역량강화상담의 기법 1) 문화분석 2) 성역할 분석 3) 권력분석 4) 주장훈련 5) 의식향상집단 6) 독서치료 7) 재구성과 재명명 8) 상담 탈 신비화 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