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기술, 그리고 철학 2012-3 충남대 철학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동서 식사예절 박재용이은미. 보기 닫기 카톡 안철수가 빌게이츠에게 면박 당한 이유는...??
Advertisements

경영학과 이은지 경영학과 윤혜리 경영학과 이지은 경영학과 유승연 경영 성공사례 분석.
윤준혁 (12), 이주연 (13), 박혜원 (14), 안혜경 (15) 허니버터칩으로 알아본 SNS 의 영향 력.
KEY POINT ∥ 의문문의 강조 : on earth, the hell, in the world, ever 등의 부사 ( 구 ) 를 의문문에 써서 의문사를 강조한다. 의문문의 강조 What the hell are you doing? Who ever is that strange.
일과 삶의 균형잡힌 조화를 통한 올바른 직업생활을 지원하는. CONTENTS 왜 인성교육인가 ? 01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소개 02 인성교육 전문가 양성과정 특장점 / 기대효과 03.
1 ‘ 우리나라의 주요공업 ’ - 정도웅, 주민혁, 안수진, 백경민, 엄다운, 박경찬 -.
제 11 장 여성복지. Contents 1. 여성복지의 이해 2. 우리나라 여성 복지의 발달 3. 여성복지의 접근방법 4. 여성복지의 과제 2.
(토) 소장 심재용 1. 2 가족(배우자, 1녀, 1남) 78년 공무원 시작 : 가지 못한 길, 내가 국가, 봉사 서기관 승진, 적성검사(MBTI)“열성적 혁신가형” 독서(적극적, 창의적), 적성/좋아하는 일 조기 파악.
(화) 소장 심재용 1. 가족(배우자, 1녀, 1남) 78년 공무원 시작 : 가지 못한 길, 내가 국가, 봉사 서기관 승진, 적성검사(MBTI)“열성적 혁신가형” 독서(적극적, 창의적), 적성/좋아하는 일 조기 파악 필요.
■ 지도교사 : 박정희 광덕고등학교 동아리 –어벤져스-
게이트키핑 과 방송뉴스 3조 김유진 이후영 김주진 최현봉 박준영 이민영.
6월 민주 항쟁 경안초등학교 5학년2반 26번최현지.
Web 2.0.
지식학습경영코칭 실천질문서 만들기 벤치마킹&업그레이딩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 것이 되었도다.
ALL IN ONE WORKING HOLIDAY!
양성평등 리더만들기 조.
서울시 ‘찾아가는 동 주민센터’ 사업 시행 이후 지역사회의 변화
공부할 내용 조상들이 살던 곳 자연과 잘 어울리는 한옥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집의 모양 섬 지방의 집
사랑, 데이트와 성적 자율성 :데이트 성폭력!!!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 여성학 전공 신 순 옥.
1636 쇼핑몰.
퇴계와 율곡의 사회사상 비교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약전(略傳)
14주차 1교시 강화계획 [학습목표] 1. 강화계획의 정의를 안다 [학습내용] 1. 단순한 강화계획 2. 간헐적 강화 3. 복합 계획 4. 선택과 대응법칙 [사전학습] 강화계획이 일어날 수 있는 사례를 생각해본다.
제3장 사회 복지 발달사.
청소년문제와 보호 청소년문제의 개념과 범주.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박정희 정권, 6월 민주 항쟁에 대하여
연장근로와 야간·휴일근로 김영호 노무사 나눔 노사관계연구소 소장 연세대 일반대학원 박사 수료 고려사이버대 법학과 외래교수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이선용.
쌓지 말고 해소하자 이 주휘 이 진영 전 민석 전 혜림.
2015년 하반기 소방교육 자 유 전 공 학 부 (금) 안녕하십니까 자유전공학부 행정실 입니다.
쌍용차 회생계획안을 통한 투기자본(=먹튀자본) 수강과목: 회 계 학 원론 담당교수: 박 성 환 교수님
아동복지 제9장.
Student A Say “I’m going to ask you some questions about The Internet and Technology.” Are you ready?
듣기 퀴즈.
해양생태계 이상현상 대응관리 남이현.
제13장 장애인 복지.
크라우드펀딩 박수아.
2017년 1학기 국가근로장학금 장학생 교육 1.
Danny Seo 이야기 읽고 이해하기 (1) 영어 2학년 2학기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정치학원론 5주차 제 4장 정치체계론 행정학과 구경완, 김정은, 박하륜, 양민지, 이환규.
프로젝트 학습 -프로젝트의 운영- 초등교육학과B 정예은.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강변 교회 유초등부 설교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너희는 여기 머물러 나와 함께 깨어 있으라 하시고(마태복음 26:38) 이에 말씀하시되 내 마음이 매우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정치개혁의 가능성 논의 권력구조 개편을 통하여 본 -개헌을 통한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론] 윤성이 교수님
Speaking -두 번째 강의 (Part 1 실전테스트 1,2) RACHEL 선생님
치료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지적 장애 대상) 과 목: 학 과: 학 번: 이 름: 제 출 일 자 담 당 교 수:
광고 모델의 영향력.
3조 권기태 윤주영 은화령 이형찬 이송민 김동욱 한승묵
노년기 발달 장안대 행정법률과 세류반 정 오 손
2016년도 간호병동 직무교육 2 치료실 기본업무 – 치료 종류 및 효능, Q&A.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전자정보 통합검색(Meta Search ) 이용 안내
태국 문학 욜라다 왓짜니 싸란차나 팟차라와라이 끼따야펀 르앙다우 타니다.
교수학습과정안 우리 돼지고기 ‘한돈’ 알아보기 영양교육 이시원.
김종철 (변호사, 서울공익법센터 어필) 국내 난민 판결 10년 김종철 (변호사, 서울공익법센터 어필)
평생 저축해도 강남 아파트 못산다 학 과 : 회계학과 1학년 B반 과 목 : 회계학원론 담당교수: 박성환 교수님
창의인성 두뇌계발 교사교육 3월 생각튼튼리더 1주. 세상에서 제일 똑똑똑한 뇌 2주. 황금요술공,검정요술공 3주. 브레이니 웨이키 웨이키 4주. 생각튼튼 리더가 되었어요.
1.예수 거룩한 주 예수 생명의 11.예수 권능의 주 예수 19.그 누구도 그 누구도 21.It's all about you.
1부 해킹이란… Chapter 2. 윤리적 법적 문제
정신보건 사회복지 제17장.
자기소개 PPT 창의적 발상과 표현 이지원.
경영학의 상황학파에 대해서… 경제학과 3학년 최준용 회계학과 4학년 진현빈
워밍업 실뭉치 전달게임.
U C C 전남대학교 김정필.
8강 I Can’t.
힐링이 필요해 06학번 장 용 석 - 취업준비를 위한 마음가짐과 전략 - 부산 대학교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 특수구문 : 강조, 도치 >.
음파성명학 최종욱.
Personal Brand Management
Speaking -여섯 번째 강의 (Review ) RACHEL 선생님
Presentation transcript:

과학, 기술, 그리고 철학 2012-3 충남대 철학과

BREAK THE SCIENCE BARRIER

프렌치 파라독스(French Paradox)

강의 개요 과학과 철학 과학주의 vs 반과학주의 Smart or Dull? Meta- & Slow-thinking

과학과 철학 과학철학? “‘과학’이라 불리는 지적 활동에 대한 철학적 이해” 과학철학? “‘과학’이라 불리는 지적 활동에 대한 철학적 이해” But,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과학 (science)  scio “알다”// scindo “가르다, 나누다”와도 같은 어원. 한자의 ‘과’(科)도 나눈다는 의미! ∴ 과학은 분과(分科)의 학(Einzel + wissenschaft).

<과학> 특수학: 존재자들의 영역의 특정 부분 사실학: 실제로 일어나거나 일어날 수 있는 사실 (현상) <철학> 보편학: 존재자들의 전 범위, 심지어 존재 자체 원리학(본질학): 사실의 근거로서의 원리나 사실의 본래 모습을 문제 삼거나 사실학의 원리를 문제삼는다 → ‘meta-science’

주전자 안의 물이 어떻게 사라진 걸까? → 화덕의 가열 열과 사라진 물의 관계(인과)는 어떤 관계인가, 예컨대 필연적인 관계인가?

- 과학과 철학의 역사적 관계 - 세계와 자기 자신에 대한 반성적 지식의 출발 → 인류가 경험적 사실을 대상화시킬 수 있게 → 인류가 경험적 사실을 대상화시킬 수 있게 되었음을 의미. (mythos로부터 logos로!) - 철학과 과학이 동시에 출발했다는 것.

어떤 현상에 대한 한갓 궁금증 해소 차원을 넘어서 그 현상의 원인이나 원리, 실재에 대한 관심이 등장 ① 감각경험으로부터 거리를 확보 ② 경험의 조작이나 통제(관찰, 실험)를 시도 ③ 수학적, 메커니즘적(기계론) 관점을 적용(발견)

- 수학이나 경험에 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위의 세 가지 특성은 중세까지는 서로 분리되어 존재했고, 때로는 대립되는 특성들로 간주됨 - 수학이나 경험에 대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 - 원자론자들의 기계론적 설명에 대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중세 이전까지: 학문의 주요 대상은 우주, 신, 영혼, 존재 … → 대상의 중요도가 학문들 사이의 서열을 결정 형이상학 〓 만학의 왕 근대 이후: 대상보다는 학문적 지식의 내용이 지니 는 확실성이 학문 평가의 기준 수학, 물리학 ⟩ 화학, 생물 ⟩ 심리학 ⟩ astrology

과학주의 vs 반과학주의 근대 이후 개별 학문들의 방법론에 관한 관심 - 수학이나 물리학의 방법과 철학, 역사학 등과 같 - 모든 학문들이 따라야 할 보편 방법이 존재하나? - 수학이나 물리학의 방법과 철학, 역사학 등과 같 은 인문학의 방법은 동일한가? → 서양철학 특유의 관심: Wissenschaftstheorie

메타 학문으로서의 과학철학의 등장 - 1차적 반성활동인 과학을 문제 삼는 2차적 반성활동 (과학과 철학의 분리) - 과학활동에 대한 메타 이론으로서 철학: 개별 학문들에 대한 관심이면서 동시에 과학-철학 관계의 성격 규정을 통한 철학의 자기 이해 활동

근세 이후 학문 서열의 새로운 기준은 개별 학문들의 분리 · 독립을 촉진 → 정확한 수량화에 기반을 두어 미래 사실에 대해 정확한 예측까지 가능하게 된 자연과학들은 외부권위(?)의 간섭을 귀찮게 여기고 해방을 선언. 인간에 관해 의학, 생물학, 화학, 물리학, 심리학, 사회학 등이 제공하는 지식 이외에 과연 다른 무엇이 더 있을 수 있겠나?

“철학은 철학만을 위해 고안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오용하는 것” (Werner Heisenberg)

H. Lenk: “(과학자의 눈에 비친) 철학자는 몽상가요 궤변가로서, 불필요한 사치품이자 이미 종말을 고한 고전 교육적 관심에 대해 이데올로기적인 특권을 고집하고 있는 자이다” M. Heidegger: “Wissenschaft denkt nicht” (과학은 생각하지 않는다) T. Kuhn: “과학자들은 어떤 발견물들을 이미 주어진 서랍 속에 정리하는 것을 주업으로 하는 무비판적인 일동물들”

P. Feyerabend: “과학은 인간이 발전시킨 많은 사고 형식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며, 그것도 무조건적으로 최고의 것이라 할 수는 없는 형식에 불과하다. 과학은 시끄럽고 뻔뻔하며 오만하다. 현대의 가장 어리지만, 가장 공격적이고 가장 독단적인 인습이다.”

- 예외 or 결론? 과학주의: 과학을 단순히 참으로 여기는 의식적이고 지적인 태도 에 그치지 않고, 의식된 사유에 제한 받지 않으면서 과학에 보내는 “전인격(全人格)”적인 “신뢰” 내지 “속성” (C. F. v. Weizsäcker , 과학의 한계. 창조와 우주 생성, 두 개념의 역사)

(E. O. Wilson,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1998, 45쪽) “과학은 철학도 아니고 하나의 신념체계도 아니다. 과학은 실제 세계를 탐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Science is neither philosophy nor a belief system. It is … the most effective way of learning about the real world ever conceived.” (E. O. Wilson, Consilience. The Unity of Knowledge, 1998, 45쪽)

바이체커 등의 주장에서 보듯, 현대는 ‘과학주의’의 시대 또, 통섭론자들의 주장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듯, ‘과학적 세계관’이라 불리는 것에 대항할만한 관점이 부재 → ‘과학종교’의 시대 But, … 세계관의 통일은 과연 바람직한가?

Smart or Dull ? 근대 과학의 발달은 철학자들로 하여금 그 방법론뿐 아니라 기술적 응용이 창출할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하게 함 F. Bacon, Nova Atlantis (1624)

근세철학이 제시했던 과학기술(techne) 사용의 전제 조건이 바로 물론 이때 모니터링의 대상은 기술이지만, 그 주체는 인간 자신! Ex) encyclopedia, telos, system, architectonics, Fachidiot ⇒ Überschaubarkeit (조망 가능성) S.M.A.R.T.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20세기의 비극적 경험은 근대적 자연관뿐 아니라 그 구체적 결과물인 과학기술에 회의 → 조망 불가능성 절감 과학주의의 틀 내에서 움직이는 학제적 or 통섭적 탐구로 충분한가?

Evolution of Computer is Understandable, But where it’s Going to get a Stop is Unpredictable.

Meta- & Slow-thinking 산업시대의 기술 재화나 서비스의 양적 증가와 질적 향상 IT 기술의 위력? - 복합적인 새로움을 제공: 신기하고 진기한 것으로 호기심과 감관을 자극 → 끊임없는 반응과 소비, 소유 - 시공간의 제약을 넘나드는 교감과 교류 - 소비자를 가만히 두지 않는다: User created contents, ‘탈중심’적 또는 ‘사이’(관계)적 사고 - 속도전: 즉흥 문화

Savanna life or Settled life? 수렵과 채집 (끝없는 웹 서핑과 다운로드) 자극에 대한 신속한 반응 (블로그나 메일보다 트위터나 카톡) 의식의 산만함 (e-book 읽다가 게임, 웹 서핑, 음악감상)

It's Not Who I Am Underneath, But What I Do That Defines Me. – YouTube

What smartphone offers, that defines me!

“5 Ways That Paper Books Are Better Than eBooks” ? ①Feel ②Packaging ③Sharing ④Keeping ⑤Second-hand books ※ paper book에서 e-book으로의 이행은 가능했지만 그 역은?

Q&A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