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바퀴달린 이동보조물 (휠체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INSERT LOGO 5조5조 심정지 환자 발생 시 대응요령 제 2 기 소방안전교육사반.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 심폐소생술 )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장박동과 호흡이 멈출 때 ! 가슴압박, 인공호흡.
- 안전교육 - 어린이집 ( 어린이집 ) 버스 이용 시 주의점. 1. 어린이집에서 멀리 또는 가까이 사는 친구들을 집에서 어린이집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2. 견학이나 나들이 활동 시 편하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 어린이집 ) 버스의 필요성 -> 버스를.
학년 체력 검사 * 요령 및 측정방법 * 서울문교초등학교 50m 달리기 출발 전 1. 제자리에서 가볍게 뜀뛰며 준비한다. ( 기록향상효과 ) 2. 출발 직전 ( 제자리 ) 에는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쏠리게 한다.
한의학과 몸의 움직임과의 소통. 수태음폐경은 ①중초 ( 윗배 근처 ) 에서 시작하여 ②아래의 대장에 락하였다가 ③위 입구 ( 위구 ) 를 돌아 ④횡격막을 꿰뚫고 폐에 속하며 ⑤다시 폐계에서 ⑥옆으로 나와 겨드랑 밑에서 ⑦팔 안쪽을 따라 내려가서 수소음심경과 수궐음심포의.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휴보 2. 휴보의 신체특징 키 : 128cm 몸무게 : 45kg 보행속도 1.8km/h( 최대 ) 달리기속도 3.6km/h( 최대 )
2 호선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결과보고 승무지부 성수지회. 힘차게 전진하는 승무지부 성수지회 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 유해요인 조사내용 1. 운전실내 의자 불량개소 파악 2. 운전실내 돌출부위 파악 3. 2 호선 전 구간.
. . . The 10 Minute Success POSTURES (운동자세) R&G Marketing.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다람쥐 키우기 5-2반 임혜원 다람쥐 종류 다람쥐 고르기 다람쥐의 특징 다람쥐 길들이기 다람쥐의 먹이 6. 다람쥐 새끼 낳기
제 4장 교실환경 4. 교실의 실제 신영섭.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견갑골 외전 증후군 (Scapular abduction syndrome)
연암공업대학 기계설계과.
휠체어의 종류와 구조 최나향, 황보배.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1-1 일과 일률.
과목 : 재활의학 담당교수 : 박주형교수님 학번 : 이름 : 최재완 제출일자 :
PET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와 Kt/V 검사의 소개
개인용 전자오락실 설계.
시스템 설계와 산업디자인 개발.
Positioning Mobility Guideline & consideration practice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이동식 다 관절 로봇팔 Removable Articulated robot arm
1. 중심근육이란?.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체위변경 별관6병동 김성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관찰일지 양파 기르기 오명현.
사례를 통해 문제 제시하기 진아는 왜 갑자기 사라졌나요? 진아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수진이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자전거 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피임이란?.
요통 재해 예방 대책.
맨손근력검사 남순기.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도형의 기초 3. 기본작도 삼각형의 작도 수직이등분선의 작도 각의 이등분선의 작도.
귀의 구조와 기능(1) 두드려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의 전달 경로.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장. 원격 접속 서버.
편 마비 환자 관리.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투팩 TPU 에어 목베개 DETAIL TWOPACK TPU AIR PILLOW 여행의 고수라면 꼭 챙기는 준비물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P 직선상에서 속력이 일정한 운동.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축키 기능 1. 단축키 기능 설명 Alt + R 조회 S 저장 I 삽입 A 추가 D 삭제 P 출력 Q 닫기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시각절벽실험 김현우.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제4차시 큰절 남녀 큰절의 기본 동작 대구달서시니어클럽 유아전통예절교육단.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2. 굴착기 코스운전 1. 코스 운전 조건 : S 자 코스를 출발하여 반곡점 정지선 안에서 정지 하였다가 정지선 넘은 다음 후진하여 제자리 출발선 까지 4분 이내 완료 한다. 후진 정지선 시간 측정 정차 출발 도착 4분.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제동 장치 주행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낮추거나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장치.
생산성 증대 효율성 향상 측정 수행 능력.
Presentation transcript:

7장. 바퀴달린 이동보조물 (휠체어)

학습목표 성인용 휠체어의 표준 측정법을 나열 할 수 있다. 환자를 측정하여 휠체어가 적당한 것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양쪽 팔, 한쪽 팔, 한쪽 다리를 사용하여 휠체어를 추진하도록 환자를 교육할 수 있다. 표준 휠체어의 구성 부품의 이름과 각각의 목적을 설명 할 수 있다. 휠체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적 활동을 교육할 수 있다. 보조를 제공하여 다양한 휠체어의 기능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핵심용어 공기의(Pneumatic) 내려가기(Descend) 넙다리의(Femoral) 독립(Independent) 돌기(Condyle) 반공기의(Semipneumatic) 발(Pedal) 크래시바 (Crash bar) 오금(Popliteal) 이동(Locomotion) 자기-폐쇄장치 (Self-closing device) 제한(Restraint) 추진(Propulsion)

서론 W/C를 일차적인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사람에 있어서 - W/C는 최대한으로 기능 - 편안하고 - 안정성 - 안전 - 신체를 보호해야 됨 W/C 처방에 따른 초기, 중간평가 필요

서론 W/C 처방 시 일반적인 고려 사항 - 특별한 요구사항 - 특별한 활동(용도) - 쿠션, 등판, 발받침, 팔받침, 기타 부속물 - 환자의 장애, 연령, 자세, 기능적 능력, 체중, 기능적 요구, 활동 - 환자의 예후 - 장기 사용으로 인한 이차적인 합병증 W/C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

서론 휠체어의 종류(표 7-1) - 표준 성인용 - 과체중 성인용 - 중간형, 청소년용 - 성장기용 - 아동용 - 실내용 - 편마비용 - 절단자용 - 한손 운전 - 전동용 - 스포츠용 - 기울임형

서론 W/C 처방 시 일반적인 고려 사항 - 특별한 요구사항 - 특별한 활동(용도) - 쿠션, 등판, 발받침, 팔받침, 기타 부속물 - 환자의 장애, 연령, 자세, 기능적 능력, 체중, 기능적 요구, 활동 - 환자의 예후 - 장기 사용으로 인한 이차적인 합병증 W/C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필요

휠체어의 구성요소

휠체어 앉기와 자세유지 적절한 앉기와 자세유지 : 기능을 증진시키며, 변형을 예방, 신체정렬을 개선, 조직손상을 예방, 추가적인 합병증 예방 바람작한 자세 -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 기능을 개선 - 불편함을 경감 - 몸통의 안정성을 유지

휠체어 앉기와 자세유지 추가적인 부속장치 - 머리받침 - 가쪽 몸통 지지판 - 방석 - 등판 - 조절 가능한 팔받침 - 다리 지지대

추가적인 부속장치 장점 : 장기사용으로 인한 합병증 최소화 단점 : W/C에서 환자의 상승시켜 책상 아래로 당겨 앉기, 팔받침의 사용, 등판·발받침의 적절한 지시 방석(seat pan, cushion)

표준휠체어 측정 초기측정 : - 나무의자와 같이 단단하고 편평한 의자, 매트에 앉아서 - 평소에 입었던 옷 - 편안한 자세에서 몸통을 똑바로 세우고 - 평소 사용했던 방석, 등판을 사용 했다면 측정 시에도 동일하게 사용

적합성 확인 좌석 높이와 다리길이 좌석 깊이 좌석 폭 등받침 높이 팔받침 높이

적합성 확인 좌석 높이(Seat Height)와 다리길이 - 목적 : 환자의 몸을 바닥과 평행하게 하기 위해 - 측정 : 발뒤꿈치(heel)부터 popliteal fossa까지 - 적용 : 좌석의 앞 가장자리에서 두세 손가락 : 지면으로부터 2 inch(5 cm) 높이 - 고려해야 할 점: 높이가 너무 높으면 transfer의 어려움, seat cushion은 seat height를 높임

적합성 확인 좌석 깊이(Seat depth) - 목적 : 체중을 thigh에서 knee까지 고르게 지지되도 록 하여 적절한 근긴장 유지 : 앞 가장자리의 압박의 제거 - 측정 : 엉덩이에서 무릎뒤쪽 까지 측정하여 2inch 뺌

적합성 확인 좌석 폭(Seat width) - 목적 : 환자의 체중을 가능한 가장 넓은 부분에 분산            : 가능한 chair의 넓이를 좁게 만들기 위해서 - 측정 :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hip 혹은 thigh의 가장           넓은 부위를 가로질러 측정 후 +1~2 inch(5cm) - 고려해야 할 점 : 환자의 체중 증가 혹은 상실                     휠체어 전체의 넓이                     다양한 환경 접근성

적합성 확인 등받침 높이(Back Height) - 목적 : 육체적, 기능적 필요성에 맞도록 등을 지지하기 위함.         최대한의 기능과 최대한의 support를 할 수 있도록 측정 - 측정(어깨를 90°굽힘 상태) 1) 좌석 ~ 겨드랑이 높이에서 4inch 뺌 2) 견갑골 하각으로 부터 1~2 inch 아래 3) trunk 불안정 시 견갑골의 중앙 높이

적합성 확인 팔받침 높이(armrest Height) - 목적 : 자세와 균형, 상지의 support와 자세조절을 위해         armrest를 잡고 다른 자세로 이동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 측정: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의자바닥에서부터 팔꿈치(90°굴곡 시킴)까지 + 1inch - 고려해야 할 점: 전체적인 w/c의 width를 증가시키지는 않는지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좌석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 - 등받침이 너무 낮아지고 - 책상 밑으로 놓기가 어렵고 - 바퀴 추진을 위한 손잡이테(handrim)에 도달이 어려워 추진이 힘들어지며 - 팔받침에 아래팔을 지지할 때 부적절한 자세로 불충분한 몸통 지지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좌석 높이가 너무 낮은 경우 - 중력중심이 낮아져 자세이동이 어려워 지고 - 중력중심이 낮아져 자세이동이 어려워 지고 - 몸통을 들기가 어려워 지고 - 앉아 있는 동안 부절한 체중분배의 원인 - 낮아진 좌석에 대한 보상으로 발받침이 낮아져 지면에 접촉 - W/C 사용의 불안으로 가동성이 감소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좌석 깊이가 너무 짧은 경우 - 넙다리 아래 지지면이 적어져 몸통 안정성이 감소 - 체중이 뒤로 이동하여 궁둥뼈결절에 체중 지지 증가 - BOS의 감소로 균형유지의 어려움 좌석 깊이가 너무 긴 경우 - 무릎 오금부위 압박 증가 - 압박부위의 혈액 순환을 제한하여 피부의 욕창, 마찰 발생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좌석 폭이 너무 넓을 경우 - 바퀴 추진을 위한 손잡이테(handrim)에 도달이 어려워 추진이 힘들어지며 - 팔받침 간의 거리가 증가하여 몸통 움직임이 커지고 - 자세이동을 위한 기립, 가쪽 흔들기가 어려워 지고 - 좁은 통로, 공중 화장실의 이동이 어려워지고 - W/C 내에서 지지를 위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자세 편위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좌석 폭이 너무 좁을 경우 - W/C 내에서 자세변경이 어렵고 - 팔받침 옆판에 큰돌기가 지나치게 압박 - 풍성한 옷이나, 보장구 착용이 어려움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등받침이 너무 높은 경우 - 팔을 편안하게 사용하는 것이 힘들어져 휠체어 추진이 어려움 - 등받이에 대항하는 힘이 커지기 때문에 어깨뼈 아래각 위의 피부가 지나치게 자극 - 몸통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균형 유지의 어려움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등받침이 너무 낮은 경우 - 등받침의 지지가 너무 적어져서 감소된 몸통 안정성, 자세 편위가 생김 - 최근에는 기능을 최대화 하기 위해 낮은 등받침을 하는 추세이나, 많은 환자는 안전성, 안정성, 지지를 위해 전통적인 높은 등받침을 요구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팔받침이 너무 높은 경우 - 바퀴 추진을 위한 손잡이테(handrim)에 도달이 어려워 추진이 힘들어지며 - 서기 위해 팔을 누르고 일어나는 것인 부실해져 기립이동의 어려움 - 아래팔을 올려놓았을 때 어깨가 융기되어 자세 편위가 나타남 - 팔받침의 사용이 불편하고 제한 되어 몸통 안정성의 감소와 피로를 경험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팔받침이 너무 낮은 경우 - 팔받침에 아래팔을 지지하기 위하여 앞으로 수그렸을 때 앞쪽으로 지나치게 굽혀져 부실한 자세, 등의 불편함 - 앞으로 수그렸을 때 복부의 불편함 증가 - 의 지지가 너무 적어져서 감소된 몸통 안정성, 자세 편위가 생김 - 서기 위해 팔을 누르고 일어나려고 할 때 지지점이 너무 낮아서 일어서기가 어려움

부적합한 W/C의 잠재적인 부작용 발받침이 너무 높은 경우 - 궁둥뼈 결절에 압박의 증가 - 넙다리의 뒤쪽면에 지지가 감소되어 몸통 안정성의 감소 발받침이 너무 낮은 경우 - 넙더리의 먼쪽 뒤면에 압박의 증가 - W/C추진을 위한 팔의 기능이 감소 - 지면과 발받침과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아 이동 시 불편함

환자와 가족교육 피부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Ulcer (stageⅢ) 호발 부위

환자와 가족교육 체중 부하를 경감시키는 방법과 시기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 체중 경감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 압박을 경감시키는 스케줄, 프로그램을 준수하도록 함 1) 매 시간 몆 번의 앉은 상태에서 push up 수행 2) 한쪽 엉덩이를 들어 올려 다른 쪽의 엉덩이 압력 경감 3) 앉아 있는 상태에서 몸통을 앞으로, 뒤로, 양 옆으로 매 시간 여러 번 옮김 4) 1~4 시간 사용 후 W/C에서 벗어나거나 다른 사림이 들어 줌

환자와 가족교육 쿠션이나, 베개의 사용으로 압력 감소의 필요성이 없어 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함 다리의 감소된 순환증상, 징후를 관찰하기 위한 교육받아야 함 - 발목 부종 - 발가락, 발, 다리의 색깔의 변화 - 피부 표면 자극에 대한 감소된 감각 반응 - 모낭의 감소 - 기타 환자의 질병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증상들

휠체어 구성과 사양 토글식 잠금장치(Toggle Lock) Z형, 가위 잠금장치(Z, Scissors Lock) 등판이 기울어지는 W/C의 보조잠금장치(Auxiliary lock, Reclining back chair) 캐스터 바퀴 잠금장치(Caster locks) 무릎(허리 벨트), 가슴 벨트 캐스터 바퀴 구동바퀴, 뒤바퀴(Drive, Rear wheels) 한 손 구동 휠체어(One arm drive chair) 고정 팔받침, 불리 가능, 가역적 팔받침, 책상용, 앞을 자른 팔받침, 조정 가능한 팔받침 앞 삭구, 다리받침, 발받침 구성요소 경사 휠체어

기능적 활동 W/C 사용자의 목표, 필요성, 생활방식을 기초로 교육 W/C 사용자의 거주하는 환경을 고려하여 교육 - 양쪽 팔, 한쪽 팔과 다리, 양쪽 다리 - 지면에서 추진보조, 캐스터 바퀴 올리기 - 앞으로, 뒤로 길턱오르기, 내리기 - 뒤로 많은 계단 오르기, 내려오기 - 경사로, 비탈, 언덕에서 추진 - 거칠거나 부드러운 지면 - 승강기, 에스컬레이터, 문과 출입구

기능적 활동 독립적인 추진 의자차 추진 관련 근육 - 주동근 : 극상근, 극하근, 전삼각근, 대흉근, 상완이두근 장두 - 길항근 중간·후방삼각근, 극상근

기능적 활동 독립적인 기능적 활동들 캐스터 바퀴 들기(Wheelie, Pop-up) 경사로, 비탈, 잘린 길턱(Curbs) : 앞으로 오르기, 내리기 계단, 문 이용하기 팔을 뻗어 앞의 바닥에 있는 물체 잡기 뒤로 넘어지기, 앞으로 넘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