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IS 정규식생지수 영상을 이용한 타클라마칸 사막의 식생변화탐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내가 사는 세계 2. 위치에 따른 지역 차이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시간 위치에 따른 낮과 밤의 변화 태양시와 표준시, 시차 계절이 다른 북반구와 남반구 계절이 반대인 북반구와 남반구.
Advertisements

4. 아프리카 육지 넓고 더운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위치는 ? 북쪽에는 지중해 남쪽에는 남극해 서쪽에는 대서양 동쪽에는 인도양 유럽과 접해있다.
경남지역 집중호우 사례분석 부산지방기상청 부산지방기상청 예보과 김기영 ( 사례 )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15 일 18UTC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남동쪽 약 90km 부근해상에서 21km/h 의 속도로 북북서진하고 있으며, 중심기압 935hPa 중심최대풍속 48m/s 의 매우 강한 중형태풍임.
● 현황설명 o 제 16 호 태풍 산바 [SANBA] 감시상황 - 제 16 호 태풍 산바는 9 월 11 일 00UTC 경 필리핀 마닐라 동남동쪽 약 1550km 부근해상 (9.4N, 134.0E) 에서 제 31 호 열대저압부 (TD) 가 발달하여 발생하였음. 11 일 18UTC.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 현황설명 O 제 24 호 태풍 보파 [Bopha] 발생 감시상황 - 위성영상에서 보르네오 섬 북쪽과 괌남쪽 부근해상을 중심으로 대류셀들이 발달과 소멸을 반복하고 있으나 체계적으로 발달하는 대류셀은 없음 hPa 유선장에서 대류셀이 다소 밀집되어 있는 필리핀.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1) 세계의 자연과 문화.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Landsat TM/ETM+ 위성영상을 이용한 함평만 지역 지표면온도와 NDVI의 상관관계 분석 박 민 호. ⋅이 점 숙
Ⅰ. 세계화와 지역이해 - 다양한 지리정보의 활용.
Kompsat-1 EOC 영상을 이용한 남극의 SSM/I와 AMSR-E 해빙 면적비 비교 분석
태 풍 예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세계의 날씨 Weather of the world.
흑체 복사 강도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Terra MODIS를 이용한 Landsat 해수면 온도 보정
산림지리정보시스템과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원도 상록수림의 영급과 식생지수 비교
과목명 : 과학 1학년 1학기 지구의 구조 > 대기권 [3/8] 대기권의 각 층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부산대학교 복합원격탐사 실험실 저고도 원격탐사를 이용한 해양 환경 관측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Hyperion 3조 조철희 전경미 김현준 이은선.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참고: PG Steamer User’s Guide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JERS-1 8조 : 노정환, 유수정, 육근민, 한만호.
602 LAB FDTD 를 이용한 Acoustic Simulation 지도: 이형원 교수님 차진형.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기상청 WEB 자료를 이용한 일기 예보 안산부곡중학교 교사 이 영 기.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극지해양학 퀴즈
In-situ Reaction Raman 의 소개 및 응용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이차방정식과 이차함수의 관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축의 위치 관계 이차방정식 의 그래프와 축이 만나는 점의 좌표는 이차방정식
원격지구물리 프로젝트 발표 대기구성성분의 관측 (10조) 지 훈 홍전의 이수연
3-5. 태양계와 행성(2).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Cause and Evidence Group 10.
비열.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3/9) 춥고 비가 적은 기후.
도함수의 활용 -(4)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시계열적 Landsat 영상에 의한 호수의 표면수온과 계절적 수직 온도구배 현상 분석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QUICKBIRD 5조 이용수 박종현 이철희 김준경.
상관계수.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지구과학교육  VI. 지 구  일기와 기후 끝.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케플러 법칙.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Idlib Deir Ez Zour 인구 : 1.2백만 명 (2005) 인구 : 3.1백만 명 (2005)
Presentation transcript:

MODIS 정규식생지수 영상을 이용한 타클라마칸 사막의 식생변화탐지 김민애 이유미 이희원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RS/GIS Lab

발 표 순 서 1. 서 론 2. 연 구 지 역 3. 연 구 자 료 획 득 및 처 리 4. 자 료 해 석 및 결 과 5. 결 론

서 론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지구에 많은 악영향을 미침 서 론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지구에 많은 악영향을 미침 기후변화로 인하여 생기는 가뭄은 사막화를 가속화하고 여러 해 동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됨(염종민 외, 2009) 중국의 타클라마칸 사막은 전 세계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 심각한 황사 등의 피해를 초래 → 사막화에 대한 연구 중요성 원격탐사- 사막과 같이 넓은 지역을 직접 가보지 않고 한번에 관찰할 수 있으므로 현장조사에 쓰 이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사막 지형 조사 시 유용 본 연구에서는 타클라마칸 사막지역을 12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2002년부터 2009년까지의 MODIS NDVI(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의 변화양상을 관찰 NDVI>0.1, NDVI>0.2, NDVI>0.3에 따른 면적 변화 파악 NDVI와 면적간의 상관도를 분석, 타클라마칸사막의 식생변화를 탐지하고자 함

연 구 지 역 타클라마칸 사막 (Taklamakan Desert) 위치: 중앙아시아, 중국의 신강위구르 자치주 위치: 중앙아시아, 중국의 신강위구르 자치주 지형: 남쪽으로 쿤룬 산맥 서쪽과 북쪽으로 파미르 고원, 티엔산에 의해 경계가 정해짐 길이: 1,000 km, 폭: 400 km , 면적: 270,000 km² 특징: 세계에서 가장 큰 사막중의 하나 기후: 온대사막으로 뚜렷한 대륙성 기후 E 35˚ N 77˚ E 35˚ N 90˚

기 초 이 론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 미국 NASA의 지구감시계획(EOS, Earth Observation System)에 의해 1999년 12월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 Terra 및 2002년 5월에 발사된 Aqua 위성에 탑재 된 센서 MODIS의 궤도: 태양동주기궤도, 고도: 705 km 하루 혹은 이틀에 걸쳐 전 지구 관측 순간 시야 각: ±55° 주사 폭: 2,330 km 토지, 해양, 대기 등 다양한 조사에 활용 가능

기 초 이 론 MODIS의 밴드별 특성(Jenson, 2002) 〃 1 13 25 2 14 26 3 15 27 4 16 28 분광해상도(㎛) 공간해상도 응용분야 1 0.620-0.670 250×250m 토지피복 분류 13 0.662-0.672 1 × 1 km 〃 25 4.482-4.549 2 0.841-0.876 클로로필 흡수 14 0.673-0.683 26 1.360-1.390 구름 3 0.459-0.479 500×500m 토지, 구름 및 에어로졸 특성 분석 15 0.743-0.753 27 6.535-6.895 4 0.545-0.565 16 0.862-0.877 28 7.175-7.475 5 1.230-1.250 17 0.890-0.920 대기 중 수증기 29 8.400-8.700 6 1.628-1.652 18 0.931-0.941 30 9.580-9.880 오존 7 2.105-2.155 19 0.915-0.965 31 10.780-11.280 구름 표면 및 온도 8 0.405-0.420 바다색구별, 생화학 분야 20 3.660-3.840 32 11.770-12.270 9 0.438-0.448 21 3.929-9.989 33 13.185-13.485 구름의 고도 10 0.483-0.493 22 34 13.485-13.785 11 0.526-0.536 23 4.020-4.080 35 13.785-14.085 12 0.546-0.556 24 4.433-4.498 대기 온도 36 14.085-14.385

NIR(Near Infrared) = 근적외역의 반사도 RED = 적색가시역의 반사도 기 초 이 론 정규식생지수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 여러 가지 식생지수 중에 널리 사용 - NDVI는 계절별, 특정 시기별 식생활동을 비교하여 광합성 활동, 생장주기, 최초 및 최고 생장시 기, 잎의 변화시기 등의 정보를 제공(Jenson, 2002) - 식생의 성장과 식생상태에 대한 계절적 변화나 연간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데 유용 (1) NIR(Near Infrared) = 근적외역의 반사도 RED = 적색가시역의 반사도 - NDVI 값은 -1에서 1 사이의 범위에 분포, 일반적으로 육지의 물체들은 0~0.8 사이의 값을 가짐

자 료 획 득 USGS LP DAAC 접속 지도에서 연구지역 선택 영상 List 불러오기 영상의 위도와 경도, 좌표체계 입력 USGS(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 있는 LP DAAC (Land Processes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 MODIS의 NDVI 자료획득 자료획득 영상의 위도와 경도, 좌표체계 입력 영상 List 불러오기 지도에서 연구지역 선택 USGS LP DAAC 접속

자 료 획 득 [h24v04 tile] [h24v05 tile] Latitude Longitude Upper Left 50.09 93.39 Lower Right 39.77 91.36 Latitude Longitude Upper Left 40.05 78.11 Lower Right 29.85 80.78 h24v04 h24v05

자 료 처 리 통계 및 분석 각 지역의 NDVI와 면적값 추출 12개 지역 설정 MODIS영상 Merge

자료해석 및 결과 North (사막의 북쪽지역) South (사막의 남쪽지역)

자료해석 및 결과 사막의 북부지역과 남부지역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219×10-2 (NDVI/year) 02년 12월 19일 06년 1월 17일, 3월 23일 08년 1월 17일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1.095×10-3 (NDVI/year)

연중 최댓값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80.665 NDVI>0.2 : 198.925 NDVI>0.3 : 356.605 연중 최댓값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249.660 NDVI>0.2 : 158.775 NDVI>0.3 : 150.380

Rim (사막과 가장 인접한 식생지역) 사막에 가까운 식생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함 Farm (북쪽지역의 농지)

사막과 인접한 식생지역과 농지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146×10-2 (NDVI/year)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2년 12월 19일 06년 1월 17일, 3월 13일 08년 1월 17일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146×10-2 (NDVI/year)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146×10-2 (NDVI/year)

사막과 인접한 식생지역 농지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219.730 → 식생이 많이 퍼져나감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219.730 NDVI>0.2 : 137.970 NDVI>0.3 : 211.700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133.590 NDVI>0.2 : 150.015 NDVI>0.3 : 332.150

River_1, River_2, River_3 - 강 주변의 식생변화 알고자 함 Field_N, Field_S - NDVI 차이가 서로 다르게 관측되어 설 정 River_1, River_2, River_3 - 강 주변의 식생변화 알고자 함

사막의 서쪽에 위치한 초원지역의 북쪽과 남쪽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365×10-3 (NDVI/year) 02년 12월 19일 06년 1월 17일, 3월 23일 08년 1월 17일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219×10-2 (NDVI/year) 두 그래프 모양은 비슷하나 남쪽의 NDVI의 연중 최댓값의 평균값이 0.05 정도 높게 나타남 -이는 서로 다른 기후의 영향

사막의 서쪽에 위치한 초원지역의 북쪽과 남쪽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7.300 두 지역 연중 최댓값이 증가하는 추세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7.300 NDVI>0.2 : 50.370 NDVI>0.3 : 37.960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19.710 NDVI>0.2 : 45.990 NDVI>0.3 : 76.285

River_1,2,3 지역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1.825×10-6 (NDVI/year)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0.000 NDVI>0.2 : 3.285 NDVI>0.3 : 6.205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1.460 NDVI>0.2 : 1.460 NDVI>0.3 : 0.730 추세선의 기울기 (km²/year) NDVI>0.1 : 52.560 NDVI>0.2 : -13.140 NDVI>0.3 : 0.000

Vegetation 사막지역과 식생 많은 부분의 비교하기 위함

Vegetation 지역 NDVI의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0.365×10-3 (NDVI/year) 면적의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km²/year) NDVI>0.1 : 51.465 NDVI>0.2 : 245.280 NDVI>0.3 : 784.020

2002-2009년 12개 지역의 NDVI 연중 최대값 평균, NDVI의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연중 최댓값 평균 NDVI의 연중 최댓값 추세선 기울기 (NDVI/year) North 0.202 0.219X10-2 South 0.158 1.095X10-3 Rim 0.186 0.146X10-2 Farm 0.231 Field_N 0.291 0.365X10-3 Field_S 0.373 Village_1 0.226 0.073X10-2 Village_2 0.210 1.825X10-4 River_1 0.068 -1.825X10-6 River_2 0.077 -0.073X10-2 River_3 0.073 Vegetation 0.588

2002-2009년 면적의 연중 최대값 평균, 연중 최대값 추세선 기울기 NDVI>0.1 NDVI>0.2 NDVI>0.3 면적의 연중 최댓값 평균 (km²) 연중최댓값 추세선기울기 (km²/year) 면적의 연중 최댓값 평균 추세선기울기 (km²/year) North 43022.880 80.665 27070.750 198.925 19860.310 356.605 South 20962.660 249.660 13070.590 158.775 10145.810 150.380 Rim 22381.680 219.730 1269.910 137.970 8426.780 211.700 Farm 37877.810 133.590 24367.630 150.015 17819.380 332.150 Field_N 2109.938 7.300 2109.940 50.370 1608.940 37.960 Field_S 8566.030 19.710 7286.500 45.990 6312.380 76.285 Village_1 3869.530 23.725 2727.530 21.170 2225.500 Village_2 2347.380 -14.965 1509.060 1137.130 8.395 River_1 1395.560 0.000 529.780 3.285 308.940 6.205 River_2 745.690 -1.460 86.310 1.460 8.630 0.730 River_3 818.220 52.560 84.720 -13.140 15.470 Vegetation 221723.580 51.465 216042.200 245.280 207920.030 784.020

2002-2009년 사막의 남부지역과 서부지역의 NDVI와 면적의 상관도

2002-2009년 NDVI와 면적의 상관도 추세선 기울기 NDVI>0.1일 때 상관도의 추세선 기울기 (km2/NDVI) NDVI>0.2일 때 NDVI>0.3일 때 North 109418.00 107425.00 101818.00 South 41795.00 45961.00 52092.00 Rim 65569.00 55342.00 46695.00 Farm 92969.00 94502.00 89024.00 Field_N 6928.9.00 8928.00 22918.00 Field_S 10451.00 22053.00 29826.00 Village_1 6206.60 7012.60 9621.00 Village_2 4710.00 6722.00 7378.00 River_1 8376.00 3548.00 2650.00 River_2 16733.00 698.60 32.03 River_3 8616.00 152.90 61.04 Vegetation 7636.00 90727.00 34899.00

결 론 본 연구에서는 MODIS NDVI 자료를 이용하여 2002~2009년까지 타클라마칸 사막을 12 개 지역으로 나누어 NDVI와 식생면적을 구하여 식생상태를 분석 NDVI 연중 최댓값 추세선의 기울기가 river_1, river_2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양의 값 을 가지나 매우 작은 변화이므로 타클라마칸 사막의 식생이 증가하였다라고 할 수 없음 사막서쪽의 초원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의 NDVI 차이는 기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판 단 상관도에서 사막의 남부지역과 서부지역은 NDVI가 증가할수록 식생면적이 넓게 퍼져나감 8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의 타클라마칸 사막 영상을 모니터링 하였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영상자료와 그에 따른 현장자료, 좀 더 정확한 기상자료를 함께 조사한다면 향후 더 확연한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