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가스 저감 방안 및 중질가스연료로의 이용 3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새로운 표준화 이슈 및 동향. ICT 와 기후변화대응전략  과거 100 년간 지구 온도변화 추이 지구온난화.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II. 감축량 산정.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2012 3월 28일 상지대학교 이공대 환경공학과 1조 발표자 강성훈 강성훈 송용범 정우경 박영호.
연속고속탄화장치 도 모 에 공 업 주 식 회 사.
전력전자연구실 (정승기, 최주엽, 송승호 교수님)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정책방향 환경부 생활폐기물과.
신재생 에너지의 정의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사용하거나 재생이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서 이용하는 11개 에너지 분야”
고농도 유기성 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개발 인하대학교 지구환경공학부 교 수 배 재 호 안녕하십니까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나무가 드리는 소중한 선물 자료근거 제61회 식목일 나무심기 자료집 (2006, 산림청) 국립환경연구원 (1988)
수분조절제 및 퇴비화 기술을 이용한 유기성 폐자원 통합 상용화 기술 개발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Ⅴ. 실습과제(1) 1. 서울시는 2009년 부터 토양 복토식의 관리형 매립지(혐기성)를 운영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을 매년 100ton씩 매립하고 있으며, 매립 폐기물의 성상은 종이가 30%, 목재가 40%, 고무가 30%를 차지하고 있다. 메탄 회수량은 2011년에.
4. 화석 연료의 사용과 지구 온난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온실 기체와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Hydrogen Storage Alloys
5-3. 화석 연료의 이용 세계 에너지 소비량
과산화수소수의 촉매 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하수슬러지 처리 및 재활용 1조 김 민 관 최 철 원 황 대 화.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지구의 환경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
01 대기 오염 02 수질 오염 03 토양 오염 04 해양 오염 05 우주 쓰레기 06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9月 환경 녹색활동의 경영성과 (주)KOFAS 항목 2012년실적(MJ) 전년도실적 13年목표 목표 분체도료 59,620
회 사 소 개 서 선 경 워 텍 ㈜.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지구온난화 보고서.
폐목재와 폐PE을 이용한 목질계 연료개발 발표자 : 김시형 강명희.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Ch.4. 화석 연료로 인한 기타 환경 문제들 도시 오존 Urban ozone 분진 기타.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Boil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에너지 절약 방법과 실효성 12조 이지혜 김정애.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Cause and Evidence Group 10.
지화학 논문 발표 Temperature Limitation of Methanogenesis in Aquatic Sediment
식품의 냄새.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86.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B-10 사업장 미세분진(PM2.5) 제어를 위한 고효율 세정/여과 장치의 개발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생물막 (Biofilm).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우리나라 매립지 메탄가스 처리방법 9조 강택원 연주상 오명석.
기타가스처리 1. 염소의 처리 1) 특징 (1) 가장 적합한 처리법 : Ca(OH)2 수용액 흡수법
5-3. 화석 연료의 형성과 개발 화석 연료: 과거 생물의 유체가 지층 중에 묻혀 연료 화 된 것 석유 석탄 천연가스.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A.E.L 대체에너지연구실 신&재생에너지 신에너지 수소 연료전지 신에너지 수소 재생에너지 태양열 태양광 (소)수력 풍력 해양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염색/피혁가공공정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및 공정수 재활용 기술의 개발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매립가스 저감 방안 및 중질가스연료로의 이용 3조 매립가스 저감 방안 및 중질가스연료로의 이용 3조 95304012 김용희 96006108 정현석 99006017 김연주

⊙서론... 국내의 매립가스 저감 및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이루어진 연구 국내의 매립가스 저감 및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이루어진 연구 국내 매립지에서 이용 가능한 LFG의 회수 및 활용 기술

⊙본론… 우리나라 매립가스 발생량...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우리나라 매립가스 발생량...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주로 메탄과 이산화탄소 ·메탄은 매립지, 이산화탄소는 소각장에서 발생

매립가스의 발생량 전망... 폐기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3% 증가 폐기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3% 증가 인구증가에 따른 폐기물 발생량 증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예상

매립가스(Landfill Gas)란… 매립된 폐기물 중 유기물질이 혐기성 분해과정에서 발생 주된 구성 성분은 메탄(4060%)과 이산화탄소(3050%) 그 외에도 탄산가스와 질소가 주된 성분 초기에는 탄산가스가 많지만 2년 후부터 탄산가스와 메탄가스의 비율이 거의 비슷

매립지에서의 가스발생 과정...

매립가스의 특성... 매립 폐기물 톤당 112230m3정도 발생 매립 후 23년 동안 최대로 발생 매립 후 2030년까지 발생 가능 CH4, NH3, H2S 가 가장 생활 환경에 영향 CH4는 독성은 없고 무색무취, 에너지 풍부 대기오염 유발, 악취발생,화염 및 폭발가능성 등의 위해 요소 포함

매립가스의 배출제어... 1. 발생원 대책 기술에 대한 메탄가스 억제  소각 처리  분해성 유기물만을 소각하여 안정화  퇴비화 처리  메탄발생이 없는 호기성 발효를 강제적으로 시행

2. 배출억제기술에 의한 메탄가스 억제  매립구조에 의한 억제기술  통기기능 보강에 의한 발생제어

3. 발생처리기술에 대한 메탄가스 억제 발생처리기술은 발생한 메탄가스를 흡착 등 포집에 의해 다른 물질로 변환시키는 기술 3. 발생처리기술에 대한 메탄가스 억제 발생처리기술은 발생한 메탄가스를 흡착 등 포집에 의해 다른 물질로 변환시키는 기술  연소처리  토양처리(메탄환원균에 의한 처리)  활성탄 흡착처리  집가스관 설비에 의한 호기성 영역확대

국외의 매립가스 이용기술 현황... •1970년 후반에 처음으로 LFG 이용 시작 대체에너지로서 이용 위한 연구 완성, 진행 •매립가스 자원화기술 : 매립가스 직접이용법 정제하여 이용하는 방법 •미국, 독일, 영국이 세계 LFG 이용의 75% 차지 대부분이 전력 생산에 이용

<미국의 매립가스 자원화 시설>

<미국의 Mcbeth Road Landfill> •제공처: 4백톤 아스팔트플랜트 •LFG이송거리:4.3Km •매립지 면적: 1,149,291M3 •폐기물 반입량: 1,300톤/일 •설계 매립량: 1,100만 톤 •설계 LFG량: 105m3/min (메탄 50%함유)

매립가스의 전처리 공정기술... •대상 : 수도권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LFG •실험 종목 : 실험실 규모 전처리 공정 실험, 전처리 파일럿 플랜트 운전 실험, LFG 성분조사 등 •전처리 공정 : 물리적 수분제거 (Cyclone type dehydrator 및 Compressor) 화학적 수분제거(Molecular sieve 흡착탑) 미량 유해성분 제거(Activated carbon 흡착탑)

<수도권 매립지 매립가스 성분분석 결과>

<활성탄에 대한 매립가스의 B.T.E.X와 염소화합물에 대한 흡착파과 실험 결과>

결과... •농도분석 결과 •수분제거공정 결과 •파과 실험 결과 •흡착탑 실험 결과 •Pilot Plant 운전 결과

혼합연료의 화염 안정화 특성... •목적 : 화염 안정영역을 찾고 순수 CH4화염과 비교, 안정화 특성 검토 <도시가스(LNG)와 매립가스 혼합연료의 특성>

<실용연소기에서 CH4 및 각 LFG 혼합연료의 안정 연소범위>

<선회도 1.08의 강선회일 경우 CH4와 LFG 혼합연료의 안정화 영역>

<선회도 1.02의 강선회에서 CH4+CO2 혼합연료의 안정화 영역>

혼합연료 화염 안정화 실험종목... •Pilot Plant 운전실험 •증열공정 •연소실험 •실용연소기를 이용한 실증실험

결과... •LFG 자체만으로도 연료로 사용 가능 •LPG와 적절히 혼합 기존의 도시가스와 호환가능 •선회 연소기에서의 확산화염의 안정성 •LFG 혼합가스에 첨가된 CO2 Thermal NO와 Prompt NO를 동시에 저감 •pilot plant에서 실용연소기를 이용한 실증실험 연료 공급용 노즐, 공기 공급 조절 필요

⊙ 결론... Pilot plant 실험 결과로부터 매립가스 저감 효율은 클 것으로 예상 •에너지로서의 활용 환경적, 경제적인 이익 예상 •매립가스 회수, 활용기술개발 요구 •매립가스의 조성과 정제 및 활용에 따른 최적화 방안 필요

<실증실험 결과> •중온수보일러에 LFG 혼합연료 주입, 연소 연소상태 양호 •노즐 직경 조절하여 성능시험 실시한 결과

매립구조에 의한 억제기술 •준호기성 매립에 의한 메탄가스 배출억제 •매립층내 호기성 영역 확대를 도모하기 위한 순환식 준호기성 매립 메탄의 일부가 침출수내로 용해 효과 기대

 통기기능 보강에 의한 메탄제어 •입경이 큰 폐기물의 매립 공기 유입 증대, 호기성 분해영역 확대 •투기성 높은 사질토 또는 자갈혼합사토로 복토 •가스배출 설비의 설치개소수의 증가 •다짐방법의 변경

 연소처리 •메탄가스가 약 515% 범위의 농도인 경우에 연소가 가능 •메탄가스는 연소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변환 지구 온난화에 주는 영향을 한 분자당 1/20으로 감소 가능

 토양처리(메탄산화균에 의한 처리) •메탄산화균 : 토양 중에 존재 메탄을 기질로 이용하여 산화 •복토 중에 메탄산화균 혼합 메탄가스의 대기로의 방출 억제

활성탄 흡착처리 •매립지 전면에서의 메탄가스 처리보다는 발생 가스를 포집하여 집중 처리 활성탄 흡착처리 •매립지 전면에서의 메탄가스 처리보다는 발생 가스를 포집하여 집중 처리 가스포집정 설치에 의한 호기성 영역 확대 •메탄가스 발생 그 자체를 억제 •혐기성 매립지에 수직 산소주입 pipe 설치 매립층의 호기적 영역 확대

<Molecular sieve 흡착탑> •molecular sieve 13X 사용 수분, 탄화수소류 및 황화합물 제거 •실공정에서는 병렬로 설치하여 흡착, 재생공정을 교대로 거치는 시스템으로 사용 •재생온도 : 300℃정도로 설정

<Activated carbon 흡착탑> •미량유해성분(ex.탄화수소류, 염소화합물, 황화합물) 제거공정 •병렬로 연결, 흡착과 재생공정을 교대로 거치는 시스템으로 사용 •재생온도 : 150℃ 정도로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