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선 실험 최종 발표 1조 : 김동원 이장한 송부한 김은비 김행진 박규동 이민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전자회로 설계 Home Work # 서태규. HW#2 CS & Cascode Homework Homework [1] CL=0 일 때, Common-Source 증폭기 [2] CL=40pF 일 때, Common-Source 증폭기 [3] CL=0 일 때,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생각열기)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모즐리의 주기율표 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기준은? ( )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정량펌프를 이용한 액체유량 측정 및 calibration curve 작성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Biological Oceanography
연안실험실습 결과 발표 5조 고인준 박지성 최 별 탁용진 한아름.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소마큐브로 3*3*3(정육면체)만드는 방법 탐구하기
Dokdo abyssal current 4조
(생각열기) 타이완의 소수 민족 요리중에는 달궈진 돌을 물에 넣어 끓 이는 해물탕이 있다. 돌을 넣는 이유는?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FileMaker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옥현진(KICE).
2조 승선조사 및 실험 진도보고.
먹이종류에 다른 구피의 성장변화.
극지해양학 퀴즈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극지해양학 발표논문 Antarctic circumpolar current's role in the Antarctic ice system: An overview 이 종석.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워드프로세서 실기 강 사 : 박영민.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생화학자란? -생화학자가 하는 일은? -유명한 생화학자는? -생화학자가 되려면?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종이비행기가 잘 날기 위한 조건 만든이:김윤성.
1-5 용해도.
우유와 사이다가 식물 성장의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2반 김민지.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 만들기 6-3 현승규 지도교사: 김윤수.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3/9) 춥고 비가 적은 기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간이 정수기 이혜진 김연우 송선 신기영.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종이의 종류의 따른 물 흡수량 수원초등학교 6학년 이형민.
6-3. 지질시대의 구분.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상관계수.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승선 최종 발표 조 정석현 초성우 황희수 이선은 조소설 김영빈 이수정 여기서 이러시면 안 돼요 행님
김동원 이장한 김행진 송부한 박규동 김은비 이민주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얼마나 많은가? Lezhin.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Cuk LED driver output current ripple calculation
빛의 투과율 실험을 통하여 자외선을 잘 차단하면서도 잘 보이는 선글라스를 만들어 보자!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승선 실험 최종 발표 1조 : 김동원 이장한 송부한 김은비 김행진 박규동 이민주

물리해양학 실험실 화학해양학 실험실 생물해양학 실험실 해양환경학 실험실 지질해양학 실험실 물리해양학 실험실 화학해양학 실험실 생물해양학 실험실 해양환경학 실험실 지질해양학 실험실

물리해양학 실험실

목차 실험 목표 1 1 1 실습 지역 소개 실험방법 자료처리 및 해석 결과 토의 및 결론

실험목표 국지적인 남해의 해양학적 특성 조사 그 변화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에 슬라이드를읽어주세염 ㅋㅋ

실습지역 소개 남해 - 대체로 동쪽은 쓰시마섬[對馬島], 서쪽은 흑산도, 남쪽은 제주도를 연결하는 해역 - 대체로 동쪽은 쓰시마섬[對馬島], 서쪽은 흑산도, 남쪽은 제주도를 연결하는 해역 - 서해안보다 한층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 - 한려해상국립공원(閑麗海上國立公園), 다도해국립공원(多島海國立公園) - 조선시대에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활약 장소로 역사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대외항쟁이 전개된 해역 - 수산양식업에 유리하여 휴어기(休漁期)가 없는 좋은 어장 위에 슬라이드를읽어주세염 ㅋㅋ 6

실습지역 소개 국립공원 홈페이지- http://www.knps.or.kr/main/main.do

실습지역 소개 거제도 지세포 항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에 위치 - 항구의 입구에는 지심도가 위치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에 위치 - 항구의 입구에는 지심도가 위치 대한해협에서 몰려오는 풍랑을 막아줌 - 거제 해양관광벨트의 관문 -> 해안휴양타운의 거점지로 부상 - 대규모 마리나 조성 추진 중 지심도 :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一運面) 지세포리(知世浦里)에 딸린 섬으로, 섬 전체가 동백나무 숲을 이루어 동백섬이라고 불린다. | 면적 : 0.356㎢ | 위치 : 경남 거제시 일운면 지세포리 | ... 8

실습지역 소개

실험방법 CTD를 정점별로 윈치로 프로파일링 - ST2 - ST3 - ST4 - ST5 정점 1에서 5까지 실험하였지만 2010. 9. 30일 자 정점 2에서 5까지 자료만 사용하였습니다. 10

자료처리 및 해석 정점 별 수온 및 염분 그래프 (ST2) 11

자료처리 및 해석 정점 별 수온 및 염분 그래프 (ST3) 12

자료처리 및 해석 정점 별 수온 및 염분 그래프 (ST4) 13

자료처리 및 해석 정점 별 수온 및 염분 그래프 (ST5) 14

15

자료처리 및 해석 정점 별 수온 그래프 - 표층~ 수심10m ST4를 제외하고 평균적으로 약 23° - 표층~ 30m ST2, ST3, ST5의 수온 비슷하게 감소 - 수심 40m ~ 50m ST2가 ST3보다 약 1° ~ 2°를 큰 수치 - 수심 65m ~ 70m ST3은 ST2보다 먼저 감소 - 표층에서 수심10m까지 ST4를 제외한 다른 정점들은 평균적으로 약 23° - ST4의 경우 수온이 대략 15° ~ 23°로 변동이 큼 - 표층에서 30m 부근 까지 ST2, ST3, ST5의 수온 그래프가 각각 약 1° ~ 2° 차이로 비슷하게 감소 - 수심 40m ~ 50m에서 ST2의 수온이 ST3보다 약 1° ~ 2°를 큰 수치 - ST3은 ST2보다 먼저 급격한 감소를 시작하여 70m 부터는 9°의 상대적인 낮은 수온의 수괴가 존재 - ST2는 75m 부터는 8°의 낮은 수온의 수괴가 존재 16

자료처리 및 해석 정점 별 염분 그래프 - ST4를 제외하고 대략 비슷한 염분분포 - ST4 상대적으로 좁은 수심 범위에서 31‰ ~ 34‰이라는 비교적 큰 변동 - ST2, ST3, ST5 표층~ 30m 부근까지 비슷하게 증가 - ST2, ST3 30m ~ 40m , 40m ~ 50m 사이 염분 차이가 난다. 17

결과 토의 및 결론 - ST4의 수온과 염분의 변화 폭이 다른 정점에 비해 크다 - 이는 ST4의 지형적 요소나 해류의 흐름에 의한 영향으로 보인다. - ST3 비교적 높은 염분, 낮은 온도 - ST2 비교적 낮은 염분, 높은 온도 - 해저 지형 차이나 해류, 조류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 토의 내용 18

결과 토의 및 결론 참고자료와 비교 19 Latitude Longitude Time ST2 34° 58' 14.8" 129° 11' 57.0" 2010-09-30 14:20 ST3 34° 56' 7.914" 129° 5' 3.665" 2010-09-30 12:34 ST4 34° 55' 0.721" 128° 57' 48.597" 2010-09-30 11:10 ST5 34° 53' 55.873" 128° 49' 45.400" 2010-09-30 09:56 Latitude Longitude Time 관측위치 35˚ 2' 36" 129˚ 5' 32" 2010-09-30 19

결과 토의 및 결론 실제로 남해는 해류와 조류가 공존하여 복잡한 해수 유동 특성을 가짐 이 자료만을 가지고 특성을 알아내기에는 부족 Bathymetry와 계류 관측 등을 같이 오랜 시간 실행 추가 자료들을 받아보면 더 정확한 고찰을 가능 20

화학해양학 실험실

개요 실험목적 실험방법 및 과정 실험결과 토의

실험목적 조사 해역에서 얻은 자료를 통해 거제도-부산에 이르는 남해연안의 특징적 모습과 비교, 토의해보자.

실험결과 ① DO 및 pH 농도 측정 ② Winkler 적정법 ③ Chlorophyll a 측정

① DO 및 pH 농도 측정 Station , Date DO(mg/L) pH st2 9/29 8 7.76 st2 9/30 5.15 7.83 st3 9/29 8.16 7.84 st3 9/30 7.85 8.36 st4 9/29 8.15 8.11 st4 9/30 7.66 st5 9/29 7.72 7.2 st5 9/30 8.07 7.74

② Winkler 적정법

해수 Chlorophyll a 의 양 (μg/L) Station / Date 29 일 30 일 st2 0.386 0.475 st3 0.224 0.317 st4 0.331 0.259 st5 0.442 1.575

토의 Chlorophyll a ∝ 1/[DO], 1/[pH] 30일 측정한 값에는 일치하지 않는 경향

출처 : naver 위성지도

연안해수 수질 조사 -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보 제19-2권 / 2009년

생물해양학 실험실

목 차 실험 목적 정량 분석 정성 분석 결론 토의

ST 4 위도 34˚ 55.000'N 경도 128˚ 57.500'E

실험 목적 각 정점에서 채집한 플랑크톤 분포를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을 통해 알아본다.

결과 정량 분석 정성 분석

(플랑크톤 개체수/L) = (플랑크톤 개체수 * 5 * 1000)/100 정량 분석(플랑크톤 개체수) 29일 30일 1조 5150 (103) 5800 (116) 2조 950 (19) 381 (8) 3조 4100 (82) 5500 (110) 4조 9800 (196) 6550 (131) (플랑크톤 개체수/L) = (플랑크톤 개체수 * 5 * 1000)/100

정량 분석(플랑크톤 개체수) St5 29일 튄값 st3 실험 이상함

토의 화학해양학에서 측정했던 chlorophy_a 의 양을 정점별 정량분석 했었던 그래프와 서로 비교 해 보면, 비슷한 경향이 보임을 알 수 있다. St2와 st5에서 플랑크톤 개체수가 많은 이유는 낙동강 담수의 유입에 의해 오염물질이 들어오게 되고 질소와 인의 함량이 높아지기때문이다.

정성 분석 식물성 플랑크톤 : 25종 동물성 플랑크톤 : 4종

식물성 플랑크톤 Actinoptychus senarius Ceratium tripos Hyalodiscus scoticus Dinophysis caudate Ceratium furca Rhizosolenia pugens Dinobryon sertularia Chaetoceros danicus Amphisolenia bidentata Aulacodiscus kittoni Rivularia globiceps Rhizosdolenia alata Chaetoceros convolutum Odontella Sinesis Grunow Nitzschia obtuse W.Smith Actinocylus octovarius EHRENBERG Rhizosolenia imbricata

식물성 플랑크톤 Rhizosolenia imbricata Chaetoceros peruvianus forma gracilis Actinocyclus octonarius  Ceratium candelabrum Eucampia zodiacus Coscinodiscus wailessi Chaetoceros lorenzianus Coscinodiscus radiatus Rhizosolenia imbricata Chaetoceros peruvianus forma gracilis Rhizosolenia calcar-avis Bacteriastrum comosum Nitzshia sigmoidea Rhabdonella striata

동물성 플랑크톤 Doliolum(Dolioletta) mirabilis Ankistrodesmus falcatus Acartia spinicauda Tortanus discandatus

식물성 플랑크톤 Rhizosolenia calcar-avis Hyalodiscus scoticus

식물성 플랑크톤 Odontella Sinesis Rhabdonella striata

식물성 플랑크톤 Nitzshia sigma(KÜTZ) intermedia Rhizosolenia pugens

동물성 플랑크톤 Doliolum(Dolioletta) mirabilis Korotneff Ankistrodesmus falcatus Acartia spinicauda GIESBRECHT Tortanus discandatus CTHOMPSON & ASCOTT

동물성 플랑크톤 Doliolum(Dolioletta) mirabilis Acartia spinicauda

결과 각 정점 마다 나타나는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종조성은 총 5강 15속 25종이다. 정점 별 식물플랑크톤의 특징 Dinophyceae (와편모조강) Bacillariophyceae (규조강) Cyanophyceae (남조강) Spirotrichea Chrysophyceae (황금색조식물강) 13개 9개 1개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분포 및 계절변동 특성 A Study on the Seasonal Fluctuation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Jinju Bay, Korea 이종석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대학원 해양개발학과 해양학전공 2007 이학석사 학위논문 (출처)

이 자료를 통해 각 정점에 걸친 해역에서는 와편모조강이 우점 함을 알 수 있다. 결과 이 자료를 통해 각 정점에 걸친 해역에서는 와편모조강이 우점 함을 알 수 있다.

결과 각 정점 마다 나타나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 종조성은 총 3강 4속 4종이다. (Ankistrodesmus falcatus 포함시킴) 정점 별 동물플랑크톤의 특징 시료에서 채취한 동물플랑크톤의 수가 작아 어느 종이 우점하였다고 말할 수 없다. Maxillopoda (소악강) Thaliacea (탈리아강) 3개 1개

결과

결과 우리가 조사했던 정점4지역은 정점2나5보다 와편모조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마난류 지표종(Rhizosolenia stolterfothii, Chaetoceros affine, Ceratium furca)이 시료에서 발견되었다.

결과 ‘여름 한국서남해역의 식물플랑크톤 중 규조류는 저염의 연안수 영향을 받는 해역에서 높은 반면, 와편모조류는 고온의 대마난류해역에서 높게 출현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분류군에 의한 환경적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여름 한국 서남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분포) ‘7월 중순은 장마로 많은 영양염이 유입 되어 규조류인 Chaetoceros 속이 대량 증식하였다. 월 하순에는 남해 외양수의 유입으로 표저층의 수괴가 균질해지고 투명도 수심이 증가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와편모류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9월 초는 다시 규조류 우점군집으로 천이하였으며, 외양수 유입현상도 소멸하였다.’ (2006년 여름 남해 동부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출처 : 여름 한국서남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분포 윤양호, 박종식, 박영균, 노일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결과적으로, 수온이 높은 상태에서는 와편모조류가 번성할 가능성이 크고 연안수의 유입이 있을 경우 (영양염이 있을 경우) 규조류가 번성할 가능성이 크다고 추측된다.

토의 질산염과 인산염은 편모조류의 증식 제한인자로 작용하는데 우리가 조사했던 정점4지역은 와편모조류가 많았기 때문에 정점2나5보다는 유기물이 덜 공급된다고 보여진다. 대마난류 지표종(Rhizosolenia stolterfothii, Chaetoceros affine, Ceratium furca)이 시료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대마난류가 식물플랑크톤 종조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 http://www.eastseapark.com/clean/na/cna10.asp http://www.eastseapark.com/clean/na/cna10.asp

해양환경학 실험실

목차 실험 목적 대형 저서동물 분포 양상 강열감량 토의 결론

실험 목적 표층퇴적물의 유기물함량 조사지역의 저서환경 이해 대형저서동물 분포양상 해양환경 실험에서는 표층퇴적물의 유기물 함량과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을 통해 조사지역의 저서환경을 이해하는데 실험 목적을 두었습니다.

시료 채집 장소 St 3 남해동부지역에 위치 위도 : 34˚ 56.000'N 경도 : 129˚ 5.000'E 실험을 위해 시료를 채집한 장소는 Station3으로 남해동부지역에 위치합니다. 자세한 위도와 경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Mesochaetopterus minuta 모래무지날개갯지렁이 대형저서동물 결과 우점 종 Mesochaetopterus minuta 모래무지날개갯지렁이 분류 Chaetopterida 날개갯지렁이 목 Chaetopteridae 날개갯지렁이 과 Mesochaetopterus 밀짚날개갯지렁이 속 실험결과 가장 우점한 종은 모래무지 날개 갯지렁이로 나타났습니다.

Scalibregma inflatum 수염구더기갯지렁이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외 환형동물(Annelida) Scalibregma inflatum 수염구더기갯지렁이 분류 Opheliid 요갯지렁이 목 Scalibregmidae 구더기갯지렁이 과 Scalibregma 수염구더기갯지렁이 속 Ammotrypane 매끈요정갯지렁이 분류 Opheliida 요정갯지렁이 목 Opheliidae 요정갯지렁이 과 Ammotrypane 매끈요정갯지렁이 속 다음은 우점종 외에 이 실험에서 출현한 환형동물 들입니다.

Polyopthalmus pictus 무늬요정갯지렁이 Lepidonotus dentatus 이예쁜이비늘갯지렁이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외 환형동물(Annelida) Polyopthalmus pictus 무늬요정갯지렁이 분류 Spionida 얼굴갯지렁이 목 Spionidae 얼굴갯지렁이 과 Polyopthalmus 무늬요정갯지렁이 속 Lepidonotus dentatus 이예쁜이비늘갯지렁이 분류 Phyllodocida 부채발갯지렁이 목 Aphroditidae 고슴도치갯지렁이 과 Lepidonotus 예쁜이비늘갯지렁이 속

Terebellides stroemii 조름털갯지렁이 Phyro felix asiaticus 아시아고깔갯지렁이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외 환형동물(Annelida) Terebellides stroemii 조름털갯지렁이 분류 Terebellida 유령갯지렁이 목 Trichobranchidae 조름털갯지렁이 과 Terebellides 조름털갯지렁이 속 Phyro felix asiaticus 아시아고깔갯지렁이 분류 Orbiniida 갓모갯지렁이 목 Orbiniidae 갓모갯지렁이과 Phylo 고깔갯지렁이 속

Ampharete arctica 작은사슴갯지렁이 Cirriformia chrysoderma 매끈명주실타래갯지렁이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외 환형동물(Annelida) Ampharete arctica 작은사슴갯지렁이 분류 Terebellida 유령갯지렁이 목 Ampharetidae 사슴갯지렁이 과 Ampharete 작은사슴갯지렁이 속 Cirriformia chrysoderma 매끈명주실타래갯지렁이 분류 Cirratulida 실타래갯지렁이 목 Cirratulidae 실타래갯지렁이 과 Cirriformia 명주실타래갯지렁이 속

Amphiura koreae 턱뱀거미불가사리 Amphipholis sobrina 납작양비늘거미불가사리 대형저서동물 우점종 외 극피동물(Echinodermata) Amphiura koreae 턱뱀거미불가사리 분류 Stelleroidea 불가사리 강 Myophiurida 폐사미 목 Amphiuridae 양편거미불가사리 과 Amphipholis sobrina 납작양비늘거미불가사리 분류 Stelleroidea 불가사리 강 Myophiurida 폐사미 목 Amphiuridae 양편거미불가사리 과 이것은 극피동물의 모습입니다.

대형저서동물 결과 문(Older) 개체 수 환형동물 (Annelida) 46 극피동물 (Echinodermata) 2 총 개체 수 48 종동정 결과 총 개체수는 48개체였고 그 중 46개체는 환형동물인 갯지렁이류, 2개체는 극피동물인 불가사리류로 나타났습니다.

대형저서동물 결과 우점 종(강) : 날개갯지렁이 과 (Chaetopteridae) 요정갯지렁이과 (Opheliidae) 사슴갯지렁이과 (Ampharetidae) 이것은 수집한 대형저서동물을 강별로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모두 14종류의 강으로 조사되었고 우점하는 강은 날개갯지렁이과 와 요정갯지렁이과 사슴갯지렁이 과였습니다.

대형저서동물 결과 생물 다양성이 낮은 편 총 개체 수 : 48 개체 19 개 종 (2 종류의 문, 14 종류의 강) 실험결과, 총개체수는 48개체이고 19개의 종이 존재했습니다. 그런데 두 종류의 문과 14 종류의 강만 존재하는것으로 단지 두종류의 문만 발견된것으로 보아 생물 다양성이 낮은편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왜 이렇게 생물다양성이 낮은 지는 편이라고 강열감량 실험을 통해 유추해 낼 수 있었습니다. 생물 다양성이 낮은 편

강열감량 방법 강열감량(%)=(가열 전 시료 무게 – 가열 후 시료무게) /가열 전 시료무게 * 100 시료를 550℃로 가열하여  시료 속의 휘발성 성분과 열 분해 될 수 있는 성분이 제거되고 불연분만 남아 질량이 일정한 값이 될 때까지의 감량한다. 실험을 통해 나온 무게를 아래 식에 대입하여 감열감량 값을 계산한다. 강렬감량은 퇴적물 내의 유기물함량을 알아보는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됩니다. 먼저 ~~~~읽으세요~~~ 강열감량(%)=(가열 전 시료 무게 – 가열 후 시료무게) /가열 전 시료무게 * 100

강열감량 결과 10.9666 1-1 1-2 1-3 강열감량전(g) 5.0324 5.0041 5.0209 강열감량후(g)   1-1 1-2 1-3 강열감량전(g) 5.0324 5.0041 5.0209 강열감량후(g) 4.469 4.4502 4.4869 강열감량(%) 11.19545 11.06892 10.63554 평균 강열감량 값(%) 10.9666 오차(±0.2207) 실험 결과 시료의 강열감량 값은 10.9666%로 오차는 ±0.2207% 였습니다.

강열감량 토의 이 값을 다른 해역의 강열감량값과 비교해보면 비교적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적물 내 유기물함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해역의 강열감량값은 기존의 논문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강열감량값은 지역과 계절에 따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서해와 동해, 남해서부의 최대값과 비교해 보았습니다. [1] 西海沿岸의 養殖場 環境調査(4. 群山沿岸 養殖場의 水質環境), 이정열, 수산과학연구 제 8호 pp.1~21, 전체 21쪽 1226-1858, 군산대학교수산과학연구소 [2] 동해연안 어장환경 정보, 國 立 水 産 振 興 院東 海 水 産 硏 究 所, 東海水硏 海洋資源調査報告 第 13號, East Sea Regional FRI Oceanography and Marine, Fisheries Resources News No. 13 [3] 득량만 표층퇴적물 중 유기물의 시공간분포특성, 윤양호,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2권(제7호) pp.735~744, 2003

강열감량 토의 높은 강열감량 수치를 보이는 원인은 자생성, 외래성 기원 모두 골고루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측 해양 유기물의 기원 외래성 기원 : 외부 유입에 의함 자생성 기원 : 해양 자체 생산 높은 1차생산성과 외래기원의 유기물에 의해 열감량 수치가 높게 나온것이라고 판단된다. 해양 유기물의 기원은 외부 유입에 의한 외래성 기원과 해양에서 일차생산을 통해 자체 생산되는 자생성 기원이 있습니다. 동해 낙동강하구 근처지역이라는 점 때문에 외해지역보단 높은 1차생산성과 외래기원의 유기물에 의해 열감량 수치가 높게 나온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높은 강열감량 수치를 보이는 원인은 자생성, 외래성 기원 모두 골고루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높은 강열감량 수치를 보이는 원인은 자생성, 외래성 기원 모두 골고루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측

강열감량 토의 낙동강으로부터 산업폐수와 생활하수에 의해 외래성 기원의 유기물이 해역으로 다량유입 지도를 보시면 station3의 북서쪽에 낙동강 하구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낙동강으로부터 산업폐수와 생활하수가 유입되어 그로인해 외래성 기원의 유기물이 해역으로 다량유입됨을 알 수 있습니다.

대형저서동물 토의 해저의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산소농도가 감소 갯지렁이류와 불가사리류는 오염에 잘 견디는 기회 종 산소농도감소에 따른 적응력 차이로 기회종인 갯지렁이류와 불가사리류들이 우점하면서 생물 종 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친 것 이렇게 저서환경의 높은 유기물은 분해되면서 산소농도를 감소시킵니다. 앞서 말씀 드렸던 station3에서 출현한 갯지렁이와 불가사리류는 오염에 잘 견디는 기회 종입니다. 따라서 해저의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산소농도 감소에 따른 적응력의 차이로 기회종인 갯지렁이류와 불가사리류들이 우점하면서 생물종 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입니다.

대형저서동물 분포양상 토의 저서생물의 종 다양성 감소 낙동강 유기물 유입 퇴적층내 유기물 함량 높음 해저의 유기물 분해 해양환경실험의 결론은 Station3의 환경은 [엔터]북서쪽에 위치한 낙동강 하구로부터 유입된 유기물과 영양염, 오염물질 등의 다량으로 유입하고 [엔터]그로 인해 퇴적물 내에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고 [엔터] 이 다량의 유기물이 해저에서 분해되면서 [엔터] 해저 산소농도가 감소하여 [엔터]결과적으로 낮은 저서생물의 종 다양성을 가지게 됩니다. 산소농도 감소

지질해양학 실험실

목차 - 실험목적 - 실험방법 및 과정 - 실험결과 - 결론

승선 실습 목적 선상에서 실제 Grab 을 이용하여 심해 퇴적물을 채취 해 본다. 실습에서 채취한 심해 퇴적물을 이용하여 퇴적환경을 알아본다.

퇴적물 core 위치

-FOLK AND WARD METHOD (Ф scale) -FOLK AND WARD METHOD (description) 퇴적물 입도 분석 결과 SA1 SA5 MEAN 7.08 1.919 SORTING 4.083 1.121 SKEWNESS 0.395 0.034 KURTOSIS 0.687 1.782 -FOLK AND WARD METHOD (Ф scale) SA1 SA5 MEAN Fine Silt medium Sand SORTING extremely poorly sorted poorly sorted SKEWNESS Very Coarse Skewed Symmetrical KURTOSIS Platykurtic Very Leptokurtic SA1과 SA5 정점 시료를 분석한 것 MEAN 은 평균입도를 의미 – SA1 정점의 평균입도가 SA5 보다 작은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hi 스케일 임으로 sorting 은 분급도를 의미 – 분급도는 퇴적물이 퇴적된 환경의 에너지를 지시하는 요인. 변동이 심한 곳 은 분급이 안 좋고 안정된 곳은 분급이 좋음 SA1 SA5 둘 다 분급이 좋지 않지만 특히 SA1 의 분급이 매우 나쁘다. skewness 는 왜도를 의미 – 정규분포 곡선에 비해 치우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Kurtosis 는 첨도를 의미 – 얼마나 뾰족한가 정규 분포곡선에 비한 중앙값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FOLK AND WARD METHOD (description)

Extremely Poorly Sorted 퇴적물 입도 분석 결과 ST3(1) ST3(2) ST3(3) ST3(4) ST3(5) MEAN 6.145 4.463 5.108 4.378 6.543 SORTING 4.367 4.466 4.212 4.376 4.134 SKEWNESS 0.209 0.422 0.356 0.430 0.105 KURTOSIS 0.609 0.603 0.678 0.534 -FOLK AND WARD METHOD (Ф scale) ST3(1) ST3(2) ST3(3) ST3(4) ST3(5) MEAN medium silt very coarse silt coarse silt SORTING Extremely Poorly Sorted SKEWNESS Coarse Skewed Very Fine Skewed KURTOSIS Very Leptokurtic Platykurtic -FOLK AND WARD METHOD (description)

입도 입도를 대표할 수 있는 평균치(MEAN) 값으로 입도를 파악 해 보았다. 정점 ST3의 퇴적물의 평균 입도치는 4~6 Ø 로서 Udden and Wentworth 의 size scale 에 의하면 Silt 에 해당한다. 정점 SA1 의 평균입도치는 7Ø 로 Fine Silt 에 해당한다. 정점 SA5 의 평균입도치는 1.9Ø 로 Sand 에 해당한다.

-그림에서 보는 것 과 같이 연안해저에 서는 mud 와 silt 의 세립 퇴적물이 분포 하고 외해로 갈수록 실트질 모래 내지 하고 외해로 갈수록 실트질 모래 내지 사질 퇴적물의 분포가 우세하다.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ST3 과 SA1 정점에서는 SILT 질의 퇴적물이 우세하 게 발달하는 것을 알 수 있고 SA5 정점 에서는 SAND 질의 조립한 퇴적물이 우 세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층 퇴적물 분포도 (박용안 외 3인)

분급도 SORTING 입도가 비슷한 것들 끼리 모여 있는 것을 분급이 좋다 하고 크기가 매우 다양한 것들이 모여 있는 것을 분급이 나쁘다 하는데 분급도는 퇴적물이 퇴적된 에너지 환경을 지시하는 요인이 된다. 에너지의 변동이 큰 곳은 일반적으로 분급이 양호하지 못하고 에너지의 변동이 작은 곳은 분급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ST3 과 SA1 정점의 분급도는 4Ø 정도로 Extremely poorly sorted 로서 분급도가 매우 불량하다. SA5 정점의 분급도는 1Ø 정도로 poorly sorted 로서 분급도가 불량하지만 ST3 과 SA1 정점보다는 분급도가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왜도 Skewness 왜도는 정규분포곡선에 비해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치우친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퇴적물의 환경을 구분하는데 중요한 parameter 이다. Negative skewness 는 high energy , positive skewness 는 low energy 환경의 관계에 있다. SA1 정점은 Very Coarse Skewed 로 high energy 환경이다 SA5 Symmetrical 로 비교적 안정된 환경이다 ST3 Very Fine Skewed 와 Coarse Skewed 인데 분급도와 연관하여 볼때 high energy 환경이라고 볼 수 있다.

결과 SA1 과 SA5 지점을 비교해보면 해안가 에서 외해로 의 퇴적물의 입도 변화를 알 수 있다. SA1 과 ST3 정점은 연안에서 가까운 지역으로 강에서 흘러 들어온 세립질 퇴적물이 퇴적되는 지역으로 조석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 이고, SA5 지점은 외해지역으로 표층해류나 조석의 영향이 적은 곳으로 조립질의 퇴적물이 퇴적되어 있는 환경이다. 참고문헌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 between Geoje and Namhae Islands Dae-Choul Kim 외 2명 (1987) -Study of the surface sediments, shell assemblages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of the southeastern continental shelf of Korean Peninsula 연구책임자 : 윤 선(1989) - Characteristics of Seasonal Variation to Sedimentary Environment at the Estuary area of the Nakdong Eun Chan Yoon and Jong Sup Lee(2008) 한국 대한해협 대륙붕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세립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박용안 외 3인 한국해양학회지, 22{1}, 43-56

느낀 점 김동원 빠잉 송부한 oㅅo;;;; 이장한 해양학은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노력과 인내 없이는 어렵다! 그래도 해양학의 매력은 끝이 없다! 박규동 주로 화학실험보고서를 작성하며, 잘 알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았던 것 같아 좋은 시간이었다고 느낀다. 김은비 강의실에서만 배우던 이론을 실습을 통해 직접 경험하고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어서 유익했다. 김행진 배를 타기 전에는 걱정도 많았는데 막상 해보니 전반적인 실험과정 등 재미있었고 해양학에 대해 좀더 알 수 있었다. 이민주 선상실습을 통해서 배운 자료수집하는 방법이 졸업논문을 쓰는 데 도움에 될 것 같다. 86

Thank Yo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