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목표 8장. 가시성 판단 후면제거의 정의와 처리방법을 이해한다. 절단작업의 정의와 처리방법을 이해한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장. 텍스쳐 학습목표 텍스쳐의 정의와 종류를 이해한다. 평면 다각형의 텍스쳐 매핑 방법을 이해한다. 파라미터로 표현된 곡면 다각형의 텍스쳐 매핑 방법을 이해한다. 파라미터로 표현할 수 없는 곡면 다각형의 텍스쳐 매핑 방법을 이해 한다. 텍스쳐 매핑에서 에일리어싱이.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1.3.1 원의 방정식. 생각해봅시다. SK 텔레콤에서는 중화동에 기지국을 세우려고 한다. 이 기지국은 중화고, 중화우체국, 뚝방에 모두 전파를 보내야 한다. 기지국은 어디에 세워야 할까 ? 중화동의 지도는 다음과 같다 원의 방정식.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1. 선정동기 2. 작도란 ? 3. 작도의 규칙과 기본작도 4.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의 작도 5. 정오각형의 작도 6. 정오각형 작도 그리기 순서 7. 3 대 작도 불능 문제 8. 결론 9. 느낀점 10. 자료 출처.
수학을 통해 배우는 IT 과학의 세계 전북대: 한상언 교수.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11장. 텍스쳐 학습목표 텍스쳐의 정의와 종류를 이해한다. 평면 다각형의 텍스쳐 매핑 방법을 이해한다.
렌더기의 구현 최 수 미
그래픽 하드웨어.
대림대학교 2017년도 1학기 강의 왕보현 순서도와 스크래치 5주차 대림대학교 2017년도 1학기 강의 왕보현
9장. 래스터 변환 학습목표 래스터 변환이 필요한 이유를 이해한다.
모 바 일 게 임 제 작 한국IT전문학교 박재성.
Chap 9. 텍스쳐(Texture).
수치해석 6장 예제문제 환경공학과 천대길.
사원수 (Quaternion)
(Vector Differential Calculus.
7장. 투상변환과 뷰포트변환 학습목표 평행투상과 원근투상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가시부피 설정방식을 이해한다.
(Vector Differential Calculus.
Vector Bubble 충돌 검출 게임 설계 3조 강준순, 김훈석, 복현태.
8장. 가시성 판단 학습목표 후면제거의 정의와 처리방법을 이해한다. 절단작업의 정의와 처리방법을 이해한다.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학습목표 11장. 텍스쳐 텍스쳐의 정의와 종류를 이해한다. 평면 다각형의 텍스쳐 매핑 방법을 이해한다.
다각형.
보고서 #5(제출기한: 10/14) 다음 문제를 해결하시오.
컴퓨터 프로그래밍 : 실습3 2장 데이터와 식.
3차원 객체 모델링.
속성과 리스너 초기화 파라미터 외 파라미터에 대해 이해한다. 리스너를 생성해보고 사용에 대해 이해한다.
(생각열기) 볼록 렌즈로 물체를 관찰할 때는 어떤 상을 볼 수 있는가?
학습목표 13장. 고급 렌더링 그림자를 구현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을 이해한다. 레이트레이싱의 정의와 구현방법을 이해한다.
빅데이터 연구회 6주차 발표 주제 : 서포트 벡터 머신 통계학과 서태석.
프로그래밍 개요
피타고라스 정리 Esc.
Chapter03 캔버스(1) HTML5 Programm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수학 토론 대회 -도형의 세가지 무게중심 안다흰 임수빈.
Chapter6 : JVM과 메모리 6.1 JVM의 구조와 메모리 모델 6.2 프로그램 실행과 메모리 6.3 객체생성과 메모리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2D Game Programming Project 1
4장 기하학적 객체와 변환 - 기하 1장 – 그래픽스 시스템과 모델 2장 – 그래픽스 프로그래밍 3장 – 입력과 상호작용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Parallel Mapping 정광일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삼각형에서 평행선에 의하여 생기는 선분의 길이의 비
평 면 도 형 삼각형 다각형 원과 부채꼴 다각형과 원 학습내용을 로 선택하세요 다각형과 원
1. 단면도 그리기 (1) 단면도의 정의 물체의 외형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은 숨은선으로 그리지만, 필요한
Real time Interaction HyoungSeok Kim
알고리즘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1. 선분 등분하기 (1) 주어진 선분 수직 2등분 하기 ① 주어진 선분 AB를 그린다. ② 점 A를 중심으로 선분AB보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김명수 행렬과 2차원 변환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김명수
벡터의 성질 - 벡터와 스칼라 (Vector and Scalars) - 벡터의 합 -기하학적인 방법
작도 작도 작도: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
SUNRIN INTERNET HIGH SCHOOL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DA :: 퀵 정렬 Quick Sort 퀵 정렬은 비교방식의 정렬 중 가장 빠른 정렬방법이다.
5장. 선택 알고리즘.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3장 JSP프로그래밍의 개요 이장에서 배울 내용 : JSP페이지의 기본적인 개요설명과 JSP페이지의 처리과정 그리고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 대해서 학습한다.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컴퓨터공학과 손민정 Computer Graphics Lab 이승용 교수님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정다면체와 정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3차원에서 입자의 운동 방정식 제일 간단한 경우는 위치만의 함수 : 시간, 위치, 위치의 시간미분 의 함수
Lecture #6 제 4 장. 기하학적 객체와 변환 (1).
Presentation transcript:

학습목표 8장. 가시성 판단 후면제거의 정의와 처리방법을 이해한다. 절단작업의 정의와 처리방법을 이해한다. 지엘의 절단 방법을 이해한다. 은면제거의 정의를 이해한다. 지-버퍼 알고리즘을 구체적으로 이해한다.

정규화 벡터(Normalized Vector) Section 01 벡터-벡터 정규화 벡터(Normalized Vector) 벡터의 크기(절대값) [그림 8-1] 좌표벡터 (8.2) (8.3)

내적(Inner Product, Dot Product) 벡터 내적과 외적 내적(Inner Product, Dot Product) 외적(Outer Product, Cross Product) 정규화 법선벡터 =정규화 외적벡터 (8.4) [그림 8-3] 벡터 내적 [그림 8-3] 벡터 내적 (8.5) (8.6) [그림 8-4] 벡터 외적

평면 표현 (8.7) (8.8) [그림 8-5] 평면 표현 (8.9) (8.10)

법선벡터 방향 지엘의 법선벡터 오른 손을 명시된 정점 순으로 감싸 쥐었을 때 엄지방향 (8.11) [그림 8-7] 법선벡터 [그림 8-8] 법선벡터 방향

후면제거(Backface Culling, Backface Removal) Section 02 후면제거-후면 전면과 후면 후면(Back-Facing Polygon) 전면(Front-Facing Polygon) 후면제거(Backface Culling, Backface Removal) 시점과 면의 오리엔테이션만으로 판단 보이지 않는 면의 거의 절반을 제거 [그림 8-9] 전면과 후면 (8.12) [그림 8-10] 시점벡터와 법선벡터

glEnable(GL_CULL_FACE); glCullFace(GL_FRONT); 지엘의 후면제거 정규화 가시부피 법선벡터의 z 값만으로 판단가능 glEnable(GL_CULL_FACE); glCullFace(GL_FRONT); [그림 8-11] 가시부피와 정규화 가시부피 [그림 8-12] 지엘의 후면제거

하나의 면 = 표면 + 이면 표면 표면과 이면 시계방향으로 정의된 면 반시계방향으로 정의된 면 glFrontFace(GL_CCW) 반시계방향으로 정의된 면 glFrontFace(GL_CW) [그림 8-13] 표면과 이면 [그림 8-14] 표면과 이면

후면의 이면 후면이면 = 표면 표면과 이면 시점이 결정되면 다각형의 표면과 이면 중 하나의 면만 보임. 지엘은 표면과 이면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그 면으로 해당 다각형을 대신함 후면이면 = 표면 [그림 8-16] 후면의 이면

Section 03 절단 알고리즘-절단(Clipping) 2차원 절단 윈도우(Window), 뷰포트(Viewport), 시저 박스(Scissor Box) 3차원 절단 가시부피(View Volume) 절단 다각형 절단 사각형(Clip Rectangle)

4비트 아웃코드(Outcode) 코헨-서더런드 알고리즘 테스트 1) E1 = E2 = 0000 완전히 사각형 내부 선분이므로 보이는 선분으로 판정한다. (선분 A) 테스트 2) E1 & E2 != 0000 선분이 온전히 절단 사각형 밖에 있으므로 제거한다. (선분 B) 테스트 3) E1 != 0000, E2 = 0000 (또는 그 반대) 교차점 계산에 의해 절단한다. (선분 C) 테스트 4) E1 & E2 = 0000 양끝점이 모두 절단 사각형 밖에 있지만 서로 다른 선분이다. 교차점 계산에 의해 절단한다. (선분 D, D') [그림 8-18] 코헨-서더런드 알고리즘

선분분할 분할된 선분을 대상으로 다시 테스트 코헨-서더런드 알고리즘 선분 D: E3 & E2 != 0000 이므로 온전히 외부 선분으로 무시 [그림 8-19] 선분분할 I [그림 8-20] 선분분할 II

교차점에서의 파라미터 값의 순서를 기준으로 여러 가지 경우를 판단 리앙-바스키 알고리즘 교차점에서의 파라미터 값의 순서를 기준으로 여러 가지 경우를 판단 [그림 8-22] 리앙-바스키 알고리즘

절단 다각형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절단 절단 규칙 서더런드 핫지먼 알고리즘 [그림 8-23] 서더런드-핫지만 알고리즘의 처리순서 [그림 8-24] 서더런드-핫지먼 알고리즘의 절단규칙

Silicon Graphics의 Geometry Engine에 사용 서더런드 핫지먼 알고리즘 선분을 연장한 직선을 기준으로 절단 Ex. 좌변기준의 절단 3차원 절단 상, 하, 좌, 우, 전, 후의 6개의 면을 기준으로 절단 면을 기준으로 내외부 판정 Silicon Graphics의 Geometry Engine에 사용 [그림 8-25] 삼각형의 절단 [그림 8-26] 3차원 서더런드-핫지먼 알고리즘

해법 1: 다각형 분할(Tessellation) 볼록, 오목 서더런드-핫지먼 볼록 다각형에만 적용 하나의 다각형으로 취급 오목 다각형 처리결과: 오류 해법 1: 다각형 분할(Tessellation) 오목 -> 볼록 해법 2: 웨일러-애서톤 알고리즘 [그림 8-28] 오목 다각형 처리결과 [그림 8-29] 다각형 분할

웨일러-애서톤 알고리즘 내부에서 외부로 가는 교차점이 추가되면 즉시 그 교차점으로부터 절단 사각형을 따라서 반 시계 방향으로 간다. 즉, 가장 최근에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온 교차점을 만날 때까지 간다. 1-C-D-2로 구성되는 하나의 다각형이 완성 분리된 여러 개의 다각형을 생성함 [그림 8-30] 웨일러-애서톤 알고리즘

정점의 내외부 판정 [그림 8-31] 정점의 내외부 판정 (8.13) (8.14) (8.15)

점과 평면간의 거리 동차좌표 사용 법선벡터 방향이 면의 외부로 정의됨 [그림 8-32] 점과 평면의 거리 (8.16) (8.17) (8.18) (8.19)

교차점 계산 (8.20) (8.21) (8.22) (8.23) (8.24) (8.25) (8.26) [그림 8-35] 교차점 계산 (8.27)

3차원좌표(x’, y’, z’) 정규화 장치좌표계 절단 좌표계 (동차 좌표) Section 04 지엘의 절단-지엘의 절단 (8.28) (8.29) [그림 8-38] 정규화 부피 (8.30)

서더런드 핫지만 알고리즘과 유사 내부점, 외부점, 동일점 지엘의 절단 지엘은 4차원 절단 4차원 교차점 계산이 필요 [그림 8-39] 동차좌표, 3차원 좌표 [그림 8-40] 내부점, 외부점 [그림 8-41] 동일점

선분의 절단 [그림 8-42] 선분절단 I [그림 8-43] 선분절단 II (8.31) (8.32) (8.33) (8.34) (8.35) (8.36)

Hidden Surface Removal Section 05 후면제거-은면제거 Hidden Surface Removal 앞 물체에 가려서 안 보이는 부분 물체의 깊이정보(z값)를 기준으로 판단 [그림 8-46] 가시성 [그림 8-47] 은면 I [그림 8-48] 은면 II

멀리 있는 배경위에 가까운 물체를 덧칠 페인터 알고리즘 깊이 정렬(Depth Sort)이 필요 Zmax를 기준으로 물체를 정렬 [그림 8-51] 물체면의 깊이 차이 I

B‘, B'‘ B B'‘ 페인터 알고리즘 Zmin이 A의 Zmin보다 앞에 있으면 그것을 나중에 그려야 함. x 또는 y 범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으므로 어느 것을 먼저 그리던지 무관함. [그림 8-52] 물체면의 깊이 차이 II

면의 분할 (1) (2) (3) 페인터 알고리즘 먼저 A, B를 Zmax 기준으로 그려냄. C와 D는 Zmax는 같지만 x(또는 y)의 범위가 중첩되지 않으니 어느 것을 먼저 그려도 무방함 (3) 최종결과 [그림 8-54] 면의 분할

가시성 사이클(Visibility Cycle)과 침투(Penetration) 페인터 알고리즘 가시성 사이클(Visibility Cycle)과 침투(Penetration) 페인터 알고리즘 물체공간 알고리즘(Object Space Algorithm) 정밀도는 높지만 실행속도가 느림 경우에 따른 처리가 매우 복잡함. [그림 8-55] 사이클과 침투

물체공간 vs. 화소공간 지-버퍼 알고리즘의 시선 지-버퍼 알고리즘 결국 화소공간으로 사상 화소공간 해상도로 은면을 판단하면 됨 지-버퍼 알고리즘의 시선 [그림 8-56] 물체공간, 화소공간 [그림 8-57] 지-버퍼 알고리즘의 시선

지-버퍼(Z-Buffer) 또는 깊이버퍼(Depth Buffer) 지-버퍼 알고리즘 Initialize Frame Buffer with Background Color; Initialize Z Buffer with Infinite Distance;   for Each Polygon {     for Each Pixel {         Calculate z of Intersection                                                  if (Calculated z < Current z of Z-Buffer) {              Update Z-Buffer with Calculate z;                                            Update Frame Buffer with the Color of Current Polygon;   }     }

지-버퍼 알고리즘 [그림 8-58] 지-버퍼 알고리즘 [그림 8-59] 지-버퍼의 초기화 [그림 8-60] 갈색 삼각형 처리결과

지-버퍼 알고리즘 [그림 8-58] 지-버퍼 알고리즘 [그림 8-60] 갈색 삼각형 처리결과 [그림 8-61] 녹색 삼각형 처리결과

래스터 변환 단계에서 실행 선형보간 정점으로부터 내부점의 깊이(Depth)및 컬러(Color)를 보간 [그림 8-63] 선형보간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