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화학생명공학국 유전공학심사담당관실 이 충 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Long noncoding RNA HULC modulates abnormal lipid metabolism in hepatoma cells through an miR-9-mediated RXRA signaling pathway 석사 1 학기 변재환.
Advertisements

Chapter 4 인간게놈 프로젝트 (Human Genome Project). 1. 게놈 (genome) 이란 - DNA :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로 A, T, G, C 라는 염기로 구성 - 유전자 (gene) : DNA 가운데 특정 단백질로 발현되는 DNA - 염색체.
KGCP 와 IRB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연구자가 가지는 IRB 에 대한 오해 나보다 IRB 가 어떻게 protocol 을 더 잘 알 수 있나, 고로 나에게 수정하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 protocol 은 이미 이분야의 대가가 다.
X-Ray Diffraction (XRD) Joo Suk-bae. 회절 (Diffraction) 입자의 진행경로에 틈이 있는 장애물이 있으면 입자는 그 틈을 지나 직선으로 진행한다. 이와 달 리 파동의 경우, 틈을 지나는 직선 경로뿐 아니라 그 주변의.
게임 엔진 Term Project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검술의 달인 학번 : 이름 : 문정훈 학번 : 이름 : 문정훈.
휴먼게놈프로젝트와 컴퓨터 Human genome project and Computer science
(화) 나로고등학교 미래 과학 기술 전망과 이공계 진로 선택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 교수 강형일.
중소기업 R&D,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산업정보분석실 책임연구원 박 영 서.
바이오산업 Back on the Radar Screen
선생님께서 아실만한 내용이죠..
한 호 재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과학기술부 세포응용연구사업단
노 화 노화란 무엇인가? 노화 현상의 특성 (노인의 특성) 노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
목 차 그 간의 진행사항 향후 진행사항 바베스열원충 ’16년 수행계획 토의
HBV DNA Viral Load Test 비교 COBAS TaqMan 48 과 COABS AmpliPrep 소개
1.Activation of tolerant TCR transgenic CD8+ T cells.
국제 저명인사 초청 멀티스케일 에너지 강좌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 프론티어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서울대학교
Chapter 9. Magnetic Forces, Materials, and Inductance
Sale \ 429,000 BioT Transfection Reagent 행사 \ 558,000 ㈜셀젠바이오테크 SEARCH
Antineoplastic Effects of Various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  Agonists against Hepatitis B virus (HBV)-associated Hepatocellular.
4강 10번 The entrepreneurial journey brings with it ______ .
Transplantation Immunobiology
Protein Kinase Inhibitor Therapy For Chronic Myeloid Leukemia
Gene Cloning(유전자 클로닝) 유전자 클로닝 정의. 유전자 클로닝의 등장배경. 유전자 클로닝의 중요성
1) 미생물의 배양법 미생물이란 LB배지 미생물 배양 방법 고체배양 : 사면배양/ 천자배양 …
IV. 건강에 대한 나의 관심분야 3.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GENETIC TECHNOLOGY 생물학개론 15주차 강의
MHC (major histocompatiblity complex)
Prayer Attendance Homework.
Application of Acoustic Sensing and Signal Processing for PD Detection in GIS 20003년 05월 10일 이 찬 영.
혁신가의 처방. Ch. 2 The Technological. Enablers of Disruption. Clayton M
Internet Computing KUT Youn-Hee Han
Placenta and Fetal membrane
Third week of development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ynaMed-What is EBM -What is Evidence-Based Medicine ?-
형태 발생 연구의 화학적 기반 (Chemical Basis of morphogenesis)
ICH-GCP, KGCP의 배경 및 기타 관련 규정
Stem Cell Research -The Prospect -
GPIA 한국 생명공학 특허기술 분석 실증적 연구 분과 특허정보분석연구회(GPIA) Group of Patent
소화기계 암의 미세환경 연구의 중요성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김 나 영.
1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Trends and Features of Urban Decline in Korea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구조와 기능 동물세포 식물세포 * 동물세포에만 존재 * 식물세포에만 존재 중심립이 있는 중심체 세포벽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DGMIF)
Humanistic Language Learning Materials
Bioremediation Week 6. 환경위해성평가 (Risk Assessment) Bioremediation Week 5
Recurrence Patterns of Curative Resected Ampulla of Vater Cancer
Genome Project 고해상도 유전지도 및 물리지도를 제작하여 질병관련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윤리연구관련 ELSI 제도 - 운영경험을 중심으로
사회복지프로그램 기획 및 평가 -로직모델을 중심으로 김유심(가양4종합사회복지관장)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의 개념
신경세포 신호전달 및 분화 과정에서 Phospholipase C의 역할 연구 연구목표 연구책임자 : 서 판 길
제18장 인간의 생식과 발생.
의학 용어~! 어렵지 않아요^^.
Other ANOVA designs Two-way ANOVA
바이오 보건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은행 추진방안
Mammalian cell culture Ⅰ
서울대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의대 보라매병원 흉부외과
NDC-052를 이용한 항천식제 개발 이 형 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참여기업 : 한국신약(주)
신기술 영역에서 특허보호와 관련된 한국의 기술경쟁력
Department of clinical pharmacology
목차 인체생리학의 개요 인체의 구성체계 세포의 구조와 기능 세포막을 통한 물질이동 Ⅰ Ⅱ Ⅲ Ⅳ.
유전자변형동물 생산 및 활용 - Genetically Engineered Animal
Plasma Exchange of patients with ABO incompatible kidney transplantation -ABO 부적합 신장이식에서의 수술전 혈장교환술 시행 경험- 이번 시간에는 본원 이식외과에서 2010년부터 ABO 부적합 신이식을 시행하면서,
2010년 1분기 정리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연구팀 (mtDNA research lab) (금)
㈜프라임비엠텍 교육 강의안(2)
구조주의 심리학 감각질이라는 단순 요소들로 분해 집=나무 + 벽돌
24. 면역계.
The general form of 0-1 programming problem based on DNA computing
Analysis of Customer Behavior and Service Modeling Final Team Project
기술경영학 박사과정 곽규태 사회학과 석사과정 권애정
‘의과학기초연구’ 실습후기발표 ‘의과학기초연구’란 ? PM2 한 장 규
4차 산업혁명 관련 스마트 기술의 기초 Ch6. 생체인식 관련 기술
Presentation transcript:

특허청 화학생명공학국 유전공학심사담당관실 이 충 호 Embryonic Stem Cell 특허청 화학생명공학국 유전공학심사담당관실 이 충 호

Stem Cell Self Renewal Plasticity

Stem Cell

Stem Cell Totipotent Cell (만능 세포) Pluripotent Cell (전분화능 세포) Embryonic Stem Cell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Germ Cell (배아생식세포) Multipotent Cell (다능성 세포, 성체줄기세포)

Totipotent Cell

Stem Cell Totipotent Cell (만능 세포) Pluripotent Cell (전분화능 세포) Embryonic Stem Cell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Germ Cell (배아생식세포) Multipotent Cell (다능성 세포, 성체줄기세포)

Pluripotent Cell

Blastocyst (배반포, 포배기) Inner Cell Mass ES Cell Trophoblast Cell 태반

Stem Cell Totipotent Cell (만능 세포) Pluripotent Cell (전분화능 세포) Embryonic Stem Cell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Germ Cell (배아생식세포) Multipotent Cell (다능성 세포, 성체줄기세포)

Pluripotent Cell

Stem Cell Totipotent Cell (만능 세포) Pluripotent Cell (전분화능 세포) Embryonic Stem Cell (배아줄기세포) Embryonic Germ Cell (배아생식세포) Multipotent Cell (다능성 세포, 성체줄기세포)

Multipotent Cell

Embryonic Stem (ES) Cell Mouse ES cells Evans & Kaufman, Nature, 292:154-6, 1981. Martin, PNAS, 78:7634-8, 1981.

Human ES Cell 연구동향 Thomson et al., (Wisconsin 大), Science, 282(5391):1145-7, 1998. Shamblott et al., (Johns Hopkins 大), PNAS, 95:13726-31, 1998. Reubinoff et al., (Monash 大), Nat. Biotech, 18(4):339-404, 2000. Schuldiner et al., (Hebrew 大), PNAS, 97(21):11307-12, 2000.

Colony of Human ES Cells

In vitro differentiation of Human ES cells into Neuron (Nat. Biotech

The differentiation of cells derived from human ES cells

The Promise of Stem Cell Research

ES cells for Basic Research & Human Medicine is pluripotent early-stage stem cell can be expanded infinitely in vitro without losing their pluripotency allows feasible gene manipulation

Application of ES cells for Basic Research & Human Medicine Unique resource for the fundamental analysis of early human development Tools for the development & differentiation for specific-types of cells in vitro models for drug discovery

Application of ES cells for Basic Research & Human Medicine Cell Replacement Therapy for Degenerative CNS disorder : Parkinson’s D, Alzheimer’s D, Cerebral stroke, Spinal cord injury Leukemia Juvenile Diabetes Mellitus Cardiac infarct Liver cirrhosis

세포치료법 대상환자수

Summary of possible applic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Critical factors to be overcome Efficient differentiation into specific type of cells Purifying the cells of interest from the mixed population Survival & Integration of transplanted cells Possible causes of donor cell death Immune Rejection Limited supplies of growth factors Ischemia Etc

Solutions Genetic alterations of ES cells to suppress the activity of immune response ‘ES cell Bank’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antigen-type human ES cells ‘Therapeutic Cloning’ using nuclear transfer (NT) technique

Therapeutic Cloning

체세포 핵치환 기술에 의한 복제羊 돌리의 탄생 1 혈청기아배양 어른양의 체세포 휴지기 핵 전기충격 세포융합 대리모에 이식 배수성유지 세포분열 활성화 2 공여핵 세포질 노출 제2감수분열중기 비활성화 탈핵난자세포 양의 난자세포 1. 핵공여를 위한 체세포의 혈청기아 배양방법-영국특허 제2318578호 (국내출원 98-701381) 2. 세포질체 수용체로서 불활성화된 난모세포 -영국특허 제2318792호 (국내출원 98-701382) Dolly 복제 성공

복제동물 생산과정 모식도

Critical problems in NT Low efficiency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2%) Genomic Imprinting Different methylation pattern in genome Inadequate blastocyst formation Inadequate developmental potential

Limitation of primary stem cells for clinical application Limitation of cell supply source of cells laborious dissection maintaining of long-term culture Limitation of differential potential early development has been determined Problems in donor cell survival & integration inadequate gene manipulation

Human ES cell

Human ES Cell using NT technique

Human ES Cell using NT techniqu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human ES cell A total 242 oocytes / 16 volunteers Autologous SCNT 25% of the embryos grew to the blastocyst stage mSOFaa media Several Critical Steps Reprogramming time Activation method In vitro culture conditions

주요 국가별 입법 동향

특정질병의 진단용 등 구체적인 유용성이 입증된 경우에만 특허가능 생명공학 분야 심사 기준에 따른 특허 보호 분야 대 상 구분 유전자 단백질 미생물 동물 식물 인간, 인체의 일부 물 질 수술방법 진단방법 치료방법 방 법 DNA 단편 특허가능 무성적으로 반복 생식할 수 있는 변종식물만 가능 KR 사람불가 동물가능 US 단, 품종은 불가 EPO 특허불가 JP 특정질병의 진단용 등 구체적인 유용성이 입증된 경우에만 특허가능

ES cell 관련 유럽의 입법동향 98/44/EC, 1998.07.30. 2년내 국내법 반영 제6조 제1항 어떠한 발명의 상업적 이용이 공중의 질서나 도덕에 반하는 경우에는 특허받을 수 없음 제2항에서 이에 해당하는 발명을 예시 인간을 클로닝하는 것 인간의 생식세포계열의 유전적 동일성을 변형시키는 것 산업상/상업상 목적으로 인간 배아를 이용하는 것 유전적인 변경이 상당한 의학적 이익 없이 동물에게 고통을 줄 경우의 형질전환 동물 및 생산방법

ES cell 관련 EPO의 입장 인간의 클로닝 인간 생식 (세포) 계열 유전자 치료 인간의 배에 대한 산업적인 이용 유전적인 변경이 상당한 의학적 이익 없이 동물에게 고통을 줄 경우의 형질전환된 동물 (그 동물의 생산방법에도 적용) “필수적으로” 생물학적인 방법 명백하게 식물과 동물 품종을 가리키는 청구항

ES cell 관련 미국의 입법동향 2000.08.23. 클린턴 행정부 2001.08.09. 부시 행정부 NIH Guidelines for Research Using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2001.08.09. 부시 행정부 NIH Human ES Cell Registry 14개 연구기관, 총 78 종류의 ES cell 확립 기증자 동의, 잉여수정란, 무대가성, 연구목적의 제조배아 배제

ES cell 관련 USPTO의 입장 Stem cells are, Both living organisms and found in nature (Biotechnology) Purified and isolated cell lines, as well as methods for their purification and isolation, represent important technological advances They may also have novel or unexpected properties or uses, and may therefore result in a patent

주요 인간 배아줄기세포 物 특허현황

ES cell 관련 특허 현황

ES cell 관련 특허 현황

ES cell 관련 특허 현황

ES cell 관련 국내 특허 현황

ES cell 관련 국내 특허 현황

ES cell 관련 국내 입법동향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2003.12.29. 인간 개체 복제 금지 이종간 착상 등 금지 5년이 경과된 냉동 잔여 인공 수정란 제한적 연구 목적으로 사용가 희귀, 난치병 치료위한 연구 목적 외에 체세포 핵이식 행위 금지 유전자 검사, 치료의 제한 및 유전정보의 보호

ES cell 관련 KIPO의 입장 ? 현재 인간은 특허대상에서 제외시키고 있으며, 인간 배아 복제기술도 복제인간 탄생 우려가 있어 특허 불가 방침 다만, 순수한 배아줄기세포 기술은 인류복지에 기여할 잠재력을 감안하여, ‘생명윤리법’과 국내 생명공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 선진국의 논의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사기준을 마련토록 하겠음

헌법으로 보장된 ‘발명가의 권리’ 제22조 모든 국민은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가진다. 저작자, 발명가, 과학기술자와 예술가의 권리는 법률로서 보호한다.

특허법의 목적 제1조 (목적) 이 법은 발명을 보호 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보호의 대상 “산업상 이용할 수 있는 발명” (특허법 제29조) 특허받을 수 없는 발명이 아닐 것 (특허법 제32조) 발명의 정의 (특허법 제2조) : 자연법칙을 이용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고도한 것 특허받을 수 없는 발명이 아닐 것 (특허법 제32조)

특허를 받을 수 없는 발명 공서양속에 반하거나, 공중위생을 해할 염려가 있는 발명 (특허법 제32조 규정) 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있는 발명 환경오염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발명 인간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발명 인간의 존엄성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발명

인간배아 복제의 특허 여부 인간의 존엄성과 공서양속을 해칠 우려가 있어 특허 불가 향후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면 특허 여부 재검토 가능 ?

감사합니다.

인간배아 복제 기술의 응용 체세포 복제단계 혈청기아배양 환자의 체세포 휴지기 핵 세포융합 간경화 환자 난자세포 탈핵난자세포 세포분열 활성화 이식용 간 간으로 분화 분리 조직배양 배아간세포 ( stem cell) 포배기 (5 일 ) 낭배기 (2 주 ) 2 주이상 배양금지 태아로 발생

Comparison of mouse ES and human ES, EG, EC cells Colony shape tight loose Dissociation into single cell o x Surface Ag SSEA-3,4(x) SSEA-1 Oct3/4 SSEA-3,4 TRA-1-60 TRA-1-81 Alk.phos GCTM-2 Control of undifferentiation LIF (CNTF or Oncostatin M Feeder LIF (x) LIF Developmental potential ++++ ++ ? Karyotype normal Aneuploid EB 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