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실사팀장의 경험과 Best Practices 의 예 문 형 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실사 경험 1. 철저한 준비는 필수 - 실사 전에 모든 팀원이 자체평가보고서 등을 숙독 하고 실사 때 질문하거나 확인해야 할 사항을 정리 함 - 실사일정이 생각보다 부족하기 때문에 정리된.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1 차시 ] 5 분 퀴즈 1. 자신을 소개하는 기본 문형을 말해 봅시다. 2. 고등학교 ‘ 축제 ’ 를 일본어로는 뭐라고 하나요 ? 3. 숫자 1-10 중 읽는 방법이 2 가지 이상인 것은 ? 4. 다음 설명에 대해 ○, × 로 답해 봅시다. ① 일본에서 교복은 ‘ せいふく.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제 언 필 요 성 연구 목적 연구 문제 연구 범위 실천 과제 연구 결과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초등학교의 강점과 약점 국어교육과 류성혜. 언론에서 말하는 공교육 위기 -1 정부가 교육을 국가경쟁력의 측면에서 바라보지 못 하고 어정쩡하게 공공성만 강조하는 바람에 현재의 교육위기를 불렀다는 주장이다. - 문화일보 [ 속보, 사회 ] ( 화 ) 교권추락,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문자코드 1 박 2 일 (4 조 ) 이경도 이준집 이수연 엄태규. 문자코드란 ? 문자나 기호를 컴퓨터로 다루기 위하여, 문자나 기호 하나하나에 할당 시키는 고유의 숫자를 말하는 것이다.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2015 개정교육과정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Ⅰ 개정 배경 Ⅱ 개정 방향과 중점 Ⅲ 주요 개정 내용 Ⅳ 성취평가제.
訓(가르칠 훈) 民(백성 민) 正(바를 정) 音(소리 음) 백성에게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제 4장 교실환경 4. 교실의 실제 신영섭.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의자 만들기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곡성고등학교 진 미 경.
석오문화재단 장학생 이력서 학 력 가 족 사 항 봉사활동/교내외 활동 외 국 어 ∙ 기 타
컴퓨터응용기계계열 졸업인증제 시행공고 컴퓨터응용기계계열
2-국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나의 진로와 앞으로의 계획에 관하여 박세훈.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직장 내 성차별에 관한 조사 -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구회 운산초등학교.
1-1 일과 일률.
PBL 점수: 총점 20점 개별 성찰 일지 6점 (3회- 회당 각 2점)
이 사이트는 국제 영어교육학회(TESOL)의 말, 발음 및 듣기 분과(SPLIS)의 공식 사이트이다. 분과에 대한 정보 이외에, 이 사이트는 발음 문제에 대한 논의와 발음지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참고도서,
[ ] 호서대학교 현장실습지원센터 홈페이지 안내 교수 매뉴얼.
3강 한글 맞춤법 총칙.
Lesson 1 Read & Do. Let’s write` 영어 중학교 1학년 1학기
원어민과 1:1 개인 수업을 한다 매일 해외로 유학을 간다 영어 말하기/듣기수업에 대비한다 [주]샘물교육정보 수강문의
10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I 스크립트릿, 선언, 표현식 지시자 주석 Lecturer Kim Myoung-Ho
Lesson 1 Talk & Dialogue 영어 중학교 1학년 1학기
이 력 서 학 력 사 항 (※ 고교 이후 학력사항 기재) 주 요 경 력 사 항 기타 이력 (아르바이트, 학회, 동아리 등)
학교 홍보 광고문 쓰기1 최인호 선생님의 국어 수업.
강릉원주대학교 전임교원대상 온라인 교수법 특강
제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한중일 공용 한자 800자 김한샘.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초기화면 미 술 5학년 10.판본체 궁체로 쓰기(3/8) 판본체와 궁체의 모양을 비교해 봅시다.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중10 영어 1학년 2학기 Lesson 8 What’s Your Hobby? (1/9) 취미활동 듣고 익히기.
S M A R T 유 주 영 김 상 현 최 기 훈.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보건교육방법론 1주.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문화로 아름답고 행복한 학교 화장실 개축 기념식 (금) 14:00 김천다수초등학교.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KOREA NAZARENE UNIVERSITY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 교육 방안 (학습자 연령에 따른 한국어 교육)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인터넷 은어 사용에 관한 조사 엠브레인.
강원 대학교 2003학년도 가을학기 담당 교수: 정기문
미시 경제학 강원 대학교 2005학년도 1 학기 담당 교수: 정기문.
- 수학 - 5학년 나 단계 - 3. 도형의 합동 > (7) 7. 수준별 학습 수업 계획 수업 활동.
1장 C 언어의 개요 C 언어의 역사와 기원 C 언어의 특징 프로그램 과정 C 프로그램 구조 C 프로그램 예제.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2012학년도 주5일수업제 전면 자율 도입에 대비한 설문조사 결과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전공 2기 이경희, 권언경
중국 내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대학기관용 종합 교재를 중심으로-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9장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연구 『한국어교육의 이해(개정판)』2008, 김중섭 p.265~292 한국어교육개론 김중섭 교수님 2009년 4월 27일 2009620074 승종경, 2009620193 정지숙

목 차 1. 머리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목 차 1. 머리말 2.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실태와 현황 2.1국내의 한자 교육의 실태 2.2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한자 교육의 실태 2.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재의 실태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3.1설문조사분석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3 비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4. 한자 교육의 범위 4.1 교육용 한자어 선정 5. 맺음말

1. 머리말 한국어 어휘의 70% 정도가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 음에도 한자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  ①한국어 교육의 목표가 주로 회화에 있었다는 점. 따라서 문자 교육 측면이 소홀  ②한국어 교육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이 한글 전용의 입장을 택하는 곳이었음.  ③국어교육에서 한자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학자들이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 교육 문 제에 관심이 적었음  ⇒한국어를 유창하게 하는 외국 학생이 신문을 읽지 못하 고 전문 서적을 읽지 못하는 현실을 생각하면 한자교육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크다

<표1>1992년 7월: 남북한 신문의 어휘 사용 실태 비교 남한의 '동아일보'와 북한의 '로동신문'을 대상으로 하여 신년사, 사설 및 1면 기사(광고, 제목 글 제외)를 대비하여 살펴보았음.

2. 외국인을 위한 한자교육의 실태와 현황 2.1 국내의 한자 교육 실태 ▶1995년 문제되었던 국한혼용과 한글전용 논의는 우리 한자교육 의 현실 대변 <표2>   한글전용 주장 국한혼용 주장 이념적 민족의 이상 실현, 자주정신과 긍지 함양 민족문화의 전통계승, 도덕교육의 방편 학문적 문자해독의 용이성, 국어발전 및 순화촉진, 기계화와 능률화 월등 한국어 어휘 79%가 한자, 한자의 조어력, 축약력, 직관적 의미 파악 가능, 동음이의어 식별 용이 현실적 언어문화의 대중화에 기여, 한․중․일의 한자는 음이 다르고 뜻과 모양도 달라 통용에 한계 한자 조기 교육으로 현실 문자 생활의 적응에 효과 큼, 문자생활의 다양화 가능, 한․중․일 교류에 유리

▶<표3>한자교육의 역사적 변화 한글 창제 이후 주로 국한 혼용문 쓰고 한글 전용 글들은 언간이나 고소설 등의 특수한 목적의 글 갑오경장 이후 한글 전용의 기운 나타남 1950년대 한글 전용법 제정으로 문맹퇴치, 언문일치의 문장의 보편화. 그러나 언어생활에 있어서 전통과의 단절, 문화적 편협성초래, 우리말의 조어력 저하시켜 우리문화를 외래문화에 예속시키는 결과 초래 1960년대 초․중․고 기초한자 1800자 선정, 중고등학교 모든 교과서 한자 병용 원칙 1970년대 초등국어 한글전용 원칙, 중학교과 중등기초한자 900자, 고등교과 고등기초한자 900자 최근 초등 정규 수업 과정 내에 한자 수업 포함, 2008년 수능부터 제2외국어 선택과목, 신입사원 채용 시 한자시험 보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한자능력시험 응시자 큰 폭 증가

2.2 <표4> 한자 반이 있는 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의 현황

- 한자권 대학들은 ‘한자 음 읽기’와 ‘어휘 대조’ 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2.3 <표5> 해외대학에서의 한국어 한자 교육현황  - 한자권 대학들은 ‘한자 음 읽기’와 ‘어휘 대조’ 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비한자권 대학들은 ‘문 자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을 기반으로 한자교육을 하고 있다.

2.4 <표6>

<표7> 한국어 한자교육론 과정 개설 현황

2.4 한국어 한자 교재 - 60년대에 2권 70년대에 3권, 80년대에 출판 되었지만 , 90년대에는 한권도 출판되지 않다가, 2000년대 들어와서 10권이나 출판되었다. 특히 2005년 이후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등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비정규 과정으로 개설 된 한자반 교수요목에 맞춘 교제가 개발되는 등 한자 교육 에 대한 관심이 최근 들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 Hanja : Handbuch and Lexikon (PaperBack)-한림출판사(2002) 한자 숙어로 배우는 한국어-최권진(2007) -국한문 혼용 자료를 활용해서 한자를 학습시키고, 한자 숙 어의 유래를 제시함. 살아있는 한국어: 한자 성어 -김선정 외(2007) -컬러풀한 그림을 제시하여 흥미를 이끔. -‘그림제시>본문>연습해요>함께해요>쉬어가요’의 순으로 구성

3.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의 방법 및 내용 3.1 설문조사 분석 ▶ 설문조사 대상자  3.1 설문조사 분석 ▶ 설문조사 대상자 -일본-4명, 중국-4명, 우즈베키스탄-2명, 몽골-2명, 체코 -1명, 대만-1명, 독일-1명 -한자권 8명 / 비한자권 6명 ▶ 설문내용 -한국어 학습 기간 ; 1년 6개월    -한자에 대한 학습자의 관심 정도 ; 매우 많다 10명/ 조금 있다 3명 / 별로 없다 0명/ 기타 1 명 -학습자의 한자 읽기 능력;   10자 정도 1명/ 20자 정도 2명/ 100자 정도 3명/ 200자 이상 3명/기타(1000자 이상) 5명

3.1 설문조사 분석 -학습자의 한자 쓰기 능력;   5자 정도 0명/ 10자 정도 1명/ 50자 정도 5명/ 100자 이 상 2명/ 기타(200~200자 까지 다양) 6명 -한자 학습의 중요성  매우 중요 9명/ 중요 5명/ 별로 중요하지 않음 0명/ 필 요 없음 0명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자 교재 있다 3명/ 없다 7명  -한국어 한자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 한자의 발음> 한자 쓰기> 한자 독해  -한자어 수업을 한다면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좋 겠는가  한자 독해 6명> 한자 읽기 5명> 한자 쓰기 3명

<표9>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가 한자를 가장 많이 접하는 곳<표9>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가 한자를 가장 많이 접하는 곳<표9>  - 초급 학습자들은 간판에서, 중급 학습자는 도로 표지판에서, 고급 학습자들은 신문에서 한자를 많 이 접한다고 하였음.    - 주목할 것은 최고급 학습자들은 교사와 마찬가 지로 학술지나 논문 등에서 많이 접한다고 하였음.    - 이는 한국어 수준이 올라 갈수록 읽기 텍스트 등에서 한자를 접하는 일이 많아짐을 의미하며 학 문 목적 등 최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 습자들에게 일정 수준의 한자 능력이 요구 됨.

한자어 어휘력이 도움을 주는 언어 기능<표10> 교사와 학습자 모두 한자어 어휘력은 ‘읽기’에 가장 많은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한자권 학습자들은 한국 한자음의 학습을 통해 한자어 에 대한 발음이나 철자가 분명해 져서 말하기와 쓰기 능 력이 향상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표11>

<표12> 한자어 교육의 시기 -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한자 교육은 고유어 어휘력이 한정되고 한자 어 어휘력이 급증하는 증급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2.1 일본어권  표기상의 차이; 크게 나타나지 않고, 몇몇 단어에 대 해 약자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음.                예) 한국 圖(도) /  일본 図(도)                          體(체) /       体(체)  발음상의 차이; 한국 한자음과 일본 한자음의 음운 대응 규칙을 설명                예) 한국 한자음의 어두음/h/는 일본 한자음 /K/와 대응하는 규칙을 보임  표현의 차이; 일본 한자 어휘를 그대로 표현하여 문 제가 되기도 함.               예) ‘다방’을 일본에서 ‘끽다점’이라고 하는데, 작문에서 그대로 씀.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2.2 중국어권(중국과 대만) 표기상의 차이;  3.2 한자 문화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3.2.2 중국어권(중국과 대만)   표기상의 차이; 대만- 한국 한자와 표기의 차이가 거의 없음.          중국- 간체차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경우가 표기를 달리함.   발음상의 차이; 한국 한자음과 큰 차이. 중국과 대만이 거의 같아서 나누어 교육할 필요 없음.   표현의 차이; 의미와 표현의 차이가 심함.  예) 같은 의미, 다른 표현 → 한국- 俳優(배우) /  중국- 演 같은 표현인데도 의미 차이 → 汽車(기차) ; 한국-기차/ 중국-자동차   한자성어의 차이 → 한국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만 靑梅竹馬

 3.3 비한자권 외국인을 위한 한자 교육 ▷ 비한자권 외국인들은 처음 한자를 접하기 때문에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한자 교육 방법으 이용하면 편리하다. 그러나 성인들이므로 기본 내용은 초등학 생을 위한 한자교육을 기본으로 하되 나에 맞고 생 활과 문화에 적절한 어휘나 방법을 이용한다. ▶문금현(2003) 한자권 학습자 - 한자의 독음과 의미 습득을 중심으 로 교육 비한자권 학습자 - 한자 자체에 대한 학습부터 시작.  초급반에서 한자에 대한 학습에 치중하면 발음이나 문형 학습에 방해 되므로 쉬운 상형 한자와 한자어 를 제시하여 분위기를 익히는 것이 효과적.

<표13> 한자어 교육의 내용

4. 한자 교육의 범위 - 한국 교육용 한자(1800자), 북한(3000자), 중국 (2500자), 일본(1945자) - 각 나라의 기초 한자를 비교하여 정리해야 함. -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1800자까지는 필요 없다 고 봄. - 외국인의 경우 한자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에 차이를 뒤고 교육.(실제 읽기 교육이 시급)

<표14>

▶ 한자어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교육용 한자의 선정 기준 <표15> 한자어 교재 개발 요구도 한자어 교육은 기본적으로 한자를 통한 한자어 교육이 되어야 하며 한자어 교재는 조어력이 높은 한자를 중심으로 한자어를 확장해 나가는 방향으로 설계해야 한다.

▶ 한자어 교재 개발의 방향과 교육용 한자의 선정 기준 <표16> 교육용 한자 선정 기준

4.1 한자권  4.1.1 일본어권     쓰기학습은 차이를 보이는 한자들만 따로 모아서 교육하고 빈도수가 높은 글자부터 교육. 읽기는 음 운 대응을 설명하면서 강의, 초급 200자, 중급 300 자, 고급 500자 정도의 읽기 교육    4.1.2 중국어권   중국학생과 대만학생의 교육 방법에 큰 차이를 가져 야 함. 중국 학생의 경우 대다수의 한자를 새로 습 득해야 함. 한국과 중국 한자 사이에 차이를 보이는 쓰기에 기초적인 한자들부터 교육, 대만학생의 경 우 일본 학생과 마차가지 읽기 교육, 중국학생의 경 우 초급 100자, 중급 200자, 고급 300자 정도의 쓰 기 교육-쓰기와 별도로 읽기 수업 참여방안 고려.

4.2 비한자권 -  초등학교의 방법을 응용하되 관련 어휘의 경우에는 외 국인 학생이 성인인 점을 감안하여 선정. 초급 100자, 중급 200자, 고급 300자 정도가 적당할 것이며 한자 쓰 기에 중점을 두지 말고, 한자 읽기와 용례 중심의 교육 을 하여 흥미를 유발하여야 할 것이다. 5. 맺음말  ①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정규과목에 한자 어 교육을 포함해야 함.  ②문화권별로 외국인 학생을 나누어 교육  ③외국인을 위한 기초 한자 어휘 선정, 해당 문화 권에 맞는 한자어 선정  ④교재개발 시급-단계별 한자교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