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특강 2011년 3월 18일 서동주(국가안보전략연구소) 러시아 정당체제의 과거, 현재, 미래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특강 2011년 3월 18일 서동주(국가안보전략연구소)
목차 1. 전공의 시각과 분석의 틀 : 정치, 권력, 러시아 2. 정당과 정당체제 : 역할, 구조 3. 러시아 정당체제의 변화 4. 현 러시아 정당체제 : 현황과 특징 5. 2011년 국가두마 선거와 2012년 대선 전망 2
인물 1
인물 2
특강: 전공의 시각과 틀 자연과학 vs. 인문학 vs. 사회과학 정치학, 국제정치, 지역정치 러시아 : 러시아 - 정치, 외교, 안보,… 러시아 : 언어, 문화, 정치, 경제, 사회, 역사, 음악, 스포츠, 예술, 종교, …
인간, 정치, 권력, 諸 가치 인간의 역사 = 권력투쟁의 역사 Harold Lasswell David Easton 정치학 = “누가 무엇을 언제, 어떻게 차지하느냐에 관한 연구” (Politics: Who Gets What, When, and How? ) David Easton 정치 = "稀少資源의 권위적 배분을 둘러싼 활동" 諸 가치
정치학, 국제정치
정당(political party), 정당체제 현대 정치체제 대의제 운영 대표를 선거를 통해 선출한 뒤 그들에게 권한을 위임 대의제를 바탕으로 한 정치체제의 구성 민주주의 실현의 기초 이의 운영에 필수 : “정당” 정당이란? : “선거에 참여하고, 선거를 통해 후보자를 공직에 앉힐 수 있는 모든 정치 집단” “주의, 주장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정책을 통하여 국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정부의 통제권 획득과 유지를 목표로 조직된 사회의 특수 집단”
정당의 역할과 기능 역할 기능 국민과 정부 사이를 연계시켜주는 공정한 경쟁적 선거를 통해 권력을 획득한 후에 이익결집 정치참여 의사 통로자로서의 역할 공정한 경쟁적 선거를 통해 권력을 획득한 후에 통치 기능의 담당 주체로서의 역할 기능 이익결집 정치참여 국민의사의 반영 국민여론의 지도 국민대중의 정치교육 정부지도자의 선택과 훈련 공직의 충원 사회의 통합 국민통합 통원과 통제, 정치사회화 사회 제반 갈등의 해소와 관리…
정당체제 유형 비경쟁적 vs. 경쟁적 당의 數 당의 성격 당-국가체제 일당우위정당체제(패권정당체제) 경쟁적 다당체제 일당제, 양당제, (온건한, 분극적) 다당제 당의 성격 전체주의적, 권위주의적, 실용주의적, 이데올로기적…
각국의 정당들, web site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중국: 러시아: 민주당, 공화당 노동당, 보수당, 자유당 민주당, 자민당, 공명당, 공산당… 독일: 기독민주당, 사회민주당, 녹색당… 중국: 중국공산당… 러시아: 통합러시아, 공산당, 자유민주당, 정의당,
정당체제의 변화 요인 선거(대통령, 국가두마) 제도(선거법) 행위자 – 정치지도자 정치환경… 1989.3: 소연방 인민대의원 선거 1990.3: 러시아공화국 인민대의원 선거 1991.6: 러시아공화국 대통령선거 1993.12 : 1995.12: 국가두마 선거 1996년 대통령 선거 1999년, 2003년, 2007년, 2011년 국가두마 선거 2000년, 2004년, 2008년, 2012년 대통령 선거 제도(선거법) 1990.3.14: 헌법 6조 폐기 1990.10: 사회단체에 관한 소연방법 행위자 – 정치지도자 고프바초프, 옐친, 루츠코이, 하스블라토프, 쥬가노프, 지리노프스키, 야블린스키, 푸틴, 메드데베프.. 정치환경… 1991.8 : 보수쿠데타 1991.12: 고르바초프 사임 1993.9: 러시아연방 의회 해산 1993.12: 신헌법 제정
www.duma.gov.ru www.council.gov.ru
정당정치의 전개 ~ 시기별 1985~1991: 고르바초프 ~ 페레스트로이카 1990.3.14. ‘헌법 6조’ 폐기 1991~1993: 구소련 붕괴 후 옐친 초기 1993~1999: 신헌법 제정 이후 옐친 후기 2000~2004: 푸틴 1기 2004~2008: 푸틴 2기 2008~2012: 메드베데프기 2012~ 누구?
1985~1991 : 다당정치 태동기 소연방공산당 비공식 집단 급진개혁세력 -> 민주정강파(1990.1) 중도개혁세력(고르바초프) 보수세력-> 맑스주의 정강파(1990.4) 비공식 집단 메모리알(1987 여름) 사회주의사회클럽연맹(1987.8) 인민전선(1988.6) 민주동맹(1985.5) 빠마찌(1985.10) 모스크바트리뷴(1988.10) 기타: 환경, 문화재 보호 등 비정치적 성향의 집단
1991~1993 : 신흥정당의 등장 정치환경: 정당체제 : 비경쟁적 다당구조 구소련 붕괴 옐친(대통령) vs. 인민대의원대회(의회) 간 권력 투쟁 정당체제 : 비경쟁적 다당구조 민주러시아(1990.10) ~ 자슬라브스키, 포포프, 아파나시예프, 트라브킨.. 러시아공화국공산당(1990.6)~ 폴로즈코프 전연방볼셰비키당(1991.11)~ 안드례바 러시아공산주의노동자당(1991.6)~안필로프 자유러시아인민당(1991.8)~ 루츠코이 민주개혁운동(1991.6)~ 셰바르드나제, 야코블례프 러시아사회민주당(1990.5)~ 루만체프 러시아민주당(1990.5)~ 트라브킨 자유민주당(1990.3)~ 지리노프스키
경로: 특징 민주러시아 분열 소연방공산당 와해와 구국전선 재기 시민동맹의 창설 1991.11 옐친~가이다르 부총리 내각 출범 트라브킨, 루츠코이, 소브착 ~ 고르바초프 지지 1992.3. 상트 뻬쩨르부르크 총회에서 최종 분열 소연방공산당 와해와 구국전선 재기 1991.8 보수쿠데타 실패, 공산당 활동 정지 조치(8.29) 옐친, 러시아공화국에서 공산당 활동 금지 및 조직 해체 조치(11.6) 1992.10. 구국전선 창립, 악슈치쯔(러시아기독민주운동) 외 1993.2. 쥬가노프 주도하 러시아연방공산당 결성. 시민동맹의 창설 1992.1. 가이다르 부총리, 가격 자유화 조치 1992.4. 인민대의원 대회 정부 불신임안 제출 1992.6. 루츠코이(자유러시아인민당), 볼스키(전러시아 동맹 혁신), 트라브킨(러시아민주당) -> 시민동맹 창설
평가 이익 결집, 국가-사회 연계구조로서의 기능과 역할 미비 정치적 민주화와 대의정치 강화를 향한 기틀 마련 명망가 중심의 정당 구성 정강정책 미비와 실행의 미흡 옐친의 카리스마 지도하에 연합과 분열 거듭 정치적 민주화와 대의정치 강화를 향한 기틀 마련 공산당 권력독점 폐기로부터 자유로운 선거 실시 및 다양한 정당 창설
1993년 국가두마 선거 선거결과: 1993.12.12 러시아연방 출범 후 최초의 민주선거 1위: 자유민주당 (22.9%) – 59(5), 64석 2위: 러시아선택 (15.5%) – 40(30), 70석 3위: 러시아연방공산당 (12.4%) – 32(16), 48석 4위: 러시아여성당 (8.1%) – 21(2), 23석 5위: 러시아농업당 (8.0%) – 21(12), 33석 6위: 야블로코 (7.9%) – 20(3), 23석 * 무소속: 141석 러시아연방 출범 후 최초의 민주선거 정당비례대표 하한선 5% 제도, 국가두마(하원), 연방회의(상원) 제도 하원은 비례대표 225명, 지역구 225명 8개 정당 등원 신헌법 채택으로 국가권력구조 체계 완성 정당 경쟁과 새로운 정부 – 의회관계의 형성 개혁, 보수, 극우-민족의 3각구도
1995년 국가두마 선거 선거결과: 1995.12.17 45개 정당이 등록, 군소정당의 난립 1위: 러시아연방공산당 (22.3%) – 99(58), 157석 2위: 자유민주당 (11.2%) – 50(1), 51석 3위: 우리집-러시아 (10.1%) – 45(10), 55석 4위: 야블로코 (6.9%) – 31(14), 45석 5위: 러시아민주선택 (3.9%) – 0(9), 9석 6위: 러시아농업당 (3.8%) – 0(20), 20석 * 무소속: 85석 45개 정당이 등록, 군소정당의 난립 비례대표 5% 이상 득표 정당 4개, 지역구 1개 지역 이상 의석 확보 정당 23개 공산세력 득세, 개혁 및 중도세력 저조, 민족주의 세력 현상유지 권력당 – “우리집-러시아” 원내 진출과 ‘러시아선택’ 몰락 여소야대 구도 개혁(우파), 중도, 민족, 공산(좌파)의 네 부류
1999년 국가두마 선거 선거결과: 28개 정당 참여, 6개 정당이 5% 이상 득표 1위: 러시아연방공산당 (24.3%) – 67(47), 114석 2위: 단결/곰 (23.3%) – 64(9), 73석 3위: 조국-전러시아 (13.3%) – 37(29), 66석 4위: 우파세력연합 (8.5%) – 24(5), 29석 5위: 지리노프스키블록 (6.0%) – 17(-), 17석 6위: 야블로코 (5.9%) – 16(4), 20석 * 무소속: 105석 28개 정당 참여, 6개 정당이 5% 이상 득표 공산당 1995년에 이어 1위 고수 및 세력 약화(159석 -> 114석) 권력당 – “단결/곰” 제2당 부상 및 ‘우리집-러시아’ 몰락(1.2%, 8석) 우파세력연합 선전 체첸전쟁과 푸틴 인기 상승 효과 영향 무소속 규합으로 여대야소 구도 창출 개혁(우파), 중도, 민족, 공산(좌파)의 네 부류 구도 지속
2003년 국가두마 선거 선거결과: 23개 정당 참여, 4개 정당이 5% 이상 득표 푸틴정부 출범 후 첫 번째 국가두마 선거 1위: 통합러시아 (37.6%) – 120(103), 223석 2위: 러시아연방공산당 (12.6%) – 40(12), 52석 3위: 자유민주당 (11.5%) – 36(-), 36석 4위: 조국-인민애국연합(9.0%) – 29(8), 38석 * 무소속: 67석 23개 정당 참여, 4개 정당이 5% 이상 득표 푸틴정부 출범 후 첫 번째 국가두마 선거 2004년 3월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 의미, ‘통합러시아’ 압승 거대 여당 출현 : 1.5 정당체제 구축 권력당 – “단결/곰”에 이어 ‘통합러시아’ (2001.4) 지위 지속 개혁세력 우파세력연합(4.0%), 야블로코(4.3%)의 몰락 여대야소 지속 중도, 공산(좌파), 극우/민족의 3각 구도 형성
2007년 국가두마 선거 선거결과: 11개 정당 참여, 4개 정당이 7% 이상 득표 1위: 통합러시아 (64.3%) – 315(-), 315석 2위: 러시아연방공산당 (11.6%) – 57(-), 57석 3위: 자유민주당 (8.1%) – 40(-), 40석 4위: 정의러시아 (7.7%) – 38(-), 38석 * 무소속: 0석 11개 정당 참여, 4개 정당이 7% 이상 득표 비례정당대표 하한선 7%의 첫 적용, 지역구 폐지 푸틴, 통합러시아 연방후보 1번으로 출마 권력당 – ‘통합러시아’ 지속, 1.5 정당체제 지속 개혁세력 우파세력연합(1.0%), 야블로코(1.6%)의 몰락 지속 여대야소 지속 중도, 공산(좌파), 극우/민족의 3각 구도 지속 1993, 1995, 1999, 2003년에 이어 5번째로 치러진 선거: 절차적 민주주의 제도화
현 정당체제, 분파 4개의 정당 : 정당 지도자 통합러시아 러시아공산당 자유민주당 정의러시아 www.edinros.ru www.kprf.ru 자유민주당 www.ldpr.ru 정의러시아 www.spravedlivo.ru 정당 지도자
‘통합러시아’ 이해 정강 창설 의석 지도자 푸틴 글릐즐로프, 쇼이구, 샤미예프 1999년 : 73석 2003년 : 223석 2001년 12월 1일 전신: 단결/곰 + 전러시아 당원: 약198만명 11차 전당대회(2009.11) 1999년 : 73석 2003년 : 223석 2007년 : 315석 전략 2020 중도 우파 실용주의, 반급진주의 주권민주주의 푸틴 글릐즐로프, 쇼이구, 샤미예프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러시아공산당’ 이해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1993년 2월 14일 중앙위원회 143명 11차 전당대회(2005.10) 1993년 : 48석 1995년 : 157석 1999년 : 114석 2003년 : 52석 2007년 : 57석 공산주의 맑스-레닌주의 좌파 민족주의 쥬가노프 멜니코프 카쉰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자유민주당’ 이해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1990년 3월 31일 최고회의 7인 22차 전당대회(2009.12) 극우 1993년 : 64석 1995년 : 51석 1999년 : 17석 2003년 : 36석 2007년 : 40석 극우 민족, 애국주의 지리노프스키 오스트로프스키 레베데프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정의러시아’ 이해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2006년 10월 28일 중앙위 간부회 41인 5차 전당대회(2011.4.16) 2007년 : 38석 중도 좌파 사회민주주의 미로노프 지도자 정강 창설 의석
정당법의 변화 시대상의 반영 2001년 7월 11일 제정 2010.11.3 등 거의 매년 부분 개정 2002.3.21, 7.25, 2003.6.23, 12.8 2004.12.20, 12.28, 2005.7.21, 12.31 2006.7.12, 12.30 2007.4.26 … 2010.11.3 등 거의 매년 부분 개정 http://cikrf.ru
2011년 국가두마 선거 의미 및 관찰요소 www.wciom.ru, 예상결과? 여타 질문들… 2012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의 전초전 5년 임기의 국가두마 첫 선거 ‘통합러시아’당, 권력당 위상 유지? 러시아공산당과 자유민주당의 향배? 중도, 보수, 극우/민족의 3각 구도 지속 여부 개혁세력의 등장? www.wciom.ru, 예상결과? 여타 질문들…
평가 절차적 민주주의 제도화에 기여 정강, 정책, 조직 등 정당 구조 성숙화 주요 정치지도자에 대한 의존도 심화 지속 주요 정치지도자에 대한 의존도 심화 지속 권력당의 부침 – 권력자와의 상관관계 존재 1.5 정당체제의 지속 가능성? 정당의 기능 실현 – 미흡과 역할 증진 사이 중도, 보수, 극우/민족의 3각 구도 정형화?
미래의 러시아, 어디로?
러시아 정치권력 구조 정치제도: 超대통령중심제(super-presidentialism), 내각책임제적 요소의 혼용 대통령이 입법부와 사법부에 비해 우위에 있는 권한 보유 (국가두마 해산권, 비상사태 선포권, 사면과 특사권) 행정부 수반으로 총리가 존재 (대통령이 총리를 임명하고, 총리는 각료 제청권 보유) 현 정치권력 구조의 특징 : “양두체제”(diarchy), 이중권력(tandem)의 존재 “후계자 대통령과 실세 총리”, 메드베데프 vs 푸틴. 대통령 3선 연임 금지(81조 3항) ~ 푸틴의 후계자 임명과 총리로의 자리 옮김. 대통령 임기 4년->6년, 국가두마의원 임기 4년->5년(2008년 부분 헌법개정) 푸틴 집권: 2000년~2008년. 메드베데프 집권: 2008년~2012년 2012년 3월 대통령 선거 예정, 푸틴의 재집권시 2024년까지 가능 33
www.gov.ru 크렘린 총리실 안보회의 탐방
푸틴집권기 강국러시아 재건 권력수직화 실로비키 올리가르히 타파 국가목표 정책방향 지배엘리트 교체 메드베데프 집권기 (경제) 현대화 부패 타파 스콜코보(skolkovo)… 국가안보개념 2020, 신군사독트린 새로운 국가발전목표 지배엘리트 변화 향배 현재 권력구조 상황과 미래 양두체제, 이중권력의 향배 2011년 총선과 2012년 대선 2012년 3월 11일 정책 방향과의 연계성
올리가르히와 정치권력 미하일 호도르코프스키 전 유코스 회장 데리파스카 루살 대주주 2008년 5월 4일 2010년 4월 30일 피카료보 공장 가동 중단, 임금 체불 2010년 4월 30일 주식보너스 2/3 기부 4억 1천 500만 달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
대통령과 지배엘리트 37 푸틴 리더십 : 메드베데프 리더십 : 의회 : 양원제(상원, 하원) 철저한 실리주의, 정책 실행과 효율성 강조, 권력기반 -> 실로비키(siloviki) 메드베데프 리더십 : 온건한 참모형과 실용적 CEO형 혼재, 합리적이고 온건한 개혁주의자, 자유주의적 이미지 친기업적 스타일 권력기반 -> 자유주의적 삐쩨르스키, 시빌리키(civiliki) 의회 : 양원제(상원, 하원) 상원 : 지방정부, 의회에서 각 1명 추천 하원 : 비례대표제(정당배분 하한선 7%), 450명(4개 정당만이 등원) 집권당-통합러시아(315/450석, 70%)(당의장- 푸틴) 러시아공산당(57명), 자유민주당(40명), 정의당(38명) 37
현재 러시아에서 지배엘리트 1993년 초대통령중심제 채택 정계, 관계, 학계, 경제계, 문화계 등 각 분야에 골고루 포진 대통령의 리더십과 인맥구조, 친소관계에 따른 지배엘리트의 부침이 심화 정계, 관계, 학계, 경제계, 문화계 등 각 분야에 골고루 포진 구체적으로 안보회의 멤버, 대통령 행정실 고위 관리, 총리, 장관 등 내각 구성원, 상하의원, 주지사, 공화국대통령 등 지역 행정수장, 대통령 전권대표, 연방 검찰, 정당지도자 경제 엘리트… 싱크탱크 주요 인사들… 현대발전연구소(www.riocenter.ru), 전략연구센터(CSR,www.csr.ru)
실로비키는 누구? 삐쩨르스키(Петерски) 실로비키(siloviki) 시빌리키(civiliki) 푸틴의 고향인 상트 페테르부르크와 연고를 갖고 있는 지배엘리트 인사를 지칭 실로비키(siloviki) 구소련 KGB와 군부, 검찰, 내무부(MVD) 등 안보 및 권력기관 출신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있는 인사들을 통칭 시빌리키(civiliki) 경제적 리버럴 사고의 정치가, 기업가를 지칭
주요 실로비키 「세르게이 이바노프」국방장관, 「이고르 세친」대통령 행정부실장, 「프라드코프」총리, 「우스티노프」검찰총장, 현 부총리 「프라드코프」총리, 해외정보부장 「빅토르 이바노프」대통령자문위원, 연방마약통제국장 「파트루세프」FSB부장, 국가안보회의 서기 「이고르 세친」대통령 행정부실장, 부총리, 로스네프트 이사장 「우스티노프」검찰총장, 남부지역 전권대표 「발루예프스키」총참모장, 안보회의 부서기 「레베데프」연방보안부장 현재 연방보안부장은 알렉산더 보르트니코프
자유주의자 집단, civiliki 「메드베데프」제1부총리, 「블라디슬라브 수르코프」대통령 행정부실장, 현 대통령 「블라디슬라브 수르코프」대통령 행정부실장, 현 제1 행정부실장 「드미트리 코작」대통령 전권대표, 현 부총리 「알렉세이 밀러」가즈프롬 회장, 「그례프」경제개발통상부장관, 현재 해임 「쿠드린」재무장관 현 부총리 「레이만」통신부장관, 현 이고리 세고례프 「고르데예프」농업부장관, 현재 해임 「트루트네프」천연자원부장관, 「이고리 슈발로프」대통령 보좌관, 현 제1부총리 「안드레이 일랴리노프」전 대통령자문위원 등
메드베데프 정치자문단 현대발전연구소(www.riocenter.ru), 전략연구센터 (CSR, www.csr.ru) 이고리 유르겐스 나비울리나 경제발전장관, 레이만 전 정보기술통신장관, 모로조프 국가두마 제1부의장, 메젠체프 이르쿠츠크 주지사, 듼킨 이메모 소장 전략연구센터 (CSR, www.csr.ru) 드미트리 코작 전 지역개발 장관, 그례프 전 경제개발통상장관(이사장), 드미트리예프 CSR 대표, 메젠체프 부이사장, 코르네바 사무국장 등.
‘경제현대화’ 추진과 정책적 연계성 ‘현대화’ 주창: 푸틴과의 차별성 노력 “전진, 러시아”(09.9.11), “연례교서”(09.11.12) 국정의 키워드 “현대화” 제시 ‘경제현대화’를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국정방향으로 제시 기술 발전 및 정치체계의 현대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치, 법적 기반 강화, 부패와의 투쟁 등을 역설 천연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를 벗어나, 독특한 지식과 새로운 상품과 기술을 생산해 내는 스마트 경제(smart economy) 창출 강조
Eberhard Schneider, “Split in the Russian Political Tandem Putin-Medvedev?” Caucasian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Vol. 3(2) (2009 Spring) 친 메드베데프 친 푸틴 의회 상원 하원 의장 미로노프 상원의장 글릐즈로프 하원의장 정부 법무장관: 코노발로프 여타 장관들(라브로프 제외) 대통령행정실 행정국장(콘스탄틴 티쉬첸코) 여타 모두 외교정책 라브로프 유리 유샤코프 안보정책 안보회의(의장) 안보회의 서기(파트루세프) 감찰조직 검찰총장: 차이카 감찰위원장, 바스트리킨 정당 정의러시아 통합러시아 경제 중소기업체 대기업, 천연자원 기업 교역관계 중소기업연합.. 기업가연맹.. 엘리트 그룹 법률가/ 법조계 실로비키
이중권력의 정치적 함의와 미래 정치 일반이론과 러시아적 특수성 사이의 새로운 정치적 실험대 정치권력 연장의 정치적 기술 러시아 민주주의/정치발전 평가의 분기점 러시아식 시민사회와 민주화된 정치체제 등장 가능성 정치행위자의 위상과 권위가 더 큰 영향력 발휘
여론조사 결과 : www.wciom.ru 푸틴은 내각출범 이후 73%~81%의 지지도 유지 메드베데프 대통령도 70%~77%의 지지도 유지 정치지도자 신뢰도(2010.11.6) : 푸틴 51%, 메드베데프 46%, 쇼이구 9%, 지리노프스키 5%, 쥬가노프 6%, 그릐즈노프 1%, 루쉬코프 1% 등 (2011.3.5): 푸틴 49, 메드베데프 42, 지리노프스키 10, 쥬가노프 6, 쇼이구 4 “지금 대통령을 뽑는다면 누구를 선택하겠는가?”라는 질문 : 메드베데프 52%, 쥬가노프 4%, 지리노프스키 4%, 쇼이구 3% (푸틴 제외) 주요정당 지지도: 통합러시아 52%~57%, 러시아공산당 7%~9%, 자유민주당 4%~5% (2011.3.5) 통합러시아 49, 러시아공산당 8, 자유러시아 7 .
2012년 대선 전망 정치권력 기반, 국민지지도 => 푸틴의 정치적 선택과 결정이 핵심 2012년 3월 11일 시나리오 메드베데프가 재선에 도전하는 경우, 푸틴이 다시 이어 받는 경우, 제3의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 임기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등 정치권력 기반, 국민지지도 => 푸틴의 정치적 선택과 결정이 핵심
한러관계에의 함의 2010년도 한러수교 20주년, 메드베데프 訪韓 <러시아적 특이성 이해> 인맥정치 성향 이고르 세친 방한(09.3) 푸틴과 남상태 대우조선해양사장 단독면담(09.12.28) 푸틴의 조선에 대한 애착 이고르 세친 배석 러시아 사할린 I 광구 해상플랜트 1기 수주(4억 달러, 2010.1.8) 메드베데프 -LG워치폰 착용 48
정치가 경제를 좌우 : 올리가르히 통제 정경유착 ~ 고위관리가 국영기업 CEO 겸직 의리의 중시 ~ 중장기 접근의 필요성 유코스 사태~호도르코프스키, 데리파스카 사례~바퀴 벌레 같은... 정경유착 ~ 고위관리가 국영기업 CEO 겸직 메드베데프 ~ 제1부총리 겸 가즈프롬(gazprom) 이사장 역임, 현재는 줍코프 제1부총리(전 총리) 이고리 세친 ~ 부총리 겸 로스네프트(rosneft) 이사장 의리의 중시 ~ 중장기 접근의 필요성 1998년 모라토리엄 선언시 한국기업 불철수 삼성의 지역전문가 육성 15년 전에 이미 실시.... 예술, 역사,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애호 톨스토이상, 볼쇼이극장 개보수 지원, 마라톤대회... 외자유치에 파격적 지원 동향도 존재 모스크바외곽 칼루가주 ~ 롯데제과 건설, 주지사의 관심과 지원 파격적 49
일련의 사진… * 2010년 9월 7일 우랄산맥 지대의 도시 이젭스크에 있는 ‘이즈아토프’ 자동차 생산 공장 방문 * 같은 날, ‘2010 주거문화 혁신기술 박람회’ 현장 * 9월 9일~11일, 야로슬라블 세계경제포럼 * 9월 21일, 현대자동자 준공식
“諸 가치의 권위적 배분”, “현 러시아와 미래”에 대한 이해에 자그나마 도움이 됬기를… 한러수교 20주년 … 그 이후 진정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로의 실천 “諸 가치의 권위적 배분”, “현 러시아와 미래”에 대한 이해에 자그나마 도움이 됬기를… 앞으로, 보다 큰 러시아 전공자들의 飛上을 기대!!!
참고자료: 러시아 정당 web site 러시아민주당, www.democrats.ru 통합러시아, www.edinros.ru 평화와 단결, www.patriotparty.ru 러시아공산당, www.cprf.ru 우익세력연합, www.sps.ru 자유민주당, www.ldpr.ru 야블로코, www.yabloko.ru 러시아애국자당, www.patriot-rus.ru 러시아생태당, www.greenparty.ru 러시아농업당, www.agroparty.ru 인민동맹, www.partia-nv.ru 시민의힘, www.svobodoros.ru 사회정의당, www.pp-pss.ru 러시아재생당, www.seleznev-inform.ru 정의러시아당, www.spravedlivo.ru 52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