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Advertisements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 세균의 배양과 동정 1. 검사재료의 채취, 보존 및 검체에 따른 배지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12강. 용액과 농도.
제 2 장 실험기구 1. 전자식 저울 (electronic balance)
8. 임상미생물 검사실의 안전 1장. 임상미생물 검사실의 조직과 주요업무 학습목표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배지의 종류 및 조제법 배지란? 배지(culture medium)는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 하는 물질이다. 미생물의 영양소에는 탄소원, 질소원, 비타민류, 무기염 등이 있다. 미생물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사용하는 배지의 조성은 각각 다르다.
6. 우유 및 유제품의 미생물학적 시험 시료 채취 2. 총균수 측정(직접현미경 계수법)
우유 및 유제품 5조 이 유 경,박 지 희,하 소 희, 장 영 아,박 은 지.
바이오매스의 수분 및 회분함량 측정 목적(Object)
SDS-PAGE analysis.
조직배양기술 (Tissue culture technology)
7. 우유의 살균과 멸균 가열에 의한 살균 ☞ 살균원리 -> 균체성분(단백질, 핵산)의 변성, 분해
미생물학 실험.
미생물 실험의 기초 강원도가축위생시험소.
미생물 배양 관련 교육 해남군농업기술센터 김대성.
종류와 크기가 다른 고체입자의 겉보기밀도 측정
센서 11. 기체 압력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요오드법 적정의 응용 생활하수의 BOD 측정.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진단을 위한 Toxin A/B immunoassay의 유용성 평가
3M 페트리필름 이란 ? 식품 및 환경에 존재하는 각종 미생물 (일반세균, 장내세균, 대장균 및 대장균군, 진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검사하기 위한 건조필름배지(Dry rehydratable film media)는 얇은 필름에 영양성분, 수용성 겔 및 균 indicator(TTC.
제 3 주 발효미생물 유 재 수 교수.
2% Ogawa medium+ Middlebrook 7H9-B broth
4-6. 광합성 작용(1).
TB Ag MPT64 미생물파트 이유희
9. Starter 미생물 1. Starter 정의 def : 발효유제품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 - 유제품의 특성 품질 결정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Hydrogen Storage Alloys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항바이러스 한약제 검사 바이러스팀 최유정, 이대희.
결핵 진단을 위한 COBAS AmplicorTM 검사의 유용성
Catalase 음성 그람양성구균의 동정 원주의대 어 영.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Volhard 법에 의한 염화물 시료의 침전적정 (Determination of Chloride by a precipitation titration based on the Volhard Method)
Vacuum Pump 전문제조회사인 ILVAC사의
(Titration of magnesium with EDTA)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의 항균력 측정 김 영 민 도 은 표 박 병 주.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USP vs. KP 일반시험법 비교(4).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Lecture 3 – 농도계산 및 식품기사 시험 안내
1-5 용해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식품의 냄새.
단백질의 정량 -Bradford 법
Macromolecule analysis Ⅰ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Flowcytometer.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광물과 광물학.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고등학교 공통과학 수업을 위한 자료입니다.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는 큰 화면을 이용하세요!!!
분별증류(fractional distillation)
오염지표 미생물 검사 강원도가축위생시험소.
(Titration of magnesium with EDTA)
분별증류(fractional distillation)
지시약의 작용원리 실험방법 1. 지시약의 최대흡수파장 측정
아스피린(Aspirin)의 정량.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검사과정
Presentation transcript: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식품미생물학 (Food Microbiology) KNUmbl 14장. 식품미생물의 검사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교 수 박 희 동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목 차 14.1 미생물의 취급법 14.2 식품미생물 검사의 일반법 목 차 14.1 미생물의 취급법 14.2 식품미생물 검사의 일반법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14.1 미생물의 취급법 미생물의 특성 분석 : 병원미생물, 위해미생물, 발효미생물 등 배양을 통하여 미생물 균체를 얻어 분석 미생물의 순수배양 : 다른 미생물 혼입 방지 취급에 기술이 필요함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1. 무균조작 가. 미생물 배양 시 일반적 주요사항: 오염(contamination)에 주의 - 목적미생물만 순수하게 배양하면서 연구 1) 멸균(살균, sterilization) 철저: 실험기구, 배지 2) 무균조작: 접종, 미생물의 취급 시 무균실험대(clean bench)에서 시행 나. 멸균방법 1) 건열멸균: 160℃ × 1-1.5시간--건열멸균기(drying oven) - 기구와 면전(면마개--원면 사용)의 살균 2) 습열멸균: 주로 배지의 살균 가) 고압멸균=가압멸균: 120-121℃ (1.1 Kg/cm2 = 15 lb/in2) × 15-20 min, - 고압멸균기 사용(autoclave) 나) 간헐멸균(Tyndallization): 100℃ × 30분 - 3일 반복 - 고압멸균으로 분해 되기 쉬운 성분 3) 무균여과: 가열할 수 없는 배지—filter로 여과 0.22, 0.45㎛(pore size) - virus 여과불가능 4) 화학멸균: ethylene oxide: 10.7℃ 비등(최종농도 0.5-1%)--독성, 폭발 위험 5) 화염멸균: 접종기구 등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2. 배지 * 배지(배양기, medium) : 미생물의 배양을 위한 영양분의 혼합물 가. 영양원 1) 탄소원(carbon source): 세포의 탄소골격 - 대부분이 유기물--탄수화물 특히 단당류 주 2) 질소원(nitrogen source): 아미노산, (NH4)2SO4, (NH2)2CO 3) 무기원(inorganic salts): Ca, Mg, K, ---: 세포 내 합성불가 4) 생육인자(growth factor): 생육에 필수적인 데 세포가 합성하지 못하는 것 - 아미노산, 비타민, 염기의 어떤 것--배지에 첨가해 주어야 함 나. pH : 일반적으로 효모, 곰팡이는 pH 5-7, 세균과 방선균은 pH 7-7.5 다. 배지의 종류 1) 합성배지: 조성이 분명한 화학약품으로 만든 배지 2) 천연배지: 천연물을 사용하여 만든 배지-감자즙, 맥아즙, 탈지유, 혈액, 계란 등 3) 반합성배지: 합성배지와 천연배지의 중간 * 배지의 상태에 따라: 고체배지(solid media-고화제 첨가), 액체배지(liquid media) : 고화제- agar(한천) 1.5-2% 사용 – 고온에서 액체, 저온에서 고체 라. 대표적인 배지 1) 곰팡이: Czapek 배지, 감자즙포도당배지, 국즙배지(코지즙배지) 2) 효모: yeast extract 배지, 맥아즙배지 3) 세균: 영양배지(nutrient medium), 육즙배지(bouillon medium) 4) 방선균: yeast extract 배지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 대표적인 배지들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3. 미생물의 접종 * 접종(inoculation) 접종기구: 백금이, 구, 선(백금 또는 니크롬선 가능) --화염멸균--종균을 소량 취하여 새 배지에 접종 1) 고체배지 사면배양: 한천사면배지에 직선 또는 획선 천자배양: 한천배지에 백금선의 끝으로 찔러 접종--통성혐기성균(유산균등) 2) 액체배지: 백금이에 균을 취하여 액체배지에 현탁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4. 미생물의 배양방법 가. 배양방법 1) 정치배양(stationary culture)--배지에 균 접종 후 정치하여 배양 2) 진탕배양(shakingcultue)--왕복 또는 회전진탕 배양기 사용 3) 교반배양--발효조에 무균공기 공급 동시에 교반--jar fermentor * 혐기성균의 배양 - 데시케이터--진공 또는 다른 기체로 치환하여 배양 - pyrogallol--알칼리 수용액에서 산소를 흡수 나. 배양온도 효모, 곰팡이: 25-30℃; 세균: 37℃; 방선균: 27℃가 적합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5. 미생물의 증식도 측정 * 증식, 번식(propagation): 세포성분의 일률적 증가 즉 세포량(cell mass)의 증가 --세포가 일정한 화학조성을 가짐 단세포 경우: 세균, 보통의 효모--세포수가 기준 균사상 경우: 곰팡이, 방선균, 균사상 효모--세포량 또는 특정 세포성분 가. 미생물량의 측정 1) 건조균체량 : 배양액 일정량 - 집균-물 세척-건조 (100-105℃) - 주로 곰팡이, 방선균 2) 미생물 세포 성분 측정 - 균체 질소량, 단백질량, ATP 양, 염록소 a 함량(조류) 3) Packed cell volume : 원심분리 침전량 : swing rotor로 원심분리--눈금이 있는 원심분리관에 균체의 부피 구함 4) 비탁법(turbidimetry): 균에 의한 빛의 산란--통과 빛의 강도 약화 차이 측정 - 비탁계(turbidometer)로 측정: 단위 Klett unit 5) 비색법(colorimetry): 균에 의한 빛의 흡수--흡광도(optical density) 측정 - 분광광도계(spectrophptometer)로 측정: 보통 600, 660nm 이용 - OD600 or OD660 으로 표시--단위 무 * 흡광도와 건조균체량의 무게는 특정 범위에서는 비례적 6) 습윤균체량: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무게 측정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나. 미생물 수의 측정 1) 계수반(counting chamber) 법 : 총균수 (Total count) 측정 - Thoma의 혈구계수기(haemocytometer) 이용하여 현미경에서 직접 계수 * 슬라이드 글라스에 분획 표시 분획 1칸: 0.05 mm × 0.05 mm × 0.1 mm = 0.00025 mm3 = 2.5 × 10-7 ml * 실험 예 : 시료 희석--혈구계수기에 시료 주 입--위에 cover glass --현미경에서 1칸 속의 균수 계수- 수회 반 복하여 1칸 속의 평균 세포 수 구함 * 계산: 1칸의 평균 세포수 × 희석배수 / (2.5 × 10-7 ml) = -- celll/ml로 환산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2) 입자계측기법 : 감압에 의해 세포현탁액을 미세구멍 통과시키면서 전기적 저항 측정 - 세포 수와 세포 용적으로 환산 3) Colony 계수법 : 생균수(Viable count, cfu/ml) 측정 * colony forming unit *plate counting method : 시료를 희석하여 혼합평판배양법으로 배양 --콜로니 계수한 후 희석배수 곱하여 생균수로 나타냄 --plate당 50-200 cfu 되게 배양하여 계수 --생균수 많으면: 단계 희석하여 일정량을 액상의 고체배지와 혼합하여 배양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4) 최확수법(MPN 법 - Most probable number method) - 통계적 방법에 따라 균수 추정하는 방법 - 각각 5개의 배지에 희석시료 0.1, 1, 10 ml 씩 접종하여 배양 - 총 15개 - 생육한 배지의 수로부터 균수 추정 - ---개/ml로 표시 ***최확수표 : ..\최확수표.ppt 5) Membrane filter법 : 생균수가 너무 적을 경우 살균 membrane filter로 시료 여과한 후 고체배지에 얹어 배양 - 콜로니 계수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14.2 식품미생물 검사의 일반법 * 식품의 미생물 기준 : 주로 세균과 대장균 기준 - 일반 세균 농도 : 신선도 추정 - 지표 미생물 검출 : 질병 위험 추정 – 일반적으로 대장균군 시험 * 주요 식품의 미생물 기준 식품 종류 세균 수 (cell/ml or g) - 평판법 대장균군 (cell/ml or g) 아이스크림 10만 이하 10 이하 시유, 강화우유, 크림 4만 이하 얼음 100 이하 음성 멸균시유, 마요네즈, 케첩, 식육제품, 어육연제품, 통조림류 등 젖산균 음료 10 6 이상 (유산균수) 발효유 10 7 이상 (유산균수 또는 효모수) 농후 발효유 10 8 이상 (유산균수)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1. 일반세균수 * 일반적 주의사항 1) 무균적 검체 채취--살균 용기, 살균 도구 사용 2) 식품 상태와 유사한 조건 유지--냉장식품의 경우 낮은 온도에서 운반 및 보관 3) 검체는 전체를 대표 가능한 최소량 채취 * 일반세균수 (표준평판법) 측정 : 생균수 : 호기성 및 통성 혐기성 생균수--식품의 신선도 추정 가능 - 표준한천배지 (plate count agar, standard method agar) : 0.5% tryptone, 0.25% yeast extract, 0.1% dextrose, 1.5% agar (pH 7.0) - 희석시료 도말 후 35 ℃에서 24-48시간 배양 (시료에 따라서 72시간 배양) - 100 cfu/ml 이하 신선, 100만 이상 오염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2. 대장균 검사법 : 정성시험 * 대장균 검사법 – 정성시험 : 대장균군 존재 여부 결정 : 대장균검사법: 젖당부이욘법, deoxycholate법, BGLB(brilliant lactose bile 법) : 배양조건: 액체배지-35±1℃, 48±3 시간, 고체배지-35±1℃, 24±2 시간 배양 * 젖당부이욘법(lactose broth법)에 의한 대장균 정성시험 -추정, 확정, 완전시험 1) 추정시험 : 대장균군 오염여부 추정--젖당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 확인 -시험관에 젖당부이욘 배지 및 Durham tube(듀람 관) 넣고 살균 -냉각 후 검체 첨가 (10ml, 1ml, 0.1ml 씩 각 2개) * 10ml 첨가 시 2X or 3X 배지사용 -배양 후 가스발생 시 추정시험 양성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2) 확정시험 : 대장균군 오염여부 확정-젖당으로부터 산 생성 확인하여 양성 결정 EMB 또는 Endo 한천 배지에 배양액 획선도말 배양 후 콜로니 색 확인 EMB 배지: 녹색 금속광택 콜로니, Endo 배지: 분홍배지에 선홍색 콜로니 3) 완전시험 : 젖당 분해에 의한 가스 발생 재확인, 그람음성 무포자 간균 확인 -젖당 부이욘 배지에 배양 가스발생 재확인--추정시험과 동일하게 -영양 한천 배지에 배양 후 그람음성 무포자 간균 확인--대장균군 양성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3. 대장균 정량시험 * 대장균 정량시험: 젖당 부이욘 또는 BGLB 배지 사용하여 MPN 결정 액체배지 15개에 검체 10, l, 0.1ml를 각각 5개 씩 접종 - 각각의 경우 가스 발생 수에 따라 최확수(MPN) 결정--최확수 표 - MPN(most probable number) : 개/100g로 표시 2019-01-17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