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Starter 미생물 1. Starter 정의 def : 발효유제품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 - 유제품의 특성 품질 결정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모유수유모유수유 제주시서부보건소 제주시서부보건소 2008 년도. 모유생산 과정 및 우수성.
Advertisements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Clostridium difficile 정량 배양과 반정량 배양의 비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박상준.
2-4 과학 탐구 정은혜, 이상은, 김동희. 탐구 동기 더운 여름날 음식이 부패하는 것을 보고 어떤 음식에 가장 곰팡이가 많이 생길지 궁금해져서 탐구를 시도 하게 되었다.
유기산(Organic acid) Organic acid - R-COOH
▣ 세균의 배양과 동정 1. 검사재료의 채취, 보존 및 검체에 따른 배지선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농축유제품 <Concentrated dairy products>
배지의 종류 및 조제법 배지란? 배지(culture medium)는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각종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 하는 물질이다. 미생물의 영양소에는 탄소원, 질소원, 비타민류, 무기염 등이 있다. 미생물의 종류와 성질에 따라 사용하는 배지의 조성은 각각 다르다.
6. 우유 및 유제품의 미생물학적 시험 시료 채취 2. 총균수 측정(직접현미경 계수법)
치즈(cheese) (火).
우유 및 유제품 5조 이 유 경,박 지 희,하 소 희, 장 영 아,박 은 지.
김 치 야채류 (식이섬유) 향신료 (마늘, 고추, 양파, 생강… ) 젓갈 (단백질 공급원/ 풍미) 고춧가루 (매운맛, 색깔)
조직배양기술 (Tissue culture technology)
유기산(Organic acid) Organic acid R-COOH Acetic acid Lactic acid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Alcohol fermentation 포도주 과실주 맥주 전통주 기타 주류.
장과 건강 주)뉴팜부설연구소 쏘해피
7. 우유의 살균과 멸균 가열에 의한 살균 ☞ 살균원리 -> 균체성분(단백질, 핵산)의 변성, 분해
Cheese.
10. Starter 미생물(2) 1. 유산균 starter 활력 감퇴 증상 – 산생성력 감소 - 풍미생성 감소 - 고산도
8. 유산균의 분류 및 특징 1. 정의 2. 유기산 생성균과의 차이 ☞ 유산균, 젖산균, lactic acid bacteria
요구르트 발효 - 13조 이영주 이유빈 조수지 정주희.
발효유 (Fermented milk) 표유류 (양, 물소, 염소, 소)의 젖을 젖산균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에 의해서 발효시켜 특유한 풍미를 갖게 한 유제품 원유 또는 유 가공품을 유산균, 효모로 발효시킨 것 젖산발효유: Yoghurt 알코올 젖산 발효유: Kefir, Koumiss.
미생물 배양 관련 교육 해남군농업기술센터 김대성.
맥주 (Beer) 보리속의 전분을 맥아의 당화효소로 발효성 당으로 전환 후 효모의 알코올 발효
혈액배양배지의 비교 미생물계 박지연.
제 6 장 축산물 가공 6조 : 박태숙, 신지원, 박춘우, 송민경.
5. 원유의 미생물 1. 종류와 유래 1. 종류와 유래 ☞ 착유환경에 따라 변화
ECO-IOC 200 제품 사용 설명서 친환경 이온성 탈지제 (침적 및 전해탈지용)
11. 발효유의 미생물 1. 발효유 (fermented milk)
5-7 장류 장류 숙성발효를 통한 전통식품  식물성 단백질 미생물분해 향미/조미료 간장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산치즈.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TiO2이용 친환경 소변기 3조 조동현 김동수 김낙천
3M 페트리필름 이란 ? 식품 및 환경에 존재하는 각종 미생물 (일반세균, 장내세균, 대장균 및 대장균군, 진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검사하기 위한 건조필름배지(Dry rehydratable film media)는 얇은 필름에 영양성분, 수용성 겔 및 균 indicator(TTC.
제 3 주 발효미생물 유 재 수 교수.
항생제.
2% Ogawa medium+ Middlebrook 7H9-B broth
KNU Microbial Biotechnology Laboratory
TB Ag MPT64 미생물파트 이유희
고추장 두류 (legumes) 또는 곡류 등을 제국한 후 덧밥, 고춧가루, 식염 등을 혼합하여 발효 또는 숙성시킨 것
Chapter 22 경구용 고형제.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High Speed Grinding Mills
미생물 레포트 <Aw : 수분 활성도>
축산물 위생에 관한 필요충분 조건 (우유)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교 수 정 구 용.
Catalase 음성 그람양성구균의 동정 원주의대 어 영.
□ 우유의 물리적 성질 ○ 비중 ○ pH와 산도 ○ 비열 • 우유의 비열은 물의 비열보다 작다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검증된 국내판매 1위 사일리지 브로피드(Brofeed)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의 항균력 측정 김 영 민 도 은 표 박 병 주.
USP vs. KP 일반시험법 비교(4).
3부 식품에서 미생물의 유용한 사용 - 식품과 환경 중 미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발효식품에서 미생물의 사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식 품 가 공 학 정 구 용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과).
1. 한우성별 등급판정 내역 (두/%) 기간 전국 암 비거세 거세 ’13.1~ , ,584 27,703
식품가공학(1주차) 정 구 용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과).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곰팡이 실험 조:신발끈 조원 : 김예은, 김민정, 이유선.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식품의 냄새.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3부 식품에서 미생물의 유용한 사용 - 식품과 환경 중 미생물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 발효식품에서 미생물의 사용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아스피린(Aspirin)의 정량.
제12장 미생물과 식품.
□ 우유의 합성 소 화 기 관 혈 관 유 선 조 사 료 유 관 유 두
Presentation transcript:

9. Starter 미생물 1. Starter 정의 def : 발효유제품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 - 유제품의 특성 품질 결정 - 세균, 곰팡이, 효모 -> 주로 유산균 - 단독 or 혼합사용 - 종류 : -> seed culture : mother starter를 제조하기 위한 종균배양액 -> mother starter : bulk starter를 제조하기 위한 배양액 -> bulk starter : 제품제조를 목적으로 직접 사용하는 starter

9. Starter 미생물 2. Starter 사용목적과 기능 1) 목적 : 우유성분의 미생물에 의한 변화 -> 맛, 조직, 풍미생성, 영양성 단백질 탄수화물 품질개선 및 제품개발 지방 2) starter에 의한 유성분의 대사와 기능 (1) Lactate fermentation 유당 유산 pH 저하 잡균증식 억제 산응고 curd 형성 산미생성 풍미생성 (2) 풍미생성 - 미생물에 의한 citrate(구연산)발효 Citrate diacetyl acetoin 2,3-butyleneglycol 미량의 휘발성산, 알코올, aldehyde - Leuconostoc, Lactococcus, Lactobacillus - Leuc. cremoris -> glucose -> pyruvate -> diacetyl -> Mn+2 에 의해 생육촉진 -> 우유중 Mn 함량 계절별 변화 -> 계절에 따른 품질변화 starter 풍미생성에 중요

9. Starter 미생물 (3) 단백질분해 - 치즈숙성에서 중요 casein peptide 풍미생성 amino acid - 산생성력이 강하면 -> 단백분해력 강함 - Enterococcus faeculis var. liquefaciens “ faecium (4) 지방분해 - 곰팡이치즈 제조에 이용 - 단백질분해를 겸한 숙성목적 - Penicillium roqueforti (fungi) - Candida lipolytica (yeast) -> 지방분해용 starter - 유산균 중 Lac. lactis, L. casei 가 지방분해능 가짐 -> 체다치즈 숙성에 이용 - 유산발효, 단백질분해와 겸하여 사용 -> 혼합 starter (5) Propionate fermt - 스위스치즈 glu lactate propionate, acetate 치즈풍미 CO2, H2O cheese eye - 유산균 starter 와 혼합사용 or 숙성실 중의 산재 낙하세균 이용 starter 강한 단백분해력 유산균 프로피온산 발효균

9. Starter 미생물 (6) 알콜발효 - kefir (알콜발효유) 유당 alcohol - 유산균과 혼합사용 -> 유산균 : 배지의 pH 낮춤 -> 잡균오염방지 -> 효모발육시작 (7) 항균물질 생산 - 대부분의 유산균 -> 생육 중 생육저해물질 생성 (bacteriocin) - Lac. lactis -> nisin - Lac. cremoris -> diplococcin - L. acidophilus -> acidophilin - L. bulgaricus -> bulgarican (8) 공생 & 길항 - 혼합 starter 의 경우 -> 각 균의 특징을 이용 -> 균의 생육 촉진, 제품품질 향상에 이용 ex 1) 산 생성 느린 starter -> 다른 균종과의 혼합배양으로 균활력 촉진 Lac. lactis vs Lac. cremoris ex 2) 버터 제조시 Lac. lactis 유산발효 pH 저하 or folic acid 생성 Leuconostoc citrovorum 풍미생성 효모 starter 잡균증식억제를 위해 치즈 starter에 이용 Growth factor

9. Starter 미생물 ex 3) Swiss cheese 유산균 유산 생성 + 유산균 손상 감소 프로피온산균 유산균 유산 생성 + 프로피온산균 프로피온산 생성 풍미, 품질 향상 ex 4) 산화발효성 효모 유산균 유산 생성 제품숙성 촉진 + pH 저하 발육촉진 유산균 생존, 발육 지속 산화발효성 효모 CO2 + H2O 유산 감소 - Swiss 치즈의 경우 Geotricum candidum 이나 Candida krusei 를 유산균과 혼합하여 사용 유산 축적 억제 유산균 손상 감소

9. Starter 미생물 3. Starter의 종류와 사용균주 4. Starter 조제와 보존 1) Starter 종류 - 성상별 -> 액상, 분말(저온건조, 동결건조), 동결 - 사용방법 -> 단독, 혼합 2) 스타터용 미생물과 사용제품 (표6-1, 6-2 참조) 4. Starter 조제와 보존 1) starter 조제의 필수조건 (1) 배지선택 - 목적제품의 원료와 같은 것 혹은 유사품 이용 - 치즈, 요구르트 : 전유, 탈지유, 환원탈지유 <- 신선한 양질의 우유에서 만든 것 - 탈지유, 환원탈지유 가장 많이 사용 - 유고형분 높으면 -> 커드형성 양호, 산생성 균수 증대 (2) 배지의 전처리 - 살균 -> 유산균 발육 억제물질 파괴, 잡균사멸 - mother starter -> autoclave (121℃, 20 분) - bulk starter -> 90℃ - 60 분, 100℃ - 30~60 분 - 고압멸균 -> 가열취, 갈색화 유발

9. Starter 미생물 (3) 균주선정 - 사용목적 고려 - 주요고려 사항 : 최적온도, 내열성, 점질화 여부, 산생성력 (4) 접종량 - 결정요인 -> 배지 총량, 균의 종류와 활성, 배양시간, 온도 - 유산균 starter : 탈지유의 0.5 ~ 1% - starter 활성 낮은 경우 - 배양온도 낮은 경우 접종량 늘임 - 신속한 조제 필요시 - 접종량 높으면 -> bulk starter의 경우 diacetyl acetoin 유산 -> 변함없음 - 곰팡이 starter -> 배양온도, 습도에 따라 변화 (5) 배양시간, 온도 - 미생물 활성, 산생성력, 풍미 생성, 커드형성에 영향 - 치즈, 버터 : 20 ~ 30℃ - 요구르트 : 35 ~ 38℃ - 배양시간 결정요인 : 배양온도, 접종량 - 일반기업체 : 1% 접종 시 25℃, 14 ~ 16시간 배양 (유산균의 경우) 생산 증가

9. Starter 미생물 (6) 배양 후 냉각 보존 - 신속 냉각이 중요 - 냉각속도 : starter 양에 좌우 - 유산균 : 적정산도 0.7%에서 배양 중지 적당 - 곰팡이 starter : 배양 후 30℃에서 건조 분말화하여 무균용기에서 보관 2) Starter 조제 (1) 유산균 액상 starter A. seed culture (stock culture) 제조 탈지분유 10 – 20% 환원용액(시험관) 100℃-30분, 3일간 간헐멸균 균주배양 5℃ 냉장보관 - CaCO3, 0.5 ~ 1% 첨가 -> 균생존율 향상(5개월) - Glycerin 20% 첨가 -> -15℃, 6개월 보존 - 보존균주 : 3개월이내 계대 -> 활성화 후 재 보존

9. Starter 미생물 B. Mother starter 제조 - 배지 : 탈지유, 환원탈지유 - 멸균 : autoclave or 100℃, 30 분 3일간 간헐멸균 - 보존균주 활성화 -> 매 3일마다 계대 배양 - 제조과정 : seed culture 1% 접종 -> 12 ~ 24시간 배양 -> 응고 -> 2-3회 반복(활성화) -> 5℃ 보관 - 혼합스타터 : 균주별로 스타터 제조 -> 버터의 경우 처음부터 혼합사용 - 분말스타터 사용 시 -> 멸균유로 희석 혹은 직접 탈지유에 첨가하여 배양 -> 3회 이상 계대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사용 C. Bulk starter - 배지제조 : 90℃, 30~60 분 살균 -> 25℃ 냉각 - mother starter 접종량 : 1% (커드 균일하게 분쇄하여 사용) - 배양 : 20 ~ 25℃ 35 ~ 40℃(고온성 균주) D. Main culture 12 ~ 16 시간 배양 후 냉장 보관

9. Starter 미생물 (2) 유산균 분말 starter - 생균 수 함량이 중요 A. 분무건조 - MSG(mono sodium glutamate), ascorbic acid 사용 - 21℃, 6개월간 활성 유지 B. 동결건조(lyophilization, freeze drying) - 높은 생잔균수 - 재생 시 lag phase 길어짐 -> mother starter 용으로 사용 - 생잔율 향상방안 -> YE,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 -> 시작균수 증가(1010 이상) -> 생장곡선고려 적정시간에서 회수 -> 배지 pH 5-6 유지 -> 수분함량 : 3% 이하 유지

9. Starter 미생물 (3) 유산균 동결 starter - -20℃ ~ -40℃ 로 일반동결 -> 수개월 보존 - -80℃ deep freezer 보관 - 액체질소 이용(-196℃) - 접종 후 배양 없이 동결 - 5% sucrose, cream, 0.9% NaCl, 1% gelatin, glycerol 첨가 –> 생존율 향상 - 사용 : 접종 후 curd 형성 확인되면 계대 (4) 곰팡이 스타터 A. 특성 - Penicillium roquefortii - 푸른 곰팡이 치즈제조 - extracellular protease, lipase 분비 -> 치즈 숙성 - FFA 산화 -> methyl ketone 생성 -> 치즈 풍미 B. 조제 - 밀가루 빵, 보리가루 빵 (8-10mm, 수분함량 40%) autoclave 곰팡이 살포 (멸균수 희석액 사용) 21 ~ 25℃, 8 ~ 12 시간 배양 -> 포자 형성 30℃, 10일 배양 -> 포자착생 동결건조, 실온진공건조 -> 분쇄 -> 냉장보관

9. Starter 미생물 5. Starter 품질 1) 품질요건 - curd 외관 -> hard & smooth, 탄력성, 균일조직 - 풍미, 산미취 - curd 분쇄 시 -> 균일외관, 점성, 덩어리 형성 않음 - 적정 우유응고시간 - 활성유지 2) 품질판정 (1) 관능검사 : 외관, 조직, 색, 유청분리, 미각검사(산미, 풍미) (2) 화학적 검사 - 적정산도 : 0.8 ~ 1% 적당 - 휘발산 정량 - diacetyl, acetoin 측정 -> starter 용기 상부의 휘발성분 gas chromatography 로 분석 (3) 세균학적 시험 : 총균수, 생균수 측정, 선택배지 이용 특정균종 검사 (4) starter 활성시험 - 산생성검사 -> 산도 측정 - 색소환원검사 -> Resazurin 환원시험 (산도변화에 따라: 청색 -> 보라 -> 적색 -> 회색) (5) 항생물질 검사 - TTC 환원법 (무색 -> 적색) (6) Phage 검출 - 전자현미경 - 한천배지의 용균반 형성(pla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