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고전 신문방송학과 10061588 이정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5 학년 4 반 임시형 5 학년영어 세계시장에 대해 - 타이 방콕에서 열리는 수산 시장 - 담는 사두악 수상시장.
Advertisements

국립중앙도서관 주제전문사서심화교육과정 학문의 발전과 구조 : 음악 발표자 : 이 혜 영 음악학의 최근 경향 / 음악사 요약 / 음악 용어정리.
Today’s topic : TV, 드라마, 정치, 쇼오락 한성대학교 의류패션산업전공 교수 이희승.
크리스마스 김하은. 크리스마스란 ? 크리스마스란 즉 성탄절을 말하는 것인데, 세 계 4 대 성인으로 손꼽히는 인물 중 하나인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날에는 곳곳에서 화려한 조명으로 장식을 하고 집에서는 트리를 장식하며 가족과 즐 거운 시간을 보낸다.
사랑 손님과 어머니. [발단] 옥희네 가족 및 생활 형편 소개 / 낯선 손님이 사랑방에 하숙하게 됨 [전개] 아저씨와 어머니가 서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아빠였으면 좋겠다는 옥희의 말에 아저씨는 당황함 [위기] 아저씨와 어머니가 예배당에서 서로 의식 하여 부끄러워하고,
음악의 분류 - 성악음악, 기악음악. 장르 (genre) 란 연주 형태에 따른 연주 형태와 음악의 양식, 기능에 따라 세분화한 음악적 분류를 말한다.
드뷔시 ( ) 프랑스 작곡가 인상주의 음악의 창시자 대표 작품 : 교향시, 1873 년 파리음악원에 입학하여 피아노와 화성, 작곡 등을 공부하 였고, 상징파의 시인이나 인상파 화가들과 교제하면서 음악 세계의 폭을 넓혔다.
OZ 의 이미지 구축을 위한 광고 커뮤니케이션 12 기 프로공감 류지현. CONTENTS 문제 찾기 -OZ 분석 - 목표설정 - 타겟설정 해결 방안 ( 전략 ) -OZ 만의 컨셉을 찾자 ! -OZ 의 Brand Concept 더욱 구체적인 해결방안 ( 전술 )
학생들은 어떤 예능을 좋아할까 ? 손성민, 한규하, 김대원. 1. 연구 동기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4. 연구 과정 5. 연구 결과 6. 결과 및 고찰 목차.
후기 낭만주의 미용예술학과 송혜미 홍아림.
고대인이 그린 외계인.
테마가 있는 이야기 카페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을 위한 편안한 쉼터.
뮤지컬이란? 뮤지컬 코메디 또는 뮤지컬 플레이의 약칭 19세기 미국에서 탄생 유럽의 대중연극, 오페라에서 유래.
사진의 탄생 회화과 이화선.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이스라엘 만든이 : 권정안.
많은물소리찬양단 “내가 여호와께 바라는 한가지 일 그 것을 구하리니 곧 내가 내 평생에 여호와의 집에 살면서 여호와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며 그의 성전에서 사모하는 그것이라” (시편27:4)
음악사 고대 중세(4C-14C) 르네상스(1450 –1600) 바로크( ) 고전파( )
후기 낭만파 음악 (1810~1900).
고전파 음악과 소나타 형식 김해여자고등학교 교사 신 문 숙.
묵주기도 환희의 신비.
세계의 다양한 문화와 여행 - 유럽의 다양한 축제.
모짜르트.
모짜르트.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Grove Music Online) Last Update : Feb EBSCO KOREA.
코다이 접근법에 의한 학습지도 방법.
사도신경.
2011년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Tel: (02) , HP:
벡터의 공간 이문현.
페르귄트 제1모음곡 중 ‘산왕의 궁전에서’.
신고산 타령 2학년 음악과 생활 교시.
소 묘(Dessin) 소 묘 의 이해 크 로 키 스 케 치 석 고 데 생 정 밀 묘 사 작 품 감 상.
중국의 명절, 춘 절. 신문방송학과 윤소혜.
목양교회 어린이 주일학교 2016년 3월 13일 예배순서 찬양과 율동 묵도 사도신경 찬양 – 주님만 따라갈래 (반 1430번) 대표기도 - 정하늘어린이 오늘의 성경말씀 누가복음 20장 27-38절 찬양 – 황금성 (반 1470번) 설교제목 – 부활이 없다고 하는.
작곡자 베토벤( ) 고전파 시대 음악가, 독일 빈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하이든과 여러 음악가들에게 가르침을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하이든, 모차르트의 뒤를 이어 고전파 음악을 완성시켰고, 고전파와 낭만파 음악의.
프랑스의 화가이자 조각가.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
고대, 중세, 르네상스의 음악 (P. 204).
슈베르트 – “마왕” (P.102).
테셀레이션(tessellation) 테셀레이션(tessellation) 이란 마루나 욕실 바닥에 깔려 있는 타일처럼 어떠한 틈이나 포개짐이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한다.
음악 1학년 2학기 6.즐거운 노래> 바로크 음악사> 감상중심수업1/3.
1. 영 혼 의 햇 - 빛 예 - 수 님 가 까 이 비 - 춰 주 - 시 고 1. 영혼의 햇 빛 2. 이 세상 구름 일어나
우리나라 수학자 기초반-17번-이호준.
작곡자 카 프 아(E. Capua, 1869∼1917) 나폴리 태생의 칸초네 작곡가, 나폴리의 소극장, 카페, 영화관 등에서 연주활동을 하였다. 대표 작품으로는 , 등이 있다. 악곡개요 1898년 피에그로타 음악제에서 수상한 곡으로
Romania 자유 풍요 애국자의 피 Changwon University
크리스마스의 유래 크리스마스(Christmas)는 매년 12월 25일 기독교의 명절로서 아기예수 그리스도의
중세의 형성과 발전.
중세의 형성과 발전.
중세시대의 형성.
사 계 중 봄 음악 1학년 1학기 봄의 노래>사계 중 봄 (1-1/1) 수업계획 수업활동
공명과 화음(resonance and harmony)
제6과 종말론.
1. 하늘에 가득 찬 영광 의 - 하나님 온 땅에 충만 한 존귀 하신 하나님 9장 1절 1. 하늘에 가득찬 영광의
현대 미술의 특징 알아보기 구미초등학교 6학년 4반 교사 권종길 현대 미술의 특징.
Flow Diagram IV While.
미술 1 학년 감상 > 감상 ( 2 / 1-2 ) 미술 문화의 이해 수업계획 수업활동.
St. Augustine, 354~430.
1. 만유의 주 앞 에 감 사 를 드리고 다 경배 하면 서 찬 송을 부 르 세 1. 만유의 주 앞에
1. Wolfgang Amadeus Mozart
남 촌.
1. 사랑 하는 주님 앞에 형제 자매 한 자리에 크신 은혜 생각하며 즐거운 찬송 부르네 220장 1절 1. 사랑하는 주님 앞에
1. 하늘에 가득한 영광 의 - 하나님 온 땅에 충만 한 존귀 하신 하나님 1. 하늘에 가득한 영광의 2. 생명과 빛으로
기악의 연주형태 1. 독 주 한 사람이 하나의 악기로 연주하는 것을 말한다. 대개는 피아노 반주가 따르지만 반주가 없는 무 반주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독주는 어느 악기라도 할 수 있지만, 주로 가락(멜로디)을 연주하는 악기가 사용된다. 사랑의 슬픔-바이올린독주.
Georges Duboeuf 2009 Beaujolais Nouveau
사도신경.
작곡자 베토벤( ) 고전파 시대 음악가, 독일 빈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아버지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하이든과 여러 음악가들에게 가르침을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하이든, 모차르트의 뒤를 이어 고전파 음악을 완성시켰고, 고전파와 낭만파 음악의.
1. 찬란 - 한 주의 영 - 광 은 영원 - 히 빛 - 날 광 - 채요 1. 찬란한 주의 영광은 2. 참 빛을 비춘 예수는
2. 무용혁명의 시작 * “자연 그대로의 신체를 자연의 법칙에 맞게 움직이는 것,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음악의 고전 신문방송학과 10061588 이정혜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대해서 목차 1. 르네상스란? 2. 르네상스시대의 음악이란? 3.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전형 4.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장르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6. 르네상스시대의 악파 7. 르네상스시대의 음악가

1. 르네상스란? 르네상스는 학문 또는 예술의 재생, 부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프 랑스어의 renaissance, 이탈리아어의 rina scenza, rinascimento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2. 르네상스시대의 음악이란? 1450년부터 1600년까지를 음악사에 서 보통 르네상스시대 -르네상스 운동은 음악에 있어서는 다 른 예술분야보다 약간 늦게 일어남.

3.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전형 르네상스 음악의 전형은 아카펠라(A cappella)라고 불리는 소규모(8 ~ 12명) 의 무반주 합창. - 대위법을 이용하였으며, 신적인 하모 니를 표현하여 통일성과 조화를 추 구

4.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장르 미사/레퀴엠 모테트 샹송 춤곡 기악/음악 마드리갈 초기오페라

4.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장르 1)미사 미사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기 념하는 의식 5가지의 미사통상문을 묶어 미사라고 불렀다. - 기리에, 거룩하시다, 대영광송, 천주 의 어린양, 사도신경

4.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장르 2)레퀴엠 로마 카톨릭교회의 전례의식중 하나 로 죽은 자를 위한 미사를 뜻. 현존하는 작품중 가장 오래된 레퀴엠 은 오케겜의 레퀴엠

4.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장르 3)모테트 모테트는 중세의 르네상스시대를 전 성기로 하는 중요한 성악곡의 명칭. 교회 음악 중 미사를 제외한 라틴어 가 사를 가지는 다성 성악곡.

4. 르네상스시대 음악의 장르 4)마드리갈 이태리어 가사를 가지는 다성부 성악 작 품 가사는 사랑이나 목가적 풍경을 테마 -마드리갈의 대표적 작곡가 마렌찌오Luca Marenzio, 제수알도Carlo Ge sualdo, 몬테 베르디Claudio Monteverdi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관악기 현악기 건반악기 타악기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1)관악기 르네상스기의 주요 관악기는 리코더 (Recorder), 크룸호른(crumborn), 숌 (shawm), 코르넷(cornett), 트럼펫 (trumpet), 색벗(sackbut)등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2)현악기 바이올린 족의 시조인 르네상스 비올 은 6개의 현으로 제작 류트 – 당시에 가장 인기가 많았던 악 기중 하나.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류트(lute)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3)건반악기 현으로된 건반악기로서 클라비코드 (clavichord)와 하프시코드(harpsichord) 의 2가지 형태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클라비코드(clavichord)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하프시코드(harpsichord)

5. 르네상스시대의 악기 4)타악기 르네상스시대의 타악기는 주로 종교 의식, 군사적 목적으로 신호나 전투를 격려할 때, 춤추는데 사용되었다. 종, 심벌즈, 작은북, 탬버린, 팀파니, 덜씨 머(dulcimer)등

6. 르네상스시대의 악파 르네상스 음악은 전통적 프랑스 문화 권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 -그 중에서도 부르고뉴 악파와 플랑드 르 악파가 중심

6. 르네상스시대의 악파 1)부르고뉴 악파 프랑스 파리의 남동쪽지역. 956 ∼ 1477 사이에는 공국으로 있었고 Valosi(1364 ∼ 1477) 공작치하에서 서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 을 떨쳤고 부르고뉴궁은 당시 음악의 메카. 대표적인 음악가로는 뒤파이 (Guillaume Dufay), 뱅슈아(Gilles Binchois)

6. 르네상스시대의 악파 2)플랑드르 악파 모방기법적 폴리포니 음악을 발달 . 플랑드르 지방은 반 아이크 , 루벤스 , 보슈 , 반 다이크 등 회화사에 찬란한 빛을 발휘한 인물들을 배출. 감정을 음악에 드러내지 않는 수학적 으로 정교한 폴리포니 (다성음악) 를 만들어냄.

6. 르네상스시대의 악파 플랑드르악파 음악의 특성 플랑드르악파 음악의 두드러진 특징 을 한마디로 말하면 엄격한 성악 폴리 포니양식 플랑드르악파의 음악은 한마디로 말 하면 르네상스의 합리적 사고를 기초 로 한 예술 플랑드르악파는 조스캥을 정점으로 , 고전적 내지 르네상스적인 완결된 작 품을 만듬

7. 르네상스시대의 음악가 1420-1460 : 던스터블· 뒤파이· 뱅슈아 1460-1490 : 뒤파이·오케겡·뷔스노아 1490-1520 : 오브레흐트· 이삭· 죠스캥· 무통 1520-1560 : 빌라르트· 공베르· 클레멘스 논 파파· 쟈스캥 1560-1600 : A.가브리엘리· 데몬테· 랏소·        팔레스트리나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1445~1521 르네상스 전 기간을 통해 배출된 작곡가 들 중에 가장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 부르고뉴악파가 사라지고 플랑드르 악파 가 그 뒤를 이어 전성기를 형성하기 시작 할 때 나타난 작곡가 1440년 경 오늘날 벨기에와 프랑스의 국 경지역인 콘데(Conde)에서 태어났다는 설 이 가장 유력 1504년 고향 콘데로 돌아와 노틀담 성당 참사회장으로 일하다가 1521년 영광에 가득찬 생에를 마침.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1445~1521 1484년 아스카니오가 추기경이 되어 그를 수행. 이때부터 작곡가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 1474년부터 12년간 갈레아로 마리아 스포르자 공작의 예배당에서 일 1459년에서 1472년까지 밀라노 성당에서 가수로 봉직.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1445~1521 1503년 7월 페스트의 대유행으로 갑작스럽게 페라라궁을 떠남. 1503년 페라라의 에르콜레 데스테 1세일가의 교회 상가대장으로 임명 1501-1503년 사이 루이 12세 궁정의 가수.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1445~1521 대표작 [미사 혓바닥이여 노래하라](Pange Lingua) [미사 무장한 사람](L'homme arme) 모테트[압살롬, 내아들] (Absalon, fili mi) 모테트[아베 마리아] (Ave Maria) 플로톨라 [귀뚜라미는 훌륭한 가수]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1445~1521

조스캥 데 프레 Josquin des Prez, 1445~1521 아베 마리아 (Ave Maria)

THE END.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