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수술 전 후 간호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정선병원 간호팀 1 의사 order 시행지침 정선병원 2 병동 수간호사 송 만 자. 정선병원 간호팀 2 차례 1. 목적 2. 정의 3. 구두지시 적용 기준 4. 구두지시 수행 기준.
Advertisements

 덕정고등학교 보건교사 한희영 4 분의 기적 ! 심폐소생술  한해 심정지 환자수 : 2 만명  생존률 : 2.4% - 미국 : 8.4%, 일본 :10%  심정지 환자 목격률 : 40%  심폐소생술 시도율 : 1.4%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 5 조 2.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 심폐소생술 )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장박동과 호흡이 멈출 때 ! 가슴압박, 인공호흡.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2011 NEW 심폐소생술 수연특수아어린이집 강대건.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낙 상 지 표 정 의 서 지 표 명 낙상 후 손상발생률 지표정의 낙상발생 건수 중 손상이 있는 건의 비율 분자정의
Ventilator외 기타 Equipment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SEOIL iBT 학생 버전/pbt와 ibt의 차이점/시험 시 주의사항/ 시험결과 안내 학부모 버전/ibt
복강 내압 (Intraabdominal pressure) 측정법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증 례 59세 남자환자 비소세포 폐암으로 좌측 폐 전 절제술 (Left pneumonectomy) 받고, 경과 관찰 중 호흡곤란 및 발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함.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Patient Monitor 김지희 홍새미.
퇴행성 신경질환.
` 수술 후 환자 간호와 정서적 지지 6병동 간호사 최 윤 영.
PET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와 Kt/V 검사의 소개
화학기기종합설계 2014_2 FAKE OIL DETECTOR FOD™ 김기훈 이경석.
Graph 개론 통계분석을 위한 Excel Chart 기초.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수술환자의 간호 중앙간호학원 김지연.
구강악안면외과 환자와 치과위생사.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pH-20N 사용방법 측정항목 pH 보정 (자동보정) Sensor 보관방법 기타 조작방법
4-6. 광합성 작용(1).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인큐베이터) 신생아 보육기 곽다연 김애리.
자가 호기말 양압(auto PEEP) 측정.
피임이란?.
ECG (ElectroCardioGram)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마인드 맵.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Video Fluoro Scopy Study
체크포인트 인명소생술 등 응급처치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위급한 환자 발생 시 전문 의료진의 진료 전에 행하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 | 개념과 원리 | 인명소생술 | 외상의 응급처치 | 구출 및 이송 응급처치란? 위급한 환자 발생 시 전문 의료진의 진료 전에.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수술 환자의 간호 창원병원 간호부 수술실 송만자 창원병원 수술실.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시각절벽실험 김현우.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성인 심폐소생술 의식확인 방법 119신고 및 도움요청 환자가 반응이 없고, 비정상인 호흡 또는 호흡이 없으면
Fentanyl 사용시 보이는 이상 호흡 양상 (abnormal respiratory pattern)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자동 접이식 병원 침대 < 캡스톤 디자인 제안 > * 이 름 : 이헌준 ( )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Progress Seminar 신희안.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콘크리트(산업)기사 실기 작업형 시험 대비 동영상포함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Autometed External Defibrillator)
실험동물기초 실습 서정대 애완동물과 황보람.
수술 환자 간호.
연구 진행 상황 보고서 2주전 계획 연구 결과 문제점 및 대책 목표 및 계획 노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EP 어지럼증 한양대
타이머를 시작하려면 슬라이드 쇼 메뉴에서 쇼 보기를 클릭하십시오.
Progress Seminar 양승만.
Presentation transcript:

신경계 수술 전 후 간호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 수술 전 간호 1) 신경학적,생리학적 상태의 기초자료를 기록한다. - 활력증상, 의식수준, 동공의 크기와 빛에 대한 반응양상, 외안근의 움직임, 하지운동상태, 피부색깔, 마비 또는 부전마비, 수분과 전해질 균형, 폐울혈 증상, 신장 기능, 기타 다른 비정상적 상태(탈수, 경련, 실어증, 시각/청각 장애)등을 사정, 수술후와 비교 - 두개강 내압이 상승된 환자는 두개강내압 감시장치로 감시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2) 환자와 가족이 표현하는 두려움에 대해 이해와 격려 - 환기기능의 장애시, 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PaO2: 80mmHg, PaCO2:25-30mmHg 가 유지되도록 한다. - PaCO2 상승시, 두개강 내압이 상승하며, 20mmHg이하시 뇌대사장 애 초래 2) 환자와 가족이 표현하는 두려움에 대해 이해와 격려 - 불안감과 공포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의문사항 경청 3)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게 충분한 설명을 한다. - 설령 환자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모든 치료의 절차는 자세히 설명되어야 한다.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4) 수술 전 두피 준비 5) 가족들은 환자를 맞이 할 준비 - 수술 전날밤과 수술을 시행하는 날 아침에, 머리를 소독샴푸한다. - 대부분의 경우 머리 삭발이 필요하며, 수술실에서 시행(임상에서는 ICU 침상에서 행하여지기도 한다.) 5) 가족들은 환자를 맞이 할 준비 - 수술 소요시간, 보호자 대기장소, 수술 후 환자가 어디로 가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 수술 후 두부드레싱과 상처 배액 또는 여러 기계들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려 준다. - 안면부종과 반상출혈이 있을 수 있고, 전신상태가 저하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 수술 후 간호 1)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 - 운동능력, 지남력이나 명료성 수준, 동공검사를 포함한 신경 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Glascow Coma Scale이용 - 수술 후 신경학적 사정은 자주 그리고 철저하게 해야 한다. - 언어상태는 2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다음 2시간동안은 30분 마다, 그리고 안정될 때까지 매시간 사정해야 한다. - 혈압과 수분상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 동맥압과 중심정맥압 측정.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2) 절개부 간호 3) 두개내압의 하강을 증진 - 두부 드레싱에서 나오는 배액의 양과 형태를 규칙적으로 관찰 및 기록한다 . - 노란색의 배액은 CSF누출을 의미하므로, 즉시 보고한다. - 머리,귀, 눈위가 조이는지 드레싱이 편안한지 사정. 3) 두개내압의 하강을 증진 - 수술 후 두개내압의 급격한 변화는 대개 출혈이나 심한 부종 때문이며, 상승된 압력을 조절하지 못하면 비가역적 손상이나 죽음 초래 - 간호활동 사이에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둔다. - 기침과 구토를 피하며 필요 시에만 부드럽게 흡인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5) 전해질 균형 6) 안위증진 - 의식이 있고, 장음이 들리면, 구토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 - 소변 비중측정과 함께 I/O를 시간마다 측정, 혈당 검사 - 의식이 있고, 장음이 들리면, 구토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 회복시 구강섭취를 시작하도록 한다. - 섭취량이 하루 2000-2500ml 가 될 때까지 정맥수액 주입 6) 안위증진 - 안정을 위한 약물로, Codeine sulfate나 non-narcotic analgesic 이 투여될 수 있다. - 두통 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할 수 있다. -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하지의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예방위해 탄력스타킹 착용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 두개 내 수술 대상자에게 시행하지 말아야 할 간호 - 의사 지시없이 코를 통한 흡인이나 머리를 낮게 하지 않는다 - 불안한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억제 대를 하지 않는다. -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할 경우 너무 빠른 속도로 주입하지 않는다. - 체온은 구강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 대상자를 너무 깊이 진정시키거나, 의사의 지시를 정확히 확 인하지 않고 마취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분변매복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거나 완화제의 사용 또는 관장 을 해서는 안된다.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카테타 및 배액 환자 간호(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 EVD ) 1) 목적 - 뇌실내 출혈이나 뇌척수액 과다 또는 축적으로 인해 두개강 내압이 상승되고 의식이 약화될때 출혈액이나 뇌척수액을 배 액시켜 두개강 내압 조절하기 위함이다. 두개내 sensor, tranducer, 기록 장치에 의해 지속적 ICP(Intracranical pressure)측정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 절개세트, ventricular catheter, 스타이렛, 소독장갑, drainage circuit & collection bag,3-way, 리도카인, perforator, dilator, bipolar(coagulation - bleeding control시 사용), raney clip(scalp hemostatic forcep),bone wax(bone bleeding시 사용),NS drill(cranial perforation)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3) 과정 및 환자간호시 고려사항 - 시술전날 자정부터 금식 - 시술부위 삭모 - 감염예방 - 소독장갑 착용 - 환자에게 시술목적과 방법 설명 - 시술전날 자정부터 금식 - 시술부위 삭모 - 감염예방 - 소독장갑 착용 - 국소마취 후 15번 knife로 incision을 넣고 raney clip으로 지혈하고 weitlaner ret로   incision 부위를 연다. -> periosteal elevato로 박리해서 skull bone 노출 후 irrigation을 한다. -> 천공기  (perforator)로 Burr hole을 뚫는다. -> Dura가 보이면 Bipolar로 dura 천공 부위를 지혈하여 절개한다. -> ventricular 카테터에 스타일렛을 끼워 뇌실까지 넣고, 스타일렛을 빼고 뇌실내액이나  hematoma drainage 하고  필요시 검체를 채취후 멸균배액관과 배액주머니 확인한다.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 배액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처방된 높이를 유지한다. - 대부분 배액계(collecting system)에는 일방향성 판막이 있어 뇌척수액이나 공기의 역류를 예방한다. - 배액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처방된 높이를 유지한다. - 배액관의 위치가 낮으면 뇌척수액의 배출이 많아지고,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 뇌척수액 생성이 증가하며, 지나치게 빠른 뇌척수액 배출은 뇌간 탈출을 야기, 항생제 투여 후 활력증후 측정 - 모든 연결부위가 안전한지 수시로 관찰한다. - 발한이 많은 환자는 자주 드레싱을 교환.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 각 근무번마다 드레싱이 견고하고 폐쇄적이며 깨끗하고 건조 한지 관찰한다. - 배액체계를 교환하거나 드레싱 시에는 완전 멸균술을 적용 - 각 근무번마다 드레싱이 견고하고 폐쇄적이며 깨끗하고 건조 한지 관찰한다. - 의식이 명료하지 않은 환자인 경우 필요시 억제대를 사용하 며, 사고로 catheter가 빠지는 일이 없도록 관리한다. - 두개내압의 상승, 체온과 백혈구 수치의 급격한 상승, 신경 학적 상태의 변화, 삽입부위의 뇌척수액의 누수 등이 있을 시 의사에게 알린다.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4) 배액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배액주머니로 흘러가므로 사용된 양은 기록하고 총 배액량에 서 제외시킨다. - 뇌실 카테터 세척은 의사에 의해서 행해지고, 세척한 배액은 배액주머니로 흘러가므로 사용된 양은 기록하고 총 배액량에 서 제외시킨다. - 뇌척수액이 떨어지는 부위가 처방대로 되어 있는지 항상 주 의 깊게 관찰. tragus 기준으로 한다. - 배액물에 혈액이 섞여 있거나 과도한 경우 의사에게 알린다. - 뇌척수액 배액기간, 색깔, 양 등을 기록한다.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

5) ICP monitoring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 ICP값과 파형을 주기적으로 관찰한다.(ICP 정상범위:10-20mmHg) - 두개내압의 값이 부정확 할 때 장치를 교정하고 균형을 맞춘다(Calibration) 인천중앙병원 중환자실 김태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