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8.13.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흡연. 담배의 성분 담배의 성분 담배연기 속 약 4,000 여종이나 되는 많은 독성 화 학물질 존재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담배는 불에 탈 때 그 중심온도가 섭씨 900 도에 이 르게 됩니다. 고온에서 유기물질이 열분해, 열합성, 증류, 승화, 수소화, 산화, 탈수화.
Advertisement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건강한 혈관을 지키기 위해 … 김 용 규 가톨릭대 성모병원 산업의학센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슨 이유로 사망을 할까요 ?
건강관리 동인천중학교 구 자 춘 2001 학년도 창의적 재량활동 학습자료 학습목표 비만의 정의에 대해 안다 비만의 측정 방법에 대해 안다 비만의 원인에 대해 안다. 비만 치료 방법에 대해 안다.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목차  소금과 나트륨  소금은 얼마나 먹어야 할까 ?  소금을 많이 먹으면 ?  음식에 들어있는 소금량  싱겁게 먹는 방법.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고지혈증과 식이 영문중학교 영양교사 최정숙. 고지혈증이란 ? 혈액 중에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상태.
Powerpoint Templates Page 1 고혈압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이종영. Powerpoint Templates Page 2 순위전 체전 체사망자 1 악성 신생물 ( 암 ) 73,759 2 심장질환 26,442 3 뇌혈관질환 25,744 4 자살 14,160.
뇌심혈관계질환 예방을 위한 기초질환관리 - 대사 증후군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정 혜 선.
교재자료개발팀.
Ⅱ운 동과 비만 관리 1.
식생활지침 ..
1.1 만성질환의 개념 1) 만성질환(Chronic diseases) : 비감염성 질환 (1) 만성질환
고성군민 기대수명 연장을 위한 중점추진 사업계획 고성군 보건소.
소금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신장내과 박정환.
고지혈증과 운동 임 백 빈.
How to assess hypertensive patients?
생활속의 고혈압 정선병원 박 혜 숙.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증 례 59세 남자환자 비소세포 폐암으로 좌측 폐 전 절제술 (Left pneumonectomy) 받고, 경과 관찰 중 호흡곤란 및 발열 발생하여 중환자실 입원함.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콜린효능차단약(Cholinergic blocking agents)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Macromolecule analysis Ⅱ-① Lipid Extraction from tissues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담배! 그 정체를 알자.
피임이란?.
ECG (ElectroCardioGram)
전기진단검사 I.
운동처방론 우송대학교 스포츠건강재활학부 김 명 화.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동맥경화증과 영양 역학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식품영양정보학과 김 종 대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이의신청 급여기준 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광주지원.
1. 이 자료는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상위를 차지하고
I. Wellness : Life-Styles for Healthy Living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체크포인트 안전과 사고의 일반적인 지식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알아본다.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마음과 몸이 편안한 상태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 안전과 생활 | 사고 예방 안전이란? 사전적 의미 일반적 의미 위험하지 않은 것.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스트레스와 건강.
중 증 환 자 보 고 서 2007년 1월 11일.
Automatic nerve system
운 동 과 고 혈 압 Exercise and Hypertension
15. 지 혈 * 지혈이란? -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을 막는 것 인위적인 지혈(동맥, 큰 혈관)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10년 609병동 QI 환자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낙상 예방활동.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임상시험대상자 모집 공고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서 rosuvastatin과 ezetimibe 각 약물의 단독투여 시와 rosuvastatin 및 ezetimibe 병용투여 시 약동학적 상호작용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가천대 길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는 상기.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근로자의 건강증진 활동.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Ⅱ. 운동의 효과 (The Effects of Exercise)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쉽게 알아보는 근로자 건강관리.
Presentation transcript:

2007.08.13

Ⅰ. 서 론 1763년 제임즈와트가 증기관차를 실험 산업사회 도래 1946년 2차 세계대전 종전 소비자 중심의 물품생산 Ⅰ. 서 론 1763년 제임즈와트가 증기관차를 실험 산업사회 도래 1946년 2차 세계대전 종전 소비자 중심의 물품생산 1975년 Personal Computer 발명 정보, 이미지

근대 : 산업혁명 James Watt 1795년 소호의 주조공장을 개설, 기관의 대량생산을 시작 와트의 증기기관 (1775-1780)

Paradigm Shift IQ(지능지수- Intelligent Quotient) 수리력과 분석력 측정지수 물질을 이용하고 가공하는 사회(산업사회)의 잣대 EQ(감성지수-Emotional Quotient) 정서적 능력 측정지수 남의 감정이해와 자신의 감정조절 능력 기능주의의 퇴장과 인성(人性) 재발견 시도 AQ( Analogy Quotient) 창조형 인간, 우뇌형, Image의존

미래형 인간 다면적으로 생각하고 주변과 교감하며 미래를 내다보는 인간 입체인간 : T자형 인간 : 장파인간 : 사물의 한 단면만 보고도 전체문제의식과 창조력을 구비, 통찰하는 능력을 지닌 사람, 그림에 대한 조각으로 비유 T자형 인간 : 전문성과 폭넓은 지식을 함께 갖춘 인간 Generalized Specialist, 전공이 있지만 부전공도 많은 잡식성 인간형, 주변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위상구축 경쟁력 : 조직원간의대화와 정보교류 장파인간 : 긴 안목을 가진 사람, 나무도 중요하지만 숲 전체를 볼 수 있는 광각렌즈

인간의 두뇌기능 차이 좌뇌 우뇌 ㅇ 형식지(形式知, Explicit Knowledge) : 논리적이고 기계적인 지식 계산·논리 언어·숫자 과 학 객관적 사실 형식·지식 규 범 보 수 이 성 IQ 산업사회 직관·유추 영상·음향 예 술 주관적 인식 암묵지식 자 율 혁 신 감 성 AQ 창조사회 좌뇌 우뇌 ㅇ 형식지(形式知, Explicit Knowledge) : 논리적이고 기계적인 지식 ㅇ 암묵지(暗默知, Tacit Knowledge) : 감성적이고 직관적인 지식

우리나라 사람의 10대 사망원인 사망순위 1953년 1990년 1999년 2005년 1 폐결핵 뇌혈관질환 암(악성)신생물 2 위장염 심장질환 3 뇌졸중 운수사고 4 폐렴 고혈압성질환 위암 자살(고의적 자해) 5 신경계질환 간질환 당뇨병 6 폐암 7 간암 8 만성하기도질환 9 자살 10 호흡기결핵 페렴

인체의 구성 : 계 호흡기계 : 기관지 허파 소화기계 : 내장기관 순환기계 : 혈액순환 + 림프액순환 신경계 : 중추신경계 + 말초신경계 근골격계 : 근육 + 건 + 인대+ 골 감각기 :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순환기 해부 및 생리 심장 신진대사, 즉 폐에서 신선한 공기와 접하여 산소가 풍부해진 동맥혈을 체내의 여러 곳에 공급해주는 펌프역할 혈관 심장에서 나오는 피를 전신장기에 골고루 운반해주는 수도관 역할

심장의 구조

Ⅱ. 뇌 ·심혈관 질환 1. 고혈압 국내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15-20%로 추정 병인 Ⅱ. 뇌 ·심혈관 질환 1. 고혈압 국내 성인의 고혈압 유병률은 15-20%로 추정 병인 유전적 경향과 환경적 요인(염분, 비만, 술,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 나이 등)의 상호작용에 의함 침묵의 살인자(silent killer)

의 사 문진을 통해 뇌·심혈관질환 발병에 있어 악화 인자가 될 수 있는 사항을 상세히 파악하여야 한다. 작업관련 요인 현재증상 의 사 문진을 통해 뇌·심혈관질환 발병에 있어 악화 인자가 될 수 있는 사항을 상세히 파악하여야 한다. 작업관련 요인 개별 근로자의 생활습관 근무실태 등 현재증상 과거 병력 및 가족력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1단계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제1단계(WHO-ISH, 1999) 혈압수준 수축기 혈압(㎜Hg) 이완기 혈압(㎜Hg) 최적 120 미만 80 미만 정상 130 미만 85 미만 높은 정상 135-139 85 - 89 1도 고혈압 140-159 90 – 99 2도 고혈압 160-179 100-109 3도 고혈압 180 이상 110 이상 주)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이 각기 다른 수준에 속할 때 보다 높은 수준을 적용함.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2단계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인자 개수 셈하기(WHO-ISH, 2003) 발병위험인자(+) 발병위험인자(-) 1도-2도 고혈압(SBP 140㎜Hg 이상 또는 DBP 90㎜Hg 이상일 때) 연령(남 55세 이상, 여 65세 이상) 흡연 총콜레스테롤치가 240㎎/㎗보다 높거나, LDL 보다 낮을 때 HDL 콜레스테롤치가 35 ㎎/㎗보다 낮을 때 직계가족의 심혈관질환 조기발병(50세 이전) 비만(BMI 30 이상), 신체활동부족 심방세동주1) HDL 콜레스테롤치가 높을 때(60 ㎎/㎗ 이상)주2) 주1) 뇌졸중에 한해 위험인자가 됨 주2) 발병위험 완화인자이므로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병위험인자 개수에서 한 개를 뺄 수 있음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 3단계 치료전략 수립을 위한 발병위험도 판정(WHO-ISH, 2003) 혈압수준 분류 1도(SBP 140-159 또는 DBP 90-99) 2도(SBP 160-169 또는 DBP 100-109) 3도(SBP 180이상 또는 DBP 110 이상) 위험인자 없음 저위험 중등도위험 고위험 위험인자 1~2개 위험인자 3개 이상 또는 표적장기손상주1) 또는 질병 동반주2) 주1) 좌심실비대, 단백뇨,죽상동맥경화증, 고혈압성 망막증 주2) 당뇨, 허혈성 뇌졸중, 뇌출혈과 같은 뇌혈관질환, 신근경색증, 협심증과 같은 심장질환 또는 관상동맥재건술, 당뇨병성 신증, 심부전과 같은 신장질환, 말초혈관질환 등

발병위험도 향후 10년 이내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률 저위험 : 15% 이내 중등도 위험 : 15-20% 고위험 : 20% 이상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결과를 문서로 통지하여야 한다,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에 따른 고혈압 치료전략(WHO-ISH-1999) 위험수준 관찰기간 치료지침 저위험군 6-12개월 수축기혈압이 150㎜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5㎜Hg 이상이면 약물치료(필요시 비약물치료 병행) 중등도위험군 3-6개월 수축기 혈압이 140㎜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Hg 이상이면 약물치료(필요시 비약물치료 병행) 그 이하이면 필요시 비약물치료하면서 계속 관찰 고위험군 - 즉시 약물치료 착수하고 필요시 비약물치료 병행

고지혈증을 중심으로 한 치료원칙 미국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3차보고서, 2001 위험인자 주1) 및 질병동반 LDL 콜레스테롤치 주2) 발병위험도 치료원칙 주3) 위험인자 (0-1개) 160-189 190 이상 저위험 160 미만이 될때까지 비약물요법(식사, 운동)또는 약물요법 160 미만이 될때까지 약물요법 (2개 이상) 130-`159 160 이상 중등도위험 130 미만이 될때까지 비약물 요법(식사, 운동) 또는 약물요법 130 미만이 될때까지 약물요법 당뇨, 관상동맥질환이 있을 때 100-129 130 이상 고위험 100 미만이 될때까지 비약물 요법(식사, 운동) 또는 약물요법 100 미만이 될때까지 약물요법 주1) APTⅢ에서 위험인자란 앞에서 언급된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인자 외에 고혈압이 포함됨 주2) L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치-(트리글리세라이드치)/5 주3) 최저 6개월 이상 식사, 운동요법을 하여도 LDL콜레스테롤이 내려가지 않는 경우에 약물요법을 실시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판정결과 따른 근무상 조치 뇌심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판정결과 따른 근무상 조치 구분 내 용 통상근무 현재의 부서에서 그대로 근무해도 되는 경우 조건부 근무 생활습관개선, 약물치료 또는 근무시간 제한 등의 조건하에서 현재의 부서에서 근무할 수 있는 경우 (예 :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고위험군 이상의 고혈압인 근로자는 과도한 연장근무를 연속해서 시키지 않도록 하고 가급적 야간근무도 시키지 않는 것 병가 또는 휴직 건강상태가 좋아질 때까지 요양치료가 필요한 경우 (예 : 현재 급성심근경색증 또는 뇌졸중과 같은 뇌심혈관질환의 임상증상이 발증한 경우 의사의 직무복귀 지시가 있을때까지 근무를 중단시키고 요양하게 할 것) 작업전환 현재의 업무특성상 뇌졸증이나 심근경색증을 발병 또는 악화시킬 수 있어 다른 부서로 직무전환 조치가 필요한 경우 (예 : 현재이 업무중에 뇌심혈관질환의 유해인자가 있어 계속 근무하면 뇌심혈관질환을 발병 또는 악화시킬 소지가 있으나 작업환경개선이 불가능한 경우 가급적 다른 부서로 옮겨 근무하게 할 것)

뇌심혈관질환 고위험군중 작업전환 고려대상 주당 60시간 이상의 장시간 노동 고정적인 야간작업 정신적, 심리적으로 부담이 큰 업무(예: 중요 프로젝트의 책임자) 힘이 많이 드는 중노동을 연속적으로 해야 하는 작업 용광로작업과 같은 고열작업 또는 한랭작업 부정맥이 있을 때: 운전작업, 고소작업 소음이 심한 부서 순환기계장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업무 (예: 이황화탄소, 염화탄화수소류, 니트로글리세린, 메틸렌클로라이드 등) 위에 열거된 업무중의 하나라고 하여 무조건 기계적으로 판단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해당근로자의 유해인자에 대한 노출수준, 업무강도 및 순환기계 장해의 정도를 감안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고혈압 치료의 목적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방지하여 뇌졸중이나 심장사고의 예방 증상 유무에 상관없이 혈압이 높으면 평생치료 원칙

생활양식 개선 금연 체중감량 음주의 절제 : 남자 - 에탄올 섭취를 하루 20-30g 여자 - 에탄올 섭취를 하루 10-20g 복합적인 식이 변경 : 과일, 채소, 섬유질, 생선의 섭취와 포화 지방산의 적은 섭취 신체 활동의 증가 : 일주일에 4회, 30-45분 정도의 적절한 수준의 유산소 운동 심리적 요소와 스트레스 : 이완요법

치료하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의 자연경과 유 전 환 경 합병증 (+) 합병증 (-) 연 령 0 ~ 30 잠재성 고혈압 악성 고혈압 신장 신경화 신부전 심장 심비대 심부전 심근경색 대동맥 동맥류 동맥 박리 뇌동맥 허혈 혈전 출혈 잠재성 고혈압 초기 고혈압 지속성 고혈압 유 전 환 경 연 령 0 ~ 30 20 ~ 40 30 ~ 50 합병증 (+) 합병증 (-)

심혈관 합병증 표적장기 증 상 심장 심비대,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혈관 대동맥류 및 박리, 말초동맥폐색증 뇌 증 상 심장 심비대, 심부전증, 협심증, 심근경색증 혈관 대동맥류 및 박리, 말초동맥폐색증 뇌 뇌출혈, 뇌혈전, 뇌색전증 신장 신부전증

고혈압성 동공 안저검사(정상) 고혈압성 망막증 (유두부종)

2. 동맥경화증 동맥의 내벽(내막)에 손상이 생겨 이곳을 통하여 동맥내벽에 콜레스테롤의 침착, 섬유세포나 평활근의 증식 석회침착이 일어나 동맥벽이 두꺼워지고 단단해짐으로써 동맥의 내경이 좁아짐 중요장기에 혈액공급이 저하되거나 동맥의 탄력성이 소실되고 약화되어 동맥의 파열이나 박리 등이 일어나 여러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

2. 동맥경화증 성인병으로 중년이후에 잘 나타나지만 뚜렷한 자각증상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서서히 진행 주로 대동맥(복부 및 흉부), 관상동맥, 경동맥, 뇌동맥, 신동맥, 말초동맥의 대 또는 중간 굵기의 동맥에 병변

동맥경화증의 진행과정 지질 섬유Cap 혈관내피세포 지질덩어리 혈소판 혈관내피세포

동맥경화란 무엇인가?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 1. 바꿀 수 없는 인자 1) 고령화 2) 남성 3) 유전소인(관상동맥질환 및 고지혈증의 가족력) 1) 고령화 2) 남성 3) 유전소인(관상동맥질환 및 고지혈증의 가족력) 2. 바꿀 수 있거나 치료 가능한 인자 1) 흡연 2) 고혈압 3)비만증 3. 부분적으로 치료 가능한 인자 1) 고지혈증(혈중 내 높은 콜레스테롤) 2) 당뇨병 3) HDL-Cholesterol이 낮은 경우 4. 기타 가능성이 있는 경우 1) 운동부족 2) 지나친 스트레스 3) A형 성격(경쟁적이며 성취욕이 강한 성격) * 3대 위험 인자는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이다.

동맥경화증의 혈관폐쇄부위에 따른 심혈관질병의 종류 동맥경화증의 혈관폐쇄부위에 따른 심혈관질병의 종류 관상동맥질환 - 협심증,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부전 뇌졸중 - 뇌출혈, 뇌혈전, 뇌색전증 대동맥류 및 대동맥 박리 말초동맥폐색증 허혈성 신혈관 협착에 의한 고혈압

동맥경화성 합병증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고지혈증 혈중콜레스테롤치가 높을수록 관상동맥질환 발생률이 상승 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률을 줄이기 위해서 고혈압의 조절만큼이나 고콜레스테롤혈중의 조절도 중요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고지혈증 저밀도지단백(Low density lipoprotein: LDL) 동맥내벽에 축적되어 동맥경화증을 유발시키는 악성콜레스테롤 흡연하거나 콜레스테롤 섭취가 많을 때 높아짐 고밀도지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동맥경화가 생긴 부위에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며 간으로 운반함으로써 소화시키기에 좋은 상태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양성콜레스테롤 체중을 조절하거나, 담배를 끊거나, 운동을 했을 때 높아짐 HDL은 높을수록 LDL은 낮을수록 좋다.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흡연 순환기 합병증의 주요 위험인자 흡연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는 동맥내벽에 손상을 주어 동맥내벽으로 콜레스테롤이 스며들게 되며 혈소판의 흡착을 촉진시켜 동맥경화의 발병에 결정적인 기여를 함 신체내 산소운반능력을 감소시켜 심장근육이나 뇌세포에 산소결핍을 일으킴 이미 동맥경화증올 증상이 있는 사람에서는 말초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소판의 응집력을 항진시키므로 협착된 동맥부위에 혈전을 유발시켜 심근경색증이나 뇌경색증 등을 일으키고 치명적인 부정맥을 일으킴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흡연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율을 2~3배 증가 고혈압+고지혈증+흡연순환기사망률 증가 13배 금연시 1년 이내 위험률이 50% 이상 감소 강력한 금연 강요  니코틴 패취(patch), 금연교실 등 흡연하 약물요법합병증 계속 악화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고혈압 동맥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동맥의 손상이 많아지고 콜레스테롤과 지방이 동맥벽을 따라 축적되어 동맥경화를 유발 동맥경화로 인한 혈관손상이 있을 때에는 동맥류나 박리 또는 파열을 유발시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당뇨병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 고혈압⇒ 비당뇨병 환자의 약2배 심근경색증⇒ 남성이 2~3배, 여성이 약 6배 관상동맥질환이 발생하기 쉬운 이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치 높음 혈당이 높아 혈관내막의 손상 ⇒동맥경화증 발생과 혈전형성이 용이

당뇨병의 합병증 동맥경화증과 고혈압 뇌경색증 당뇨병성 신장질환 망막증(모세혈관 질환), 실명 고지혈증 말초신경장애(손발의 감각이상, 신경통 등) 자율신경장애(기립성 저혈압, 발한이상)와 발기부전증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비만 초과한 체중만큼 심장이 일을 더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커짐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 당뇨병과 연관성이 높음 비만 자체보다는 부수되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동맥경화가 촉진될 수 있음 정상체중보다 20%가 증가하게 되면 고혈압의 발생위험이 10배 이상 증가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스트레스 스트레스는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카테콜라민이라는 호르몬분비를 증가시켜 심장박동을 증가시키고 혈관을 수축시켜 고혈압을 악화시키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지방량을 증가시켜 동맥경화증을 유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