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진단검사 II
근전도 근육내의 미세전기의 전압을 침 전극을 사용 하여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이 측정치를 증폭 한 다음 그림(screen)으로 표시된 것을 판독 침 근전도(needle EMG)
침 근전도
운동단위 활동전위 Motor Unit Action Potential ( MUAP ) 근 활동전위(muscle action potential): 휴식기 분극상태에서 신경에서 내려온 자극이 신경-근육 접합부로 전달되어 나타나는 흥분된 근육의 전위
운동단위 활동전위
운동단위 활동전위 파형
정상 운동단위 활동전위 이상성 또는 삼상성 전위 (biphasic or triphasic potential) 진폭과 지속시간(amplitude, duration) 근섬유의 수와 검사 바늘의 근접성에 의존 cf) 다상성 전위(polyphasic potential) -정상근육의 10%에서 발견 -탈신경화(denervation)의 증거로서 재신경화(reinnervation process)기준 -경과의 비교위해 계속적인 추적 검사가 필요
자발전위(spontaneous activity) 정상적으로 근육의 이완시에는 전류가 발생하 지 않으므로 근전도에서는 무반응(직선) 종판 전위(end plate potential): 정상적인 생 리 반응 - 전극이 근육의 종판(end plate)에 닿아 있을 때 발생하는 것 - 종판에서는 휴식기에 아세틸콜린이 불규칙적으로 방출되며 이때의 활동전위가 감지 - 소리(sound): 종판잡음(end plate noise) 쉬— 하는 소리가 남
비정상 자발전위 (abnormal spontaneous activity) 신경이나 종판이외의 부위에서 발견되는 자발전위 로 탈신경(denervation)상태에서 보임 기전: 근막 세동의 증가 (muscle membrane hyperoscillation)(?) 시기: 신경 수상 후 또는 병변 후 최소한 3주일이 지난 후에 비교적 현저하게 보임 축색(axon)으로의 전달물질이 완전히 고갈된 후 근 섬유의 세동 증가가 나타날 때까지 시간 필요
비정상 자발전위 (abnormal spontaneous activity) 증가된 삽입전위(increased insertional activity) 탈신경된 근육에서 침 전극 삽입시 정상근육보다 민감한 전기적 반응 보임 (오래된 경우 감소) 양성 예파(positive sharp wave) 신경이 완전 차단되고 5-14일후 차단된 신경이 지배한 근육에서 나타남
비정상 자발전위 (abnormal spontaneous activity) 근 세동 전위(fibrillation potential): 신경이 차단된 2-3주 후 나타나며 근육에서 미세하고 자발적이며 비교적 규칙적인 수축반응 섬유속 자발수축(fasciculation potential) 비정상 자발전위가 동시에나타나며(다발성) 전각세포 병변 시에 흔함.
신경병변 및 근육병변 비교
근육병변의 침 근전도 작은 진폭의 짧은 지속시간을 가진 다상성 운 동단위: 근육병변에서 주로 나타남 작은 진폭의 짧은 지속시간을 가진 다상성 운 동단위: 근육병변에서 주로 나타남 Short amplitude, Short duration Polyphasic
운동단위 활동전위(MUAP)
말초신경 손상 및 회복
탈신경 근육 반응 1 (denervation supersensitivity)
탈신경 근육 반응 2 (collateral sprou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