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질개선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2007. 6. 21.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경기도 평택, 안성, 용인, 이천, 여주 강원도 강릉, 속초, 양양, 동해, 삼척, 원주 대전, 충남 세종시, 대전, 대전청사, 천안 아산온양, 아산서부, 공주 금산, 조치원 충청북도 청주, 제천, 황간 대구, 경북 대구, 서대구, 경주, 포항, 영천, 상주,
Advertisements

전라북도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안 전라북도 환경정책과 전라북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이세걸 서울환경연합 사무 처장 정부 미세먼지 특별대책 문제점과 과제.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대 기술혁신과제 2015 년 주요 연구 내용 2015 년도 예산 및 사업 현황 14. 미세조류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개발 -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수송연료 · 소재 생산기술 개발 4,072 백만원 -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450 백만원 중 신규 700.
새로운 표준화 이슈 및 동향. ICT 와 기후변화대응전략  과거 100 년간 지구 온도변화 추이 지구온난화.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중소기업의 녹색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사업. CONTENTSⅠ Ⅱ 지역에코혁신사업 소개 참여방법Ⅲ 사업 추진 내용.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1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8. 국내 이차전지 기술력  이차전지 시장에서 국내 업체들이 선전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위의 시장점유율, 양산경쟁력 확보 - 리튬이온 이차전지 분야 집중 투자로 이차전지 시장에서 세계 1,2.
사고사망재해 감소 70 일 특별대책 (10.21~12.29) 기초교육기관용 추진배경 최근 건설업 사고사망재해가 7 월 이후 급속히 증가하여 8 월에는 전년 동기대비 25 명 (9.5%↑) 이 증가함에 따라, - 사고사망재해 증가추세 반전 및 감소목표 5%
규 제 현 황규 제 현 황 ㎢ ㎢ ㎢ ㎢ ㎢ ㎢ 778 만평 634 만평 823 만평 1,000 만평 795 만평 1.
고도 미세먼지 발생 시 대응요령... 미세먼지 … 예보 시행 ( )  아울러, 환경부에서는 국민건강보호를 위해 올 해 8 월부터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예 보를 시범실시하고 있으며, 내년 2 월부터 전국 을 대상으로 정식예보를 실시할 예정임.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울산과학기술대학교 교수 박 화용. 전기자동차 배터리 리스 1. 도입의 필요성 2. 배터리 리스 사업도 3. 리스회사의 개념 4. 가솔린차량과 전기자동차 연료비 비교 5. 새로운 시장, 새로운 일자리 창출 ! >> 목 차.
울산지방해양수산청 항만물류과 서창호 주무관 Ⅰ Ⅰ 울산항 선박급유업 등록 현황 Ⅱ Ⅱ Ⅲ Ⅲ 선박급유선 안전관리 대책 향후 추진계획.
KPC 자격 강원지역센터 사업계획서 OO. OO. 제안사 명칭.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울산 LED전광판 통합제안서.
질식재해 발생위험 경보 증가하고 있습니다. O 밀폐공간작업 재해의 발생원인
2015 년 제1회 시 흥 시 사회조사 보고서 정보통신과.
II. 감축량 산정.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새로시작 참고사항 인쇄.
최종보고 및 자문회의 자료 경유차환경위원회 합의사항 이행성과 평가 (사)자동차환경센터.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년도별 거래량 추이 50 만 35 만 25 만 (상) 년도별 가격 추이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지구의 환경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UNISDR ONEA-GETI 안내.
지구온난화 보고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007년 원내 세미나 굴뚝자동측정기기 현황 및 분석결과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이 지 헌.
Ch.4. 화석 연료로 인한 기타 환경 문제들 도시 오존 Urban ozone 분진 기타.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Electric Vehicle.
Boil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Clean blue sky 우리손으로 만듭시다!.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 억 톤 산업용 배출량 가정용 배출량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중국 미세먼지   환경공학과  심동진.
제안 요약 프로젝트 범위 프로젝트 기간 수행 전략 ㈜인성교육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잠실 파크리오 2008년 완공 66개 동, 6864세대 구성 18평, 25평, 32평, 33평, 45평, 46평, 51평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광주전남 이상기후와 기후변화 현황 2010 기후보호 포럼 광주지방기상청 기후과장 최경철.
효율적인 악취관리방안 대기보전과 배 주 순.
서울 미세먼지 경보 센터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기술보증기금】.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Presentation transcript:

대기질개선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2007. 6. 21

순 서 성 격 제1장 - 대기질 개선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제3장 – 악취 관리

제1장 : 대기질 개선 I. 여건 및 전망 필요성 수도권지역에 대해서는 특별법 제정(’03.12), 기본계획 채택 등 ’14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구체적 대책 마련·추진중 이제는 수도권 외의 오염우심지역에 대한 대책이 필요 5대 광역시의 미세먼지 및 오존 오염도는 매우 높은 수준 특히, 부산 ·대구의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수준에 근접 대기오염으로 인한 5대 광역시 및 광양만 지역의 사회적 피해비용은 연간 11.8조원으로 추정(’01년 기준) 조기 사망자의 수는 연간 4,944명으로 추정

제1장 : 대기질 개선 여건 및 전망 I. 2. 대기질 악화의 원인 인구가 수도권 및 광역시에 집중 2. 대기질 악화의 원인 인구가 수도권 및 광역시에 집중 OECD 국가중 인구밀도 최고(480명/km2), 도시화율 계속 증가(’90년 81.9%→’03년 89.9%) 자동차 대수 급증, 특히 경유차와 노후차량의 비율 증가 지난 24년간 자동차 대수는 27배 증가(’80년 53만대 → ’04년 1,493만대) 휘발유차:경유차(’95년 69:31→59:41), 10년이상 노후차(’94년 1.0%→’02년 9.1%) 급증 5대 광역시 에너지소비량은 12년간 300% 증가(’90년 975만TOE→’02년 3,947만TOE) 지형·기상·도시구조 등이 대기순환에 불리 분지형 지대(대구 등), 대기환경에 대한 고려가 충분치 않는 도시개발 등

제1장 : 대기질 개선 여건 및 전망 I. 3. 대기오염 관리여건 및 배출량 전망 3. 대기오염 관리여건 및 배출량 전망 2015년까지 5대광역시·광양만의 인구는 5.2% 증가, 에너지사용량은 53.5% 증가, 자동차는 27% 증가 등 대기오염 관리여건은 계속 악화 전망 ’03년까지 예고된 기준 등 기존의 대책만 이행할 경우 배출량은 계속 증가할 전망 NOx 26.5%, VOC 27.6%, SOx 5.2% 증가 PM10은 비슷한 수준

제1장 : 대기질 개선 여건 및 전망 I. 4. 대기오염도 전망 PM10 오염도 4. 대기오염도 전망 PM10 오염도 5대광역시 및 광양만 지역농도는 ’01년 평균 55.7㎍/㎥에서 ’15년에는 56.9㎍/㎥ 수준으로 악화되어 모든 지역이 WHO 권고수준(40㎍/㎥)을 계속 초과 WHO 권고수준(40㎍/㎥)

제1장 : 대기질 개선 여건 및 전망 I. 4. 대기오염도 전망 NO2 오염도 4. 대기오염도 전망 NO2 오염도 평균 농도가 2001년 25.6ppb에서 2015년에는 27.1ppb로 악화되어 광양만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WHO 권고수준(22ppb)을 초과 WHO 권고수준(22ppb)

제1장 : 대기질 개선 대기질 개선 목표 II. 개선목표 (5대 광역시 + 광양만) 주요 성과지표 (5대 광역시 + 광양만) 2001년 2015년 PM10(㎍/㎥) 56(평균) → 40(동경수준) NO2(ppb) 26(평균) 22(파리수준) 주요 성과지표 (5대 광역시 + 광양만) 2001년 2015년 조기 사망자수(명/년) 4,944 → 1,939 사회적 비용(조원/년) 11.8 7.7

제1장 : 대기질 개선 대기질 개선 목표 II. 주요 정책지표 (전국 기준) 2001년 2015년 대기환경기준 PM10(㎍/㎥) 70 → 40(동경수준) NO2(ppb) 50 22(파리수준) 총량관리사업체(백개소) 23 저공해 자동차 보급(만대) 200 운행차 저공해화(만대) 324 경유 황함량(ppm) 430 10

제1장 : 대기질 개선 대기질 개선 목표 II. 대기환경 관리시스템 개선 2001년 2015년 매체 중심의 관리 → 수용체 중심의 관리 사후적 농도규제 사전예방적 총량관리 중앙정부·지자체간 교류 부족 성과평가 및 feedback 체계 마련 배출원별 관리 에너지 ·국토정책과의 통합 촉진 규제 위주의 정책 경제적 유인기능 강화 국내 대기질 개선에 초점 동북아 국가와 협력 강화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1. 사업장 부문 대책 1. 사업장 부문 대책 사업장이 밀집되어 있는 울산, 광양만 등 특별대책지역에 총량관리제 도입 추진(’10년) ’07년부터 배출량 정밀조사 등을 실시하고, 수도권 총량관리제 평가를 통하여 울산·광양만에 적합한 총량관리제 마련(’10년 이후) 자발적 협약(VA)을 통하여 총량관리제 사전 준비(울산 5-15, 광양만 5-13(‘06~’10년) 사업장 배출허용기준 강화(’10년) 및 배출부과금제 개편 발전시설 및 대형 보일러 등에 질소산화물 기준을 강화하고 반도체 제조시설 등 신규 산업시설에 대한 배출허용기준 설정 NOx 배출부과금 신설(’10년) 및 부담금 제도의 개편 검토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1. 사업장 부문 대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에 관리 강화 1. 사업장 부문 대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에 관리 강화 주유소 급유과정에서 배출되는 VOC 회수장비(stage-II) 부착 의무화(‘08년) 도료의 유기용제 함량 제한 및 수성도료 이용 확대 ※ 공공기관 수성도료 사용의무화 및 유성도료 부담금 도입 등 검토 광양만 지역에 대한 VOC 저감 특별대책 수립 추진(‘09년 이후) ※ 이를 위해 오존 생성과정 등에 대한 과학적 연구 강화 사업장에 대한 재정적·기술적 지원 강화 저NOx 버너 설치 지원(‘06~’08년 시범사업, ’09년 본격지원) ‘09년부터 탈질시설(SCR) 설치비 지원 추진 검토(저감효율 70~90%)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2. 이동오염원 부문 대책 2. 이동오염원 부문 대책 제작차 배출허용기준 강화 및 Fleet-Average System(FAS) 도입 ’10년 제작차 기준을 선진국 수준 강화(휘발유 SULEV, 경유 EURO-5) FAS 도입을 통해 기술적으로 저공해화가 용이한 차종의 조기 저공해화 유도 저공해자동차 보급 활성화 저공해차 보급·구매 의무제 수도권 외로 확대(’09년부터 적용, ’15년까지 50만대 보급)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저공해자동차 보급 지원 확대 ※ 하이브리드 자동차, 저공해 경유차, 전기이륜차(‘06~’10), 연료전지 자동차(‘10~’14) 수소자동차 조기보급(’10년)을 위하여 수소충전소 네트워크 구축 저공해자동차 표지, 제작차 환경등급 등을 통해 저공해자동차에 대한 인식 제고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2. 이동오염원 부문 대책 운행차 정밀검사 확대 시행 2. 이동오염원 부문 대책 운행차 정밀검사 확대 시행 ’05년까지 : 수도권 지역, 부산, 대구 ’06년부터 : 광주, 대전, 울산 등 광역시 및 일부 수도권 지역 ’08년부터 : 청주, 천안, 전주, 포항, 창원 등 인구 50만 이상 도시로 확대 운행차 저공해화(DPF, DOC 부착, 저공해엔진 개조, 조기폐차 등) 사업 추진 ’06년부터 시범사업 실시 후, ’09년부터 운행차 저공해화 사업 본격 추진 ’09년부터 50만 인구 도시로 확대 시행 추진 자동차 사후인증 관리제도 개선 배출가스 관련 리콜제도 활성화 및 운행차 관련 정보통합관리시스템 구축 수시점검의 대안으로 원격측정장비(RSD) 도입 추진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2. 이동오염원 부문 대책 이륜차·비도로 오염원 관리 강화 2. 이동오염원 부문 대책 이륜차·비도로 오염원 관리 강화 이륜차는 ’08년까지 선진국 수준(EURO-3)으로 기준 강화하고 정밀검사 도입, 50cc 미만 스쿠터를 신고제로 전환 등 관리체계 개선 추진 선박은 ’06년에 최초로 기준 도입, ’10년에 추가 강화 검토 연료 환경품질 기준 개선 및 친환경 연료 도입 확대 ’09년부터 무황(sulfur-free) 연료기준 적용(LPG 황함량기준 40ppm) 선박용 연료에 대한 품질 기준 신설 추진(’09년 이후) 바이오연료 보급 촉진(환경개선 효과 등 분석(’06년)후, ’12년까지 5% 함량 의무화 검토)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3. 교통·국토·에너지 정책과의 통합 대기질을 고려한 교통수요 관리 강화 3. 교통·국토·에너지 정책과의 통합 대기질을 고려한 교통수요 관리 강화 저공해자동차에 대한 교통혼잡통행료 면제, 저공해차 이용기관에 대한 교통유발 부담금 감면 등 대기질이 심각한 도심지역은 환경지역(Environment Zone) 지정 추진 도시 기후·대기질 통합관리 추진 도시의 바람길, 기후·대기질 “hot-spot”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도시기후지도」 및 대기질 예측모델링 기법 개발(‘08년 이후) 친환경 도로포장, 녹지축 형성, 비오톱 설치 등 도시열섬 저감으로 인한 대기질 개선효과 검증을 위한 실증사업 실시(’09년 이후)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수용체 중심의 대기환경기준 설정 대기환경기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합리화 PM10은 70→50㎍/㎥, NO2는 50→30ppb 등 선진국 수준으로 기준 합리화(‘07년) 및 ‘15년에는 WHO 권고수준으로 강화 ‘10년부터 EU 수준(5㎍/㎥)으로 벤젠 대기환경기준 신설 PM2.5, 특정대기유해물질(HAPs)에 대한 관리 강화 PM2.5, 수은, 다환성방향족 탄화수소(PAH) 등 인체위해성이 높은 유해대기물질에 대한 대기환경기준 설정 추진(‘10년 이후) HAPs 관리 강화를 위하여 주요배출원 시설관리지침 마련, 국가 HAPs 배출목록 개발 및 모니터링 강화

제1장 : 대기질 개선 세부대책 III. 5. 예·경보 시스템 등 대기환경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5. 예·경보 시스템 등 대기환경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대기오염 측정망 확대 설치 및 대기질 예·경보 시스템 구축 「대기오염측정망 기본계획(‘06~’10)」에 따라 측정망 87개소 확대 미세먼지 예·경보제 전국 확대 시행('10년) 및 TV 기상예보시간에 대기질 예보 방송 추진(국민이 쉽게 알 수 있는 통합 대기환경지수 개발(’06년))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에 대한 대응 강화 황사 등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 측정센터 건립 등 모니터링 강화 황사발생 저감을 위한 동북아 지역협력 사업확대 추진 ※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 ADB-GEF 황사대응 사업의 후속사업 추진 등을 통하여 근본적인 황사저감 대책 마련

제1장 : 대기질 개선 대기질 개선 전망 IV. 1. PM10 오염도 WHO 권고수준(40㎍/㎥) WHO 권고수준(40㎍/㎥)

제1장 : 대기질 개선 대기질 개선 전망 IV. 2. NO2 오염도 전망 동 지역 평균 연평균 농도는 2001년 25.6ppb에서 2015년 19.6ppb로 개선되어 2001년 대비 23% 감소 WHO 권고수준(22ppb)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여건 및 전망 I.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영향(2월, IPCC 기후변화 과학분야 보고서)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이 최대 6.4℃ 상승, 해수면이 59 ㎝ 상승 기후변화 경고 (4.6, IPCC 4차 보고서) 2020년경 최대 수억명이 물부족에 달하고 수천만명이 기근 위험에 직면, 해수면 상승으로 전세계 해안의 30% 이상이 침수 위험에 노출 아시아지역에서는 히말라야 산의 빙하 융해로 홍수와 산사태, 수자원 파괴 증가, 대부분 지역은 수자원 부족, 해수면 상승 한반도 평균기온이 2080년경 5℃이상 상승 전망, 6℃ 상승시 기존의 산림생물이 대부분 고사, 고립되어 멸종위기에 처할 것으로 예상 제주도·남해안 지역은 연간 해수면이 평균 0.5cm 씩 상승해 금세기말에는 50cm 이상 상승하고, 상당부분의 연안지역이 침수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여건 및 전망 I.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10위 (’04년 기준, IEA 연료연소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은 OECD 국가 중 1위 (’04년 기준)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여건 및 전망 I. 온실가스 배출 현황 구 분 1990 1995 2000 2003 2004 ’04년 기준, ’90년 대비 90.2% 증가(’99년 이후 증가율은 감소 추세) 에너지(83.0%), 산업공정(11.9%), 폐기물(2.7%), 농축산(2.6%) * 에너지 : 발전(33.7%), 산업(32.3%), 가정·상업(12.3%), 수송(19.7%) 구  분 1990 1995 2000 2003 2004 년증가율(%) 온실가스 배출량(백만tCO2) 310.6 452.8 528.6 582.3 590.6 4.0 GDP(10억,’00년) 320,696 467,099 578,665 662,655 693,424 5.7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여건 및 전망 I. 온실가스 배출 전망 ’05~’30년간 감축노력 부재시 연 평균 1.9% 증가 전망 구   분 ‘05 ‘10 ‘15 ‘20 ‘25 ‘30 ‘05-’30 변화율% 증가율% 에너지 부문 499.7 (100.0) 567.6 603.9 676.1 728.9 789.9 58.0 1.85  - 전환 170.1 (34.0) 211.9 (37.3) 222.9 (36.9) 261.8 (38.7) 288.1 (39.5) 321.2 (40.7) 88.3 2.58  - 산업 156.6 (31.4) 163.9 (28.9) 170.5 (28.2) 184.8 (27.3) 195.3 (26.8) 206.1 (26.1) 31.6 1.10  - 수송 105.2 (21.0) 118.8 (20.9) 132.7 (22.0) 146.7 (21.7) 158.0 169.8 (21.5) 61.4 1.93  - 가정 49.1 (9.8) 52.4 (9.3) 55.4 (9.2) 58.7 (8.7) 61.2 (8.4) 64.2 (8.1) 30.8 1.08  - 상업공공기타 18.7 (3.8) 20.6 (3.6) 22.4 (3.7) 24.2 26.3 28.6 52.9 1.71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국내 대응현황 Ⅱ. ’99년부터 “기후변화협약대책위원회(위원장:국무총리)” 를 구성, “기후변화협약 대응 종합대책” 수립·추진 중 제1차 종합대책(’99~’01) : 4대부문 36개 과제 부문별(산업, 수송, 농축산 등 7개부문) 온실가스 저감 : 25개 과제 교토메카니즘 활용 : 3개 과제 Non-CO2(PFC, HFC, SF6) 저감 : 1개 과제 온실가스 저감 기반 조성 : 7개 과제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국내 대응현황 Ⅱ. 제2차 종합대책(’02~’04) : 5대 부문 84개 과제 의무부담 대비 협상역량 강화 : 6개 과제 온실가스 감축기술 및 환경친화에너지 개발 촉진 : 20개 과제 온실가스 감축대책 강화 : 40개 과제 교토 메커니즘 및 통계기반구축 등 : 18개 과제 제3차 종합대책(’05~’07) : 3대 부문 87개 과제 협상이행 기반구축 : 28개 과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 44개 과제 기후변화 적응 기반구축 : 15개 과제

제2장 : 온실가스 저감 향후 추진방향 Ⅲ. 기후변화 문제의 국가 의제 부각 산업계, 시민단체 등 광범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국가적 의제로 부각시킴과 동시에 대국민, 기업 대상 홍보 저탄소 고효율 사회로의 전환, 배출권 거래제, 청정개발체제 등 창출 기후변화 대응전략 및 로드맵 수립 주요 선진국의 기후변화 대응사례 조사 및 연구 국가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안) 설정, 및 대응정책 수립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마스터플랜 수립 관계부처, 시민단체, 전문가, 산업계 등으로 협의체 구성 기후변화 적응 기술개발, 적응 정책 부문으로 구성

제3장 : 악취 관리 현 황 I. 악취민원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 ’06년에는 서울, 인천, 경기, 충남에서 총 2,650건 발생(55.2%)

제3장 : 악취 관리 현 황 I. 구분 총 괄 규제대상사업장 비규제대상 원인 불명 악취배출시설 (관리지역내) (관리지역외) 민원 접수 건수 피민원 업소수 연도 ‘06 4,797 2,621 359 70 1,426 721 2,080 1,830 932 ‘05 4,302 2,046 1,562 600 470 400 1,209 1,046 1,061 ‘04 3,910 1,639 1,411 672 423 413 502 453 1,490 ‘03 2,381 1,316 681 422 387 396 466 454 848 ‘02 2,878 2,265 698 538 541 517 1,326 1,210 313 ‘01 2,760 1,626 573 613 487 383 658 630 1,042

부산 신평·장림피혁공업사업조합(폐수처리장) 제3장 : 악취 관리 현 황 I. 시․도 지정 일자 지 정 지 역 지정면적 울산광역시 ‘05.3.17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46,271천㎡ 온산국가산업단지 24,659천㎡ 경기도 ‘05.5.16 아산국가산단 포승지구 6.33천㎡ 시화국가산업단지 안산시 4,424천㎡ 시흥시 16,443천㎡ 반월국가산업단지 15,374천㎡ 반월도금지방산업단지 1.47천㎡ 충청남도 ‘06.1.20 삼성화학단지(전용공업지역) 3,070천㎡ 현대석유화학단지(전용공업지역) 3,307천㎡ 현대오일뱅크(주)(전용공업지역) 1,619천㎡ 대죽지방산업단지 2,089천㎡ 인천광역시 ‘06.1.24 남동국가산업단지 9,574천㎡ 인천서부지방산업단지 938천㎡ 석남동․원창동 일반공업지역 3,782천㎡ 백석․오류동 일원 11,107천㎡ 부산광역시 ‘06.4.26 부산 신평·장림피혁공업사업조합(폐수처리장) 15천㎡

제3장 : 악취 관리 현 황 I. 악취관리지역의 민원은 감소, 취약업체 및 관리지역외 배출업소 민원 증가 악취 취약시기 집중 지도·점검 강화 등 적극적인 관리 필요 관리지역외 악취사업장 관리방안 마련 필요 악취관리지역 지정제도 활성화 필요 악취민원 다발지역의 악취실태 조사를 통해 악취관리지역 지정 검토 악취발생 사업장에 대한 지원 필요 영세 악취배출업소는 기술적,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한 관리 곤란 악취배출업소에 대한 맞춤형 기술지원 및 방지시설 설치비 지원 필요

제3장 : 악취 관리 향후 정책방향 Ⅱ. 악취 사업장 관리 강화 하절기 등 취약시기에 악취배출사업장 지도·점검 강화 산단지역 등 악취민원 다발지역에 대한 악취관리지역 지정 악취배출시설별 악취저감기술과 운영방법 등에 대한 매뉴얼 마련 소규모 영세 사업장 직접 방문을 통한 맞춤형 기술지원(수도권) 완충녹지 조성사업 산단 발생 악취의 주변지역으로의 이동·확산 억제 * 울산 117억원, 시화반월 85억원, 인천 74억원

제3장 : 악취 관리 향후 정책방향 Ⅱ. 악취원인물질 및 배출원 조사 연구 배출시설별, 공정별 악취 원인물질 및 배출원 규명 배출시설에 대한 악취물질 측정, 분석법 검토 및 대안 마련 효율적인 악취저감 및 관리방안 제시 악취담당자의 역량 및 네트워크 강화 산·관·학 토론의 장 마련 및 악취정책·기술교류 추진제 * 악취관리 포럼, 연찬회 등 개최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