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귀환, 주용식, 배강수, 윤철진직렬체WWJDNRL계 법인화 이후 직원 직제 방향 정귀환, 주용식, 배강수, 윤철진직렬체WWJDNRL계 2011. 6. 23.
들어가며… 법인화 이후에도 교육법전이 교과서? or 참고서?
의견수렴 직원 간담회 의견 수렴 4개의 Group 일반직(행정,기술)/기능직으로 나누어 다양한 의견을 청취 5.16.-20 6.14 6.15 6.20-22 6.23 일반직 전환자 간담회 기능직 간담회 세부사항 간담회 양대 노조 임원 회의 연건캠퍼스 설명회 6.29 관악캠퍼스 설명회 7.5 직원분과위원회 노조안 발표 7.6 7.7 수원캠퍼스 설명회
법인화 이후 직원 신분제도 New Paradigm 연구 전제 법인화 이후 직원 신분제도 New Paradigm 자료 : OOO교수 연구자료
연구 대상 (단위: 명) ※ 2010. 9. 1. 기준 직 종 별 도 정 원 현 원 일 반 직 18 427 437 별 정 직 (단위: 명) 직 종 별 도 정 원 현 원 일 반 직 18 427 437 별 정 직 16 기 능 직 13 301 311 기성회직 235 244 청원경찰 14 연 구 직 11 10 계 약 직 1,024 합 계 42 1,003 2,056 ※ 2010. 9. 1. 기준 청원경찰,연구직,계약직은 향후 별도 논의
연구 범위 직종, 직군 인사(人事) 직급체계 직렬체계
Topic New Paradigm 직종통합 직급체계 개편 동일 직렬 통합 직급 정원 조정 (전체및직렬간) 大직렬제
직원분과위 논의안
Topic 1 직 종 통 합
직종통합 기성회재원으로 총장이 임용한자 국가공무원법 제2조 기성회직원 규정 제2조 국가공무원 경력직공무원 일반직공무원 특정직공무원 기능직공무원 특수경력직공무원 정무직공무원 별정직공무원 계약직공무원 고용직공무원 기성회직원 규정 제2조 기성회재원으로 총장이 임용한자
직종통합 Question 일반직, 기능직, 별정직, 기성회직을 계속적으로 -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 효율적인가? - 유지하는 것이 인적자원 관리에 도움이 되는가? - 신규채용도 이런 체제를 유지 할 것인가?
직종통합 - 기능직 사무보조직은 기능직 본연의 취지와는 다름 - 기능직 기술직의 경우도 일반직과 유사함 - 또한, 기성회→기능직, 기능직→일반직으로 전직 상당하였으며, 업무상 문제점 발견되지 않음 결론적으로 법인화 이후에도 - 일반직,기능직,기성회직의 칸막이는 기존 직원들의 효율적 인력자원의 관리,능력향상,사기 등에 문제점을 일으킬 뿐 아니라 - 유능한 인력의 신규채용에도 장애물이 될 것임 현황 필요성
직종통합 일반직 기능직 기성회직 별정직 법인직원 자체직원 Answer
Topic 2 동 일 직 렬 통 합
46직렬 동일 직렬 통합 일반직(437명): 15직렬 기능직(311명): 15직렬 별정직(16명): 9직렬 행정, 사서, 공업, 시설, 농업, 임업, 수의보건, 식품위생, 의료기술, 약무, 간호, 환경, 전산, 방송통신 기능직(311명): 15직렬 토목, 건축, 통신, 전화상담, 전기, 기계, 열관리, 운전, 화공, 농림, 보건, 간호조무, 위생, 사무, 방호 기성회직(244명): 7직렬 사무원, 전기원, 전산원, 교환원, 위생원, 방호원, 제도원 별정직(16명): 9직렬 미술사, 통역, 기초교육, 예비군, 전산, 통계, 편집디자인, 대학국제화지원, 비서 46직렬
동일 직렬 통합 Question 46직렬을 계속 - 유지 할 것인가? - 동일 직렬을 통합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은가?
동일 직렬 통합 AS-IS 구분 일반직: 15개 직종(437명) 기능직: 15개 직종(311명) 별정직: 9개 직종(16명) 기성회직: 7개 직종(244명) 1 행정(194명)/기능사무(22명) 사무(108명) 사무원(193명) 2 사서(91명) 3 공업 (37명) 기술(2명) 기계(10명) 기계/열관리(53명) 전기(14명) 전기(31명) 전기원(1명) 전자(2명) 원자력(3명) 화공(5명) 물리(1명) 4 시설 토목(4명) 토목(1명) 건축(9명) 건축(14명) 5 농업 농업(7명) 농림(28명) 축산(4명) 6 임업(11명) 7 보건(4명) 보건(12명) 8 수의(1명) 9 식품위생(2명) 10 의료기술(8명) 11 약무(1명) 12 간호(7명) 간호조무(1명) 13 환경(3명) 14 전산(32명) 전산(4명) 전산원(1명) 15 방송통신(0명) 16 운전(32명) 17 방호(9명) 방호원(13명) 18 위생(10명) 위생원(33명) 19 통신(2명) 20 전화상담(5명) 21 제도원(1명) 22 교환원(2명) 23 미술사(2명) 24 통역(1명) 25 기초교육(1명) 26 예비군(4명) 27 통계(1명) 28 편집디자인(1명) 29 대학국제화지원(1명) 30 비서(1명)
동일 직렬 통합 Answer 구분 직렬 인원 1 행정 517 2 공업 127 3 사서 91 4 농임업 50 5 위생 43 6 전산 37 7 운전 32 8 시설 28 9 방호 22 10 보건 16 11 의료기술 12 간호 13 전화상담 14 예비군 15 환경 식품위생 17 통신 18 교환원 19 미술사 20 수의 21 약무 제도원 23 통역 24 기초교육 25 통계 26 편집디자인 27 대학국제화지원 비서 29 방송통신 합 계 1008
Topic 3 大 직 렬 제
大직렬제 10명 이상: 10개 직렬 연번 직렬구분 인원 1 행정 517 2 공업 127 3 사서 91 4 농임업 50 5 위생 43 6 전산 37 7 운전 32 8 시설 28 9 방호 22 10 보건 16
大직렬제 10명 미만: 19개 직렬 연번 직렬구분 인원 1 의료기술 8 2 간호 7 3 전화상담 5 4 예비군 환경 6 식품위생 통신 교환원 9 미술사 10 수의 11 약무 12 간호조무 13 제도원 14 통역 15 기초교육 16 통계 17 편집디자인 18 대학국제화지원 19 비서
大직렬제 ※ 현 공무원제도에서도 일부 적용하고 있음 공 업 기술 기계 전기 전자 원자력 화공 물리 시 설 토목 건축 농 업 농업 축산 ※ 현 공무원제도에서도 일부 적용하고 있음
大직렬제 Question 29개 직렬정도의 분류는 적절한가? - 학교 전체의 직무분석을 할 필요성이 있지 않을까? - 소수직렬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지 않을까? - 공무원 정원에 묶여 본인 직렬과 다른 업무를 하고 있지 않은가?
大직렬제 Answer Stage 1: 직무분석 Stage 2: 직렬재조정 Stage 3: 인력배치 (10개 직렬) 직렬별 적정인원 분석 본인의 직렬과 현 직무와의 일치 여부 분석 Stage 2: 직렬재조정 (10개 직렬) 분석된 직무를 통한 직렬별 적정 인원 분석 유사 직렬 병합 소수직렬의 그룹화 10여개의 대직렬제 체계로 재편 Stage 3: 인력배치 전직을 통한 현업무와 직렬 일치 본인 직렬로의 업무 배치
Topic. 4 직급체계 개편
직급체제 개편 - 현 공무원 직급을 기준으로 직급 부여 - 기성회직 근속년수에 따른 직급부여 전제 * 통합으로 인한 불이익은 없어야 함 - 현 공무원 직급을 기준으로 직급 부여 - 기성회직 근속년수에 따른 직급부여 * 기존 직급체제에서 안정적인 직급 Design으로의 개편
직급체제 개편 - 공무원(일반직/기능직/별정직): 현직급 부여 - 기성회직: 근속년수에 따라 해당 직급 차등적으로 부여 - 공무원(일반직/기능직/별정직): 현직급 부여 - 기성회직: 근속년수에 따라 해당 직급 차등적으로 부여 기성회직 직급 부여(실 근속년수) 근속년수 직급부여 1-6년 ( 공무원 10급 해당) 7-13년 (공무원 9급 해당) 14년 이상 (공무원 8급 해당)
직급체제 개편 일반직,기능직,기성회직 차이(O),차별(X) * 동일 급수에서 차기 승진 시 - 일반직, 기능직, 기성회직 간의 합리적 차이 - 합리적 차이(?) : 직원분과위에서 논의 → 직종 및 동일직렬 통합으로 인한 불이익이 없도록 기존의 차이를 인정
직급체제 개편 기능직 및 일반직 전환자 * 전환자가 기존 전환 이전보다 불이익 발생되지 않도록 함 기능직 및 일반직 전환으로 인한 직급의 불이익 발생 예) 전환하지 않았을 경우, 근속승진 대상이나 전환함으로써 오히려 불이익 발생 → 전환 이전의 직급을 반영하여 전환전보다 불이익 없도록 함
직급체제 개편 호봉 재획정 * 기성회에서 공무원 전환 시 호봉 삭감분 반영 - 공무원으로 전환시 삭감된 호봉분을 재획정 반영 → 전환 이전의 호봉으로 호봉 재획정하여 불이익 없도록 함
직급체제 개편 일반직 하위직급(8,9급) * 7급까지 기존 승진 년수 보장 → 기능직, 기성회직 과의 직렬 통합으로 인한 불이익 없도록 함 → 행정 7,8,9급 통합 행정직 8,9급 요구사항
직급체제 개편 현 행 개편(안)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실장 부장 차장 과장 계장 대리 주임 사원 3급 고위 공무원단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10급 현 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실장 부장 차장 과장 계장 대리 주임 사원 개편(안) 행정부총장 (부)처장급 신규직원
Topic. 5 직급 정원 조정 (전체 및 직렬간)
현황 비교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일반직 공무원 ※ 2010. 9. 1. 기준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기능직 공무원 ※ 2010. 9. 1. 기준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별정직 공무원 ※ 2010. 9. 1. 기준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기성회직 (호봉에 따른 직급 표기) 호 봉 직 원 수 1-6호봉(기능 10급 해당) 46명 7-13호봉(기능 9급 해당) 20명 14호봉 이상(기능 8급 해당) 173명 ※ 2011. 6. 기준 ※ 2010. 9. 1. 기준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직급별 총정원 구분 8급이하 7급 6급 5급 4급 3급 고공단 합계 직급별정원(명) 600 130 196 55 24 1 2 1,008 백분율(%) 60 13 19 5 - 100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Question - 전체 및 직렬별 직급 정원이 합당한가? - 법인화 된 서울대 비전에 걸맞는 행정의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직급별 총정원 (A대학 사례. 정관발췌)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서울대와 A대학 비교 구분 8급이하 7급 6급 5급 4급 3급 고공단 합계 직급별정원(명) 600 130 196 55 24 1 2 1,008 백분율(%) 60 13 19 5 - 100 A대 구분 8급이하 7급 6급 5급 4급 3급 2급 합계 직급별정원(명) 227 146 125 75 53 29 10 665 백분율(%) 34 22 19 11 8 4 2 100 ※ 직급체계가 비슷한 A대학 정도의 직급별 정원을 고려해 볼 수 있음.
전체 및 직렬간 직급 정원조정 - 현행 서울대학교는 교과부 산하 대학으로 정책기능보다는 집행기능으로써 역할에 치우쳐 있음 Answer - 현행 서울대학교는 교과부 산하 대학으로 정책기능보다는 집행기능으로써 역할에 치우쳐 있음 - 이는 서울대학교 법인화 비전에 걸맞는 행정의 역할이 되지 못할 것임 - 기존 직원 및 유능한 신규직원들의 사기, 책임감, 충성심 등의 요구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의 비전과 위상에 인력체계의 전환이 요구됨 - 따라서, 현행 정책기능의 관리자급 인력이 전체 인력대비 7% 정도이나, 정원 조정을 통한 책임감과 의무감을 동시에 부여하는 것이 Global SNU 행정의 초석이 될 것임
감 사 합 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