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ercise Physiology 제 5부 호르몬과 운동 내분비기관의 위치 호르몬의 일반적인 기능 운동에 따른 호르몬 반응 학 습 목 표 내분비기관의 위치 호르몬의 일반적인 기능 운동에 따른 호르몬 반응
내분비기관의 위치
시상하부 송과체 뇌하수체 부갑상선 갑상선 흉선 부신 췌장 난소(여성) 태반(임신 중) 정소(남성) 간 신장
호르몬의 일반적인 기능
2. 성장 발달 유도 1. 내적인 환경유지 3. 스트레스 환경에 대응
5. 순환 및 소화계 조절 4. 생식기능 조절 6. 적혈구 생산 조절
운동에 따른 호르몬 반응
뇌하수체
1.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1) 갑상선자극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2) 성장호르몬 (Growth Hormone; GH)
글리코겐 성장호르몬의 대사과정
운동에 따른 성장호르몬의 반응 운동에 따른 성장호르몬 농도의 증가는 운동강도가 강할수록, 운동시간이 길수록 더 많아진다.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3)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drenoCorticoTrophic Hormone; ACTH)
운동에 따른 ACTH의 반응 운동에 따른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농도의 증가는 운동강도가 증가할수록, 운동시간이 길어질수록 더 많아진다.
4) 프로락틴(Prolactin)
운동에 따른 프로락틴의 반응 장시간의 운동이 프로락틴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프로락틴의 분비가 증가하면 운동 중 발한에 의한 탈수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항이뇨 효과가 발휘되며, 지방의 이용을 돕는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gonadotrophic hormone) 5) 성선자극호르몬 (gonadotrophic hormone)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1) 난포자극호르몬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Luteinizing Hormone; LH) (2) 황체형성호르몬 (Luteinizing Hormone; LH)
운동에 따른 FSH, LH의 반응 에스트로겐이나 테스토스테론이 운동에 의해 증가(근력 운동)하거나 감소(장시간 운동)하기 때문에 난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형성호르몬도 운동에 의해 분비량이 달라질 것으로 기대했으나 이에 따른 명확한 연구들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은 상태이다.
6) 엔돌핀(Endorphin)
운동에 따른 β-엔돌핀의 반응 β-엔돌핀은 운동시간이 짧고, 강한 운동 (젖산 역치 이상)일수록 더욱 증가한다. 지구력 운동 중에는 β-엔돌핀의 분비가 감정이나 통증의 역치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
1) 옥시토신(Oxytocin)
(AntiDiuretic Hormone; ADH) 2) 항이뇨호르몬 (AntiDiuretic Hormone; ADH)
운동에 따른 ADH의 반응 역치(VO2max 60%)이상의 운동강도에서는 운동강도가 증가할수록, 운동시간이 길어질수록 항이뇨호르몬의 농도가 증가한다. 운동에 따른 항이뇨호르몬의 증가는 운동 중 혈장량 감소와 그에 따른 혈중 삼투압의 증가 때문에 일어난다.
송과선
멜라토닌(Melatonin)
갑상선(thyroid gland)
갑상선호르몬 (Thyroid Hormone; TH)
운동에 따른 갑상선호르몬의 반응 운동과 관련된 갑상선호르몬 변화에 대해서는 명확한 연구결과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내용을 종합해보면 단일 운동에 대한 갑상선호르몬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
(ParaThyroid Hormone; PTH) 부갑상선호르몬 (ParaThyroid Hormone; PTH)
부갑상선호르몬의 작용
운동에 따른 부갑상선호르몬의 반응 장시간 지구성 운동은 부갑상선호르몬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폐경기 이전의 규칙적인 운동은 부갑상선호르몬과 함께 칼슘의 농도 및 뼈의 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신
피질(겉질) 수질(속질)
1. 부신수질호르몬
카테콜라민(Catecholamine)
카테콜라민의 에너지 대사과정
운동강도 증가에 따른 카테콜라민의 변화
지구력 운동에 대한 카테콜라민의 변화
운동에 따른 카테콜라민의 반응 장기간의 훈련에 의한 운동은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킨다. 이는 훈련 후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정도가 감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운동에서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인 스트레스의 감소에 의한 것이라고 본다. 반면, 심장이나 혈관 등의 기능은 안정적으로 기능을 향상시켜서 심박수를 적게 하거나 혈압 상승을 완화시킨다.
2. 부신피질호르몬
코티졸(Cortisol)
코티졸의 에너지 대사과정
운동에 따른 코티졸의 반응 운동강도가 증가할수록 코티졸은 증가한다. 저강도 운동 시 코티졸 농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부신피질에서의 코티졸 분비 속도보다 분해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고강도 운동 시에는 분해 속도보다 분비 속도가 더 빨라 코티졸의 농도가 높게 나타난다.
췌장
1. 인슐린(Insulin)
인슐린의 에너지 대사과정
VO2max에 따른 인슐린 농도 변화율
운동에 따른 인슐린의 변화
운동에 따른 인슐린의 반응 운동을 시작하면 대부분의 호르몬은 분비가 증가하나 인슐린은 분비가 현저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다. 운동 중에는 혈당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인슐린의 분비가 감소한다. 지구력 운동 후에는 운동 중의 인슐린 농도의 감소가 완화된다.
2. 글루카곤(Glucagon)
운동에 따른 글루카곤의 반응 장시간의 운동은 혈액 내 글루카곤의 분비를 상승시킨다. 운동에 의한 글루카곤 농도의 상승은 규칙적인 운동에 의해 완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