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10 스크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김동혁, 권민, 김한솔, 김선영, 박혜선.  해저에서의 급격한 지각변동으로 발생하는 파장이 긴 해일이다. 태풍 또는 저기압에 의해서 생기는 해일을 폭풍해일 또는 저기압 해일이라고 하는 것 과 비교된다. 대게 30km 이내의 얕은 진원을 가진 진도 7 이상의 지진과 함께.
Advertisements

시스템 분석 중간고사 1. 호수에서의 물 및 물질수지식을 설명하고, Vollen-Weider 모델을 유도하라 환경공학과 김현태.
1 제 6 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2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한 하수처리 계통도. 2 (1) 활성 슬러지법의 원리 하수를 폭기하면서 하수중의 유기물을 영양원으로 하여 각종 호기성 미생물이 번식하는데 그동안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고 폭기에 의한 교반작용으 로 하수중의.
제 1 장 폐수의 특성 폐수란, 물에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수질오염물질이 혼합되어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을 말한다.
고장의 중심지 답사 보고서 3학년6반
설비기기의 소음, 진동 대책.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고장률 failure rate 어떤 시점까지 동작하여 온 품목이 계속되는 단위기간내에 고장을 일으키는 비율(횟수). 고장률은 확률이 아니며 따라서 1 보다 커도 상관없다.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표시하는 척도. 일반으로 고장률은 순간고장률과 평균고장률을 사용하고 있지만.
정전유도 커패시턴스와 콘덴서 콘덴서의 접속 정전 에너지 정전기의 흡인력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Basic desig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일반연 로프 일반연 로프란 아래의 그림과 같이 각층별 소선간의 접속형태가 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제조공학 담당 교수 : 추광식 산업시스템공학과.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원심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의 개발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활성슬러지법의 설계 활성슬러지의 설계변수 SRT (고형물체류시간 : Solids Retention Time)
Ⅲ. 이 차 방 정 식 1. 이차방정식과 그 풀이 2. 근 의 공 식.
사례를 통해 문제 제시하기 진아는 왜 갑자기 사라졌나요? 진아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7장 제7장 펌프장 시설.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4.2 개선사례 1. 병렬로 설치한 생물 반응조간의 MLSS농도 균등화 사례 기 존 방 식 개 선 사 례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6장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해석결과
제2장 상수관로시설 6-3 배수방식 ① 자연유하식과 펌프직송식(가압식)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 관중심 접합 접속하는 관거의 내면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접속 시키는 방법. 수위접합과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1st & 2nd Laws of Thermodynamics)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3장 정수장 설치.
Prof. Byeong June MIN, Department of Physics, Daegu University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13 폭기조.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교과명 : 고도처리 교수명 : 권재혁교수님 학 번 : 성 명 : 김 미 정
정수처리공정(Purification of Water Process) 개선 사례
공명과 화음(resonance and harmony)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수력에너지.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홍수추적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배출수 처리시설의 설계 및 운영 서론 배출수 처리시설의 구성 농축조 설계 및 운전인자 농축조 설계인자 도출 농축조 운전특성.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막분리 공정을 이용한 염색/피혁가공공정 폐수중의 난분해성 물질의 제거 및 공정수 재활용 기술의 개발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10 스크린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2) Screen의 설계기준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2) Screen의 설계기준    ① Screen의 설치위치 : 일반적으로 침사지와 조합하여 침사지 전부(前部)에 설치하며, 조목 스크린은 침사지 앞에, 세목 스크린은 침사지 뒤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② Screen의 경사각 : 인력으로 제거시에는 45~60°, 기계장치가 되어 있는 경우는 70°    ③ 스크린의 통과 유속 : 유속을 크게하면 침사지의 효율을 감소시키고, 스크린 찌꺼기 를 유실할 우려가 있으므로 0.45~0.80m/sec로 하는 것이 좋다.    ④ 스크린에 의한 손실수두 : 스크린의 강도는 전후의 수위차를 60cm 이상으로 취하여 계산한다. 스크린에 의한 손실수두는 Kirschmer에 의하여 표시한다. (3) 협잡물 처리     스크린에 저지된 협잔물은 그 성질에 따라 소화(消化), 소각,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분 하기도 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다음 처리를 받는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2 분쇄기 (1) 분쇄기 용도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2 분쇄기 (1) 분쇄기 용도 분쇄기(comminuter)는 하수중의 부유 고형물질을 유입하수와 함께 5~10mm 크기로 분쇄하여 하수 내로 되돌려 부내서 후속되는 처리과정에서 제거하게 된다. (2) 분쇄기 설치 분쇄기는 스크린과 조합하거나 조합하거나 독립된 수로에 설치하며, 보통 침사지 앞에 설치하며, 마모를 작게 하고 수명을 길게하기 위하여 침사지 뒤에 설치할 수도 있고 분쇄기 설치는 기계고장이나 정전 또는 과부하시에 대비하여 측관(by pass)설치 3-3 Micro-strainer     Micro-strainer는 회전 원통에 미세공을 갖는 망(網)을 붙여 수중에 부유하는 현탁물, plankton, 조류 등의 고형 부유물을 여과하는 장치이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1) Micro-strainer의 원리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1) Micro-strainer의 원리 Micro-strainer는 유입원수와 유출수와의 수위차에 의하여 물이 흘러가는 동안 회전 토에 붙은 미세망에 의하여 부유물이 저지되고 망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분사하여 망을 세정(洗淨) (2) Micro-strainer 용도 Micro-strainer는 상수도나 공업용수의 정수과정에서 조류 등을 제거하는데 많이 사용하고 폐수처리에서도 부유물질의 제거에 이용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4 침사지 침사지(沈砂池 : grit chamber)는 하수 중의 지기경 0.2mm 이상의 비부패성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4 침사지 침사지(沈砂池 : grit chamber)는 하수 중의 지기경 0.2mm 이상의 비부패성 무기물 및 입자가 큰 부유물을 제거하여 방류수역의 오염 및 토사의 침전을 방지하고 또는 펌프 및 처리시설의 파손 이나 폐쇄를 방지하여 펌프 및 처리시설 앞에 설치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11 침사지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1) 침사지의 구조 ① 수밀한 콘크리크 구조로 한다. ② 유입부는 편류(偏流)를 방지하도록 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1) 침사지의 구조    ① 수밀한 콘크리크 구조로 한다.    ② 유입부는 편류(偏流)를 방지하도록 한다.    ③ 저부 경사는 보통 1/100~2/100 로 한다.    ④ 합류식은 오수전용과 우수전용으로 구별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2) 침사지의 설계기준    ① 침사지의 형상 :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으로 하고 침사지수는 2지 이상으로 한다.    ② 침사지의 평균 유속 : 평균유속은 0.30m/sec를 표준으로 한다.    ③ 침사지의 체류시간 : 체류시간 30~60초를 표준으로 한다.    ④ 침사지의 수심 : 유효수심은 침전효율에 관계가 없으며 표면부하율, 평균 유속 및 체류시간에 따라 정하고 수심은 유효수심에 모래 퇴적부의 깊이를 더한 것으로 한다.    ⑤ 게이트(gate) : 침사지의 조작, 불시의 정전 및 펌프장의 수리 등을 위하여 침사지 유입구에 게이트를 설치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 침사지의 표면부하율 : 침사지의 표면 부하율은 오수 침수지의 경우 1,800㎥/㎡/day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 침사지의 표면부하율 : 침사지의 표면 부하율은 오수 침수지의 경우 1,800㎥/㎡/day 정도, 우수 침수지의 경우 3,600㎥/㎡/day 정도로 한다. (4) 폭기 침사지 : 폭기 침사지(曝氣沈砂池)는 바닥에 폭기관을 설치하여 침사지 내의 하수에 선회류(旋回流)를 일으켜 원심력으로 무거운 토사를 분리시키는 시설이다.    ① 폭기 침사지의 형상 :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으로 하고 침사지수는 2지 이상으로 함    ② 폭기 참사지의 구조 : 침사지와 동일    ③ 폭기 침사지의 송기량 : 하수량 1㎥에 대하여 1~2㎥/hr의 비율을 표준으로 한다.    ④ 폭기 침사지의 체류시간 : 체류시간은 1~2분을 표준으로 한다.    ⑤ 폭기 침사지의 수심 : 유효수심 2~3m, 여유 50㎝, 침사지의 바닥에는 깊이 30㎝ 이상의 모래 퇴적부 설치    ⑥ 제사(除沙)방법 : 에어리프트 펌프(air lift pump)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규모가 큰 경우에는 버킷 콘베이어(bucket coneyer)등이 적합하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5 예비 폭기조 예비 폭기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최초 침전지 이전에 수행되는 폭기로서, 최초 침전지에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5 예비 폭기조    예비 폭기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최초 침전지 이전에 수행되는 폭기로서, 최초 침전지에 서의 침전효율 향상, 유수분리, 용존산소 증가, 냄새제거를 목적으로 통상 상용된다. (1) 예비 폭기의 효과    ① 냄새 제거 ② 부유물질의 플록(floc)형성   ③ 하수가 혐기성 상태로 되는 것 방지    ④ 펌프 양수식 흡수정 바닥에 부유물의 침전방지    ⑤ 유지 및 침사의 효율적인 제거   ⑥ 최초 침전지에서 BOD, SS의 제거효율 향상 (2) 예비 포기조의 제원    ① 예비 폭기시간      ㉮ 폭기시간이 30~40분인 경우 : 유입하수 1ℓ에 대해서 공기 0.82~1.04ℓ를 공급     ㉯ 폭기시간이 10~150분인 경우 : 유입하수에 1ℓ에 대해서 공기 0.53~0.59ℓ를 공급      ㉰ 예비 폭기조의 유효수심 : 4.0~6.0m     ㉱ 여유고 : 80㎝ 정도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6 유량 조정조 (1) 크기 : 유량 조정조의 크기는 계획 1일 최대 오수량을 넘는 유량을 일시적으로 저유하도록 정한다. (2) 유량 조정조의 형상 : 직사각형 또는 정사가형을 표준으로 한다. (3) 유량 조정조의 수 : 청소, 부속 기계설비의 점검 및 수리를 위하여 유량 조정조를 분할해서 2조 이상 (4) 구조 : 수밀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                                        (5) 유효수심 : 유효수심은 송수 펌프의 양정을 작게 하기 위하여 3~5m를 표준으로 함 (6) 교반 장치 : 침전물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교반장치를 설치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7 최초 침전지    최초 침전지(最初沈澱池 : primary sedimentation tank)는 1차 처리 및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예비처리의 역할을 수행하며 오수중 비중이 비교적 큰 부유물질(SS)을 침전 시킨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그림 6-12 최초 침전지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1) 최초 침전지의 형상 ① 형상 :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으로 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1) 최초 침전지의 형상 ① 형상 : 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으로 한다.   ② 직사각형 : 폭과 길이의 비 1:3~1:5, 폭과 깊이의 비 1~1:2.25   ③ 침전지 지수 : 최소한 2지 이상   ④ 침사지의 체류시간 : 체류시간은 2~4시간으로 한다.   ⑤ 표면부하율 : 계획 1일 최대오수량에 대하여 25~40㎥/㎡/day로 한다.   ⑥ 수면 여유고 : 40~60m정도로 한다. (2) 최초 침전지의 구조    ① 침전은 주로 수밀성 구조로 하여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 부력에 대해서도 안전한 구조로 한다.    ② 침전된 슬러지는 장기간 체류하면 부패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신속히 슬러지 제거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③ 슬러지제거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침전지 바닥 기울기는 직사각형에서 1/100~1/5, 원형 및 직사각형에서는 1/20~1/10로 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 정류 설비     정류설비의 설치목적은 침전지로 유입하는 유체의 흐름을 층류(laninar flow)로 유지 시키기 위한 것이다.    ① 직사각형 침전지 : 하수의 유입이 평행류인 경우 침전지의 전체 폭에 균일하게 퍼지게 하기 위하여 저류판(沮流板)또는 유공 정류판을 설치한다.    ② 원형 및 정사각형 침전지 : 하수의 유입이 방사류인 경우는 유입구의 주변에 원통형 저류판을 설치한다. 그리고 저류판에 유입되는 하수의 유속은 0.08m/sec 이하. 유입구역에서의 유속은 1m/sec 정도이다.    ③ 2개 이상의 침전지 : 유입량을 균등하게 하기 위해서 유입구에 수문(gate)을 설치 하여 조정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4) 유출설비 유출설비는 침전지의 전면적에 대하여 유체가 일정하게 유출되도록 하여 균일한유속을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4) 유출설비     유출설비는 침전지의 전면적에 대하여 유체가 일정하게 유출되도록 하여 균일한유속을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하는데 주로 월류 위어가 사용된다. 월류 위어에는 침전되지 못 한 스컴이 유출되지 않도록 스컴 저류판(scum baffle)을 설치한다. 스컴저류판의 상단 은 수면 위 10㎝, 하단은 수면 아래 30~40㎝ 가량 되도록 설치한다. (5) 슬러지 제거기     지저부에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 제거기(sludge colletor)에 의하여 지의 전방 저부로 이송된 후 슬러지 펌프에 의하여 농축조로 압송된다. 슬러지 제거기의 유속은 침전물 의 침전을 방해하거나 침전된 슬러지가 뜨거나 스컴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만하게 한다.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8 폭기조 폭기조는 최종 침전지를 통과하는 하수 중의 콜로이드성 및 용해성 유기물질이 제6장 하수처리장 시설 3-8 폭기조    폭기조는 최종 침전지를 통과하는 하수 중의 콜로이드성 및 용해성 유기물질이 폭기조 내에서 활동하는 미생물에 의해 흡착제거되는 공정으로, 하수 처리 단위 공정 중 가장 중심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