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명 : 사회복지실천론 저자명 : 양정남, 최선령 출판사 : 양서원 2007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6 장 클라이언트의 모델. 기능회복 모델 포괄적인 평가 - 병력 - 문제점과 관련된 영역의 조사 - 구체적 평가 자료수집 후 평가 - 현재 상태의 정도 - 손상된 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손상 / 기능제한 / 장애의 근거한 진단 - 기능적 장애의 정도 - 만성 / 급성.
Advertisements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제 4장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7장. 임파워먼트 모델 기본전제 개념 실천.
사회체계이론 생태학이론 갈등이론 교환이론 사회구성론
6 시그마 경영혁신 특강 김한수 교수 경영정보학과 / 연대과기학원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고은선.
제4장 장애인복지의 관점.
제5장 심리사회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전남련외)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제 11장 사회복지 실천 모델의 종류 사회복지실천론(이종복외)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Self Leadership Course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Multi Intelligence Theor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제5장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제3절 강점관점 1. 강점관점의 개념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이해 1부 3장 사회복지프로그램의 개입이론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Love경남 시사탐구팀 전문화교육 (화)15:10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 이종은 /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사무처장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사회복지실천론 장덕희 (위덕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협동학습 박세정.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사회복지실천론 제 5장 사회복지실천의 관점.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해의 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강의안.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2.문제사정 3. 계획의 수립.
사회복지실천론.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의료사회복지의 실천모델 1. 생태체계모델 2. 심리사회모델 3. 인지행동모델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제1장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개념과 정의.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미국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2).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
교재명 : 사회복지실천론 저자명 : 양정남, 최선령 출판사 : 양서원 2007년
팀명 : 도~마ㄹ미 작품명 : 도~마 도 팀원 : 정형수, 박인권, 유 빈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생태체계 이론.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제4장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사회복지실천론(이종복외)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안전의 이해.
Presentation transcript:

교재명 : 사회복지실천론 저자명 : 양정남, 최선령 출판사 : 양서원 2007년 사회복지실천과 통합적 접근 교재명 : 사회복지실천론 저자명 : 양정남, 최선령 출판사 : 양서원 2007년

학습목표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적용되는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과 일반체계 및 생태체계이론의 주요 개념등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통합적 접근의 실천모델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통합적 접근의 개념 및 특징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 일반체계적 관점 체계의 구조적 특성 체계의 진화적 특성 체계의 행동적 특성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 외부요인: • 내부요인: 1960년대 이후 사회적 평등 인식 확산 개인의 빈곤과 차별의 해결에 실패 사회복지 기능에 대해 재점검하는 계기 사회적으로 취약한 개인들의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변화에 대한 위탁과 옹호에 대하여 사회복지기능을 강화함 • 내부요인: 모든 사회복지실천의 공통적 기초(목적,가치,지식,기술)강조 인간관 상황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파악하는 관점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 전통적 방법의 한계 -> 통합적 방법 접근 - 제한된 특정 문제중심의 개입-복잡한 문제 상황에 대한 적절한 개입에 어려움발생 - 지나치게 세분화,전문화로 서비스의 파편화 현상을 초래 클라이언트가 여러 기관을 찾아 다녀야 하는 부담감 - 전문화 중심의 분야별 직장의 이동에 도움을 주지 못함 - 공통기반을 전제하고 있지 않아 분화 및 전문화는 각 별개의 사고와 언어 및 과정을 보여 줌으로써 사회복지 전문직의 정체성 확립에 장애 ※ 전통방법은 제한된 특정문제만 개입함으로 해결하는데 어려움- 사회복지실천방법 통합하려는 시도와 다양한 이론 활용은 복잡한 문제 접근가능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개념 • 실천 의 초점: ‘환경 속의 인간’ (person- in-environment) - 개인과 환경간 상호작용증진의 책임을 개인, 환경 모두에게 두는 것. 인간이 경험하는 각종 사회 문제의 원인을 개인 또는 환경 중 어느 한쪽의 결함으로 보기보다는 개인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 모두에게 두는 것을 의미한다. - 개인의 의미: 성격으로 국한한 심리적 충족, 환경의 의미: 물리· 사회적 구조와 세력의 운동과정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개념 - 고든(Gordon)은 환경이 제공하는 자원과 개인의 욕구나 성장잠재력과의 조합에 초점을 두었다. - 바틀렛(Bartlett)은 사회복지실천의 공통기반에서 개인이 갖고 있는 대처능력과 그 환경이 요구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저메인과 기터만 생활모델에서 개인에 대한 치료와 사회의 개혁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 동시에 개입하는 실천을 주장했다.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통합적 접근의 특징 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인정하여 개별화를 극대화 하는 것을 강조-클라이언트의 잠재성 계발할 수 있으며 성장 가능한 미래지향적임을 강조 ② 인간중심이나 환경의 이분법적 접근이 아니라 상호작용의 초점 - 인간의 고유영역과 사회적 기능수행영역까지 개입을 강조. 과거 심리 내적인 정신역동적 측면의 초점을 둔 것으로부터 사회 문화로 확대됨 ③ 일반적 Generic으로 확대 ④ 통합적 접근의 실천은 전통적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분화 및 전문화로 정체성 확립에 기여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일반체계이론 • 체계(system)란 ; 상호 의존적이고, 상호작용하는 부분으로 구성된 전체와 부분간의 관계를 맺는 일련의 단위이다.각각의 시스템은 하위체계 subsystem으로 이뤄진다. • 체계의 특성 ;구조적 특성,진화적 특성, 행동적 특성을 가진다. - 구조적 특성 ; ① 경계(boundary)-다른 체계와 구분 할 수 있는 테두리 -> 반투과성(건전한 체계) ② 개방체계(open system)-환경과 상호작용하여 변화한다. -> 역엔트로피(negentropy) 폐쇄체계(closed system)-침투되지 않고 환경과 상호작용 하 지 않는다. -> 엔트로피(entropy) ③ 위계-하위체계와 상위체계 사이의 관계를 위계라고 한다.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일반체계이론 - 진화적 특성 ; - 행동적 특성 ; ① 항상성- 변화와 운동의 과정 상태 속에서 동시에 역동적 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생존을 위해서 환경과 성공적으로 타협할 능력을 항상성) ② 안정상태 - 부분들의 관계를 유지시키고 쇠퇴하여 붕괴하지 않게 하려고 에너지가 계속 사용되는 상태 - 행동적 특성 ; ① 투입(input)- 에너지, 사물, 정보등을 받아들임. ② 산출(output)- 전환단계를 거쳐 처리과정이 시작되면 환경에 반응 되어 나온 결과 ③ 전환(through-put)- 체계 내부에서 입수되어 영향 받고 변형되며, 규제 받고 기능수행을 위해 활용되는 단계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일반체계이론 -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본적인 체계개념 • 핀커스&미나한의 4체계: ④ 환류(feedback)-체계의 평형을 유지하거나 변화를 촉진시켜 체계 를 혼란 시키는 작용.(긍정적 환류, 부정적 환류) 일반체계이론은 모든 체계는 기능하고, 성장하고, 발달하고, 다른 체계와 상호작용한다는 원칙이다. -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본적인 체계개념 • 핀커스&미나한의 4체계: ① 변화매개체계-사회복지사및 기관,조직 ② 클라이언트체계-사회복지사와 계약한당사자 ③ 표적체계-변화 시켜야 할 대상체계 ④ 행동체계-클라이언트의 가족 or 타인 • 콤튼 & 갤러웨이 6체계 : ⑤ 전문가체계-사회복지사 협회, 교육협회 ⑥ 문제인식체계-잠재적 클라이언트를 사회복지 사와 만나게 하도록 행동하는 체계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방법의 배경 일반체계이론 -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본적인 체계개념 • 핀커스&미나한의 4체계: ④ 환류(feedback)-체계의 평형을 유지하거나 변화를 촉진시켜 체계 를 혼란 시키는 작용.(긍정적 환류, 부정적 환류) 일반체계이론은 모든 체계는 기능하고, 성장하고, 발달하고, 다른 체계와 상호작용한다는 원칙이다. -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기본적인 체계개념 • 핀커스&미나한의 4체계: ① 변화매개체계-사회복지사및 기관,조직 ② 클라이언트체계-사회복지사와 계약한당사자 ③ 표적체계-변화 시켜야 할 대상체계 ④ 행동체계-클라이언트의 가족 or 타인 • 콤튼 & 갤러웨이 6체계 : ⑤ 전문가체계-사회복지사 협회, 교육협회 ⑥ 문제인식체계-잠재적 클라이언트를 사회복지 사와 만나게 하도록 행동하는 체계

사회복지실천의 통합적 접근 생태체계적 관점 생태체계적 관점과 주요개념 생태체계적 사회복지실천과 원리 체계의 수준

통합적 접근의 실천모델 4체계 모델 클라이언트체계 행동체계 표적체계 변화매개체계

통합적 접근의 실천모델 생활모델 문제해결모델 권한부여모델

생태체계모델 생태체계모델: 4체계 모델, 단일화모델 ‘환경 속의 인간’ 관점 ■단일화 모델(Goldstein)- 과정모델의 내용을 강조. - 사회체계모델,사회학습 또는 문제해결모델 그리고 과정모델을 준거틀로 결합한 모델이다. -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조사와 평가, 의뢰와 중재, 평가적 전략 연계시킴 - 역할유도단계, 핵심단계 및 종결단계로 설정하고 각 단계가 반복적으로 일어남을 설명 - 표적형태인 개인,가족,집단,지역사회로 구분하여 구체적 단계와 연결

생태체계모델 문제해결모델 1)배경 2)특성 - 진단과 기능주의 절충주의 - 에릭슨의 자율적 자아이론->클라이언트의 적극적이고 건강한 자아를 강조 - 듀이의 영향->반성적 사고과정,주체적 존재로서의 인간개념 2)특성 - 클라이언트는 문제 해결자다. - 자아가 중요하다. - 인간은 누구나 안전을 유지,회복하며 문제해결에 의식적 무의식적으 로 관여 - 문제해결은 관심과 욕구에 반응하는 수단이며 사정, 환경 속의 개인, 관계,단계,개입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함께 일하기 위해 지식과 가치 기술사용

생태체계모델 문제해결과정 펄만의 4P(문제,사람,장소,과정)는 문제해결과정의 요소로 이뤄짐. - 클라이언트의 불안,공포를 최소화하고 자아 방어기제 약화시켜 성장에 기대치 높인다. - 문제해결에 관련해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다루는 지적,정서적,행동적능력을 발휘하고 반복 실천하게 한다. - 문제해결 혹은 그 완화에 필요한 원조와 사회자원을 클라이언트를 위해 발견하고 사용한다. 펄만의 4P(문제,사람,장소,과정)는 문제해결과정의 요소로 이뤄짐. - 개인과 환경은 분리해서 이해할 수 없는 생태체계적 관점과 일치하며,문제 발생과 관련된 개인의 환경과 관계망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접근방법

생태체계모델 생활모델 1)배경 - 생활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강점, 건강을 향한 지향, 지속적 성장과 잠재능력의 개발, 개인과 환경간의 조화 수준을 강조 생활모델화된 실천(기술적 의미) -1970년대 저메인(Germain)과 기터만(Gitterman)이 생태학적 관점으로 이끌어낸 모델 2)실천원리 - 역량강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관계: 동반자적 관계) - 능력고취와 실무원칙을 사용하는데(클라이언트는 사회복지사의 권력과 권위를 평가하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생각을 조사)

생태체계모델 통합적 방법론의 실천과정 1) 초기도입단계 - 인테이크 or 면접, 서비스 제공 및 기관위탁결정, 서비스 계약 및 원조관계를 수립 2) 사정(assessment)계획단계 - 문제대한 정보수집,과업에 대한 합의 문제정의와 개선규명, 목표설정,개입계획 3) 개입행동단계 - 구체화된 목표달성을 돕는 행동 4) 종결단계 - 의뢰,이전,종결 및 평가 (평가는 이 단계 외 모든 과정에서도 진행)

생태체계모델 통합적 방법론의 실천과정 1) 초기도입단계 - 인테이크 or 면접, 서비스 제공 및 기관위탁결정, 서비스 계약 및 원조관계를 수립 2) 사정(assessment)계획단계 - 문제대한 정보수집,과업에 대한 합의 문제정의와 개선규명, 목표설정,개입계획 3) 개입행동단계 - 구체화된 목표달성을 돕는 행동 4) 종결단계 - 의뢰,이전,종결 및 평가 (평가는 이 단계 외 모든 과정에서도 진행)

요점정리

수고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