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M Part-III 사무효율화 매뉴얼 두산 주류BG 군산공장 제1스텝 설비 WORST 최적화 TPM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Advertisements

1 태경농산 안성공장 공장 자발적 ‘ 하계 전력부하관리계획 수립 / 이행 ’ ☞ 최대 지원금 수혜 ☞ 에너지비용 절감 2007 년 하절기 전력수요 상승에 따른 Utility 비용 증가예상 ( 한전 주관 ) 2007 년 하계 전력부하관리 지원제도 참여 [ 휴가 / 보수기간.
2010 서 희 명 ) 시스템 아키텍처 감리 - 강의계획서 -
1 Spin Dryer_High Spin(2대) 구매사양서 문의처변상섭 책임연구원 (NCNT) 연락처 ,
‘비유와 상징’ 학습조 현장답사 -답사일: 인원: 지나라, 정지온, 한민수
2. 일반 현황 □ 코스피 □ 코스닥 □ 비상장 업체명 주 소 상장여부 업 종 주요품목 대표자 성함 :
중전기기 기술개발기금 사업계획서 발표자료 과제명 : ooo 기술개발 ooo㈜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성공적인 TPM을 위한 추진전략.
품질개선대책서 대책 수립부서 : 품질보증 결 재 담 당 팀 장 부서장 본부장 사 장 전결 국가명 / 고객명 한국
- PE HOSE 개선대책 대아수지공업(주) D.A.C.
1. 회사 소개 인사말 재무 계획 3 예상 소요 비용 인력 운용 계획 예상 매출 예상 손익계산서 수익성 분석 자금 조달 계획.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Ⅱ 현장 안전관리 활동 현황 1. 안전관리 활동 준수현황 2. 안전관리 활동 실적 3. 안전관리 활동 보고.
Evidence 장비를 이용한 CEA assay
한국의 TPM Part-II 방안 TPM Part-II 추진체제 만들기 T P M
TPM Part-III 계획보전 매뉴얼 두산 주류BG 군산공장 제1스텝 설비 WORST 최적화 1차
RT AUX LATCH CABLE CAP 이종품 사출 개선 대책 청도대동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2008년 명소설비 인증 신청서 사례.
22장 통계적 품질관리(SQC) 1. 품질의 통계적 관리 2. 통계적 공정관리 3. 샘플링검사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노력 - 3정5S운동을 중심으로 -
■ 첨부. 협력사 금형관리 업무 FLOW.
장치형 계획보전(6스텝) 활동이란 ① 계획보전이란 예방보전을 계획적으로 실시하는 것 (6스텝의 실천과 체험을 통하여)
▣ 신뢰성 시험 계획 및 결과서 ( 갑지 ) □ 계획 ■ 완료 AD DUCT ASSY FR SEAT BACK
DMAIC Template (제조).
2011년도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BMC 한국경영인력연구원 Tel: (02) , HP:
생산기술 관리.
8D REPORT (Corrective Action)
품 질 이 슈 조 치 방 안 ▣ 품질 이슈 조치 방안 1. 품질 이슈 조치 방안 2. 불량 이슈 발생 사항
제일제당 영등포공장 컨설팅 성과사례 항 목 구 분 단 위 BM(90년) 98년 BM대비 년평균 인당생산성 제분 천Bag/인년
TPM Part-III 자주보전 매뉴얼 두산 주류BG 군산공장 제1스텝 설비 WORST 최적화 TPM
설비로스와 자주보전 ㈜광성ANV 승 인 지도위원 : 최윤식 핸드폰 :
현장관리 모범 사례.
먼저 본사의 잘못으로 귀사에 피해를 드린 부분에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 2007년 경영방침의 중점추진사항에 따라 설정한 부서의 경영방침중점추진계획을 4가지 관점으로 구분하여 작성.
Project Leader [DMAIC] : O O O.
창고사업부 회사 경영목표 부문 경영목표 관점 가중치 전년(평년) 평점실적 전년도 고객지향의 영업능력 향상 신규고객유치 재무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왜 왜 분석표 「본연의 모습」에서 어프로치를 할 경우의 「왜 왜 분석 시트」 고장 · 불량 · 잠깐정지 · 재해를 배우자
컴퓨터공학실험 (I) 년 1학기 실험계획 -.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78-1, Bojeong-ri, Guseong-eup, Yongin-si Kyonggi-Do, , Korea
주요 프로그램 고객 요청에 의거 품질/개발 분야 각 3개 과정으로 구분하여 교육 계획을 수립 하였으며,
자원 개발 계획 광체 조사 광체 경제성(feasibility) 평가 광업권 및 채굴권 등록 광산 디자인 및 개발
우기대비 SUB KD 업체점검 실시계획 년도 경영방침 [안정성장, 경쟁력 확보] 사장님 결재
두산백화 군산공장 컨설팅 성과사례 항목 구 분 단 위 BM(91년) 94년 BM대비 년평균 인당생산성 공장 본/MH 264.3
생산 운영관리의 기초 공 정 설 계 생산능력계획 및 일정계획 재 고 관 리 노동인력관리 품질관리 및 설비보전 생산의 국제화
‘17년 협력 업체 등급 평가 제도 운영안 2017년 01월 18일.
서비스 작업 안전 수칙 윌로펌프㈜ 서비스팀 1.일반 안전 수칙 2.차량 안전 수칙 3.전기 안전 수칙 4.기타 안전 수칙
1. 전산 파트 8월 추진 실적 2. 9월 추진 계획 3. 하반기 중점과제 추진 실적.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 품질 문제 대책서 작성시 주요점검 사항 (Check Sheet)
품 질 문 제 개 선 대 책 서 수 신 : 참 조 : 발 신 : 작성일 : 구 분 작 성 검 토 승 인 중 간 통 보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마이크로프로세서 수업진행 안 한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송 명 규.
TPM 추진 목표설정 * 구체적인 목표는 지도 개시후 간부 워크샵을 통해 확정함
▣ 개선대책 유효성 평가 1. 개선대책 유효성 평가 ▶ 평가 방법 - 실린더 온도 조건 변경 ( )
IO-Link 통신 기술 소개 산업 Ethernet 필드버스 게이트웨이 접속 IO-Link 마스터 IO-Link 통신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TPM Part-II 추진 방안 및 사례 T P M Part-II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2008년 TPMⅡ기 명소활동 추진 Dp)TPM사무국
협력사 품질문제 개선대책서 동신공업㈜ 2016년 08월 29일 LFA 품 번 품 명
6시그마및품질관리 과제 – Define의 적용.
1. 중요불량 개선대책 현황 품확 방안 고객 불량율 감소 방안 순 발생처 현상 / 원인 개선대책 일정 비고 1 2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Work SMART, Smart CammSys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TPM Part-III 사무효율화 매뉴얼 두산 주류BG 군산공장 제1스텝 설비 WORST 최적화 2005. 12. 22 TPM 혁신 사무 TPM 2005. 12. 22 한국TPM연구소장 권오운 kwonohw@paran.com

전략형 자주보전 각 STEP별 추진 LOGIC (기본형의 합리적 수정후 적용) TPM Part-III 전략형 사무효율화 스텝 명칭 전략형 사무효율화 스텝 명칭 일람표 년차 상반기 하반기 KPI 지표 1년차 1ST 설비WORST최적화 2ST 공정WORST최적화 KPI 해당 지표 2년차 3ST 사무효율화 1차개선 4ST 사무효율화 2차개선 3년차 5ST 사무효율화 3차개선 6ST 사무효율화 4차개선 4년차 7ST 사무효율화 5차개선 8ST 사무효율화 6차개선 5년차 9ST 사무효율화 7차개선 10ST 사무효율화 8차개선 방 안 전략형 자주보전 각 STEP별 추진 LOGIC (기본형의 합리적 수정후 적용)

담당 설비/공정의 WORST 문제점에 대한 “선택 및 집중” 방식의 사무효율화 추진으로 TPM Part-III 전략형 자주보전 추진 방향 담당 설비/공정의 WORST 문제점에 대한 “선택 및 집중” 방식의 사무효율화 추진으로 지표 향상 및 업무효율화 정착화를 추진함 ★추진 방향 및 특징 ★ ① 방침 목표에 부합 전략형 사무효율화 추진 ② 추진대상의 “선택과 집중화” TPM 추진 ③ 유지관리와 개선이 병행되는 사무효율화 ④ 지표 향상화의 무한개선 추진 유도 ⑤ 6개월당 1사이클 완료로 추진효과 확인 ⑥ 사무효율화 실현되는 시스템 및 현장 추진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추진 LOGIC 6개월에 1사이클 종료 무한 궤도 군산공장 방침·목표 팀/파트 달성 목표 WORST 박멸화 (선택과 집중 추진) 제조 조건 자주관리 Up-Grade 설비관리 체계 자주보전 정착화 개선활동 활성화 무한개선·향상 제조조건 유지관리 개선·향상 평 가 1. 현상파악,평가 1. 지표 현상파악 2. 개선대상설비 확정 3. 지표 향상 목표 2. 불합리복원 1. 기능청소·점검 2. 불합리 List-up 3. 열화·결함복원 4. 복원후 결과평가 5. 자주보전체계화 1. 일상점검 합리화 2. 일상보전 합리화 3. 목시관리 유지보완 4. 약점개선 1. 설계약점개선 *운전조건 합리화 *설비 개량보전 3. 발·곤대책 1. 발생원 대책 (누설, 오염 등) 2. 곤란개소 대책 7. 효과파악,진단 1. 활동결과 정리 2. 결과 효과파악 3. 스텝종료 진단 6. 자주보전정착 1. 일상점검정착 2. 일상보전정착 3. 재발방지체계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활동 방법 (사무효율)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1단계 현상파악 ·평가 1. 지표 현상파악 2. 개선 대상설비 확정 3. 지표 향상 목표 - 파레토 분석 (KPI 지표 대상) - 개선 대상설비는 전체의 1/4 정도 - 목표 그래프 (예, 고장/불량 감소) 0.5개월 2단계 불합리 복원 1. 기능청소·점검 2. 불합리 List-up 3. 열화·결함 복원 4. 복원후 결과 평가 - 기능청소 도구 활용 청소, 불합리 점검 - 불합리 발견 LIST에 정리, 현황 통계 개선사례 SHEET, 개선 OPL 작성 2단계 복원후 효과 실적 그래프 1개월 3단계 발곤대책 1. 발생원 대책 * 오염, 누설, 비산, 누유 등 2. 곤란개소 대책 * 작업, 점검, 급유, 청소 등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List-Up 추진 원인불명 문제의 참원인 분석 (왜왜분석표, PM분석표 등 활용) - 개선이 난해한 곳은 설보파트 지원요청 - 개선사례 SHEET 4단계 약점개선 1. 설비 설계약점 개선 * 운전조건 합리화 (운전) * 설비 개량보전 (생산+공무) 설비의 운전 조건 측면 현장불합리 적출 (계장설비, 제어판넬, 밸브 등) 설비의 설계상 약점 부위 도출 설비 개량보전 실시 (생산+설보파트) 개선사례 SHEET - 4단계 약점개선 후 효과 실적 그래프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활동 방법 (사무효율)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5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1. 일상점검체계 합리화 * 운전+보전 역할 분담 * 점검시간 단축화 개선 2. 일상보전체계 합리화 * 보전방식, 기록, 윤활 등 * 예비품,CBM,설비매뉴얼 등 3. 목시관리 유지 보완 설비점검 기준/주기 합리성 검토표 점검시간 단축화 목시관리 도구 보전방식 적용 선정 체계도 - 불합리 발견 LIST 개선사례 SHEET B급 예비품 Tag 설비목시관리 도구 1개월 6단계 자주보전 정착 1. 일상점검 실시 정착 * 운전+ 보전 분담 이행 2. 일상보전 실시 정착 3. 재발방지 체계 구축 청소·점검·급유 기준 및 일상점검표 불합리 발견 LIST, 개선사례 SHEET 재발방지/유사고장 대책 보고서 7단계 효과파악 · 진단 1. 활동결과 정리 2. 효과파악 3. 스텝종료 진단 - 단계별 활동 결과 정리 - 활동판 스텝 추진실적 게시 자료 6단계후 지표실적 그래프 스텝종료 진단 시트 0.5개월 ★ 특기 사항 보유 장비, 시험 설비를 중심으로 진행하며, 해당이 없는 추진 항목은 생략 가능함 제1~2 STEP은 생산부문 자주보전 활동에 준하여 추진, 3~10 STEP은 특성화 추진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추진 계획 활동 항목 세부 실시 항목 실 시 일 정 비 고 1 2 3 4 5 6 1단계 현상파악 ·평가 ․ 지표 현상파악 ․ 개선 대상설비 확정 ․ 지표 향상 목표 2단계 불합리 복원 ․ 기능청소·점검 ․ 불합리 List-up ․ 열화·결함 복원 ․ 복원후 결과 평가 3단계 발곤대책 ․ 발생원 대책 ․ 곤란개소 대책 4단계 약점개선 ․ 설비 설계약점 개선 5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 일상점검체계 합리화 ․ 일상보전체계 합리화 ․ 목시관리 유지 보완 6단계 자주보전 정착 ․ 일상점검 실시 정착 ․ 일상보전 실시 정착 ․ 재발방지 체계 구축 7단계 효과파악 · 진단 ․ 활동결과 정리, 효과파악 ․ 자체진단 실시 (분임조, 간부) ․ 본진단 실시 (진단위원 구성) △ △ ☆ 월1회 6월말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1단계 현상파악 ·평가 1. 지표 현상파악 - 파레토 분석 (KPI 지표 대상) 0.5개월 2. 개선 대상설비 확정 - 개선 대상설비는 전체의 1/4 정도 3. 지표 향상 목표 - 목표 그래프 (예, 고장/불량 감소) ☞ 준비 사항 : (1) 1스텝 일정계획서 준비 : 1스텝 계획서 제시 모델 참조 (2) 1스텝 주지 교육 실시 : 분임조원에게 확실하게 목적 및 방법 전달교육 실시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지표 현상파악 → KPI 지표에 대한 문제되는 향상요망 지표, 예를 들면 고장, 불량 등에 대한 발생 현황을 파악함 (2) 개선 대상설비 확정 → 제1스텝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설비 Worst를 담당설비 중에서 1/4 정도의 범위로 하여 확정함 (3) 지표 향상 목표 → 1스텝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지표향상 목표를 설정함 (팀/파트 년도 목표 고려하여 의욕적 수립)

제1 단계 “현상파악 ·평가” 추진 수단/장표류 고장 발생현황 파레토 분석 사례 추천방식 (필수방식은 아님) 유형별 설비명 설 비 고 장 유 형 합 계 고 장 건 수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기타 M-1 M-2 M-3 M-4 M-5 M-6 M-7 기 타 합 게 고 장 건 수 ↓ WORST 개선대상 설비확정 주: 1) 상기 예는 설비 고장건수 현황에 대한 파레토그림을 그린 것을 예로 든 것임 2) 상기 설비 고장건수 발생 파레토그림은 지표설정 내용에 따라 달리 파악토록 함

제1 단계 “현상파악 ·평가” 추진 수단/장표류 지표향상 목표설정 사례 추천방식 (필수방식은 아님) 현상치 현상대비 6단계 목표 2단계 실적 고 장 도수율 (ppm) 현상치 대비 50% 감소 4단계 실적 6단계 실적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2단계 불합리 복원 1. 기능청소·점검 - 기능청소 도구 활용 청소, 불합리 점검 1개월 2. 불합리 List-up - 불합리 발견 LIST에 정리, 현황 통계 3. 열화·결함 복원 - 개선사례 SHEET, 개선 OPL 작성 4. 복원후 결과 평가 - 2단계 복원후 효과 실적 그래프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기능청소·점검 → 기능청소 도구 활용 청소 실시, 청소도구 준비 및 정돈 철저, 불합리 점검 내실화 추진 (2) 불합리 List-up → 발견된 불합리를 불합리 발견 LIST에 정리하고, 발견된 불합리를 분류기준에 의거 통계 정리 (3) 열화·결함 복원 → 개선사례 SHEET를 활용하여 주요 개선 사항에 대해 작성하고, 교육 필요사항은 개선 OPL 작성 (4) 복원후 결과 평가 (권장 사항) → 복원후에는 지표가 대폭 좋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과정 내실화를 위해 중간효과 파악 정리

제2 단계 “불합리 복원” 추진 수단/장표류 지표향상 효과파악 사례 (분임조별 지표는 달리 적용 가능) 추천방식 (필수방식은 아님) 현상치 현상대비 6단계 목표 2단계 실적 고 장 도수율 (ppm) 현상치 대비 50% 감소 40% 감소 4단계 실적 6단계 실적 2단계 활동결과

제2 단계 “불합리 복원” 추진 수단/장표류 고장, 불량(고장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의 원인과 결과의 관계 고찰 결 과 (기본조건의 불비) 청소, 급유, 더죄기가 안 된 상태 (강도 부족) (사용조건의 준수미흡) 설비는 설계 때 미리 정한 사용조건 이 있는데 이를 지키지 않는다. 예:전류, 전압, 회전수, 온도,속도 등 (고 장) * 기능정지형 * 기능저하형 (유 형) * 균열 * 파손 * 변형 * 탈락 * 마모 * 누설 * 부식 등 (열화의 진행 ) * 강제 열화 * 자연 열화 (열화의 방치) 열화를 표면화시켜 복원하는 일을 게을리한다. 즉 점검·검사를 올바로 하고 정확하게 설비를 원상태로 되돌 리는 예방 수리를 하지 않는 것 (스트레스 방치 ) * 작동 스트레스 (기계,열,전기,화학적) * 환경 스트레스 (온도, 습도, 진동 외부 충격, 분진) (설계상의 약점 내재) 설계와 제작 시공 단계의 기술부족 이나 오류에 의한 것 (기능의 결여) 수리 오류와 조작 오류 등에 의한 것 결 과 ● 원 인 (모두 인간의 행동에 있다)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3단계 발곤대책 1. 발생원 대책 * 오염, 누설, 비산, 누유 등 발생원,곤란개소 대책 List-Up 추진 원인불명 문제의 참원인 분석 (왜왜분석표, PM분석표 등 활용) - 개선이 난해한 곳은 설보파트 지원요청 - 개선사례 SHEET 1개월 2. 곤란개소 대책 * 작업, 점검, 급유, 청소 등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발생원 대책 → 발생원 대책이 요망되는 곳을 면밀히 조사하여 List-Up 추진 → 원인불명 문제는 참원인 분석 실시 (왜왜분석표, PM분석표 등 활용) → 개선이 난해한 곳은 설보파트 지원요청 하에 추진, 설보파트는 조직적인 지원 대응 → 주요한 사례는 개선사례 SHEET에 정리하도록 함 (2) 곤란개소 대책 → 곤란개소 대책이 요망되는 곳을 면밀히 조사하여 List-Up 추진 → 개선사례 SHEET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4단계 약점개선 1. 설비 설계약점 개선 * 운전조건 합리화 (생산) * 설비 개량보전 (생산+공무) 설비의 운전조건 측면 현장불합리 적출 (계장설비, 제어판넬, 밸브 등) 설비의 설계상 약점 부위 도출 설비 개량보전 실시 (생산+설보파트) 개선사례 SHEET - 4단계 약점개선 후 효과 실적 그래프 1개월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설비 설계약점 개선 → 설비의 운전조건 측면의 현장 불합리 사항을 면밀히 조사하여 개선 대상을 적출하도록 함 (계장설비, 제어판넬, 밸브 등) → 설비의 설계상 약점 부위 도출 (고장방지, 불량방지, 자주보전성 향상, 유틸리티비용 감소 등) → 설비 개량보전 실시 (간단한 문제는 생산에서 우선 조치하며, 난해한 것은 생산+설보파트 합동 문제해결을 추진함) → 개선사례 SHEET (주요 개선 사례를 개선사례 SHEET에 정리하도록 함) → 4단계 약점개선 후 효과 실적 그래프 (권장 사항) (약점개선 후에는 지표가 대폭 좋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과정 내실화를 위해 중간효과 파악 정리

제4 단계 “약점개선” 추진 수단/장표류 지표향상 효과파악 사례 (분임조별 지표는 달리 적용 가능) 추천방식 (필수방식은 아님) 현상치 현상대비 6단계 목표 2단계 실적 고 장 도수율 (ppm) 현상치 대비 50% 감소 44% 감소 4단계 실적 6단계 실적 2단계 활동결과 4단계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5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1. 일상점검체계 합리화 * 운전+보전 역할 분담 * 점검시간 단축화 개선 설비점검 기준/주기 합리성 검토표 점검시간 단축화 목시관리 도구 1개월 2. 일상보전체계 합리화 * 보전방식, 기록, 윤활 등 * 예비품,CBM,설비매뉴얼 보전방식 적용 선정 체계도 불합리 발견 LIST, 개선사례 SHEET 3. 목시관리 유지 보완 B급 예비품 Tag, 설비목시관리 도구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일상점검체계 합리화 → “운전+보전” 점검 역할분담 체계를 설비점검 기준/주기 합리성 검토표에 의거 검토하여 합리화 → 점검시간 단축화 목시관리 도구를 활용하여 목시관리 미흡요소를 체계화 시킴 (2) 일상보전체계 합리화 → 보전방식, 보전기록, 윤활관리 등 설비 최적조건 관리를 위한 일상보전 체계를 합리화 시킴 → B급 예비품 정비 및 정돈, 설비예지 보전(CBM) 연구 및 적용, 설비매뉴얼 작성 및 교육 실시 → 불합리 발견 LIST를 활용하여 설비불합리에 대한 적출 기재 및 조치관리 철저 시행 → 개선사례 SHEET를 활용하여 주요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교육훈련 및 홍보용으로 작성 실시 (3) 목시관리 유지 보완 → B급 예비품 Tag를 활용하여 현장 관리 실시, 설비 목시관리 도구에 대한 유지관리 철저

제5 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추진 수단/장표류 설비 점검 기준 및 주기 합리성 검토 조사표 사례 검토 조사가 필요한 항목만 실시함 설비 점검 기준 및 주기 합리성 검토 조사표 설 비 명 : 분임조명 : 구 분 No. 점검 항목 기 준 (기준치±허용차) 방 법 점검주기 RF값 최적 주기 담 당 이론치 경험치 실적치 비 고 최적점검주기=(이론치+경험치+실적치)/n×(1+RF/20) 단, RF(Rating Factor)는 설비환경, 작업방법, 숙련도, 설비운전상태를 각각 –10(주기감소)에서 +10(주기연장)의 범위 중 적정값 추장 후에 더한 수치를 4로 나눈 값

제5 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추진 수단/장표류 보전방식 적용 선정 체계 검토 조사가 필요한 항목만 실시함 TBM : Time-based Maintenance IR : Inspection & Repair CBM : Condition-based Maintenance) BM : Breakdown Maintenance)

★ A4용지에 각각 2개(총 4개) 배치되게 사이즈를 정함. ★프린팅후 코팅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 제5 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추진 수단/장표류 필수 도구임 B급 예비품 정비후 현장관리용 Tag 활용 정돈 수 리 要 품 명 규 격 용 도 발생일자 담 당 자 요망사항 수 리 完 품 명 규 격 용 도 조치일자 확 인 자 조치사항 ★ A4용지에 각각 2개(총 4개) 배치되게 사이즈를 정함. ★프린팅후 코팅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

제5 단계 “자주보전 체계화” 추진 수단/장표류 자주보전 추진 결과 매뉴얼화  설비매뉴얼 (1) 목적 : 보전기술 축적, OJT교재 활용, 직무능력 향상, 개선력의 제고, 개선결과 및 자주보전 Know-How 집약화로 자주보전력 증대 및 표준화 (2) 추진 방법: Worst 설비의 문제해결을 위한 설비매뉴얼 구성 항목에 대해 자주 학습용 교재를 매뉴얼화 정리 및 교육 실시 (★ 필요 항목 선택적 실시) (3) 설비매뉴얼 구성 항목 ① 구조, 명칭, 기능 및 사양 ② 작동원리 ③ 운전 및 취급요령 ④ 트러블슈팅(공정T/S, 설비T/S) ⑤ 점검(일상, 정기) ⑥ 정비(분해, 청소, 검사, 수리/교환, 조립, 설비정도검사, 시운전) (4) 학습실시 구분: ①~④(공정T/S), ⑤점검(일상)은 생산에서 실시 단, ①~②, ④T/S(설비), ⑤점검(정기), ⑥은 공무에서 학습 실시함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6단계 자주보전 정착 1. 일상점검 실시 정착 * 운전+ 보전 분담 이행 청소·점검·급유 기준 및 일상점검표 점검시간 단축화 목시관리 도구 1개월 2. 일상보전 실시 정착 불합리 발견 LIST, 개선사례 SHEET 3. 재발방지 체계 구축 재발방지/유사고장 대책 보고서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일상점검 실시 정착 → “운전+보전” 점검 역할분담 체계의 결과인 청소·점검·급유 기준 및 일상점검표에 의거 이행하여 설비의 안정 안전 가동을 확보하고, 점검시간 단축화 연구를 위해 목시관리 도구를 개선함 (2) 일상보전 실시 정착 → 불합리 발견 LIST를 활용하여 설비불합리에 대한 적출 기재 및 조치관리 철저 시행 → 개선사례 SHEET를 활용하여 주요 개선사항에 대해서는 교육훈련 및 홍보용으로 작성 실시 (3) 재발방지 체계 구축 → 돌발고장/유사고장 재발방지 체제 공유를 위해 “재발방지/유사고장 대책 보고서”를 활용

제6 단계 “자주보전 정착” 추진 수단/장표류 고장/불량 재발방지 체제 공유 및 유지 재발방지 대책 보고서만 필수임

제1 STEP “설비 Worst 최적화” 단계별 진행법 단계명 세부 활동 내용 추진 수단 / 장표류 추진 기간 7단계 효과파악 · 진단 1. 활동결과 정리 - 단계별 활동 결과 정리 - 활동판 스텝 추진실적 게시 자료 0.5개월 2. 효과파악 6단계후 지표실적 그래프 3. 스텝종료 진단 스텝종료 진단 시트 ☞ 추진 방법 보충 설명 : (1) 활동결과 정리 → 제1STEP “설비 Worst 최적화”의 각 세부 단계별 활동 결과를 일목 요연하게 정리함 → 분임조 활동판에 제1STEP “설비 Worst 최적화” 추진실적 결과 및 개선사례 등을 게시 (2) 효과파악 → 6단계 “자주보전 정착” 실시후 효과파악하고, 지표실적 그래프 상에 정리함 (3) 스텝종료 진단 → 제1STEP “설비 Worst 최적화” 종료 진단 시트를 활용하여 진단을 실시하고, 80점 이상 합격

제7 단계 “효과파악·진단” 추진 수단/장표류 지표향상 효과파악 사례 (분임조별 지표는 달리 적용 가능) 추천방식 (필수방식은 아님) 현상치 현상대비 6단계 목표 2단계 실적 고 장 도수율 (ppm) 현상치 대비 64% 감소 50% 감소 4단계 실적 6단계 실적 2단계 활동결과 4단계

제7 단계 “효과파악·진단” 추진 수단/장표류 분임조 활동판 사례 (참조용) 추천방식 (필수방식은 아님)

제7 단계 “효과파악·진단” 추진 수단/장표류 제1스텝 “설비 WORST 최적화” 진단 체크시트 소 속 팀 공정 분임조명 분임장 진단일 진 단 자 소 속 성 명 구 분 항 목 No. 진단의 포인트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불량 득점 유지 유지 관리 1 현장 및 시스템 측면 자주보전 전반적 유지관리 수준 10 8 6 4 2 자주 보전 활동 내용 준비 활동 추진방법 이해도, 추진계획 운영, 분임원 역할분담 상태 현상파악·평가 ① 지표 현상파악 ② 개선 대상설비 확정 ③ 지표향상 목표 불합리 복원 3 ① 기능청소·점검 ② 불합리 List-up ③ 불합리 복원 ④ 복원후 결과 평가 발곤 대책 ① 발생원 대책 ② 곤란개소 대책 약점 개선 5 ① 설지 설계약점 개선 자주보전체계화 ① 일산점검체계 합리화 ② 일상보전 체계 합리화 ③ 목시관리 유지보완 자주보전 정착 7 ① 일상점검 실시정착 ② 일상보전 실시정착 ③ 재발방지 체계 구축 효과파악 · 진단 ① 활동결과 정리 ② 효과파악 ③ 생활화 진단 실적 지도 간부 참여 12 간부의 월1회 추진상태 생활화 진단 및 지도 실적 종 합 진단자 평균 80점 이상시 합격 수준임 득점 합계 점 진단 결과 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