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신경계의 중요 구조 Pierre Cabanis(프랑스 혁명 중 사형수 연구): 척수의 반사기능 확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경과학 - 기초 인지과학 입문. I. 신경과학의 기초 1. 신경과학 – 신경계의 구조 및 기능을 이해 – 신경 해부학 신경 생리학 신경 약리학 신경 분자 생물학 행동학  현재 인지 신경과학 부문이 커지는 경향.
Advertisements

신경계 신경계 신체의 내부와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여 종 합, 분석하여 기능이 상이한 수많은 세포들 의 활동을 조절, 통제 중추신경계 뇌 척수 말초신경계 12 뇌신경 31 개 척수신경 자율신경계.
뇌와 행동. > Index 1. 신경계의 정보전달 2.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뇌 3. 뇌의 구조와 마음 4. 뇌와 마음 ( 분리 뇌 환자 연구를 중심으로 )
‘ 잠자는 뇌를 깨워라 ’ 문다울. 순 서 미인을 알아보 는 우뇌 좌 - 우뇌를 균형적으로 발달시키는 전 뇌 교육 좌우 얼굴이 조금은 다르다 기억과 건망 후천적인 환경이 지능에 더 중요 IQ, EQ, CQ 복잡한 문제, 명랑한 사람이 잘 해 결.
프로그램 소개_일정표 (Day1/9h) 시간 프로그램 세부사항 11:00-12:00 Above the line
예술품일까? 음란물일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 (발제자 : 정 태 비).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생리심리학 발표: "잠자는 뇌를 깨워라" 사회복지학과 김마리아.
작도에 대하여 조사자 : 이준호 담당선생님 : 박문열 선생님.
임상의료기기운용및실습 담당 교수님 : 태기식 교수님 김지은 송채빈.
과학과 감성이 공존하는 꿈꾸는 영화 공작소.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임플란트 환자의 효과적인 상담기법.
Patterns of memory impairment
퇴행성 신경질환.
Multi Intelligences Theory
좌측마비와 우측마비의 특징 담당교수님 : 박주형교수님 안진성
기억 II – 신경과학적 기초 인지과학 입문.
뇌에서의 언어 처리 학기 인지과학 입문.
잠재력의 발견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Machine Vision의 이해
팀원 : 권유정, 박진영, 박채은 조교교사 : 김지섭
기억 II – 신경과학적 기초 인지과학 입문.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2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단위과제 자율학습 및 다중분산 지능모델 연구 중앙대학교 전홍태.
감각 및 지각운동의 발달 I 강의 3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활성화 및 신경화학적 두뇌 기능 영상 PET 연구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마음과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문제 2명의 사형수가 있다. 둘에게는 검정색 모자와 흰색 모자를 임의로 씌우는데, 자기가 쓴 모자의 색은 절대로 알 수가 없다. 서로 상대의 모자색만을 볼 수 있고, 이들이 살기 위해선 자신의 쓴 색의 모자를 맞춰야 한다. 단, 둘 중 한명만이라도 자신이 쓴 모자의 색을.
전기진단검사 I.
뇌에서의 언어 처리 학기 인지과학 입문.
신경조직 Nervous tissue 강원대학교 안경광학과
교육진단검사 PEP-R.
신경해부학적 언어의 생성.
2장. 생물학적 기초.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중등용 몸으로 말해요.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뇌전도 문건희.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말하기 ㆍ 듣기 2학년 2학기 5.마음을 전해요 >1)주고받는 마음 (2/4) 내 마음 전하는 말 하기.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자녀의 심리적 안정도에 미치는 부모요인 분석.
Automatic nerve system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6장 언어와 사고.
자동 접이식 병원 침대 < 캡스톤 디자인 제안 > * 이 름 : 이헌준 ( )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나주반남중학교 맹 범 호
눈의 구조와 기능(1) 사람이 천냥이면 눈이 팔백냥이다. 눈의 구조와 기능 시각의 전달 경로.
Hubel Wiesel 신경세포의 활동과 전기적 신호전달 신경세포활동의 전기생리적 측정 Na+ 이온 유입 자극 K+ 이온 유출.
꿈과 무의식.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3. 신경계의 중요 구조 Pierre Cabanis(프랑스 혁명 중 사형수 연구): 척수의 반사기능 확인. 뇌는 1조개 뉴런(스피커) 중추통제의 진화: 신경절의 형성과 기능상의 위계. 탈억제(상위 중추의 영향을 제거 후 반사 강도 증가: 사마귀의 사랑) 중추신경계(뇌와 척수: 재생불가)와 말초신경계[체성신경계(원심+구심)와 자율신경계(교감+부교감): 재생가]

뇌의 해부: 3 하부구조 Hindbrain(후뇌)  midbrain(중뇌)        forebrain(전뇌) 연수: 생명유지       reticular formation   변연계 소뇌: 신체균형 (망상체)   대뇌 반구 (300억개 신경) 활성작용: 몽유현상 -> 대뇌 반구 frontal lobe (전두엽): 매우 크고, 기억, 추리, 사고, 운동 parietal " (두정엽): 체감각 영역,  민감도에 크기 비례 occipital "  (후두엽): 시각정보 처리 temporal "  (측두엽): 청각정보 처리 후, 측두엽은 순수 시, 청각: 다른 영역과 상호작용해서 형태 해석

PET

-> 반구의 바깥층: cerebral cortex(뇌피질), 3mm 두께, 고등정신과정(어류: 없음), 인간의 조건 -> 변연계(limbic system): “old cortex". 반구의 중앙, 시상과 시상하부 포함. 정서와 동기 관련. 시상하부의 pleasure center(Olds & Milner): cf) 변연계의 내측 전뇌속이 더 강력한 쾌감 중추. 편도핵은 공격성 통제 (손상시 겁 없는 쥐). 복내측핵은 과식 통제(손상시 비만). hyppocampus(해마)는 일반적으로 기억에 작용(HAM 환자). -> 뇌량(corpus callosum): 반구 연결 신경다발

변연계

대뇌피질 ꠆ꠏ 투사영역(projection area): 감각 투사영역, 운동투사영역(뇌 수술 중 자극하면 저절로 움직임, 장기기억 정보 말함) ꠌꠏ 연합영역(association area): 1/4 미만이 투사영역, 나머지는 고등정신과정(higher mental process )

-> 증거: 失行症(apraxia): 수의적 활동조정에 장애, 예: 담뱃불 붙이기. 失認症(agnosia): 감각 세계의 다양한 측면 조정불가, 본 것을 인지 못함(psychic blindness). prosopagnosia(얼굴실인증)의 경우 부모 인식 불가. 失語症(aphasia):    - 표현(expressive) 실어증(비유창성 실어증): 이해하지만(듣지만) 말 못하는 언어실행증. 쇠고기 요리 주문중 중퐁 환자가 쇠고기라는 단어만 말함. Broca's area(좌측 전두엽 운동 투사영역 인접) 손상. 개개 운동 능력은 정상이나 통합 곤란.

- 수용(receptive) 실어증(유창성 실어증): 말할 수 있지만 내용없는 (비논리) 언어실인증. Wernicke's area(측두엽의 청각 투사영역 인접) 손상. 문제: 특정영역의 정의 어려움. 단일 신경원의 구조와 기능은 동일하기 때문.

Lateralization(偏在化): 두 반구 기능상의 비대칭성(구조 유사) 증거 1: 오른손 잡이                ꠆ꠏ 좌반구: 언어능력 우위                ꠌꠏ 우반구: 공간능력 우위                ꠆ꠏ 좌반구 손상: 실어증               ꠌꠏ 우반구 손상: 공간, 형태 지각 어려움. 미세형태 지각 가능, 전체지각 불가    -> 도형 지각 실험, 부모 몰라보거나 팬티에 팔 집어 넣음. 단 인구 12% 이상의 왼손잡이 중 반 이상이 좌반구 언어능력 우세, 나머지는 좌우 반반. 독서와 습자의 경우 오른손잡이 좌반구, 왼손잡이 반대. -> 결론: 오른손잡이 뚜렷한 편재, 왼손잡이 반구 동등. 왼손잡이는 어느 반구라도 실어증 걸릴 수 있지만, 타반구가 기능 이어받아 회복가능성 큼.

증거 2: 분리뇌 환자(split brain): 뇌량(corpus callosum) 절단 환자 (간질환자의 분리뇌 연구) 실험 1: 시야의 중앙의 한 점에 눈을 고정시키고, 좌우측 시야에 그림이나 단어 제시 후 말하게 함. 왼쪽 시야 -> 우반구 -> 얼굴찡그리고 이상한 표정 -> 잘 말하지 못하지만 왼손으로 만져서 알 수 있음. 실험 2: Nude 여자 사진: 여자 관찰자 반응 연구. 좌반구에 비추면 정확히 이야기하지만, 우반구에 비추면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고 하면서 음흉한 미소, 킥킥 댐(잘 모르겠지만 오우, 정말 재미있는 기계군요).

실험 3: 혼합도형(눈과 벌 반반 합성)을 시야의 중앙에 잠깐 제시. ꠆ꠏ 정상인은 반눈 반벌의 괴상한 물체라 보고함. ꠌꠏ 분리뇌 환자는 한쪽만 지각. -> 분리뇌 환자의 경우: 벌은 좌측시야를 거쳐 우반구로, 눈은 우측시야 거쳐 좌반구로 가게 한 후, 형태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벌만 보았다고 답하고(형태 지각의 우반구 우월성), 운이 무엇과 비슷하냐고 물으면 pie와 유사하다고 함(언어기능의 좌반구 우월성) (eye와 운이 유사하기 때문).

증거 3: 정상인의 편재화 실험: 좌우 반구에 단어나 얼굴을 제시하고 반응 시간을 관찰 결과: 좌반구에는 단어, 우반구에는 얼굴을 제시하였을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반응시간이 짧음.

-> 결론: 좌반구는 시간조정기능 -> 언어, 운동 기술     우반구는 공간 조정기술 -> 예술 전철타기는 말로 표현 불가능하지만 그릴 수 있고, 정당제도는 그릴 수 없지만 말 가능.    사고의 2형태: 시각적 사고(심상 활용)와 논리적 사고. -> 문제 1. 해부학적 문제(대뇌연구의 한계):손상된 뇌 영역에서 나옴, q -> p를 p -> q로 해석. 2. 관련 기능 장애가 다른 요인에 의해 일어날 가능성: 자연실험의 한계.       3. 각 영역의 내재하는 기능의 확인의 어려움: Penfield 실험의 경우 간질환자의 측두엽 자극했을 때 과거 사건의 회상. 따라서 간질환자의 경우에 국한되느냐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