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정부의 국방정책 과제와 정책방향 평화재단 창립 3주년 기념 심포지엄 백승주 한국국방연구원 국방현안팀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상해에 소재한 해외자문사인 Citic-Pru ( 이하 “ 신성기금관리유한공사 ”) 이 중국 본토 A Share 주식에 대한 종목 선정 및 포트폴리오 구성을 담당 중국 A Share 주식편입비율은 60%~80% 수준 으로 유지. 다만, 시장에 대한 운용역의 확신이 높을 경우.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수직성 극복을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제 4 분 임 ( 담양, 곡성, 구례, 화순, 장성, 함평, 무안 )
2) 북한의 통일 정책 2) 북한의 통일 정책 A) 북한의 통일정책 기본구조 주체와 주체와 방법 방법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 북한 노동당규약 전문 : ‘ 온 사회의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명시 주체 : 공산당에 찬성하는 집단이나 개인 방법 : ‘ 인민 민주주의 혁명 노선.
[ 공무국외여행 경과보고 ] “ 한미 생물방어훈련 (Able Response 13)” 중간계획회의 (MPC) 참석 보고 생물테러대응과 병원체방어연구과.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동북아 환경협력 정치외교학과 노기원 정치외교학과 강재성 정치외교학과 정지인.
HRD 목표 HRD 전략 HRD 실행과제 HRD 실행계획 Human Centered Process/SystemDevelopment 체계적 육성과 지속적 관리를 통한 인적가치 극대화 소통과 신뢰 투명하고 공정한 인간중심 문화 HRD ERP 구축 성과 역량.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국제 임상화학회 학술대회 및 당화혈색소 네트워크 연례정기회의 참석-
W.C.W.F World City Water Forum
동아시아 평화와 협력의 길을 찾아서 이 종 석(전통일부장관).
2010 국제 패션아트 비엔날레 in Seoul A. 국제 패션아트전 B. 국제 패션아트 퍼포먼스 C. 국제 패션아트 세미나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쌍 발 단 발 체제 개발비용 8.5조 원 6.7조 원 양산비용 9.6조 원 7.9조 원 유지비용 (30년) 8.9조 원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수자원분야 미래 발전 방향
교육과정 안내 주 차 교 육 내 용 1 ◦ 개강식 및 교육목표, 진행, 일정소개
WCC 개최기념 자연보전 청년워크샵 주최: UNITAR 제주국제훈련센터, 아시아기후변화교육센터
신기술 세미나 제안서 발표 신원호.
과거와 현재의 한미 동맹과 미래전 홍우현 김홍빈 강승민 이장희 임현철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Korea Industrial Technology Foundation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기업전략 三 星 電 子.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차세대 인터넷 - 캐나다 발표자 : 이수미( ).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평 화 이 론 배 재 대학 교.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2016 동계 실습 프로그램.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foreign/others/newsview ?newsid= 보도 : 미국 뉴욕타임스(NYT)
UNISDR ONEA-GETI 안내.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국제관계의 이해(1) 코스 소개 및 Orientation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고등학교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하는 비율 (진학률,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국방의 미래 발전방향 충 북 대 학 교.
Corporate Electronic Business Association(CEBA)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기술보증기금.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부패실태와 대책 장한마로.
제1장 기업환경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1.1 기업환경의 변화 1.2 품질경영도입의 필요성.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엔프라넷.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여성들의 음주 변화 남성 음주률 기준 규격화 (배) 출생년도
한국의 물류현황 분석 한국 통운㈜ 김대현.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재)마포문화재단 일반현황.
제4편 북한경제와 남북한 경제교류 제11장 북한의 경제체제와 발전.
Ⅰ.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1 1. 우리가 사는 동아시아 2 3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생활 양식
국제관계학과 05 진인영, 06 박선숙 러시아 중산층의 삶, 그리고 전망.
Signal vs. Noise 차 영 주 와이즈경제연구소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CSPN Program 2017 국보연 사이버보안 전문인력양성 과정 개설
중국시장 전망 미래에셋자산운용 이덕청 상무 글로벌자산배분본부 본부장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Presentation transcript:

차기정부의 국방정책 과제와 정책방향 2007.11.15 평화재단 창립 3주년 기념 심포지엄 백승주 한국국방연구원 국방현안팀장 www.peacefoundation.or.kr

발표 내용은 발표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국방연구원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니다. 마치며… 발표 내용은 발표자 개인의 의견이며, 한국국방연구원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합니다. 2

동북아 전략환경 2008-2012 국방환경(1) ● 「 미국-일본-호주-인도」VS「러시아-중국-CIS」 대결 구도 ● 군사적 차원 : 미국 중심의 단극적 질서 유지 ● 러시아-중국 간 전략적 협력 과시, 미국 견제 ● 중국-일본 간 군비경쟁 주변국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가치 조정 3

2008-2012 국방환경(2) ● 건설원칙 : 위협 평가 보다는 능력에 기초하여 군비건설 주변국의 군사력 건설 동향 ● 건설원칙 : 위협 평가 보다는 능력에 기초하여 군비건설 ● 2006년 한국의 주변국 대비 GDP 비중 :미국의 7%, 일본의 20%, 중국의 34%, 러시아의 94% ● 2006년 한국의 주변국 대비 국방비 비중 : 미국의 3%, 일본의 33%, 중국의 25%, 러시아의 25% ● 주변국:첨단무기 획득경쟁+네트워크 중심전 등 미래전 수행능력 강화 주변국 대비, 국방비 비중 낮음. 주변국과 군사력 격차 확대 가능성 높음. 4

2008-2012 국방환경(3) ● 북한, 전략무기 우위 유지 : 핵무기 보유능력 유지 북한위협과 남북관계 ● 북한, 전략무기 우위 유지 : 핵무기 보유능력 유지 ● 재래식 전력 : 북한, 경쟁능력 한계 ● 남북한 군비통제 진전 북한의 전면전 도발 가능성 현저히 약화 전략무기 우위 활용한 대남군사정책 전개 국내 국방환경 ● 국방관련 시민단체 영향력 증대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진전 하 국방비 삭감요구 증대 ● 한국사회의 노령화, 복지비 요구 폭증 경제성장률 상회하는 국방비 상승 기대 곤란 획득 5

참여정부의 국방정책 이해(1) 협력적 자주국방 개념도 6

참여정부의 국방정책 이해(2) 국방개혁 2020의 목표 개념도 7

참여정부의 국방정책 이해(3) 전시작전권 전환 이후(추진안) 8

참여정부의 국방정책 평가 이념적 논란 형성 개혁의 방향성, 일관성 확보 국방개혁2020 한미 주류사회의 신뢰 확보미흡 협력적 자주국방 이념적 논란 형성 국방개혁2020 개혁의 방향성, 일관성 확보 한미동맹의 조정 한미 주류사회의 신뢰 확보미흡 전시작전통제권 국내 주요 정치지도자 간 합의 결여 9

차기정부의 정책방향(4위정책) 기조 1> 경제력 위상에 걸맞는 군사력 건설 정책비전 : 국위를 지키는 국방태세 확립 기조 1> 경제력 위상에 걸맞는 군사력 건설 ● 군사력 건설기준: 북한위협 탈피, 주변국 군사력 격차 고려 ● 한국적 전략무기 체계 관심 기조 2> 외교적 위엄을 보장하는 한미동맹 유지, 발전 ● 한미동맹은 외교적 위엄 보장 자산 인식 ● 한미동맹에 관한 이념적 논쟁 지양 10

차기정부의 정책방향(4위정책) 기조 3> 통일 위업을 준비하는 한반도 군사관리 정책비전 : 국위를 지키는 국방태세 확립 기조 3> 통일 위업을 준비하는 한반도 군사관리 ● 북핵폐기 검증까지, 북핵대비 군사태세 발전 ● 북한 내부 변화에 지속적 대비 ● 남북 간 군비 통제 추진 ● 동북아 다자안보 협력 강화, 역내 대결구도 완화 기조4> 군의 사회적 위신을 보장하는‘맞춤형 국방관리’ ● 군에 대한 부정적 편견 쇄신, 적정 위상 보장 ● 건강한 국방관련 NGO와 군당국 간 소통구조 구축 ● 비군사 기관간(INTRA-AGENCY) 합동작전 능력 강화 11

주요 국방정책 현안과 포지션 합의존중 하에 목표조건 충족방식 고려해야 국방개혁2020 전시작전통제권 합의존중 하에 목표조건 충족방식 고려해야 국방개혁2020 계승하되, 법적 토대 위에 융통성 발휘해야 해외파병 국제평화 기여를 군의 주요 임무로 국방문민화 수단가치로, 기본문서 위상 높여야 국방개혁마인드 3군 균형발전 마인드 넘어서야/ 매몰가치에 대한 집착 버려야 12

국방환경과 국방과제 추진 일정(2008-2013) 2007.12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1 안보환경 북핵 불능화 완성 (전망) 북미 수교 美 새 행정부 출범 한반도 평화체제 진전 중국 의 새 지도부 등장 한미 군사관계 주한미군 조정완료 미군기지 이전 완료 전시작전지휘권 전환목표(4.17) 남북 국방장관회담 정례화 남북군사 공동위원회 차기정부 국방과제 인수 위원회 ●새국방 비전수립 ●국방태세 평가단 ●군비통제 기획단 ● 국방개혁 중간 평가 ● 적정군사력 평가위원회 운영 ●동북아국방 장관회담 ●국방개혁 2030 수립 ● 전작권 전환여건 최종판단 ● 군사통합 준비 (남북관계 진전시) 평가를 통한 인계 준비 13

주요 프로젝트(1) 범국가 차원의 ‘적정 군사력 평가 위원회’운영 「국방부-외교통상부/타 부처」 인사교류 프로그램 확대 ● 필요성 : 적정 군사력에 대해 국가적, 국민적 공감대 형성 ● 구성 : 국가안전보장회의 위원과 경제계, 과학계 인사 약간명 ● 운영 : 매년 정부의 국방예산안 편성시 기본 자료로 활용 「국방부-외교통상부/타 부처」 인사교류 프로그램 확대 ● 필요성 : 군사외교의 질 개선 ● 방법 : 고위 간부 위주 탈피, 청년장교-초급간부 시절부터 시작 14

주요 프로젝트(2) 한미안보협력 채널의 다원화 지원 ● 필요성 : 한미 군사당국만의 안보협력 채널 의존 탈피 ● 방 법 : 중층적 안보대화 채널 구축 운영 미국 내 ‘친한 한반도전문가 육성’ 프로그램 ● 필요성 : 미국 주류 사회 내 친한 인맥 재구축 ● 방 법 : 미국 대학(연구소)에 장학금이나 연구기금을 기부, 반도전문가 양성 15

주요 프로젝트(3) 군 밖의 「남북군비통제기획단」 설치, 운영 동북아 다자 국방장관회담 ● 필요성 : 효율적인 남북군비통제 추진 ● 방법 : 국방부 밖 (예, 청와대 직할) 군비통제기구 설치, 운영 동북아 다자 국방장관회담 ● 필요성 : 동북아지역의 다자 국가 국방장관회담 개최 주도 ● 방법 : 동북아지역 내 군비경쟁 분위기 완화 민간인 중심으로 ‘국방개혁위원회 구성,운영’혁신 ● 필요성 : 민간의 국방, 아이디어 반영 ● 방법 : 국방개혁위원회에 다수 민간전문가 참가 보장 16

주요 프로젝트(4) 방산수출 전담기구 육성 군과 NGO간 유대강화 프로그램 다양화 ● 필요성 : 내수시장 고려시 방산 수출시장 개척 불가피 ● 방법 : 영국 DESO, 프랑스 DRI 같은 국방수출전담조직 설치 군과 NGO간 유대강화 프로그램 다양화 ● 필요성 : NGO와 국방부 정책실무자간의 인적 교류 확대 ● 방법 : 개방형 공직제도의 운영 활용 등 교류기회 확대 17

차기 정부의 국방정책은 차기 정부에 구현할 내용 보다 국방정책의 설계도면을 만든다는 생각을 가져야 하며, 마치며… 차기 정부의 국방정책은 차기 정부에 구현할 내용 보다 차차기, 10년, 20년을 고려한 국방정책의 설계도면을 만든다는 생각을 가져야 하며, 임기 중에 「국방발전2030, 또는 국방발전2040」을 만들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