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캔버스 유화(油畵)이며, 크기는 207х308cm이다. 1884년부터 1886년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현재 미국 시카고 미술원(Art Institute of Chicago)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신인상주의의 창시자인 조르주피에르 쇠라의 대표적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Advertisements

S-CA 빛의 회절 실험 정민우 이종선 김상희.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Quantum Magnet Laboratory in Chung-ang University 9 - 이중 슬릿의 간섭을 이용한 레이저의 파장 측정 10 - 플랑크 상수 측정 조교 황재 원.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1.3.1 원의 방정식. 생각해봅시다. SK 텔레콤에서는 중화동에 기지국을 세우려고 한다. 이 기지국은 중화고, 중화우체국, 뚝방에 모두 전파를 보내야 한다. 기지국은 어디에 세워야 할까 ? 중화동의 지도는 다음과 같다 원의 방정식.
적외선으로 감지하는 추적 카메라 조원 : 최승호, 백진영, 이현지.
35장 상.
과학 행성의 운동.
I. 자극과 반응 4. 빛을 받아들이는 눈.
37장. 파동 광학 (Wave Optics) 37.1 영의 이중 슬릿 실험 37.2 분석 모형: 파동의 간섭
회절·간섭을 이용한 빛의 파장 측정 D 실험실.
파동광학 wave optics 빛도 역학적 파동과 마찬가지로 간섭 현상을 나타낸다. 보강 간섭
공주정보고 미술수업.
공차 및 끼워맞춤.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빛의 색과 빛을 반사하는 물질의 색에 따른 반사광의 세기 연구
Multimedia Programming 08: Point Processing4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생각열기) 볼록 렌즈로 물체를 관찰할 때는 어떤 상을 볼 수 있는가?
Multimedia Programming 13: Image Halftoning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빛의 이중성 빛의 이중성 By kwang SEO.
4장 직접 광 도파로 Integrated Optics (집적광학) 정의 : 기판위에 광소자와 회로망을 제작하는 기술
(생각열기) 거울과 일반적인 물체에서 빛은 어떻게 반사 되는가?
전하 전자기학 • 역사 희랍 : 정전기현상과 자석 발견 Hans Christian Oersted :
MCL을 이용한 이동로봇 위치추정의 구현 ( Mobile robot localization using monte carlo localization ) 한양대학교 전자전기전공 이용학.
그랑드 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조르주 피에르 쇠라.
19세기근대미술B (5.인상주의 ~ 6.신인상주의) 대광여자고등학교 임 홍 순.
세계 명화 감상.
프로젝트 7. Zeeman Effect 윤석수.
색체 인식과 영상 장치 빛의 합성과 색체 인식 백색광 ex) 햇빛, 형광등, 백열등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4. 망원경 상의 형성 종류 특성.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프랑스의 화가이자 조각가. 인상주의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평가.
Laser 간섭 및 회절 실험 일반물리실험 2006/ 11/ 가을(겨울?).
고체의 X선 회절 4조 강신형 권용욱 김미정 사공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CAD 실습 2013년 2학기.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공명과 화음(resonance and harmony)
(생각열기) 축구장의 전광판에 사용되는 LED에서 나오 는 빛의 3원색은 무엇인가?
4.7 보 설계 보 설계과정 (a) 재료강도 결정 (b) 보 단면 산정 (c) 철근량 산정 (d) 최소 및 최대 철근비 확인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SUNRIN INTERNET HIGH SCHOOL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SPL3D Printer If 조건문.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3-2. 지구의 크기.
3-7. 별의 밝기와 등급(1).
(생각열기)별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답 : 별의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상관계수.
컴퓨터공학과 손민정 Computer Graphics Lab 이승용 교수님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자기유도와 인덕턴스 (Inductance)
눈의 구조와 기능(1) 사람이 천냥이면 눈이 팔백냥이다. 눈의 구조와 기능 시각의 전달 경로.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51PPT模板网 搜集整理 GALLERY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워드프로세서 실기 10일차 강 사 : 박영민.
케플러 법칙.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Ch. 11 각운동량(Angular Momentum)
Presentation transcript:

그랑드자트섬의 일요일 오후 캔버스 유화(油畵)이며, 크기는 207х308cm이다. 1884년부터 1886년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현재 미국 시카고 미술원(Art Institute of Chicago)에 소장되어 있다 이 그림은 신인상주의의 창시자인 조르주피에르 쇠라의 대표적인 작품 가운데 하나로 1886년 제8회 인상파 전람회에 출품되어 이목을 끌었다. 파리 근교의 그랑드자트 섬에서 맑게 개인 여름 하루를 보내고 있는 시민들의 모습을 담고 있다. 쇠라는 빛의 분석이 인상주의의 수법을 따르면서도 인상주의의 본능적이며 직감적인 제작 태도가 빛에만 지나치게 얽매인 나머지 형태를 확산시키고 있는 점에 불만을 느끼고, 여기에 엄밀한 이론과 과학성을 부여하고자 도모하였다. 색채를 원색으로 환원, 무수한 점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이른바 점묘화법(點描畵法, Pointillism)을 도입함으로써 통일성을 유지, 인상주의의 색채 원리를 과학적으로 체계화하고, 인상주의가 무시한 조형 질서를 다시 구축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이런 점에서도 이 그림은 오늘날 매우 의의 있는 작품으로서 평가되고 있다. (위키피디아에서 참조)

회절과 빛의 파동이론 가는 틈의 회절 무늬 면도날의 여러 가지 틈의 회절 무늬 검은 원반의 회절무늬 (가운데 밝은 점은 회절 때문에 생긴 “Poisson 광점”)

단일슬릿 회절무늬 (경로차 = 반파장) 첫 번째 어두운 띠의 위치 슬릿 가장자리와 가운데를 지나온 두 빛살의 위상이 처음으로 완전히 어긋나는 곳 (첫번째 어두운 무늬)

단일 실틈으로 만들어 지는 어두운 띠의 일반적인 위치 첫 번째 어두운 띠의 위치 m 번째 어두운 띠의 위치

둥근구멍이 만드는 회절무늬 첫번째 어두운 고리의 각반지름 회절무늬의 모양 회절무늬와 상의 분해능 멀리 있는 두 별을 식별할 수 있을 조건 (레일리 판정조건)

표본문제 천체망원경의 분해능 지름 32mm, 초점거리 24cm인 둥근 볼록렌즈로 멀리 있는 별의 상을 렌즈의 초평면에 만들었다. 빛의 파장은 550nm이다. 문제 렌즈에 의한 회절을 고려할 때 레일리 판정조건에 따라 가까이 있는 두 별을 구별할 수 있으려면, 두 별에 대한 시선방향의 사잇각은 최소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2. 초평면에서 두 별의 상의 중심 사이의 거리 는 얼마인가? 풀이 1. 회절상의 각분리 2. 초평면에서 상 중심 사이 거리는

이중슬릿이 만드는 회절무늬 전체무늬의 모양 = 회절무늬(슬릿 하나) x 간섭무늬(두 슬릿) 슬릿 하나의 회절무늬 두 빛의 간섭무늬 (a : 슬릿간격)   두 슬릿이 만드는 무늬 (회절x간섭)

회절격자(Diffraction grating), 분산과 분해능 회절격자: 간격이 고른 여러개의 슬릿 회절격자가 만드는 회절무늬 회절무늬의 변화: 띠의 밝기, 폭 백색광에서 단색광을 골라내는 데 사용 밝은 띠의 위치 밝은 띠의 폭 : 어두운 띠의 조건에서 밝은 띠의 밝기 : 슬릿의 개수의 제곱에 비례 분산 : 슬릿간격 d 가 작을수록 회절격자의 분광특성 분해능 : 슬릿갯수 N 가 많을수록

X-선 회절 X-선의 파장: 약 1 Å (10-10 m) 가시광의 중심파장 : 550nm 결정구조 분석에 사용 (Max von Laue, 1912) X-선 발생장치의 구조도 다른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