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R도 : Herrzsprung-Russell Diagram ]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태양계 행성들의 특징. 수성 (Mercury) 첫번째 행성 지구의 1/3 크기 수성의 1 년 - 88 일 하루 - 59 일 수많은 분화구로 덮여있음 밤낮의 기온차 큼.
Advertisements

1. 지구가 둥근 증거는 무엇일까 ? 지구가 둥근 증거 ( 고대 그리스 ) – 월식 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가 둥글다. – 먼 바다에서 들어오는 배는 윗부분부터 보 인다. – 북극성의 고도 변화 지구가 둥근 가장 확실한 증거 – 지구의 인공위성 사진 – 마젤란의 세계.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태양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 태양 - - 크기 ( 반지름 ) : 약 69 만 5000km - 질량 : 지구의 약 33 만 3 천배 - 구성 물질 : 수소, 헬륨 등 - 자전 속도 : 약 7400km/h ( 만약 태양이 지구같은 크기였다면.
소사벌 초등학교 5 학년 6 반 8 번 승현우 태양계의 탄생 먼지와 가스가 합쳐진 원시태양계 성운에 + 중 력이 가하여 핵반응을 일으키는 원시태양계를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또 커다란 빅뱅으로 현재의 태양개가 탄생 하였다. 그이후 태양계에서 수백억에 달하는 암석들이.
목차  1. 태양계 구성요소  2. 태양계의 의미 태양 지름은 지구보다 109 배, 질량은 약 33 만 배로 태양계 질량에 99% 를 차지하며 2 억년 주기로 은하계 중심을 공전하는 항성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과 열은 생명체에게 도움을 주어서 옛날엔 신 ( 아폴론,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대폭발 우주론을 지지하는 관측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과거의 우주론과 대폭발 우주론의 다른 점을 알 수 있다.
풍선의 팽창 도플러 (Doppler) 효과 – 기차의 경적, 빛의 색 변화 우주팽창 (E XPANSION O F U NIVERSITY )
Our Universe and BigBang 최 승 연. Theory of BigBang as a cosmology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 절대적인 시간과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북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를 관찰하여 볼까요? 북쪽 하늘에는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가 있습니다. 두 별자리의 모양을 알아보고, 밤하늘에서 북극성을 찾아봅시다. 과학 146~147 쪽.
By 5 학년 2 반 전유주 년 5 월 1 일 ( 음력 3 일 ) 눈썹 모양의 초승달을 관찰했다.
계절별 별자리 봄, 여름, 가을, 겨울. 별자리의 기원 별자리 (constellation, 星座 ) 는 처 음부터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별자리로 정해져 있었던 것은 아 니다. 각 나라나 지역마다 다르 게 사용되고 있었던 것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오늘날 별자리가 생 긴.
“ 딱과와 함께 하는 신나는 과학실험 ” - 별자리 판 만들기 - 별자리 판 만들기 하늘의 아름다운 변신.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4 케플러의 법칙.
29장 자기장.
과학 행성의 운동.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학습 목표>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 원리에 대해 안다.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공차 및 끼워맞춤.
별자리, 밤하늘의 이해 생활 속의 천문학.
대 마젤란 성운 내의 LH 95 별 형성 지역의 허블 망원경 사진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기상청 WEB 자료를 이용한 일기 예보 안산부곡중학교 교사 이 영 기.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탄생.
SCIENCE 블랙홀 조원 : 박세현, 명수지, 심민호 11월 7일 수요일~11월 8일 목요일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별의 일생(Star Lives) 발표조: 9조.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OPENGL PROJECT 별자리관측 이지은,정현정, 조은영, 황태량.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종말.
최초의 3분 Chapter 2. 우주의 팽창 Prepared by: <1조> 김경준
과학 10 학년 Ⅴ. 지구 > 3. 태양계와 은하 > 6 / 9 별, 성단 그리고 성운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순환 학습 모형을 적용한 “별의 성질” 지구과학교육과 우 수 연.
(생각열기) 축구장의 전광판에 사용되는 LED에서 나오 는 빛의 3원색은 무엇인가?
3-5. 태양계와 행성(2).
천문학 개론 별(항성)과 태양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 H-R도 ].
우주의 진화 학점 교수 : 이 상각 (물리.천문학부)
과학 1 학년 2 학기 지구>03.별의 특징은 무엇인가?(4/7) 별의 특징 수업계획 수업활동.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3-2. 지구의 크기.
Ⅸ. 별과 우주 9-3 별까지의 거리.
Ⅸ. 별과 우주 9-3 별까지의 거리.
프로젝트 6. 핵 붕괴 윤석수.
3-7. 별의 밝기와 등급(1).
(생각열기)별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답 : 별의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행성은 어떤 운동을 하고 있을까?(2) 케플러 법칙.
상관계수.
별자리[2] 밤하늘의 우주 지도 계절별 별자리 계절별 별자리 찾기 황도 12궁과 별자리.
서산여고 김광욱  VI. 지 구  태양계 탐사와 별 끝.
OPENGL PROJECT 별자리관측 이지은,정현정, 조은영, 황태량.
?newsId= &seriesId= SMSS J 136억 살 거리는 약 6000 광년 우리은하 안
3-8. 성단과 성운.
케플러 법칙.
Presentation transcript:

[ H-R도 : Herrzsprung-Russell Diagram ] 핵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대부분 안정된 별 2. 적색거성 : 태양의 수십배 크기, 표면온도 낮고, 주계열성보다 밝은 별로 적색임 태양 정도의 질량에서 반지름만 수십배로 커졌기때문에 밀도가 작음 3. 초거성 : H-R도의 우측 상단에 절대 등급 -4에서 -6등급, 태양의 수백배, 표면 온도는 낮으나 광도가 높음, 밀도는 적색거성보다 훨씬 작음 4. 백색왜성 : 표면온도 높으나 광도가 낮음. 크기는 태양의 0.1 - 0.01배 정도 중력 수축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며, 밀도는 주계열성에 비해 훨씬 큼

[ 별의 밝기, 거리, 온도, 질량과 관련한 개념 정리 ] 별의 밝기 : 별이 밝기는 등급으로 표현되며, 등급이 작을수록 밝은 별이다. 겉보기 등급(m) : 별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눈에 보이는 밝기를 등급으로 나타낸 것이다. 절대 등급(M) : 모든 별들을 10pc(파아섹)의 거리에 놓은 것으로 가정 하여 등급을 매긴 것이다. 절대 등급이 작은 별일수록 광도가 높은 별이다. 등급과 밝기 : 1등급 작은 별이 약 2.5배 밝으며, 5등급 작으면 100배 밝은 별이다. (예 : 1등성은 2등성보다 2.5배 밝다. (예 : 1등성은 3등성보다 2.5×2.5배 밝다. (예 : 1등성은 6등성보다 (2.5)5 =100배 밝다. 사진 등급 : 사진을 찍어 나타난 밝기를 기준으로 등급을 정한 것 안시 등급 : 육안 관측시 나타난 밝기를 기준으로 등급을 정한 것 사진은 푸른색에 민감하고, 육안은 붉은색에 민감하기 때문에 사진 관측 시에는 푸른별이 더 밝게 나타나지만, 육안 관측 시에는 붉은별이 더 밝게 보인다.

별까지의 거리 : 가까운 별은 연주 시차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멀리 있는 별은 거리 지수를 이용하여 구한다. 연주 시차를 이용한 방법 : 별까지의 거리(d)가 가까울수록 연주 시차(P”)가 커진다. P” d = 1 P” d 연주 시차는 공전궤도 양끝에서 별을 보았을 때 생기는 각도의 1/2을 말한다. 시차가 1 ” 인 별까지의 거리를 1pc(파아섹) 이라고 한다. 거리 지수를 이용한 방법 : 별의 겉보기 등급(m)과 절대 등급(M)의 차이를 ‘거리 지수(m-M)’라고 하며, 그 값이 클수록 멀리 있는 별이다. m-M = -5 + 5log d

주요 개념 정리 연주 시차 :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지구 공전 궤도 양 끝에서 어떤 별과 이루는 각의 절반. 시차와 거리 : 거리(r)와 시차(p″)는 반비례하며 시차가 1″일 때의 거리를 1 파섹(pc)이라 함. → r (pc) = 1/p″ 천문단위(AU : Astronomical Unit) -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1 AU) 주로 태양계내의 천체들의 거리를 나타내는데 사용 1 AU = 1.5 x 108 km 광년(LY : Light Year : 광년)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1 LY) 1 LY=약 9.5 x 1,012 km 파섹(pc : parsec) -연주시차 1“ (1/3,600°)일 때의 거리(1 pc) 1 pc = 206,265 AU = 3.26 LY

별의 표면 온도 별의 색깔로부터 알아낸다 : 청색(수 만K), 백색(10,000K), 황색(6,000K), 적색(3,000K) 색지수를 이용한다 : 색지수 = 사진등급 - 안시등급 (-)이면 고온의 푸른 별이고, (+)이면 저온의 붉은 별이다. ※ 참고: 망원경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색지수 = B등급 - V등급 = U등급 – B등급이다.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알아낸다. 별의 질량 : 별의 질량은 쌍성의 공전주기와 궤도 반지름을 측정하여 케플러 제 3법칙으로 구한다. 쌍성이 아닌 단독성의 경우는 질량이 큰 별일수록 밝다는 통계 자료(질량-광도 관계)를 이용하여 구한다. 별의 크기 : 태양처럼 지구에 가까운 별은 각지름을 측정하여 알아낼 수 있으나, 대부분의 별은 거리가 멀어서 너무 작게 보이므로 질량이 클수록 지름이 크다는 상관관계에 의해 그 크기를 유추

[ HR도상 주요 별의 위치 및 특성 소개 ] 시리우스(Sirius) 베가(Vega) 폴룩스(Pollux) 아크투루스(Arcturus) 알데바란 (Aldebaran) 리겔(Rigel) 데네브(Deneb) 베텔게우스(Betelgeuse) 안타레스(Antares)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이라고도 한다 시리우스(Sirius)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천랑성(天狼星)이라고도 한다. 큰개자리 알파별로 겨울철 대삼각형의 꼭지점이다. 실시등급 -1.47로 지구에서 8.6광년(=2.6파섹) 떨어져 있다. 질량 2.02 M⊙, 크기 1.711 R⊙, 밝기 25.4 L⊙, 표면온도 9,240K, 절대등급 +1.42, 직경 2,335,000 Km

Vega Deneb Altair 베가(Vega, α Lyrae)는 거문고자리의 알파별이며, 실시등급은 0.03으로 청백색의 빛나는 별이다. 동양에서는 직녀성(織女星)으로 유명한데 여름의 은하수를 끼고 독수리자리 알파(α)별 견우성(Altair)과 마주 하고있다. 지구에서 25.3광년 거리, 질량 2.11 M⊙, 크기 2.26 ~ 2.78 R⊙, 밝기 37 L⊙, 표면온도 9,502K, 절대등급 +0.58, 직경은 4,315,000 Km

폴룩스(β Gem / β Geminorum /Beta Geminorum)는 쌍둥이자리에서 태양 Castor Pollux Pollux 폴룩스(β Gem / β Geminorum /Beta Geminorum)는 쌍둥이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알파별인 카스토르와가 나란히 하늘에 있는 모습에서 쌍둥이자리의 이름이 나왔다. 오렌지색의 단독 거성이다. 지구에서 33.7광년 거리, 질량 1.86 M⊙, 크기 8.0 R⊙, 밝기 32 L⊙, 표면온도 4,865K 절대등급 +1.09, 직경은 11,120,000 Km로 지구의 약 1,000배 크기

아크투루스(Arcturus)는 봄 밤하늘에 보이는 별자리 중 하나인 목동자리의 알파별, 실시등급은 -0 지구에서 36.7광년 거리이며, 질량 1.15 M⊙, 크기 25.7 R⊙, 밝기 210 L⊙, 표면온도 4,300K, 절대등급 -0.29, 직경은 약 22,000,000 Km로 지구의 1,700배 크기

Aldebaran 알데바란(Aldebaran, α Tau / α Tauri)은 황소자리의 알파별로 황소의 머리 부분에 위치해 있다. 실시등급 0.85로 밤하늘에서 열세 번째로 밝은 오렌지색 거성이며, 지구로부터 65광년(=20파섹) 거리, 질량 1.1 M⊙, 크기 44.2 R⊙, 밝기 150 L⊙, 표면온도 4,100K, 절대등급 -0.63, 직경은 59,000,000 Km

리겔(Rigel, β Orionis)은 오리온자리의 β별이다. α별인 베텔게우스와 달리 백색을 띄며 오히려 더 밝다 리겔(Rigel, β Orionis)은 오리온자리의 β별이다. α별인 베텔게우스와 달리 백색을 띄며 오히려 더 밝다. 실시등급은 0.12로 일곱 번째로 밝은 별이다. 이중성(二重星)으로, 6.8등성인 동반성(同伴星)이 있다. 태양으로 부터 773광년 거리, 질량 17 M⊙, 크기 62 R⊙, 밝기 66,000 L⊙, 표면온도 10,800 K, 절대등급 -6.7, 직경은 97,000,000 Km 이고 지구의 약 8,000 배 크기

Vega Deneb Altair 데네브(Deneb)는 여름철 별자리인 고니자리의 꼬리부분에 위치한 알파별로, 거문고자리의 직녀성, 독수리자리의 견우성과 대삼각형을 이룬다. 이 항성은 청색 거성에 속하며, 실시등급은 1.25로 밤하늘에서 19번째로 밝은 별이다. 지구에서 3,300광년 거리, 질량 20~25 M⊙, 크기 200~300 R⊙, 표면온도 8,400K, 절대등급 -8.73, 직경은 200,000,000 Km

Vega Betelgeuse Altair 베텔게우스(Betelgeuse, α Orionis)는 오리온자리의 α별로 시리우스, 프로키온과 겨울의 대삼각형을 이루며, 적색을 띤 초거성이다. 실시등급은 0.45로 열번째로 밝은 별이다. 지구에서 640광년 거리, 질량 19 M⊙, 크기 900-1,000 R⊙, 밝기 135,000 L⊙, 표면온도 3,500K, 절대등급 -5.14, 직경은 900,030,000 Km로 태양의 900배에 달한다.

Antares 안타레스(Antares, α Scorpi)는 전갈자리 알파별로, 실시등급으로 16번째로 밝은 적색 초거성이다. 황도 근처에 있는데다가 화성처럼 붉은 빛을 띠기 때문에 전쟁의 신의 이름이 붙은 '화성(아레스)의 경쟁자'라는 뜻을 갖고 있다. 지구에서 600광년(=195파섹)거리, 질량 15.5 M⊙, 크기 700 R⊙, 밝기 65,000 L⊙, 표면온도 3,500K, 절대등급 -5.28, 직경은 약 1,300,000,000 Km

베텔게우스

별의 일생 별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3배 이하인 항성 태양과 비슷한 별 적색거성 백색왜성 행성상 성운

별의 일생 질량이 태양질량의3배~15배인 별의 진화  거성 적색초거성 중성자별 초신성

별의 일생 질량이 태양질량의 15배 이상되는 별의 진화 거성(giant star) 적색초거성 (red super giant) 블랙홀 (black hole) 질량이 태양질량의 15배 이상되는 별의 진화  초신성(super nova)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