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멸종과 절멸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작성일 : 작성자 : 허재승, 주현승, 김준수 ? 지구 온난화의 의미.
Chapter 4. 서식지와 개발. 2. 멸종의 원인 인간의 대규모 교란으로 자연을 변형, 악화, 파괴시켜 종과 군집을 멸 종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7 가지 인간활동 1) 서식지 파괴 (disturbance, 주로 물리적 구조 훼손 ) 2) 서식처 조각화 (fragmentation,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생태학개론 제 2 주제 : 조직의 계층구조. 1. 계층구조 계층구조 (hierarchy) - 구분된 요소들이 정돈되어 있는 일련의 계열 -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도 계층구조가 존재 - 생태계의 계층구조를 이해 → 유기체적 작용 ( 움직임 ) 을 이해.
Ⅰ-1. 인구증가 : 증가전망 인구증가 전망 인구 10억명 도달 ☞ 20만년 인구 20억명 도달 ☞ 100년 이상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태 풍 예 보 분 석 서-발 생 감 시 단 계 해수온도 850hPa 유선 해 양 상 태 일 기 도 수 평 순 환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Ⅱ. 태양계와 지구 Ⅱ-2. 지구 구성 원소와 지구계 2. 지구의 진화.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Ⅰ. 세계화와 지역이해 - 다양한 지리정보의 활용.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직장 내 성차별에 관한 조사 -
Chapter 5. 외래종과 질병.
사회적 비용&외부효과 이별희 최미니.
1-1 일과 일률.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시스템이해 행동이해 개체군이해 생물다양성 + GIS 친환경생태계관리 곤충생태학연구실 국립 안동대학교
멸종 위기종의 종 보존위한 노력들 윤세희.
01 대기 오염 02 수질 오염 03 토양 오염 04 해양 오염 05 우주 쓰레기 06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FSC란 전지구적으로 환경문제가 심각히 대두되어 감에 따라서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유엔환경개발회의 (UNCED) 에서 전 세계의기후변화에 따른 후속조치와 관련하여 산림분야의 대응책으로써 FSC의 발족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산림인증제도는 산림경영단위에서의 지속.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지구온난화 보고서.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자원과 환경: 지구의 선물, 그 빛과 그림자 강원대학교 지질지구물리학부 유재영.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바나나는 왜 싸지? -값싼 바나나의 숨겨진 비용.
Wild Fauna and Flora of Korea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Love경남 시사탐구팀 전문화교육 (화)15:10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 이종은 /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사무처장
생물다양성협약과 람사르 협약의 목적 미생물학과 황현지.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과학 자유 탐구 모둠 이름 : 고구마 조 모둠 원 1번 김다영 11번 송은영 12번 안승연 13번 이다빈.
거인족에 대한 증거.
3-5. 태양계와 행성(2).
제4장 세계화 이슈 제1절 세계화와 빈곤 제2절 세계화와 환경 제3절 세계화와 노동 제4절 세계화와 지역화 논쟁.
비열.
지진 . Earth quake.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8장 진화론과 종의 분화 생 명 과 학 과 동물생태학 실험실.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목명 : 중학교 사회 3학년 단원명 : Ⅵ. 인구 성장과 도시 발달 3. 인구 및 도시 문제 (교과서 p )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에너지 공학 제 5장 PRESENTATION 에너지 소비량의 CROSS-CHECK CNU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장소 의미 장소의 특징 일상 생활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생활공간,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과 인식에 바탕을 둔 공간
위험도 인식 Munch - The scream.
긴급 공지 사항 중간고사를 부득이한 사정에 의해 치르지 못한 학생들은 사유서를 관련 서류와 함께 목요일까지 자연대 2호관 309호에 제출해 주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기회를 얻지 못하니 반드시 기간을 엄수해 주기 바라며 서류 제출이 늦어질 경우 사전에 연락 바랍니다.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2. 세계의 종교 분포와 경관 ① 세계 주요 종교의 분포와 확산.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② 문화 행사와 관광 산업의 효과.
복원생태학 최 수은.
Envoronmental Biology
모세관 현상과 표면장력 원리 학번 : 이름 : 황규필.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고령화 사회 이렇게 해결! (고령화 사회 해결방안)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Envoronmental Biology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3. 멸종과 절멸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협)

절멸(extinct): 그 종의 구성원이 지구상 어느 곳에도 남아있지 않는 경우(예: 휘파람새) 1) 야생에서의 절멸(extinct in the wild): 한 종이 포획된 상태에서만 살아있는 경우  범지구적 절멸(globally extinct)이 됨(예: 프랭클린나무) 2) 국지적 절멸(locally extinct): 원래 서식 장소에서 발견되지 않지만 다른 서식처에서는 발견되는 경우(예: 얼룩이리[Gray wolf]) 3) 생태학적 절멸(ecologically extinct): 군집 내 다른 종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정도로 적은 수로 감소되는 종류(예: 호랑이)

1. 인위적 원인에 의한 멸종

-최근의 감소원인: 종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 때문

- 멸종은 자연적으로도 일어날 수 있으나, 현재 일어나고 있는 멸종의 99%이상은 인위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다(Raup and Stanley, 1978)

2. 바다와 대륙에서의 멸종 - 종의 분포가 1-2군데에 불과하거나, 국지적인 분포만을 하기 때문 - 대륙에 비해 섬 지방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수행되었기 때문 - 도서지역의 고유종 수가 대륙에 비해 많음 (예: 하와이 식물의 91%가 고유종, 벌채, 정착을 위한 개발 등으로 10%가 이미 절멸, 나머지의 40%도 절멸위기에 놓임, 마다카스카르(9500종 중 68%가 고유종, 255종은 절멸의 위협을 받고 있음(WRI, 2000)

3. 도서생물지리와 최근의 멸종 - 도서 생물지리학 모델(island biogeography model) - 섬의 면적과 종 다양성에 관한 관련성(섬이 크면 다양성도 높다) (1) 면적이 넓을수록 환경과 군집의 유형이 다양 (2) 지리적으로 격리되어있고 (3) 한종 내 개체군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종 분화의 가능성이 높아짐

서식처가 파괴될 때 멸종하게 될 종은 종-면적(species-area)의 관련성을 통해 숫자와 백분율로 예측가능 (1) 섬(서식처로서의 섬)의 50%가 파괴  10%가 멸종 (2) 90% 서식처 파괴  50%가 멸종 (3) 99%의 서식지가 사라지면  원래 종 75%가 멸종

서식처 감소에 따른 멸종속도 예측의 차이-종과 면적, 벌채의 비율, 수학적 접근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1) Wilson(1989): 전 세계 열대우림의 1%가 매년 파괴 된다면  전체의 0.2-0.3%가 매년 사라짐(전세계종이 5백만종이라면 10,000-15,000종) (2) Koopowitz et al.(1994): 1년 마다 2-11%가 멸종 (3) Ferraz et al.(2003): 아마존 숲이 100ha 로 조각화(fragmented) 되어 15년 동안 조류의 절반이 사라졌고, 10,000ha의 큰 숲도 조각화 되면 100년 동안 수많은 종을 잃게 될 것이다. (4) Brooks et al.(1999): 케냐의 숲을 1,000 ha로 조각화  50년 동안 조류의 절반이 멸종하고, 10,000 ha로 하면 100년 안에 절반이 멸종.

2. 멸종의 원인 인간의 대규모 교란으로 자연을 변형, 악화, 파괴시켜 종과 군집을 멸종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7가지 인간활동 1) 서식지 파괴(disturbance, 주로 물리적 구조 훼손) 2) 서식처 조각화(fragmentation, 절편화, 단편화, 조직화) 3) 서식처 쇠퇴(degradation, 오염을 포함한 질적 저하를 의미) 4) 범 지구적 기후 변화 5) 인간을 위한 천연 생물자원의 과도한 이용 6) 외래종의 침입 7) 질병의 확산 멸종위기 종들은 7가지 원인 중 2가지 이상에 노출되어 있음. 직접원인: 1)-7)의 모든 요인 상승작용과 인구증가로 인한 자원의 이용 증가, 자연자원의 비효율적, 불균등한 사용(선진국과 개발국의 차이)

그림. 인구증가: 인구는 17세기 이후 급속히 증가했다 그림. 인구증가: 인구는 17세기 이후 급속히 증가했다. 현재의 증가율이 유지 된다면, 2050년 세계인구는 100억 명에 도달할 것이다.

선진국과 비선진국의 차이 미국: 전세계 인구의 5%, 세계자연자원의 30% 사용 - 1인당: 미국과 인도의 에너지=17:1, 종이=79:1(WRI, 2000), 알루미늄=34:1, 인산비료=58:1 - 환경에 인간 개체군이 미치는 영향(I)=PAT (P=인구 수, A=평균수입, T=기술수준[Rees, 2001])  주변 국가나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뉴욕의 초콜릿 cake과 커피: 콜롬비아 열대림의 파괴를 가속화 시키는 농법을 이용하는 농장에서 왔을 수 있다) 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한 그룹의 인간이 주위 환경과 지역들에 행하는 환경영향을 의미 - 개발도상국: 인구증가억제, 생물다양성 보호가 필요, 개도국의 중산층은 선진국을 답습하지 말아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