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묘목 재배적지 분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빅 데이터의 정의와 특징 빅 데이터의 이용사례 빅 데이터의 문제점 or 한계점 빅 데이터의 전망.
Advertisements

2. 민주주의의 시련과 경제 개발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과 그 성과는 ? Ⅹ. 대한민국의 발전.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번 김현지.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BC 5 에 하남 위례성에서 천도해 온 이후 신라 문무왕 12 년 (AD 672) 토성 ( 주장성, 일장성라 칭함 ) 으로 축성하였고, 조선 광해군 13 년 (1621 년 ) 에 후금의 침임을.
범 례 공익용산지 지적선 임업용산지 행정경계 준보전산지 대상지역 비고 : 1. 측량의 기준 : 한국측지계 2. 투영법 : 횡단 메르카토르도법 ( 타원체는 베셀타원체 ) 3. 높이의 기준 : 인천만의 평균해면 4. 본 지도는 지적이 표시된 수치지형도 또는 지적선을 기준으로.
73357 이미경. 대지위치 위치 : 여수시 중앙동 446 번 지일대 면적 : 1015 ㎡ 건폐율 : 60% 용적률 : 1300%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한국지리 Ⅱ. 국토의 자연환경. `1. 기후와 생활 기후요소 기후인자 기후구분 국지기후 식생과 토양의 분포.
영문중학교 1 학년 5 반 이서빈, 이지수 모둠  대기오염의 원인  (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연료소비 등 )  대기오염의 피해  ( 산성비,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인체에 직접적인 영 향, 실내공기오염 등 ) 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대기오염 해결방안.
Journal Citation Report Thomson Reuters 한국 지사. 해외전자정보 서비스 이용교육 Page Journal Citation Report 접속 RISS- 해외전자정보서비스이용교육 2 Journal Citation Reports 전 세계의 주요.
제 7 회 모바일포럼 – The Revolution 자율주행차와 차량호출서비스 기회의 실현가능성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 이현승 선임연구원.
베트남의 문화 & 경제 경영학과 김태성 경영학과 김시홍 벤쳐중소 전석곤 정통전공 송성식 전기공학 박주영 경제학과 서준영.
LHC 데이터 처리 Grid computing
LG전자 트롬을 위한 기획안.
고장의 중심지 답사 보고서 3학년6반
설계도.
양평동 동아 프라임 밸리 분양 안내자료 건축 개요 조 상 오 과장
측량학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ASC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HomeNetWork의 개념과 실생활의 예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수업명 또는 그 외 PPT 주제를 넣으세요 PPT주제를 영어로.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주제 : 화면설계) 학번 : 성명 : 한형진.
라일건설주식회사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 28 라일 플로리스 신축공사.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이훈열 교수 참고문헌: 이희연, GIS 지리정보학, 2004.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제1장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자료와 수집 제3장 자료 분석 방법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전략경영 00. 오리엔테이션.
국가균형발전과 환경정책 - 기업경영 관점에서의 고찰 한국 환경 경영 학회 부회장 차 근 호.
산 지 구 분 도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내광리 일원 ( 보전산지 지정 [ 준보전 ▶ 임업용 ] ) 범 례 공익용산지 지적선
산 지 구 분 도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 산99-3 ( 보전산지 해제 [ 공익용 ▶ 준보전 ]) 범 례 공익용산지 지적선
기존점주용 파리바게뜨 (OOO) 영업지역 확인서
학습주제 남부 지방의 위치와 지형 학습목표 · 남부 지방의 위치적 특징을 이해한다. · 남부 지방의 지형적 특징을 파악한다.
AMC-2300 주차장 연동 구역 설정 방법 작성일자 : 2016년 07월 25일 INTER-M C/S팀 김성배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공원/녹지 김영록,한규환.
FileMaker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옥현진(KICE).
Chapter 03. 관계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 베이스 DB2 관계형 데이터 모델 권준영.
부동산 매물 소개 강릉시 연곡면 퇴곡리 소유자 연락처 : 010 –
웹사이트 분석과 설계 (화면 설계) 학번: 성명: 박준석.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철 학 과 변창준 조경학과 강동현 지리학과 강정옥 지리학과 윤기섭
국가연구개발과제 회의비 가이드라인 연구활동비(회의비) -시간 회의비 시간 11시 5시 밤 11시~오전 5시대까지 회의비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2. 연립부등식의 영역 (3/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1. 부등식의 영역(2/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대한민국의 땅, 독도.
메타검색 이용안내 전자자원 통합검색 2011 중 앙 도 서 관.
매물개요 엘림공인중개사 토지현황 상세설명 구분 내 용 소재지 광주시 퇴촌면 오리 136외4 대지면적 건축면적 용도지역 주용도
1. 지도에 나타난 우리 시도의 모습 2-3/17 지도를 알아보자.
잠실 파크리오 2008년 완공 66개 동, 6864세대 구성 18평, 25평, 32평, 33평, 45평, 46평, 51평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행사 개요 행사 구성 1-3. ‘저탄소 녹색성장’ 을 주제로 하는 테마행사 1 녹색생활 체험 자전거 레이스 2
사회 1학년 2학기 4. 북부 지방의 생활>1. 대륙의 관문(2/9) 산지가 많은 지역.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Ice Flow of the Antarctic Ice Sheet
마케팅 의사결정과정 시장조사 의사결정 시장 상황 분석
의학도서관 iThenticate Manual.
WISE DQ.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5.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01.지구적 차원의 환경 문제 02.국경을 넘는 환경 문제 03. 일상생활과 환경 문제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1학기 2학기 전문교양 DU생활설계(1)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지방자치단체의 장 (시·도지사 또는 시 · 군 · 구청장)
Presentation transcript:

소나무묘목 재배적지 분석

재배적지 관련 논문 김충실, 1998, 농업 지리정보시스템(GIS)구축과 적지적작 모형 설계 적지적작의 개념과 모형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론 제시 이외에도 적지적작에 관련된 방법론 제시한 논문이 다수 있다.

김윤영, 2001, 인삼정보시스템 구축 및 이를 활용한 재배적지 분석(금산지역) 다양한 자료를 확보하여 인삼정보시스템을 구축, 금산지역을 대상으로 실제 적지분석 실시 임용호, 2000, GIS를 이용한 거제도 유자재배 적지분석 토양도와 지형도를 이용한 거제도의 유자재배 적지 분석 사례

소나무 굳굳한 기상과 절개 그리고 장수의 상징 한국의 전통적 조경수로써 오랜 역사 최근, 우리 고유의 전통 문화에 대한 애착과 인식전환 경복궁의 소나무 출처: http://cafe.naver.com/isaland/1611

조경수로의 활용 사례 인천시 ‘꿈에그린’ 아파트 출처: http://cafe.naver.com/idreamgreen/4649

인천시 구월동 ‘롯데캐슬’ 아파트 상주시 푸른도시 조경 출처: http://cafe.naver.com/mynamdong/158 출처: 이비뉴스, 08/04/09

소나무의 생육환경 양지 식물 하한계선 100m, 상한계선 900m 가급적이면 평탄지가 좋다. 많은 일조시간을 요구한다. 하한계선 100m, 상한계선 900m 500m내외의 지대가 중심 가급적이면 평탄지가 좋다. 건습도에 강하나 과습한 지역은 불량 알칼리성이나 중성토양보다 산성토양이 좋다.

의성군 자연환경 의성군 안평면 일대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사이에 위치 노년기에 이른 구릉지대

하천 의성군 내의 하천은 모두 낙동강 수계 안평면에서 발원하는 하천 삼표산과 윗재 박곡리에서 합류

의성군 사회경제환경 교통이 편리한 위치

전체면적 중 경지면적 18.7% 주요 농산물로는 마늘과 고추 축산업도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지역 특산품 개발 예: 의성마늘소, 의성황토쌀 등 농공단지의 섬유공업 및 식품가공업

연구 지역 의성군 안평면 박곡리 일대 출처: http://cafe.naver.com/kjs7/145

안평면 의성군의 중심에 위치 북쪽 삼표산과 동쪽의 윗재에서 발원하는 소하천이 박곡리에서 합류, 남쪽으로 흐름 유역에 소규모 평야 박곡리의 유래: 양지(陽地), 괴산리에서 보았을 때 양지쪽에 마을이 있기 때문

10km 8km 박곡리를 포함하는 일대를 임의로 선정 출처: 안평면 홈페이지

활용 주제도 수치 지형도 축척: 1: 5000 속성: 등고선, 도로, 행정경계 등

수치 정밀토양도 축척: 1: 5000 속성: 면적, perimeter, 토양통 등 속성정보

토양도 관련 기사 출처: 연합뉴스

적지분석 과정 소나무묘목 재배적지 기준 설정 DB 구축 수치지형도 수치정밀토양도 행정구역, 도로 등고선 고도 경사 사면방향 토양물리적 성질 토양화학적 성질 토성 배수 pH 유기물 Total Score 가중치/점수 소나무묘목 재배적지 선정

소나무묘목 재배적지 기준 지형의 기준 및 가중치 토양의 물리적인 기준 및 가중치 토양의 화학적인 기준 및 가중치

지형도 적지 분석 TIN 사면방향 경사도 고도

각 layer를 Union하고 벡터 데이터로 가중치 부여 후 각 layer를 Union하고 벡터 데이터로 지형도 적지분석 결과

토양도 적지 분석 토성, 배수, 산도, 유기물 속성 입력 토성 가중치 부여 결과 pH 가중치 부여 결과

각 속성별로 다시 가중치 부여 물리적인 속성 20%, 화학적인 속성 30% 토양도 적지분석 결과

결과 부적지 가능지 적지 지형도 적지분석 결과 + 토양도 적지분석 결과

55번 중앙고속도로 5번 일반국도 단촌면 지방도 박곡리 안평면 의성읍

현지 조사 도로와의 접근성 박곡리 야산의 소나무

분석과정의 문제점 데이터의 한계 가중치 부여의 객관성 확보 실생활에서의 적용? 소나무의 다양성 토양의 화학적인 성질의 경우 임의로 속성 설정 가중치 부여의 객관성 확보 적지가 도로를 따라 나타난다. 지형적 기준의 가중치 부여가 크기 때문 실생활에서의 적용? 소나무의 다양성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토양전자지도 시스템 속성 데이터의 부족

개선 사항 전체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고, 가중치의 객관성이 확보된다면 재배적지 분석시 과학성이나 객관성을 가질 수 있다. GIS의 강점인 지도 중첩이 다양한 속성을 포함하는 데이터 분석을 편리하게 한다. 또한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연계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참고 문헌 소나무 소나무림, 1999, 임업연구원 숲과 문화 연구회, 소나무와 우리 문화, 1999, 수문출판사 윤영활, 전통조경수로서의 소나무의 상징성과 배식 및 이용, 1999, ________ 임용호, GIS를 이용한 거제도 유자재배 적지분석, 2000, 지리학논구 20호 정석재 외, 토양의 형태 및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고추재배 적지 기준 설정, 2004, 한국토양비료학회지 제37권 5호

감사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