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 실시와 해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Advertisements

소명의식 기본심리욕구 소명실행 1) 삶의 만족 2) 심리적 안 녕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일 가치감 일 목적지향 천직의식 기여와 헌신동기 이타행동 가설 1.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화초등학교 5-3 최단비. 목 차 1. 실험 동기 2. 실험 방법 3. 가설 4. 실험 과정 5. 실험 1~8 6. 실험결과 7. 결론 8. 더 알고 싶은 점.
Internet Addiction Disorder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다면적 인성검사 MMPI-A(청소년용)의 활용법 MMPI-A 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백용매 교수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합리정서행동요법(REBT) Albert Ellis(1956)
경제생활 속의 자유와 경쟁 6학년 3반 4번, 7번 성 주은, 양 민서.
MBC 손에 잡히는 경제 - 직장 내 성차별에 관한 조사 -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MMPI (김재환 교수님 글 발제) 심리검사.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Multi Intelligence Theory
2012년도 교직이수자 2차선발자 대상 인•적성 검사 실시 안내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인생태도 욕구 이론 기본적 인생태도의 개념 : 양친과의 스트로크를 바탕으로 하여 배양되는 자기나 타인 또는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반응이자 태도이다. 또는 그것에 기인하는 자기상(自己像)이나 타인상(他人像)을 말하며 기본적 인생태도 대부분은 부모로부터 어떠한 스트로크(긍정적,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과연 남아 있는 자리에 어떤 사람들을 태워야 하는 것일까 ?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면책 동의서 보호자 동의서 (탑승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Multi Intelligence Theory
Term Projects 다음에 주어진 2개중에서 한 개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시오. 기한: 중간 보고서: 5/30 (5)
교육진단검사 PEP-R.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학과 : 국제개발 협력 대학원 과목명 : 국제 경영학과 담당 교수 : 백종희 학번 : 성명 : 샤르마 샤르원 발표 일 : 제 2 장 경제학 연구의 방법 경제학 들어가기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강력한 설득의 도구” Presentation Smarteg.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INDEX 제1장 - 마음으로 주는 것 -NVC의 핵심 제11장- 보호를 위해 힘을 쓰는 일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Stress와 적응 Stress의 원인 Stress의 주요 유형 Stress 평가 요인 Stress에 대한 반응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1장 이상심리는 어떤 학문인가? 이상심리.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자녀의 심리적 안정도에 미치는 부모요인 분석.
리더십 스타일 알아보기 (피들러) *** 당신이 지금까지 경험했던 사람들 중 가장 같이 일하고 싶지 않은 사람을 한 명 생각해 내고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다음 문항에 대하여 평가하시요. 쾌활한 사람 쾌활하지 못한 사람 ____ 친절하고 다정한.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종이의 종류의 따른 물 흡수량 수원초등학교 6학년 이형민.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상관계수.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나의 꿈! ☆ 6학년 2반 26번 최수인.
Ch 07. 조사 도구 개발 조사 도구 개발 과정 조사주제 •가설 정의 개념화•조작화 척도 질문지 구성-원칙과 양식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MMPI 실시와 해석

1. MMPI의 제작목적 strake Hathway 박사와 J. Charmley McKinly 박사에 의해 1943년에 출판. 집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필식 성격검사를 사용하여 적절한 진단 명칭을 부여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 경험적 방법으로 척도 구성(기존 검사들은 대부분 논리적인 방법으로 개발)

2. 임상척도의 개발 ①잠재적 예비 문항개발-정신의학 사례보고서 2. 임상척도의 개발 ①잠재적 예비 문항개발-정신의학 사례보고서. 사회적 태도 측정 기존 문항 504 ②정상집단와 임상집단을 선정 -우울증 히스테리 반사회성 편집증 강박증 정신 분열 경조증 하위 집단 ③504문항 검사 실시 ④교차 타당도를 위해 새롭게 구성된 임상집단과 정상집단에 검사 실시 ⑤이후 두 개 척도 추가-남성성 여성성척도. 사회적 내향성 척도추가

3. 타당도 척도의 개발 수검자가 의도적으로 왜곡하거나 거짓으로 응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개발 ① 알 수 없다(Cannot Say, ?)척도:특정문항이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척도라고 할 수 없다. ② L 척도(Lie, 15문항):심리적으로 세련되지 못한 단순한 사람들이 자신을 좋게 보이려는 시도를 측정한다. ③ F척도(Infrequency, 64문항) 정상성인의 10%이내의 사람들만이 비정상적인(채점되는)방향으로 대답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④ K척도(Correction, 30문항) 명백한 심리적 문제가 있던 사람이 임상척도가상승하지 않은 사람과 정상인과의 반응을 비교하는 경험적 방식으로 제작. L척도보다는 보다 은밀하게 그리고 보다 세련된 방어를 하는 사람들에게서 측정된다.

4. MMPI 활용 방식의 수정 ①특정한 임상적 진단을 분명한 구분을 하는데는 실패. 각 척도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기에 오직 한 개의 척도만 상승하기는 어려웠다. ② 처음 명명하였던 임상 척도와 병리의 변별력은 제한적 성공만을 거뒀지만 각 피검자의 상태에 따라 신뢰할 만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피검자의 성격특성과 행동을 기술 할 수 있게 됌. 즉 4-9패턴, 123패턴 등등.

즉,척도명이 높다고 그 병리로 해석해서 안됨 척도의 이름은 MMPI의 개발 당시 기준 정신병리집단의 이름을 붙인 것 즉,척도명이 높다고 그 병리로 해석해서 안됨 척도의 이름은 MMPI의 개발 당시 기준 정신병리집단의 이름을 붙인 것 지금은 그 의미가 약해짐 4번 Pd가 높다고 곧 반사회적 성격장애는 아님 8번이 높다고 곧 정신분열증은 아님 척도 이름 대신에 척도 번호를 쓰기

5. MMPI-2의 개발의 필요성과 목적 ①MMPI 표준화 연구에 미네소타 주의 백인. 35세 기혼자. ②표현이 너무 낡거나 구식. 가루 수면제. ③성차별적 단어. 기독교적 내용 ④원판과 연속성을 유지시키는 방향으로 -방대한 양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기 위해. ⑤ 1989년 출간 ⑥ 원판 문항 550개 포함. 83문항 수정, 새로운 문항 154개 포함 ->그 중 567문항 선택

6. MMPI로 얻을 수 있는 정보 신경증적(neurotic)및 정신병적(psychotic)증상, 행동 및 성격장애 등을 측정한다. ①일반적인 적응수준, ②증상행동과 방어 양식, ③문제행동의 원인 및 심리적 역동, ④진단분류 즉 정신과적 장애의 특성과 교란의 정도와 양, ⑤적절한 치료적 접근, ⑥상담효과 측정 등에 대한정보

7. MMPI의 실시 ① 대부분의 정상인에서 검사 소요시간이 60-90분 ② 피검사자의 독해력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보통 초등학교 이상의 정규교육 필요 ③ 연령은 12세 이상, 지능은 아이큐 80이상은 되어야 한다. ④ 어떤 경우에도 검사자와 피검사자간에 래포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가능하면 검사자의 감독 하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⑤ 질문에는 친절하게 답변해 주어야 하며 대답을 할 때에는 현재의 상태를 기준으로

8. MMPI 2의 새로운 타당도척도 VRIN(variable response inconsistency) 내용면에서 유사하거나 정반대인 문항들로 짝지워져 있어서 일관성있게 반응했는지를 검토할 수 있음. 부적응 때문에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는 것 68코드유형의 43%가 불일치를 보임 즉 사고장애의 여파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 or 우유부단함 반영

TRIN(true response nconsistency) 문항 내용과 상관 없이 무분별하게 그렇다로 응답하는 경향을 탐지. 특히 all-yes 탐지에 효과적 ex.3. 아침에 일어나면 대개 상쾌하고 잘 쉬었다는 기분이 든다.(예) 39. 잠을 깊이 들지 못하고 설친다.(예)

Fp 척도 비전형 정신병리 척도 정신과 환자들마저도 거의 채점되지 않는 문항. 증상을 과장하여 꾸미는 경향을 더 효과적으로 탐지 해냄. 해석 가설: F에 준하되, - F가 주로 psychoticism을 반영한다면, FB은 acute distress & depression을 반영

S(과장된 자기제시) 척도 자기 자신을 매우 정직하고 책임감 있고 심리적인 문제가 없고 도덕적 결점이 거의 없고 타인과 매우 잘 어울리는 사람인 것처럼 드러내는 경향 비행기 조종사로 지원한 남성과 정상 표본 남성을 비교하여 상정 다섯 가지 차원으로 구성 1. Belief in human goodness: 104. 사람들은 대부분 들키는 게 무서워서 정직한 것이다(아니오) 2. Serenity: 196. 무엇인가에 대해 나는 자주 걱정한다(아니다) 3. Contentment with life: 534. 다시 태어난다 해도 내가 살아왔던 인생을 많이 바꾸지 않겠다(예) 4. Patience and denial of irritability and anger: 213. 나는 쉽게 화내고 쉽게 풀어진다(아니오) 5. Denial of moral flaws: 264. 나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시곤 한다(아니오)

FBS(부정왜곡) 척도 상해에 대한 보상을 청구하는 사람들 중 정서적 고통을 허위로 만들어내는 경향을 탐지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나 타당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밟혀짐. 증상을 꾸미는 것보다는 전반적인 부적응 및 신체적 불편감을 더 잘 측정.

9.MMPI 임상척도 척도 1 :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Hs : 33문항) 신체기능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신경증적 걱정 및 이러한 증상들이 다른 사람을 조정하는데 사용되고 있지 않은가의 여부를 측정한다. 심리적 의사 표현을 몸으로 함. Hs 높은 사람들의 수동적, 의존적, 억압적 특성

척도 2 : 우울증(Depression) 비관 및 슬픔 등 우울한 기분을 측정한다. 주관적 우울감(Subjective depression) • 즐거움이 없고, 비관적, 굼뜨고 에너지가 없음 • 73. 나는 확실히 자신감이 부족하다. 정신운동지체(Psychomotor retardation) • 대인관계에 참여하려 들지 않고 꼼짝하지 않으려 함 • 233. 나는 무슨 일이든 시작하기가 어렵다. 신체 기능 저하(Physical malfunction) 정신적 멍함 혹은 둔감성(Mental dullness) 오랜 반추~(Brooding)

척도 3 : 히스테리(Hysteria) 자신은 사회적으로 잘 적응하고 있고 아무런 심리적, 정서적 장애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을 나타내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사회적 불안 부인(Hy1,12) 사회적 외향성이 특징적임. 애정욕구(Hy2, 12) 자신이 타인에게 비판적이며 화난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서툴게 부인함. 그들은 남을 결코 벌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타인에 대한 신임이나 낙천성을 지나치게 주장함. 권태-무기력(Hy3, 15)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기능이 떨어졌다고 호소하며, 괜찮은 것처럼 보이려 애쓰나, 항상 주의와 위안을 필요로 함. 신체적 증상(Hy4, 17) 감정의 억압이나 전환을 시사하는 신체적 장애를 나타냄. 공격성의 억제(Hy5, 7) 타인과의 일치를 강조하며 폭력을 부인함.

1번, 3번 척도의 신체증상 비교 1번 Hs의 신체증상은 • 내과적이고 • 여러 가지이며 모호하고(multiple vague somatic complaint) • 삶의 일상적 모습을 담은 평범한 것(예컨대 ‘변비’, ‘소화불량’) 3번 Hy의 신체증상은 • 신경과적 질병을 의심케 하고 • 한 두 가지이며 구체적임(focal, specific) • 그리고 극적이어서 주목을 끔(예컨대 ‘혼절’, ‘마비’) • 심리적인 성숙도에 있어서는 1번보다 더 낮음

척도 4 : 반사회성(Psychopathic Deviate, ) 반사회적 성격으로서 비도덕적인 성격 경향을 측정한다. 가정불화(Pd1, 9) 가족의 간섭에 거역하려 함. 권위불화(Pd2, 8) 사회적 규율이나 관습 및 부모의 기준에 대하여 거부하려 함. 사회적 안정성(Pd3, 6) 대인관계 불안을 부인하며 공손을 과시하고 의존욕구를 부인함. 사회적 소외(Pd4a, 13) 타인으로부터 고립감을 느끼며, 소속감이 결여되어 있고 자신의 곤란에 대한 책임을 외부로 돌리고, 사회적 관계에서 만족을 못 느낌. -------------------------------------------------------------------- 내적 소외(Pd5b, 11) 자기통합이 결여되어 있고, 죄책감을 인정하며 의기소침함. 소외(Pd6, 24) 이 소척도는 Pd4a와 Pd5b의 합과 같음.

내적 소외(Pd5b, 11) 자기통합이 결여되어 있고, 죄책감을 인정하며 의기소침함. 소외(Pd6, 24) 이 소척도는 Pd4a와 Pd5b의 합과 같음. 4번의 핵심방어기제는......numbing out • 냉담하게 만들기 혹은 각화 • 여린 면을 숨기고 냉담하게 살기로 마음 먹은 사람들?

척도 5 : 남성성 - 여성성(Masculinity-Femininity) 직업 및 취미에 대한 관심, 심미적 및 종교적 취향, 능동성 - 수동성, 대인 감수성 등을 측정한다. 자기도취-과잉민감성(Mf1, 18) 타인의 반응에 민감하고, 항상 걱정하며, 쉬이 마음 상하고 기분 나빠짐. 정형화된 여성적 흥미(Mf2, 14) 정형화된 남성적 흥미의 부인(Mf3, 8) 이성불안-수동성(Ma4,4) 동성애 충동을 인정하나 성적인 문제에 대하여 이야 기하는 것을 불편해 함. 내향성-비평성(Mf5, 7) 요란하고 활동적인 사교적인 모임을 즐기지 않으며, 편하게 느끼지도 않음. 사회적 회피(Mf6,9) 주도적이며 빼어난 역할을 할 수 있는 여러 사회적 및 문화적 활동에 대한 기호를 부인함.

척도 6 : 편집증(Paranoia) 대인관계에서의 민감성, 의심성, 집착증, 피해의식, 자기정당성을 측정한다.

척도 7 : 강박증(Psychasthenia) 만성적 불안이나 심리적 고통을 측정한다. “재앙화(catastrophizing)”: 작은 것도 부풀려서 걱정함 • 사건을 위협적으로 평가하고, 자신의 대처능력은 무력하게 평가함 강박적 특성: 역기능적 완벽주의 불완전감, 불충분감. 즉 일을 완벽하고 확실하며 자신의 통제 아래에 두려고 하나 뜻대로 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불안, 걱정, 긴장 실수하지 않으려는 과도한 걱정. 예견.

척도 8 :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기괴한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보이는 정신적 혼란을 측정한다. 사회적 소외(Sc1a, 16) 타인과의 공감능력이 결여되어 있고, 의미 있는 관계형 성을 기피함. 정서적 소외(Sc1b, 10) 자기가 무엇을 느끼는지도 잘 모르며, 자기 자신이 낯 설고 이질적인 존재 같음. 정서적으로 냉담하고 무감 동적이며, 왜곡되어 있음. 자아통합 결여, 인지적(Sc2a, 8) 본능적 사고과정의 지배를 받으며, 비현실적, 비논리적 인 생각을 가지고 있음 자아통합 결여, 동기적(Sc2b, 12) ‘심리적 위약’을 느끼며의욕상실, 무력감, 과도한 억제 및 퇴행을 보임. 자아통합 결여, 억제부전(Sc2c, 11) 충동억제가 불가능하다고 느낌.이질적인 정서적 경험과 더불어 충동이나 감정의 노예가 되어 감정의 해리를 보 임. -------------------------------------------------------------------- 기태적 감각경험(Sc3, 19) 자기 자신 및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지각의 변화를 느 끼며, 이인증(depersonalization)과 소원감(estrange -ment)을 가지고 있음.

척도 9 : 경조증(Hypomania) 사고의 비약, 정서적 고양, 과잉활동성 등을 측정한다

척도 0:사회적 내향성 사회적 접촉의 회피, 대인관계의 기피, 비사회성들의 성격요인을 측정한다. 열등감-불편감(Si1, 27) 대인관계 기술의 부족으로 인하여 불행하고 불편하게 느낌. 대인관계 불편(Si2, 14) 다른 사람과 함께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자기주장에 문 제가 있음. 신중함-경직성(Si3, 16) 적극적으로 사회적 집단에 참여하려는 흥미가 결여되어 있음. 과민성(Si4, 10) 타인의 반응에 예민하고, 수줍어 하며, 쉽게 당황해지고, 일반 적으로 불안함. 스트레스 상황과 직면하기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음. 불신(Si5, 12) 다른 사람을 정직하지 못하고 불성실하며 이기적이라고 생각 함. 신체적 관심(Si6, 10) 신체적 장애가 있고 외모에 대한 관심이 많음.

10. 각 임상척도의 기본 차원 Hs(1) : 신중성(conservation)양심적이고 사려가 깊으며 조심스럽고 진실함. 신체적 변화에 민감하고 온도, 광선과 같은 환경적 변화에도 민감함. D(2) : 평가(evaluation)선과 악, 옳은 것과 그른 것을 가려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현실적, 객관적, 사려가 깊은 성향이 있음. 스트레스↑ : 일시적으로 걱정과 불안에 빠지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와 더불어 죄책감에 빠짐.

Hy(3) : 표현(expression)감정이 풍부하고 예민하고 너그럽고 정이 많고 낙천적이고 우호적임 Hy(3) : 표현(expression)감정이 풍부하고 예민하고 너그럽고 정이 많고 낙천적이고 우호적임.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며 좋고 나쁜 것이 분명함.,.스트레스↑ : 심신장애나 부인(denial) 방어로 변모. Pd(4) : 주장성(assertiveness)자기 주장적이고 솔직하고 모험적이고 진취적임. 새로운 생활에 빨리 적응하며 정력적이고 선도적임. Mf(5) : 역할유연성(role flexibility)남자: 광범위한 취미를 즐기는 사람. 재미있고 참을성이 많고 복잡하고 통찰력이 높음. 예민하고 호기심이 많으며 자신과 타인을 잘 이해하고 비행을 범할 가능성은 별로 없음.

Pa(6) : 호기심(inquiring)호기심이 많고 탐구적이고 의문이 많고 통찰력과 판단력이 있음 Pt(7) : 조직화(organization)조직하는 능력이 있음. 시간엄수, 질서정연하게 행하는 능력이 있음…스트레스↑ : 지나치게 걱정을 많이 하고 우유부단하며 극히 사소한 일에 집착하는 등 부적응적 행동을 보임.

Sc(8) : 상상력(imagination)자발적, 전위적, 창조적, 상상력이 우수함…스트레스↑ : 비현실적, 기태적인 행동으로 변모함. Ma(9) : 열의(zest)열성적, 적극적이고 말이 많고 다재 다능하고 다정함. 다른 사람까지도 적극적이게 만들기도 함…스트레스↑ : 피상적, 신뢰성 결여, 일의 끝을 맺지 못함. Si(0) : 자율성(autonomy)독립적, 기지가 있음…스트레스↑ : 대인관계 기피.

11.MMPI 의 해석 1. 해석과정 1) 신상 자료(demographic data) 고려 ③ 교육수준: 교육수준이 높은 사람들은 덜 일탈된(더 세련된) 방식으로 응답하는 경향

2) 의뢰사유 확인:심리 검사를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의 질문이 명확해야 그 목적에 맞게 심리검사를 실시하고 초점있는 해석을 할 수 있다. 3) 검사태도:검사 소요시간 : 통상 60 - 90분(566문항지) 이보다 길 때 : 강박적으로 세심하고 우유부단함 이보다 빠를 때 : 충동적으로 답함.충분히 생각하지 않고 답함.문장을 잘 읽지 않고 답함 이러한 가능성에 앞서 학력, 지능, 문장 해독력, 시력 등을 먼저 알아 보아야 한다. 4) 검사 시 행동:매우 긴장, 불안, 안절부절못하는지, 몹시 수줍어해서 검사자를 쳐다보지 못하는지, 또는 분노에 가득 차 있는지, 공격적인지 등을 관찰해 두는 것은 해석에 도움이 된다.

5) 답안지 검토: 답안지를 채점하기 전에 빠뜨린 문항 또는 ‘예’와 ‘아니오’의 두 가지 모두에 응답한 문항은 없는지, 답안지가 어느 정도 깨끗한 지 등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예) 수정이 많거나 답안지 여백에 답에 대한 보충 설명이나 의문점 등을 기록하는 경우 - 매우 신중하고 강박적으로 우유부단한 사람 6) 타당도와 임상척도 각각의 점수 검토 점수가 정상범위인가? 아닌가? 이 범위의 점수가 무엇을 의미하는가?

7) 척도끼리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어떤 특정척도의 점수를 근거로 다른 척도들에서 기대될 수 있는 점수를 예측해 볼 필요가 있다…예) ① L척도의 상승 - 일반적으로 임상척도들이 낮아질 가능성이 많고 때로 척도 1과 3, 또는 척도 9의 상승을 동반할 수도 있다.② F척도의 상승 - 임상척도들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척도 6과 8에서 그러하다. 신상자료와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정보간의 불일치를 검토하면 피검자의 특징적인 행동 또는 특성에 관한 가설을 얻을 수 있다.

8) 상승척도에 대한 분석 ․T점수 70이상으로 상승하는 임상 척도들 중 가장 높은 2개의 척도를 묶어 해석한다(two code).① 2개 척도의 순서에서 해석상의 차이여부에 유의해야 한다.② 해석체계의 기준 집단을 참고하여야 한다.③ 척도의 상승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상승도가 높을수록 피검자가 경험하거나 보고하는 어려움이 더 많으며 정신병리는 자아 배타적(ego alien) 또는 자아 비동조적(ego-dystonic)이다. *60-69T : 경향성 70-75T : 경한 장애*76-90T : 현저한 장애 *90T이상 : 심한 장애

9) 매우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분석 일반적으로 40T 이하의 척도점수들은 종종 상승척도의 임상적 의미를 보완하거나 수정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피검자가 방어하려 하고 나타내 보이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의 특성을 알 수 있다.

10) 타당도 및 임상척도의 형태적 분석 몇 개의 척도들을 집단으로 묶어 고찰하는 것인데 대표적인 방법으로 L, F, K 세 쌍 또는 1,2,3의 세 쌍을 묶는 것이다. ① 척도 형태 내에서 척도별 상승정도에 따라 행동이나 임상적 특성을 고찰한다. ② 이렇게 얻은 정보들을 전체적으로 본 척도 형태에 맞추어 종합/통합을 한다. ③ 형태분석에 의한 추론들과 다른 정보들과의 일치여부를 검토하며, 일치하는 것일수록 피검자의 중요한 특징들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이다.

11) 전체 프로파일에 대한 형태적 분석 ① 상승도:상승도가 높아질수록 피검자의 고통은 심한 것이며 증상들이 얼마나 자아 배타적 또는 자아 비수용적인가를 나타내 준다. 때로는 빨리 도움을 받기 위해(cry for help) 증상을 과장하기도 한다. ② 기울기 주로 신경증의 세 척도와 정신병의 네 척도간의 관계 정적 기울기(positive slope) 부적 기울기(negative slope)

③ 굴곡(plasticity) 대다수의 해석체계는 상승 척도 쌍을 기초로 하는데, 굴곡의 극단은 프로파일이 평평하거나 톱니형태를 보인다. ․상승도가 낮으면서 기울기가 전혀 없는 프로파일 : 정상인이거나 만성 정신병을 앓고 있는 환자일 가능성이 있다. ․상승도가 높으면서 기울기가 전혀 없는 프로파일 : 경계선적 상태의 환자들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은 정신병적 증상을 가지고 있음에도 실제로는 진단상 분명한 정신병적 장애를 잘 나타내지 않는다. ․‘톱니’프로파일 : D, Pd, Pa, Sc 등의 점수들이 톱니처럼 높아져 있는 형태로, 상승도가 높을수록 급성적인, 매우 심한 정신병적 혼란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신경증 세척도 1,3상승, 2번 낮을 때. – 정신적 문제를 신체적 문제로 전환. 3번 이 더 높을 경우 신체적 고통에 대해 낙과적이고 특정부위에 한정. 1번이 높을 경우 고통이 모호 . 삿갓형-세척도가 모두 높으면서 삿갓형. 만성적 신경증적 상태. 과도한 정서적 통제. 항상 피곤, 불안. 의존적 수동적. 참는 사람. 정적 기울기-여성은 부부갈등, 항상 아픔. 성적 무감각. 남성은 만성적 불안, 긴장.

1번과 3번 척도의 차이 -1번 Hs의 신체증상은 내과적이고 여러 가지이며 모호하고(multiple vague somatic complaint) 삶의 일상적 모습을 담은 평범한 것(예컨대 ‘변비’, ‘소화불량’) - 3번 Hy의 신체증상은 신경과적 질병을 의심케 하고 한 두 가지이며 구체적임(focal, specific) 그리고 극적이어서 주목을 끌음(예컨대 ‘혼절’, ‘마비’) 심리적인 성숙도에 있어서는 1번보다 더 낮음

2-7코드 불안, 긴장, 우울의 전형적인 유형 죄책감, 완벽주의 의존적. 고분 고분, 자기주장의 어려움 심리적 고통 정서적 도움을 받으려는 동기-치료예후 좋음 중년의 경우 갱년기 우울의 가능성

4-6코드 스칼렛 오하라V 반성적으로 분노하고 투사 행동화 방어기제를 쓰며 자기애적 의존적 자기 중심적인 경향 성격장애의 가눙성-8번이 함께 상승하면 경계선장애의 가능성이 있다. 충동적이고 폭발적으로 적대감을 표현할 가능성. 애정에 대한 강한 집착

6,7,8척도 Psychotic 척도. 심각한 정신병 or 급성 정신병적 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