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등과 응축열전달 기술교육팀 원자력교육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열전달 강의노트 2013 학년도 1 학기 담당교수 : 정 모 제 1 장 Slide 1 열전달의 기본 개념 열전달의 기본 문제 의 정량적 관계 규명 Some Questions why we need this relation? where we measure Q? how we.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96 Cavity 열 해석 평가 96Cavity 에 적용된 HRS 온도 분포 상태 검토 Thermal Analysis Objective Analysis Type Temp. ( ℃)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흑체 복사 강도 측정 일반물리 B실험실 일반물리실험 (General Physics Experiment)
설비기기의 소음, 진동 대책.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이슬점과 상대 습도 우리는 단짝! 이슬점 상대 습도.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1-1 일과 일률.
차량용 교류발전기 alternator Byeong June MIN에 의해 창작된 Physics Lectures 은(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3.0 Unported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열 전 달 ( Heat Transfer ) 2013년도 2학기 김 내 현 교수
제 5장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ield Effect Transistor)
유체역학 Chapter 1. H.W and Exam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Hydrogen Storage Alloys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자가 호기말 양압(auto PEEP) 측정.
전류에 의한 자기장 B < B’ 자기장(magnetic field)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Terminology 평형상태도 : 합금이나 화합물의 물질계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상태에 있을 때 이의 조성, 온도, 압력과 존재하는 상의 관계를 나타낸 것 상(相, phase) : 계 안에서 다른 부분과 명확한 경계로 구분되고 그 내부는 물리적, 화학적으로 균일하게 되어있는.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Prepared by Han, Jae-Woo
고체의 전도성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Lab in Physics,
물질의 자성 자성 – 물질이 자석에 반응하는 성질 자성의 원인 1. 운동하는 전자에 의한 자기
고체역학 2 - 기말고사 1. 단면이 정사각형이고 한번의 길이가 a 일 때, 최대굽힘응력과 최대전단응력의 비를 구하라(10).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가압경수로 계통.
에너지 절약 방법과 실효성 12조 이지혜 김정애.
3-5. 태양계와 행성(2).
1-5 용해도.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컴퓨터공학과 손민정 Computer Graphics Lab 이승용 교수님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윤성우 저 열혈강의 C++ 프로그래밍 개정판 Chapter 05. 복사 생성자.
모세관 현상과 표면장력 원리 학번 : 이름 : 황규필.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Presentation transcript:

비등과 응축열전달 기술교육팀 원자력교육원

학습목표 비등과 응축열전달 관련 용어를 안다. 열전달 곡선을 그리고 설명할 수 있다. 비등열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안다. 비등열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안다. 응축열전달 개념을 안다. 응축열전달의 형태별 특징을 안다.

1. 용어 정의(1/4) 증발 액체와 기체의 경계면에서 액체가 기화하는 단순한 상 변화 현상 비등 (Boiling) - 액체 내부에서 증기가 생성되는 과정 <가열방법에 따른 분류/비등위치> 푸울비등 (Pool Boiling) 액체와 접촉하는 전열면상에서 증기가 발생되는 과정 (예 : 증기발생기) 체적비등 (Volume Boiling) 액체 내부에서 균일하게 일어나는 비등 ← 액체 내 화학반응이나 핵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

1. 용어 정의(2/4) 핵비등 (Nucleate Boiling) 막비등 (Film Boiling) 핵비등과 막비등이 공존 액체 내에서 증기나 기체의 작은 핵을 중심으로 기포가 형성되는 것 막비등 (Film Boiling) 전열면을 덮는 연속된 막을 형성하는 비등 형태 핵비등과 막비등이 공존 부분막비등, 부분핵비등 혹은 불안정 핵막비등

1. 용어 정의(3/4) 포화비등 (Saturated Boiling)과 과냉비등(Subcooled Boiling) – 주변 액체의 온도에 기준한 분류 전열면은 포화온도 이상 되어야 함 핵비등이나 막비등 형태를 취할 수 있음 과냉비등 비등이 일어나는 주변 액체가 포화온도보다 낮은 상태 포화비등 비등이 일어나는 주변 액체가 포화상태 (발생기포가 액체 속에서 소멸되지 않음) 체적비등은 포화비등 형태를 취함

1. 용어 정의(4/4) 2상류 (Two Phase Flow) 유로 내에서 기체와 액체가 혼합되어 흐르는 유동 보일러 내의 물의 유동 유동 중에 증기가 연속적으로 발생 두 상의 유속이 다르며 기포의 속도가 액체의 속도보다 빠름 슬립 (Slip) 슬립비 (Slip Ratio) 응 축 (Condensation) 증기가 다시 액체로 환원되는 현상 냉각면을 완전히 덮는 액체 막 형성 액체방울을 형성하며 응축 진행

2. 비등 열전달(1/10) 열전달 곡선 대류열전달량 또는 계수 전열면(Wall)온도와 포화온도와의 차

2. 비등 열전달(2/10) 영역Ⅰ: 대류 열전달 영역 기포 발생 없이 자연대류가 이루어짐 Q는 △T의 1.25승에 근사적으로 비례

2. 비등 열전달(3/10) 영역Ⅱ와 Ⅲ : 핵비등 영역 (Nucleate Boiling) 전열면에서 기포가 형성되어 떨어져 나감 주변 액체가 포화온도보다 낮으면 응축 되면서 기포가 가지고 있던 잠열(Latent Heat) 방출 전열면에서 기포가 떨어져 나갈 때 전열면 가까이에 있는 액체 교반 <= 대류열전달계수 증가 액체 교반 및 응축 열전달 때문에 대류 열전달 영역에 비해 열전달이 훨씬 잘 이루어 짐

2. 비등 열전달(4/10) 영역Ⅱ: 과냉핵비등 (Sub-Cooled Nucleate Boiling)영역 액체의 온도가 포화온도 이하이기 때문에 발생된 기포가 액체 중에 혼합되면 응축 영역Ⅲ : 포화핵비등 (Saturated Nucleate Boiling)영역 또는 부피비등(Bulk Boiling) 영역 발생된 기포가 액체 중에 혼합되어 존재

2. 비등 열전달(5/10) 영역Ⅳ : 부분막비등 (Partial Film Boiling)영역 핵비등에서 막비등으로 바뀌는 영역 기포형성이 너무 빨라 전열면에 새로운 유체 유입방해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감소하고 주로 증기막을 통한 전도에 의해 열전달이 이루어짐 => 열전달 감소

2. 비등 열전달(6/10) 열유속의 극대점 : a 핵비등이탈점 (Departure from Nucleate Boiling Point) 핵비등에서 막비등으로 천이되는 점 재료의 용융점 이상의 온도 : b점 열유속 임계열유속 (Critical Heat Flux) 또는 DNB(Departure from Nucleate Boiling) 열유속 Burnout 열유속 DNBR DNB 열유속/국부 최대 열유속

2. 비등 열전달(7/10) 영역Ⅴ : 막비등 (Film Boiling) 영역 전열면 전체가 증기막으로 덮이게 됨 대류에 의한 열전달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이 증기막을 통한 전도나 복사에 의한 열전달이 이루어짐 전열면 온도가 상당히 증가

2. 비등 열전달(8/10) 영역 Ⅵ : 막복사 영역 열전달의 대부분이 증기막을 통한 복사 열전달에 의해 이루어짐

2. 비등 열전달(9/10) 핵비등 핵점(Nucleate Point) : 핵비등의 2가지 조건 기포를 형성하기 위한 핵점이 있어야 함 표면온도가 포화온도 보다 몇 도 높아야 함 기포사이클 동일한 장소에서 주기적으로 발생

3. 비등열전달영향인자(1/5) 액체 및 증기의 물리적 성질 점성계수, 비중량, 밀도, 증발잠열, 열전도도, 표 면장력 등 전열면의 거시적형상, 즉 유로현상 등 전열면의 미시적형상, 즉 조도나 오염도 등 비등 현상은 전열면 표면의 아주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므로 표면의 국소적이며 미시적인 조건에 영향을 크게 받음 중력가속도, 진동 압력, 온도, 유속, 유량 발전소 비등 열전달 제어 – 압력, 온도, 유량

3. 비등열전달영향인자(2/5) 압력영향 압력상승 물의 포화온도 증가 핵비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열이 요구됨 핵비등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열이 요구됨 열을 더 부가하지 않으면 핵비등 중 단 열유속 Q가 일정한 상태에서 더 큰 △T를 유지하더라도 일정구간에 서는 핵비등이 일어나지 않게 됨

3. 비등열전달영향인자(3/5) 압력감소 포화온도가 감소하여 더 많은 비등 발생 막비등의 원인 전열면의 온도상승 - 전열면(핵연료 피복재) 손상

3. 비등열전달영향인자(4/5) 온도 영향 열전달 효과는 에 비래하여 증가 전열면 온도가 액체 압력에 대한 포화온도 도달시 열전달 효과는 에 비래하여 증가 전열면 온도가 액체 압력에 대한 포화온도 도달시 핵비등 발생 온도 더욱 증가시 핵비등에서 막비등 진입

3. 비등열전달영향인자(5/5) 유량영향 급격한 유량 증가 급격한 유량 감소 전열면의 온도가 감소되어 핵비등량 감소 전열면의 열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벽 온도가 상승하여 막비등으로 발전

3. 응축열전달(1/5) 개 요 증기가 그 포화온도보다 낮은 고체(또는 액체)표 면에 접촉하면 그 경계면에서 응축되어 기상에서 액상으로 변하면서 잠열(Latent Heat : 증발열) 방 출 복수기, 냉동기의 응축기, 급수가열기, 냉각기 등 응축은 그 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므로 열이동 완료 후의 상(액체)이 열이동 전의 상(기체) 을 교란시키는 일이 적음

복수기 복수기(표면식 열교환기)

냉동기 더운 바람 찬바람 냉수펌프 냉수 냉각수펌프 해수 공조기 공조설비 냉각설비 냉동기

급수가열기 급수가열기 - 복수기 배출 응축수(U-튜브측)를 터빈추기(쉘측)사용 급수가열

4. 응축열전달(2/5) 이상 응축(Ideal Condensation) 열전달 포화온도보다 낮은 고체표면에 증기가 급격히 접촉하게 되는 경우 증기가 응축되어 액상 액상이 된 부분을 순간 순간 연속적으로 제거시 - 증기 응축현상 계속유지(열전달률 가장 높음) 금속면이 증기와 접하게 되는 최초의 순간

4. 응축열전달(3/5) 막(Film)응축 열전달 포화온도보다 낮은 수직 평판에 접촉한 증기는 응 축되고, 응축된 액체는 중력 작용 때문에 판 아래 로 흘러 내림 액체가 판을 적시면 미끄러운 막 형성(막응축) 표면이 액체막으로 덮이고 막은 판을 내려 갈수록 두께가 커짐 막에는 온도 구배가 있으므로 막은 열전달에 대해 열저항 열전달률이 방울 모양의 응축에서 보다 낮음

4. 응축열전달(4/5) 방울 모양의 응축 (Dropwise Condensation) 고체표면에서 응축된 액체가 표면을 적시지 않고 작은 물방울이 형성되어 불규칙적으로 표면을 따 라 떨어지는 과정 고체표면 대부분이 직접 증기에 노출되므로 막 장 벽(Film Barrier)이 존재하지 않음 열전달률이 막응축 때 보다 약 10배정도 큼 장시간 증기 노출시 표면이 젖는것 방지필요

4. 응축열전달(5/5) 공기 등이 혼합되어 있는 증기의 응축 열전달률이 현저히 저하 비응축성 기체가 전열면에 축적되어 증기가 전열면과 직접 접촉하는것 차단 증기가 비응축성 기체분자 내로 확산하는 형 태로서 액막에 이르게 되기 때문

요약정리 용어의 개념 열전달곡선에서 각 영역에서 열전달형태 DNB 및 DNBR 비등열전달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압력변화가 비등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유량변화가 비등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응축열전달의 특징 응축열전달의 종류별 특징

학습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