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Advertisements

1 ‘ 우리나라의 주요공업 ’ - 정도웅, 주민혁, 안수진, 백경민, 엄다운, 박경찬 -.
원주율, 파이 데이
경주 수학여행 보고서 조원 : 김민석, 유혜성, 목진호, 박병열.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공부할 내용 조상들이 살던 곳 자연과 잘 어울리는 한옥 지방에 따라 서로 다른 집의 모양 섬 지방의 집
사회과학 패러다임과 과학철학.
사랑, 데이트와 성적 자율성 :데이트 성폭력!!! 성폭력예방교육 전문강사 / 여성학 전공 신 순 옥.
퇴계와 율곡의 사회사상 비교 남 일 재 동서대학교 교수/ 정치학 박사 1.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약전(略傳)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과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과 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501. 군인들의 세상 502. 민정 이양과 한일회담 이선용.
역학 혁명 2: 데카르트와 뉴턴.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크로마토그래피 장준우.
Multi Intelligences Theory
투명 비누 만들기.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제 1 장 과학적 조사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조사방법론의 이해.
체육사 상지대학교 담당교수 이 문 성.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독일 관념론 칸트(1724) 쇼펜하우어(1788) 피히테(1762) 셸링(1775) 헤겔(1770)
역학 혁명 1: 갈릴레오.
Ch. 2 Force.
자연철학의 탄생.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이우영(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물질에 대한 과거의 생각 우주는 몇 가지 성분으로 되어 있을까?.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고체의 전도성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Lab in Physics,
서양복식사 (고대 그리스).
정치개혁의 가능성 논의 권력구조 개편을 통하여 본 -개헌을 통한 정부형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치론] 윤성이 교수님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산성비가 식물의 잎과 씨앗에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 5반 박성용.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1-2. 과학의 발달과 생활.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광고 모델의 영향력.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노년기 발달 장안대 행정법률과 세류반 정 오 손
P.346~P 과학 철학과 현대 사회 – 3. 과학기술자들이 갖추어야할 윤리 발표자 : 신상목
제 2 장 정치이론의 전개 정치철학, 정치사상, 정치이론: “앎을 사랑하는 것”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플라톤.
1-5 용해도.
K. Marx 역사론.
태국 문학 욜라다 왓짜니 싸란차나 팟차라와라이 끼따야펀 르앙다우 타니다.
St. Augustine, 354~430.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3-2. 지구의 크기.
학습목표 본시 학습 목표 운송 수단별 종류와 특징을 이해한다. 학 습 목 표 2. 운송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평생 저축해도 강남 아파트 못산다 학 과 : 회계학과 1학년 B반 과 목 : 회계학원론 담당교수: 박성환 교수님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워밍업 실뭉치 전달게임.
코페르니쿠스와 천문학 혁명.
이산화탄소 발생실혐 관찰항목 이산화탄소의 색깔 이산화탄소의 냄새 촛불의 변화 석회수의 변화 ?
음파성명학 최종욱.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과학의 시작은 고대 그리스에서 과학기술의 융합적 이해 2주 2013년 9월 12일 정동욱.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차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자연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고대 자연철학의 유산 고대인들에게 자연철학이란? Vs. 플라톤 우주론 + 물질 이론 + 운동 이론 특징과 설득력 고대 자연철학의 유산 고대인들에게 자연철학이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 이후의 지적 지형도 플라톤(Platon, 428-327 B.C.)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Platon, 428-327 B.C.) 소크라테스의 愛 제자 소크라테스 사후 이탈리아/이집트 여행 아테네로 돌아온 후, 아카데메이아(Akademeia) 설립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384-322 B.C.) 플라톤의 愛 제자 플라톤 사후 에게해/소아시아 여행 아테네로 돌아온 후, 리케이움(Lykeion) 설립

플라톤의 자연철학 1: 이데아론 목적론적 세계관 (목수:의자=조물주:세계) 현실세계: 이데아의 불완전한 복제품 우주는 조물주의 합리적 설계의 산물 합리적 설계 ≒ 수학적 원리 현실세계: 이데아의 불완전한 복제품 ※ 반경험, 수학적, 추상적, 형이상학적(관념적) 방법 현실세계 이데아세계 모형(복제품) 실재 불완전(∵ 질료) 생성/변화/소멸 완전 영원 감각 이성

플라톤의 자연철학 2: 수학과 기하학 천체의 등속 원운동: 이성적 추론의 산물 기하학적 4(5) 원소론 영원하며 초월적이며, 완벽한 순수 형상의 세계 운동을 하지만 본질적으로 변하지 않아야 함 적합한 운동은 오직 등속 원운동 이후 2000년간 천문학의 패러다임 이룸 기하학적 4(5) 원소론 아카데메이아 정문 위의 경구: “기하학을 모르는 자, 들어오지 말라.” 천체들: 운동을 하지만 본질적으로 변하지는 않는다. 시작도 끝도 없는 무한한 운동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목적론적 세계관 공유, But 이데아/현실세계 이분법 비판 이데아는 물질 속에 존재 이데아(form) 물질(matter) 아리스토텔레스 (모든 개는 형상과 물질을 가짐) 이데아(form) 플라톤 (모든 개는 이데아의 불완전한 복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실재 이데아의 세계 현실 세계 감각 불신(경험<관념) 신뢰 탐구방법 수학적/추상적/형이상학적 추론 경험→분류→배후의 질서 탐구 ※ 우주론, 물질이론, 운동이론 등이 정합적으로 결합된 완전한 지식 체계 구축 → 이후 2000년간 유럽의 정통 이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론 항성 천구 실재 & 영원 달을 기준으로 천상계와 지상계 구분 (cf. 혜성?) 천상계 지상계 위치 달 위 달 아래 특징 변화 無 완전 생성/소멸 불완전 물질 제5원소 (에테르) 4원소 (물,불,흙,공기) 운동 원운동 상하운동 +alpha 천상계: 시작도 끝도 없는 완전한 운동, 등속 원운동 지상꼐: 시작과 끝이 있는 유한한 직선운동

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 이론 1 원소의 무게와 위치 무게: 물질의 본래적(자연적) 위치 규정 흙-물-공기-불-에테르 탁월한 설명력 * 호수와 바다가 흙 위에 있는 이유 * 물속에서 기포가 올라가는 이유 * 공기 중의 불이 올라가는 이유 * 우주의 중심에 지구가 있는 이유 * 지구가 구형인 이유 * (지동설 논박)

아리스토텔레스의 물질 이론 2 4원소와 4성질 4성질: 온-냉, 건-습 대립쌍 원소의 성질: 4성질 중 2개의 조합으로 구성 성질이 바뀌면 원소도 바뀜 탁월한 설명력 * 물을 가열하면 증발하는 이유 연금술에 이론적 기반 제공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 운동≒변화: 잠재적인 것이 현실화되는 과정 자연스러운 운동 vs. 강제된 운동 저항과 진공 식물의 성장: 씨앗의 잠재력이 실현되는 과정 위치의 변화: 물질의 본성(본래 위치)이 실현되는 과정 자연스러운 운동 vs. 강제된 운동 자연스러운 운동: 사물 자체의 속성(원인)의 발현 Eg. 천체의 원운동, 돌의 수직낙하, 불의 수직상승 강제된 운동: 별도의 외적 원인(동력인) 필요 Eg. 수레의 운반, 돛단배의 운동 (cf. 던져진 투창은?) 저항과 진공 아마도 v ∝ F/R If R→0, then v→∞. 따라서 자연에 진공은 불가능.

아리스토텔레스 체계의 특징과 설득력 우주론 물질론 운동론 이론과 경험의 통일: 상식적이면서 탁월한 설명력 고도로 일관되면서 동시에 매우 포괄적인 이론 체계 이분법적 이론 구조 1 2 3 우주론 ---------- 천상계 vs 지상계 물질론 ---------- 제5원소 vs 흙,물,공기,불 운동론 ---------- 자연스러운 운동 vs 강제된 운동 정지 vs. 운동

고대 자연철학의 유산 자연세계의 합리성과 질서 포착 근대과학의 대표적인 탐구 경향 등장 이성을 통한 이해 가능성 동의 철학의 목표: ‘우연’보다 ‘본질’과 ‘보편’ 탐구 근대과학의 대표적인 탐구 경향 등장 기계적 경향: 원자론자들 (극히 소수였음) 수학적 경향: 플라톤, 피타고라스 (지상계 설명X) 경험적 경향: 아리스토텔레스 (not 실험, but 관조) 근대와 고대의 거리<근대와 중세의 거리? 과학혁명: 세 경향의 새로운 조합방식?

고대인들에게 자연철학이란? ?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