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1. 10주차 제4장.가족복지정책의 실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순 풍 삼 분 임 과 자녀에게 가장 좋은 선물은 동생입니다 이런모습, 상상이나 해보셨나요 ? 행 복 한 출 산 과 든 든 한 노 후.
Advertisements

저출산 · 고령사회 대비 시행계획 사람과 지식은 국가경쟁력이다. 2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제 21 조 (’05.9.)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시행령 정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06.7.) 시행계획 작성 기본 치침 교육인적자원부 시행계획.
2011 보육정책의 추진방향 그 간의 보육정책의 성과 2011 보육정책 세부 추진과제 정책여건.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영어행정학과 서혜영 사회복지학과 최샛별 영어영문학과 박지영 사회복지학과 이현지 보건복지학과 조은진 아동보육서비스 아동보육에 대한 모든 것.
7 장 : 보육 1 7장7장 1. 보육의 개념과 목적 및 의의 2. 보육의 역사 3. 보육시설의 형태와 보육의 공공성 4. 보육의 효과 5. 방과후 프로그램 6. 보육교사의 유의점 7 장.
예산항목세부비목제한사항 강사비■ 강사비, 멘토비, 국내외 전문가 기타 강사비정부지원금의 60% 이상 기관 운영비 ■ 인건비 (20 백만원 이내 ) ■ 일반수용비, 여비, 업무추진비, 네트워킹 데이 개최비, 홍보비, 운영 수당비,
아동교육지도사 1 강 아동교육지도의 이해. 1. 아동교육의 필요성 2. 아동교육지도의 개념과 성격 3. 아동교육과정의 특성.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남녀고용평등 사례
보육의 역사와 제도: 제 3강.보육의 역사 및 제도 <프랑스>, <스웨덴>,<일본>,
비씨카드 일家양득 비씨카드
(월) 복지뉴스 - 목 차 - 1. 사회복지비 매년 눈덩이 지방업무정부 환원해야 1 2.
Work 일 · 가정 양립지원책 Home 10조 이지은 이진명 이현지 이현지 장현주 장형진 최인경.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제6차 (사) 늘푸른 정기총회 경과보고 ■ 2011년 2월 ~ 7월 설립준비과정 ■ 2011년 8월 창립총회 준비과정
온 동네가 함께하는 책읽어주기 온 동네가 함께하는 책읽어주기 강동 희망키움네트워크 강동 희망키움네트워크 북 소 리
폭력으로부터 우리 아동들을 보호하고, 아동 스스로 힘을 키울 수 있도록
근로기준법 내용 법령 종전 변경 시행일 상시 근로자수 산정방법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7조의 2 <신설>
학습성과.
힘이 되는 평생친구.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의 정책방향과 과제 보 건 복 지 부 사회복지정책본부장.
사회복지법인 승가원 사회복지법인 승가원 제14차 정기이사회 2009년 3월 20일 오후 2시 2009년 3월 20일 오후 2시.
유아교육행정의 필요성 및 활용 이지나.
1. 보육사상의 변천 2. 우리나라 영유아보육 제도 및 정책 3. 외국의 보육․유아교육 현황
아동복지론 7장 아동보육서비스 7조-송은정 이세영 이수정 차나름.
초과근로시간 및 수당 베트남 정부는 1주 48시간의 근로시간 제도를 기본으로 하면서
사업대비별 집행보고 사업 명 세항 예산배정 집행 장학사업 빈민국 사회봉사 사업 회원행사 -15년1월1일 - 15년12월31일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10기 CAP전문가 모집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에서는
가족정책 비전 및 추진과제 2005년 6월 22일.
SNS 대학생 홍보단 1기 모집 전국시도지사협의회 지방분권특별위원회
2015 년 제1회 시 흥 시 사회조사 보고서 정보통신과.
Volunteer work.
Ⅲ. 진로와 생애 설계.
(상시 채용) 상시 채용 입사지원서 접수방법 모집내용 근무조건 구분 주요수행업무 자격요건 Operator
Is Web Usability Abstract or Concete
PBL 점수: 총점 20점 개별 성찰 일지 6점 (3회- 회당 각 2점)
동영상 자료
장애인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비장애인에 비해 54%에 불과. 장애인 가구의 월평균소득은 비장애인에 비해 54%에 불과.
제1장 방과후 아동지도의 이해.
경영정보분석 6조 이대우 홍정무 김혜지 강성민.
장애아 통합 교육 유 희 순.
제 2강.보육의 역사 및 제도 2. 보육의 역사와 제도: , .
보육교직원의 인문학적 소양 원광보건대학교 마지순
제 8장 재가복지봉사센터 1970년대 초 탈시설화, 정상화 이념 시설보호중심에서의 인식전환(노인, 장애인)
daum. net/economic/others/newsview
제 2장 아동복지의 대상과 서비스의 분류 아동복지의 대상 아동복지서비스의 분류.
군포발명창의교실 접수 안내 2019년 군포시어린이도서관 접수안내 유의사항
1. 나의 이해 나의 정보 나의 특성 나와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고 나의 특성을 알아봅니다. 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10쪽.
제8장. 지역사회복지와 생활시설.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매뉴얼
청책워크숍: 장애인돌봄 권선진(평택대 재활복지학과 교수).
Ⅱ. 가족복지 정책 가족복지론 최진령.
한부모가정아동 이병수 이상원 이승우.
우리는 왜 급식을 직접 만들어야 하는가? 꿈틀자유학교 교육사랑방
예외급여 사례관리집 2013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 보 육 재 정 부.
OECD 평균 한국
청소년복지관계법 11강 제10장 청소년복지관계법 광주여자대학교 오상수 교수 청소년.
국가장학금(1유형) 구분 기초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6분위 7분위 8분위 ‘18년(연간)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보육시설 행정가의 지도성 권기현 김예슬 김혜연 홍리나.
전국 3,985개 지역아동센터 아동과 보호자, 교사들의 바램을 담은 2012년 4.11 총선 아동 관련 정책 제안
보육학개론 Chapter 3 보육제도 모형 및 외국의 보육사업.
2012학년도 주5일수업제 전면 자율 도입에 대비한 설문조사 결과
남양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0 다문화가족 방문교육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뉴스포츠 A P S L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고운뜰 한부모가족 주거지원 대상자 모집 입주안내 신청방법 제출서류 연락처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전자 계약서 등록(갱신) 및 인플루엔자 사업 참여 매뉴얼
지방자치단체의 장 (시·도지사 또는 시 · 군 · 구청장)
Presentation transcript:

2018-1. 10주차 제4장.가족복지정책의 실제

수업목표 목차 1. 노동권 보장정책 2. 부모권 보장정책 3. 노인돌봄관련정책: 노인장기요양보험 4. 소득보장정책 2.가족복지정책의 대상과 내용을 구분하고, 가족복지관련법과 전달체계를 설명할 수 있다

목차 1. 노동권 보장정책 2. 부모권 보장정책 3. 노인돌봄관련정책: 노인장기요양보험 4. 소득보장정책 아이를 키우며 “일”을 할 수 있도록, 보육정책 목차 1. 노동권 보장정책 2. 부모권 보장정책 3. 노인돌봄관련정책: 노인장기요양보험 4. 소득보장정책 아이를 잘 키울 수 있도록, 직장내 휴가, 휴직 정책 출산률&고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노인장기요양보험 가족관련 소득 보장 아동(가족)수당, 아동양육수당

1. 노동권 보장정책

(2016년~2020년) (2015년 10월 18일 발표)

A. 영유아보육료 지원, 가정양육수당, 시간제 보육, 어린이집 평가인증, 보육전자바우처(아이행복카드),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등 (1) 보육정책 연혁 Q. 언제, 어느곳에서 시작되었나요? A 1921년 태화 기독교 사회관 Q. 현재 주관부처는 어느 곳 인가요? A. 보건복지부 Q. 보육정책의 이름을 2개 이상 적으시오. A. 영유아보육료 지원, 가정양육수당, 시간제 보육, 어린이집 평가인증, 보육전자바우처(아이행복카드),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등

(1) 보육정책 연혁 1921 1962-1981 1982 1987 1991 태화기독교사회관 저소득층 자녀 탁아사업, 구빈 아동복리법, 보건복지부 탁아관리 유아교육진흥법, 사회복지차원 접근 1982 남녀고용평등법(노동부), 직장탁아제 1987 영유아보육법(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로 업무이관(2004)>보건복지부(2008) 1991

(1) 보육정책 연혁 제1차 육아지원정책,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보육 및 육아교육지원의 공공성 확대 2004 제2차 육아지원정책, 출산율 제고 및 여성 경제활동 참가 2005 새싹플랜(2006-2010) 아이사랑플랜(2009-2012) 2006

(2) 보육시설 실태 Q. 보육시설의 종류는 몇가지 인가요? 국공립,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민간, 가정, 부모협동, 직장 어린이집, 총 7가지 Q. 2013년 기준 어린이집 중 가장 많은 보육시설의 종류는 무엇인가요? A. 가정어린이집 Q. 2013년 기준 가장 많은 어린이가 이용하는 보육시설의 종류는 무엇인가요? A. 민간어린이집

(2) 보육시설실태

어린이집 현황 42,517 43,742 43,770 42,336

어린이집 이용 현황 1,452,813 1,496,671 1,486,980 1,484,488

(3) 영유아보육료 지원 Q. 영유아 보육료가 전계층에 지원된 것은 몇 년 부터인가요? A. 2013년 3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12세 이하 장애아동

(3) 영유아보육료 지원 영유아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만 0-5세 보육료 지원 영유아 보육료 지원 * 0-2세 맞춤반: 월 15시간 긴급보육바우처 지원 신청: 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 or 복지로 온라인 신청(online,bokjiro.go.kr)

3) 영유아보육료 지원 다문화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만 0-5세 중 다문화 가구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 다문화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만 0-5세 중 다문화 가구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 소득, 재산수준 무관 보육료 지원 만0세 :43만원 만1세 :37만 8천원 만2세 :31만 3천원 만3-5세: 22만원

(3) 영유아 보육료 지원 장애아동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만 5세 이하 장애아동 소득, 재산수준 무관 보육료 지원 장애아동 보육료 지원 어린이집 이용 만 5세 이하 장애아동 소득, 재산수준 무관 보육료 지원 장애인복지카드 소지 만 5세 이하 영유아 장애소견 의사소견서 제출 장애아 부득이 휴학한 경우 만 6세-12세 까지 지원 초등학교 과정 방과후 보육료 지원

2) 방과 후 보육정책 방과후 보육료 방과후 어린이집 일반어린이집의 방과후 보육

2) 방과후 보육정책 Q. 방과후 보육정책의 목적은? 1) 여성 노동권 보장을 위한 아동보육환경 필요, 2) 저소득 소외계층의 교육격차 해소 Q. 나홀로 아동 중 2011년 기준 지원을 받는 아동수는? A. 25만 5천명(약 28.3%) Q. 방과 후 보육정책 추진계획은? 1)방과후 돌봄서비스 공적지원 확대 2)민간 돌봄서비스 시장 창출 위한 인프라 구축 3) 나홀로 아동 방과후 돌봄 서비스 추진

Q. 현재 장애아 방과후 보육료 지원금액은 책과 상이하다. 2018년 장애아 보육료 지원금액은? (1) 방과후 보육료 Q. 방과후 보육의 지원대상은? A. 만 12세 이하 초등학교 취학아동 Q. 일반아동의 월별 방과후 보육 지원금액은? A. 10만원 Q. 현재 장애아 방과후 보육료 지원금액은 책과 상이하다. 2018년 장애아 보육료 지원금액은? A. 225,000원

방과후 보육료 차상위 이하 및 장애아동 중 취학아동 방과후 어린이집을 일일 4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 지원단가 지원대상: 만 12세 이하 초등학교 취학아동 차상위 이하 및 장애아동 중 취학아동 방과후 어린이집을 일일 4시간 이상 이용하는 경우 지원단가 일반아동 월 10만원 장애아동: 장애아보육료의 50%(219,000원) (2017년)

(2) 방과후 어린이집 Q. 방과후 어린이집의 지원 대상은? A. 초등학생 우선 대상은? A. 초등학교 저학년, 맞벌이 부부 등 아동을 맡길 수 없는 가정

방과후 어린이집 정의 초등학생 대상 방과후 보육서비스 제공 시설 4시간 이상(오후 7시 30분까지) 인건비 지원기준 방과후 보수교육과정 이수 보육교사 월 지급액 50% 장애아동 방과후 보육은 월 지급액 100% 지원 우선대상 초등학교 저학년 맞벌이 부부 등 아동 맡길 곳 없는 가정 시설 정원범위 20%까지

Q. 일반어린이집에서 방과후 보육을 할 수 있는 조건 2가지는? (3) 일반 어린이집의 방과 후 보육 Q. 일반어린이집에서 방과후 보육을 할 수 있는 조건 2가지는? 1) 최소 5명이상 종일반 보육지속, 2) 별도의 방과후 보육교사 채 Q. 일반어린이집의 방과후 보육 최대 비율은? A. 정원의 20%

일반 어린이집 방과후 보육이 가능한 경우 최소 5명 이상 종일반 보육 별도 방과후 보육교사 채용 방과후 보육 아동 비율 정원의 20% 이내

2. 부모권 보장 정책 출산전후 휴가 육아휴직 아버지 육아휴직 할당제

A. 생후 1년 미만 유아를 가진 여성 근로자가 1일 2회, 각 30분 이상 유급으로 수유할 시간 1) 출산전후 휴가 Q. 임신 중 여성의 출산전후 휴가는 몇일인가요? A. 90일 Q. 유급수유시간에 대해 설명하시오. A. 생후 1년 미만 유아를 가진 여성 근로자가 1일 2회, 각 30분 이상 유급으로 수유할 시간 Q. 배우자의 출산관련 휴가일수 중 유급휴가일수는 몇일인가요? A. 3일

2) 육아휴직 Q.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의 자녀나이는? A. 만8세 이하(초등학교 2학년 이하) 2) 육아휴직 Q. 육아휴직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의 자녀나이는? A. 만8세 이하(초등학교 2학년 이하) Q. 육아휴직 대신 신청할 수 있는 것은? A. 근로시간의 단축 Q. 육아휴직은 분할사용이 가능하며, 총 2년까지 가능하다. 잘못된 것을 고치시오. A. 2년 -> 1년

A. 육아휴직 복귀후 1개월 이내 신청일로부터 1년 이내 단축근무 및 탄력근무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제도 3) 아버지 육아휴직 할당제 Q. 육아휴직을 47주까지 사용할 수 있는 나라는? A. 노르웨이 Q. 스웨덴의 육아휴직 할당제 최대일수는? A. 60일 Q. 육아휴직 복직자 유연근무제를 설명하시오 A. 육아휴직 복귀후 1개월 이내 신청일로부터 1년 이내 단축근무 및 탄력근무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