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 Reporting of Health Care Quality 2008. 6. 20 의료관리학교실 사공필용 1
Public reporting… of comparative information on health care quality of physicians, hospitals, and health plans through “report cards” is hailed as a plausible way to improve health care. Without publicly reported comparative information on health care quality, patients may choose their physicians based on more measurable characteristics(such as cost) or by word-of-mouth or other informal referral practices not obviously related to their needs. Werner RM, Asch DA.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publicly reporting quality information. JAMA. 2005 Mar 9;293(10):1239-44.
‘Public reporting’의 이론적 근거 구매자에게 정보 제공, 의료제공자로 하여금 의료의 질에 관심을 가지도록 유도, 의료제공자의 책임을 강조하여 의료 질 개선 소비자들이 양질의 의료제공자를 선택하도록 하여 시장의 효율성을 높임 지역 또는 국가 수준에서 보건의료의 우선순위 결정에 도움을 줌 의료제공자가 마케팅 도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 비용 통제에 기여 Marshall MN, Shekelle PG, Leatherman S, Brook RH. The public release of performance data: what do we expect to gain? A review of the evidence. JAMA. 2000 Apr 12;283(14):1866-74.
Two pathways for improving performance through release of public reported performance data Berwick DM, James B, Coye MJ. Connections between qualit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Med Care. 2003;41:130-8.
Provider response to public reporting Remediation cause providers to change their practices to improve quality Restriction lead to restriction or limitation of physicians’ practices so that they no longer provide care for which they rated poorly Removal cause low-quality physicians to exit the health care market
외국의 public reporting 사례 - 미국 많은 선진국에서 1970년대 이후 공적, 사적 의료기관평가 시스템 통해 public reporting of health care quality 활동을 하고 있음 미국 JCAHO는 평가를 받은 병원별 임상질지표를 모두 인터넷으로 공개 예를 들어 JCAHO 홈페이지에는 ‘Quality check’이라는 로고가 첫 화면에 보이고 각 주별, 병원별 질평가 받은 해, 수준을 모두 알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 ‘Online Quality Report’ 화면에서는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정한 기준에 맞는지 상세한 평가 내용을 공개하고 있음
외국의 public reporting 사례 - 영국 NHS에서는 Performance Indicators를 정하고 그 수행 정도를 매년 평가하여 발표하고 경영 평가 및 지원에 활용하고 있음 상기 내용을 Healthcare comission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 영국에서는 질평가와 공표 활동이 경영진 평가와 지원액 결정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공개되어 각 병원의 명성을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 사례 1995년 3차 의료기관 대상으로 의료기관 서비스 평가로 시작 2003년까지 시범적용으로 평가결과를 공표하지 않고 병원별 통보(자체 개선 자료로 활용) 2004년부터 본평가 시작, 300병상 이상 전 병원으로 평가 대상 확대 2007년부터 임상질지표 도입하여 평가 결과에 포함 평가결과 공표 시작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 결과 공표 부문별 등급으로 평가 결과 공표 의료서비스 임상질평가 환자만족도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 공표의 문제점 평가 부문별 결과 공개 방식 채택 Hospital 단위의 평가결과만 공표 하지만 해당 평가 부문을 구성하고 있는 평가 지표 및 평가 기준은 일반인들이 알 수 없음 임상질지표 등의 주요 항목들에 대해서는 자세한 평가 기준 공개가 필요 Hospital 단위의 평가결과만 공표 Provider 단위의 평가결과는 산출하지 않음 어떤 의사가 성적이 좋은지 provider 단위의 평가결과 공개가 필요 의료서비스 평가결과와 환자만족도 평가결과의 불일치 평가결과가 실제 환자들의 need를 반영하지 못함 평가 항목 및 기준의 검토, 보완 운동참여 동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여가시간에 신체비활동 및 좌업식 생활습관에서 벗어나 신체활동 및 규칙적 운동실천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 결과 활용 방안(1) 의료기관 대상 의료기관의 상시적 질향상 활동 촉진 유도 정부의 임상질지표 평가결과 공표 시, 각 병원에 질평가 내용을 개별적으로 통보하고 아울러 다른 병원의 수준을 함께 알려주어야 함 → 각 의료기관의 수준을 정확히 평가해주고 병원의 개선 활동 내용을 다음 평가에 반영함으로써 상시적 질개선 활동을 지원 단기적으로는 질적 수준이 낮은 의료기관을 적정화시켜 의료기관간 수준 격차를 해소, 장기적으로는 전체 의료기관을 바람직한 상태로 이끄는 단계별 정책목표 설정에 활용
우리나라 의료기관평가 결과 활용 방안(2) 의료소비자 대상 의료소비자들의 평가결과 활용 증대 방안 필요 언제 어디서든 평가결과에 쉽게 접근하고, 이해 가능한 형태로 공개 → 평가 내용 상시 조회 가능하도록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주요 항목에 대해서 세부결과 공개 모든 평가기준에 대한 결과를 공개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과중한 정보 부담을 줄 수 있음. 그러나 임상질지표, 환자 안전 지표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중요하거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항목은 세부결과 공개 필요 → 환자의 올바른 의료기관 선택에 필요한 정보 제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