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Advertisements

국민소득: 생산과 분배 제 3강 이병완교수의 거시경제학 Mankiw 3장
제 9 장 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
경쟁시장 © 2007 Thomson South-Western.
Ⅴ. 시장형태와 산업조직 완전경쟁시장 독점시장 독점적 경쟁시장 과점시장.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11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개방경제.
제2장 주요 거시경제변수 제1절 : 국내총생산 제2절 : 실업률 제3절 : 생계비용의 측정 제4절 : 맺음말.
환율의 결정 Ch 환율결정의 메커니즘과 요인 5.2 전통적 플로우접근법 5.3 자산시장접근법
제6장 상품 및 화폐시장 제1절 : 상품시장과 IS곡선 제2절 : 화폐시장과 LM곡선 제3절 : IS-LM곡선과 정책효과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1장 화폐시장을 고려한 케인스이론(IS-LM모형)
2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CHAPTER 28.
제25장 거시경제문제 : 실업과 인플레이션.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9장 국민소득 결정이론 민간소비 및 투자활동과 국민경제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제4장 효용과 소비자선택 제1절 효용과 소비자선택 1.총효용과 한계효용 2.효용극대화 제2절 수요곡선 1.수요곡선의 도출
경제지수 리터당 휘발유 가격(원) 소비자 심리지수 현재경기 판단 취업기회 전망 미래경기 전망 리터당 휘발유값
생산요소시장.
제 18 장 화폐공급과 화폐수요.
소비자, 생산자, 시장의 효율성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 16 장 총공급과 총수요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1. 생산요소 수요의 일반적 원칙 → 이윤극대화원칙 (한계원리 적용)
제7장 생산량과 생산비 7-1 생산비용 7-3 단기비용함수 7-4 장기비용함수 7-5 결합생산물의 수입극대화조건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 29 장+ 30 장(일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소비자이론과 시장균형 I. 소비자이론의 응용 1. 노동공급에 관한 결정 2. 사회복지제도의 분석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20장 내생적 성장이론 제1절: 자본스톡의 재해석 제2절: 기술진보의 내생화 제3절: 맺음말.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9장 거시경제학 개관.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경기안정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CHAPTER 27.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제 13 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 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제3장 수요.공급이론의 적용 3-1 가격 및 임금의 통제.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 3 장 공급과 수요 (Supply and Demand)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5장 무차별곡선과 현시이론 5-1 무차별곡선.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 2 장 수요와 공급의 기본사항들.
1. 노동시장의 개념 “노동시장(labor market)이란 노동공급과 수요가 상호작용하여 임금과 고용이 결정되는 메커니즘”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 4 장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2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한국의 경제성장율 추이 저출산율 (25 ~ 29, 단위 %) 임금과 노동생산성의 변화율
소비자 선택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Ⅰ. 경제란 무엇인가? 목 차 1. 경제의 정의 2. 경제의 순환.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1장 시장의 작동.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Presentation transcript: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제5절 맺음말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표 11-1> <그림 11.1> • 투자는 변동이 가장 심하고 경기순응적 • 소비는 변동이 작고 강하게 경기순응적 • 순수출은 변동이 크고 약하게 경기역행적 • 물가지수는 경기역행적 • 노동투입과 실질임금은 경기순응적

1. 상품시장의 균형 제2절 시장균형 모형 • 상품수요 = 상품공급 • 화폐수요 = 화폐공급 • 노동수요 = 노동공급 • 상품수요 = 상품공급 • 화폐수요 = 화폐공급 • 노동수요 = 노동공급 • 채권수요 = 채권공급 1. 상품시장의 균형 : 수평이동, MPL <그림 11.2>

제2절 시장균형 모형 2. 화폐시장의 균형 <그림 11.3>

3. 노동시장의 균형 제2절 시장균형 모형 • 노동수요 : <그림 11.4> • 노동공급 : <그림 11.5>

제2절 시장균형 모형 • 노동시장의 균형 : <그림 11.6> - 노동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노동수요곡선의 이동 : MPL, K <그림 11.7> 노동공급곡선의 이동 : r(+), 미래의 기대실질임금(-), 항상부(-) <그림 11.8>

4. 일반시장균형 제2절 시장균형 모형 • 상품시장 균형조건 : r*, Y* 결정  화폐수요 결정 • 화폐시장 균형조건 : • 상품시장 균형조건 : r*, Y* 결정  화폐수요 결정 • 화폐시장 균형조건 : P* 결정 • 노동시장 균형조건 : (W/P)* 결정

1. 총요소생산성이 항구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 상품시장 <그림 11.9> 총요소생산성: Y = AF (K,N) • 상품시장 <그림 11.9> 항구적 : 소득효과 크다. → 저축이 불변, I 증가 → C, I 증가 →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크다. → r 상승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 상승, 소득 증가 - 가정 : 실질화폐수요 증가 •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 상승, 소득 증가 - 가정 : 실질화폐수요 증가 <그림 11.10> - 물가수준 하락 • 노동시장 - 노동수요 증가  MPL 증가 - 노동공급 감소  항상부 증가 - 노동공급 증가  실질이자율 상승 - 실질임금, 고용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그림 11.11>

2. 총요소생산성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 상품시장 <그림 11.12> • 상품시장 <그림 11.12> 일시적 : 소득효과 작다. → 저축이 증가 → Yd의 이동이 Ys의 이동보다 작다. → r 하락 → C, I 증가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 하락, 소득 증가 - 실질화폐수요 증가 • 화폐시장 - 상품시장 : r 하락, 소득 증가 - 실질화폐수요 증가 <그림 11.10> - 물가수준 하락 저축증가 → 상품시장 초과공급 → 가격인하 → 물가수준하락 • 노동시장 - 노동수요 증가  MPL 증가 - 노동공급 감소  실질이자율 하락 - 실질임금, 고용 증가 : 노동수요 증가 > 노동공급 감소 <그림 11.13>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요약> MPL및 MPK를 증가시키는 기술충격이 영원하지는 않지만 상당기간 지속되는 경우 정형화된 사실들을 설명 가능 • 화폐시장 생산이 증가할 때 r이 경기역행적 혹은 약하게 경기순응적이면 → 실질화폐수요 증가 → 물가수준 하락 • 물가수준 : 경기역행적 - 수요충격 vs 공급충격 - 통계 처리방법

1. 기술충격의 중요성 2. 실업의 해석 제4절 평가 • 솔로우 잔차 • 비판 : 솔로우 잔차는 기술충격의 역할을 과장 • 솔로우 잔차 • 비판 : 솔로우 잔차는 기술충격의 역할을 과장 - 노동저장 • 옹호 : 기술충격을 광의로 해석 2. 실업의 해석 • 자발적 실업 • 비판 : 실업은 노동시장이 실패할 때 발생 - 비자발적 실업 • 옹호 : 실업통계의 해석에 문제

3. 화폐의 중립성 4. 임금과 물가의 신축성 제4절 평가 <그림 11.14> • 비판 : 화폐의 중립성 • 비판 : 화폐의 중립성 - 통화의 감소는 생산에 부정적 • 옹호 : 통화의 내생성 4. 임금과 물가의 신축성 • 미시경제학적 기초와 부합 • 비판: 임금, 물가의 경직성

솔로우 잔차 • 솔로우 잔차 = 생산 증가율 – (자본소득 분배율 x 자본스톡 증가율 + 노동소득 분배율 x 노동 증가율) • 솔로우 잔차

<그림11.1> <다시본문으로>

<그림11.2> <다시본문으로>

<그림11.3> <다시본문으로>

<그림11.4> <다시본문으로>

<그림11.5> <다시본문으로>

<그림11.6> <다시본문으로>

<그림11.7> <다시본문으로>

<그림11.8> <다시본문으로>

<그림11.9> <다시본문으로>

<그림11.10> <다시본문으로>

<그림11.11> <다시본문으로>

<그림11.12> <다시본문으로>

<그림11.10> <다시본문으로>

<그림11.13> <다시본문으로>

<그림11.14> <다시본문으로>

<표11.1> <다시본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