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2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02 학습 목표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 무신 정변이 일어난 배경을 말할 수 있다.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학습 목표 • 무신 정변이 일어난 배경을 말할 수 있다. • 무신 정권의 변천 과정과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
02 미리 보기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문신과 무신의 차별 대우 무신 정변 의종의 실정 하급 병사의 불만 고조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미리 보기 무신 정변 문신과 무신의 차별 대우 의종의 실정 하급 병사의 불만 고조 무신 정권 초기 혼란과 권력 다툼 최씨 정권 무신 정권의 기반
02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내용 정리 1 무신 정변(1170) 배경 ⑴ 문신 위주의 정치: 문신에 비해 무신의 지위가 낮음, 무과를 시행하지 않음, 문신이 군대의 최고 지휘관까지 담당 공민왕릉의 무인석과 문인석 고려 전기 거란, 여진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강감찬이나 윤관도 문신이었다. 무신들은 문신 위주의 정치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02 2. 전개: 정중부와 이의방 등이 의종의 보현원 행차에서 정변을 일으킴. → 문신 제거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⑵ 의종의 개혁 실패: 즉위 초 문무 간의 균형과 왕권을 강화하려는 노력 실패 → 사치와 향락에 빠짐. ⑶ 군인전을 제대로 받지 못한 장교, 노역에 시달리는 병사의 불만 고조 2. 전개: 정중부와 이의방 등이 의종의 보현원 행차에서 정변을 일으킴. → 문신 제거 3. 결과: 의종 폐위, 명종 옹립 → 무신 정권 수립
02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2 무신 정권에 대한 반발과 권력 다툼 무신 정권에 대한 반발: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의종 복위 시도), 서경 유수 조위총의 난(무신 정권에 정항, 대규모 농민 봉기로 확대) → 실패 2. 무신 정권 초기 ⑴ 정치: 무신 간의 권력 다툼 → 잦은 집권자 교체(정권 불안정), 중방(무신들의 최고 회의 기구)을 통해 정책 결정 ⑵ 사회: 집권층이 재산 증대와 권력 장악에 집중 → 사회 혼란 가중
02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3 최씨 정권의 성립 성립: 최충헌이 이의민 제거 후 정권 장악 → 이후 4대 60여 년간 지속(정치적으로 안정, 백성을 가혹하게 수탈) 2. 최충헌의 집권: 교정도감 설치(국가의 중요 사무 처리), 도방 확대(자신의 호위 강화) 3. 최우의 집권: 정방 설치(인사 행정 담당), 서방 설치(문인 발탁 → 정책 자문), 삼별초 조직(정권 보호, 공적 임무 수행에 동원) 무신 집권자의 변화
02 확인 학습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1 정중부와 이의방 등은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했을 때를 이용하여 [ ]을 일으켰다.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확인 학습 1 정중부와 이의방 등은 의종이 보현원에 행차했을 때를 이용하여 [ ]을 일으켰다. 2 무신 정권 초기 무신 정권에 반발하여 서경 지방에서 일어났으며, 대규모 농민 봉기로 확대된 난은? 3 다음 내용을 읽고 맞으면 O, 틀리면 X로 표시해 보자. 최씨 정권 때에는 국가 최고 회의 기구인 중방을 통해 중요 사무를 처리하였다. [ ] (2) 도방과 삼별초는 최씨 정권의 군사적 기반이 되었다. [ ] 무신 정변 조위총의 난 X O
‘농민과 천민이 봉기하다’를 학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