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정치이론의 전개 정치철학, 정치사상, 정치이론: “앎을 사랑하는 것” 정치사상가들의 원전을 분석하고 평가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끊임없는 변화를 보여 온 사회의 모습을 역사적으로 조명할 수 있어야 “시대의 화두” 그 기원과 변화에 대한 이해 사상가의 지적 배경과 개인적 성격을 파악해야 그 시대의 사람들이자 그 시대의 문제아들 이상과 현실, 보편성과 특수성 간의 긴장에 대한 이해 공자의 덕치/예치 vs. 노자의 무위이치 (無爲而治)
정치이론의 전개: 역사성 VS. 보편성 보편성의 문제 역사성의 문제 정치사상가란 정치에 관한 근원적 고찰을 통해 모종의 정치적 “진리”를 발견한 사람 한 시대에 진리였던 것이 다른 시대에 진리가 아닐 수도 있는가? 그렇다면 처음부터 진리가 아니었던 것 아닐까? 역사성의 문제 정치를 둘러싼 본질적 문제 (진리)는 수학적 증명 같은 것이 아님 모든 정치적 행위는 반드시 역사적 의미를 지님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황혼 녘에야 날아오른다.” (헤겔)
정치사상의 구분 (예시) 시대적 (역사적) 구분 고대, 중세, 근대, 현대 주제별 구분 근대: 국가, 자유, 권력, 계급 근대: 국가, 자유, 권력, 계급 고대, 중세, 근대, 현대 현대: 시민사회, 공동체, 분배 시대적 화두 (keyword) 고대: 지도자, 인성, 정의 다른 구분? 중세: 종교, 평등, 자연법 주제별 구분 자유와 권리 평등 정의와 엘리트 any others? 권력과 권위
정치이론의 시대적 전개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로마의 정치사상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사상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기원전 8세기 폴리스 (POLIS)의 탄생 소크라테스 아크로폴리스라는 성채와 아고라로 불리는 광장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이 순전히 언어만을 매개로 의사결정을 하고 그 결정에 자발적으로 복종 정치 지연적 원리에 따른 집단조직인 데모스 (demos) 제도 도입 장군 이외의 모든 관직이 추첨으로 선출 페르시아 전쟁 승리, but 아테네와 스파르타 반목 소크라테스 잘 살기 위해 영혼에 대한 배려가 중요 인간 윤리의 새로운 원리를 모색 아테네의 민주주의에 의해 죽음을 맞이함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플라톤 (Plato) 소크라테스의 죽음 이후 폴리스 개혁 목표 “서양철학의 역사란 플라톤에 대한 방대한 주석이다.” (화이트헤드) 세 부류의 계층이 각자의 임무를 다할 때 경제활동을 하는 대다수 사람들, 군사에 전념하는 보조자층, 정치에 종사하는 본연의 수호자층 철학자가 지배하거나, 지배자가 철학을 배워야 사물의 참모습인 이데아를 배워야 동굴의 비유 이상주의 진리를 파악한 통치자 독재자의 정당화?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생물학 중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나름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존재함) 현실에 내재하는 본질 규명 노력 이론학과 실천학을 분리한 점이 특징 (플라톤과 반대) 중용 (prudence) 정치란 인간에게 걸맞는 행복을 실현하고자 하는 활동, 행복은 이성에 의해 정념을 통제하는 것이므로 능력은 윤리적 탁월성이며 습관이 중요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를 격렬하게 비판/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정치란 폴리스를 떠나서는 불가능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중간계층의 두께가 정치체제 안정의 열쇠” 이후 정치학의 상식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의 “6 정체론” 공공의 이익에 부합? 몇 명의 지배? 왕정, 귀족정, 국제/ 참주정, 과두정, 민주정 현실적으로 “국제”가 최선 부자와 빈자의 대립을 조정하는데 주안점을 둔 정체 (선거와 추첨을 병용) “중간계층의 두께가 정치체제 안정의 열쇠” 이후 정치학의 상식 한 사람의 지배 소수의 지배 다수의 지배 공공의 이익에 적합 왕정 basileia 귀족정 aristokratia 국제 politeia 부적합 참주정 tyrannis 과두정 oligarchia 민주정 demokra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