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 장 정치이론의 전개 정치철학, 정치사상, 정치이론: “앎을 사랑하는 것”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사회 변동 시간이 흐름에 따라 사회를 구성 하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가치 관 등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변화하는 현상.
Advertisements

1. 정치 과정과 정치 주체 정치 과정을 통해 다원적 가치와 이익이 조정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정치 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
Ⅷ. 정치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4.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한다 ! 사회교육과 김문주.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유아교육 철학자 발 표 유아교육과 김경은 성보라 안유라 최송희.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안경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前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장
1.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03 공동체 발전을 위한 제도와 사회 참여 방법은?.
7-2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 2, 정당과 언론의 역할 (4/7차시)
초끈이론의 탄생과 현재 박정목 ( 물리학과 ) 이용한 ( 물리학과 )
제 1강 현대사회와 인간 그리고 정치.
한국 사회와 정치 제1강. 한국 정치를 어떻게 볼 것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테마로 읽는 서양미술사 14강 신고전주의 : 정치와 도덕의 예술적 표현 담당교수 : 권 용 준(한국디지털대학교 교수)
계몽주의 : 샤르댕 <장을 보아온 여인>
제 1 장 과학적 조사란 무엇인가? 사회과학조사방법론의 이해.
체육사 상지대학교 담당교수 이 문 성.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독일 관념론 칸트(1724) 쇼펜하우어(1788) 피히테(1762) 셸링(1775) 헤겔(1770)
개인의 행동에 대한 MARS Model Role Perceptions Values Personality Perceptions
Platon의 정의와 교육 이지은.
사회제도가 추구해야 할 기본적인 덕목으로서 정의의 의미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평등 옹호 -John Rawls-.
민주시민의 권리와 의무 민주시민의 배려, 협동, 봉사 실천
근대 초기 역사서술.
역사학 개론 그리스 세계.
서양복식사 (고대 그리스).
디케Dike-정의의여신 Footer Text 4/21/2019.
로봇 : 사람의 모습과 닮은 인형 내부에 기계장치를 넣어서 사람과 비슷하게 움직이도록 만든 자동인형.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고대 그리스.
Ancient Christianity.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국제관계론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안토니오 그람시 - 헤게모니를 중심으로 사회학과 홍.
사회 사상의 전개 “진보한다는 것은 변하는 것을 뜻한다. 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이미 몇 번인가 변하였다는 것을 말한다.” -처칠- 모든 사회는 끊임없는 자기 수정과 변화 속에서 진보를 계속해 왔다. TEXT PP.145~149.
P.346~P 과학 철학과 현대 사회 – 3. 과학기술자들이 갖추어야할 윤리 발표자 : 신상목
11.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01.정치의 의미와 03.민주 정치 제도와 정부 형태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 민주 정치의 발전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문화혁명 [文化革命] 곽영신 임황빈 최하영.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플라톤.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고대미술 감상 (B.C. 4,000년경) 전남 보성율어중학교 맹 범 호.
미술 1 학년 감상 > 감상 ( 2 / 1-2 ) 미술 문화의 이해 수업계획 수업활동.
Historical Materialism
St. Augustine, 354~430.
사료.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6-3. 지질시대의 구분.
공공정책학부 류헤연 공공정책학부 박민경 공공정책학부 박성준 사학과 남윤우 사학과 임경민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5 가을학기 제4주(1)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불만고객 이해하기.
고등학교 사회 VIII. 정치 과정과 참여 민주주의 2. 정치 과정과 정치 참여 왜 정치 과정에 참여해야 하는가? 1.
CHAPTER 2 여성복지의 관점 도서출판 신정.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매스미디어와 정치•사회체제 1. 선구적 연구 : <Four Theories of The Press>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유럽위기 시나리오.
St. Augustine.
기독교 세계관(Christian Worldview)의 이해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국제관계학과 05 진인영, 06 박선숙 러시아 중산층의 삶, 그리고 전망.
행정윤리 접근법의 모색 -이기주의적시각을 중심으로-
Presentation transcript:

제 2 장 정치이론의 전개 정치철학, 정치사상, 정치이론: “앎을 사랑하는 것” 정치사상가들의 원전을 분석하고 평가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끊임없는 변화를 보여 온 사회의 모습을 역사적으로 조명할 수 있어야 “시대의 화두” 그 기원과 변화에 대한 이해 사상가의 지적 배경과 개인적 성격을 파악해야 그 시대의 사람들이자 그 시대의 문제아들 이상과 현실, 보편성과 특수성 간의 긴장에 대한 이해 공자의 덕치/예치 vs. 노자의 무위이치 (無爲而治)

정치이론의 전개: 역사성 VS. 보편성 보편성의 문제 역사성의 문제 정치사상가란 정치에 관한 근원적 고찰을 통해 모종의 정치적 “진리”를 발견한 사람 한 시대에 진리였던 것이 다른 시대에 진리가 아닐 수도 있는가?  그렇다면 처음부터 진리가 아니었던 것 아닐까? 역사성의 문제 정치를 둘러싼 본질적 문제 (진리)는 수학적 증명 같은 것이 아님 모든 정치적 행위는 반드시 역사적 의미를 지님 “미네르바의 올빼미는 황혼 녘에야 날아오른다.” (헤겔)

정치사상의 구분 (예시) 시대적 (역사적) 구분 고대, 중세, 근대, 현대 주제별 구분 근대: 국가, 자유, 권력, 계급 근대: 국가, 자유, 권력, 계급 고대, 중세, 근대, 현대 현대: 시민사회, 공동체, 분배 시대적 화두 (keyword) 고대: 지도자, 인성, 정의 다른 구분? 중세: 종교, 평등, 자연법 주제별 구분 자유와 권리 평등 정의와 엘리트 any others? 권력과 권위

정치이론의 시대적 전개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로마의 정치사상 중세 유럽의 정치사상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사상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기원전 8세기 폴리스 (POLIS)의 탄생 소크라테스 아크로폴리스라는 성채와 아고라로 불리는 광장 자유롭고 평등한 시민이 순전히 언어만을 매개로 의사결정을 하고 그 결정에 자발적으로 복종  정치 지연적 원리에 따른 집단조직인 데모스 (demos) 제도 도입  장군 이외의 모든 관직이 추첨으로 선출 페르시아 전쟁 승리, but 아테네와 스파르타 반목 소크라테스 잘 살기 위해 영혼에 대한 배려가 중요 인간 윤리의 새로운 원리를 모색 아테네의 민주주의에 의해 죽음을 맞이함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플라톤 (Plato) 소크라테스의 죽음 이후 폴리스 개혁 목표 “서양철학의 역사란 플라톤에 대한 방대한 주석이다.” (화이트헤드) 세 부류의 계층이 각자의 임무를 다할 때 경제활동을 하는 대다수 사람들, 군사에 전념하는 보조자층, 정치에 종사하는 본연의 수호자층 철학자가 지배하거나, 지배자가 철학을 배워야 사물의 참모습인 이데아를 배워야 동굴의 비유 이상주의 진리를 파악한 통치자  독재자의 정당화?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 생물학 중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존재는 나름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존재함) 현실에 내재하는 본질 규명 노력 이론학과 실천학을 분리한 점이 특징 (플라톤과 반대) 중용 (prudence)  정치란 인간에게 걸맞는 행복을 실현하고자 하는 활동, 행복은 이성에 의해 정념을 통제하는 것이므로 능력은 윤리적 탁월성이며 습관이 중요 플라톤은 아테네 민주주의를 격렬하게 비판/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정치란 폴리스를 떠나서는 불가능

고대 그리스의 정치사상 “중간계층의 두께가 정치체제 안정의 열쇠” 이후 정치학의 상식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le)의 “6 정체론” 공공의 이익에 부합? 몇 명의 지배? 왕정, 귀족정, 국제/ 참주정, 과두정, 민주정 현실적으로 “국제”가 최선 부자와 빈자의 대립을 조정하는데 주안점을 둔 정체 (선거와 추첨을 병용) “중간계층의 두께가 정치체제 안정의 열쇠” 이후 정치학의 상식 한 사람의 지배 소수의 지배 다수의 지배 공공의 이익에 적합 왕정 basileia 귀족정 aristokratia 국제 politeia 부적합 참주정 tyrannis 과두정 oligarchia 민주정 demokra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