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경영 제 8 장 생산운영관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파리바게트 생산시스템 1조1조 강길환 공윤택 김상훈 김용훈 김지원 김진여 김보경 정정수 정재훈.
Advertisements

생산관리 직무이해. Contents 생산관리란 ? 1 기업이 유형ㆍ무형의 자원을 이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가공하는 생산시스템을 계획, 운영, 통제 하는 일련의 관리활동 일반정의 :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원자재를 구입하여 이들을 완제품으로 가공하는.
Ch.12 공급망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Ch.5 S&OP, MPS 생산 ∙ 운영관리 1.
0 The most Integrated & Advanced Solution OpenTide Korea 2007 년 공개 교육 일정  Lean Enterprise 를 위한 VSM 의 이해와 활용  Lean Six Sigma 추진.
동탄선 전철 구상안 ( 인덕원 - 동탄 전철 개량안 ) 동탄선 전철 구상안 ( 인덕원 - 동탄 전철 개량안 )
・ 신 TPS(TPS에서 TMS로).
목 차 ○ 변화의 필요성 – 기업생존 ○ 설비 보수 기술 선진화의 필요성 ○ 설비 보수 기술 선진화 추진방법.
제10장 활동기준원가계산.
경영혁신, 원가절감 실천전략 및 성공기업의 요체
TOYOTA 경영학과 김현지 / 경영학과 노유리 / 경제학과 서지원 / 경제학과 김다윤.
17장 자재소요계획.
S&OP와 생산계획 차시명을 입력합니다..
Quality Management System Manual
현장의 작업개선 및 관리기법 과정.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생산관리 시스템 I 현대로템 직무능력 향상 교육 - 7주차
제10장 재고관리시스템 마스터 제목 스타일 편집 공업경영과 경제 마스터 텍스트 스타일을 편집합니다 둘째 수준 셋째 수준
서비스의 특성 서비스(service)의 정의 서비스(service)의 특성 서비스의 생산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사회복지학과 4학년 이 자 형.
총괄생산계획 총괄생산계획 : 기업의 중기 또는 장기에 해당되는 생산계획으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포괄적인 범위에 대한 생산일정과 수량을 결정하는 과정. 시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의 가용자원을 활용하고 관리하는 행위 총괄생산계획이 사용하는 자원의 대상 : 노동력,
Case of Lean Six Sigma and Lessons for Field Application
2-1. 제조업과 정보기술 1)정보기술 구성요소 ①제조업에서 요구되는 정보기술 구성 요소
1. 회사소개 사업분야 Solution 부문 제조산업부문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ISO 9000 : 2000 설명회 <목차> 1) ISO 9000 패밀리 개정에 관하여 2) 개정판의 특징
출석수업 강의교안 원가회계.
감독자의 역할 과 비전.
즉 실천의 TPS와 즉 실행의 TPM 경영혁신을 위한 TPS와 TPM 2006년 3월 25일.
제15장 적시생산시스템 1. JIT의 철학 2. 주일정계획의 안정화 3. 칸반시스템 4. 준비시간의 단축 및 로트 크기의 축소
제 9 장 상세 설계.
생산/재고관리 기본 목 차 생산관리 재고관리.
ISO/TS 품질경영시스템
5정 5행 티유브이 컨설팅 컴퍼니 TUV CONSULTING COMPANY 1/30.
원가관리사고의 변화 ..
제6장. 프로세스 선택과 설비 배치 (Process Selection And Facility Layout)
TPS : 도요타 생산방식.
CHAPTER15 JIT와 린(Lean) 운영 (JIT and Lean Operations)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컴퓨터 통합 생산 시스템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
학 교 폭 력 사회복지학과 이자형 생활체육학과 이병철.
제 1 장 소 개 시스템 분석 및 설계 허철회 2006학년도 2학기 상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고관리(在庫管理)와 경영 (재고는 자금력 약화요소).
보관하역론 4. 구매 및 재고관리 1.
목표원가 달성을 통한 기업 이익 창출 전략.
T O C(제약조건의 이론) 21세기의 기업경영을 목표로 Supply Chain Management 구현을 위한
기차역들의 특산물들을 이용하여 만든 힐링 도시락
생산운영관리 입문 CHAPTER01 (Introduction to Operations Management)
Toyota의 성공요인 - 비재무적 부분 -.
제Ⅰ부 생산·운영관리의 기초 제1장 생산·운영관리 입문 제2장 생산전략 제3장 제품설계 제4장 서비스설계.
강의 구성 제 1부 기업과 경영 및 환경 제 2부 경영의 관리기능 제 3부 경영의 업무기능 9장 생산관리
ISO 9004 개 요.
Chapter. 7 운영계획 및 관리 7.1 서 론 그림 7.1 전형적인 제조공장의 표시 공장 가공 조립 알루미늄, 플라스틱,
TPM과 TPS 연계 방안 설비 및 생산혁신을 위한 공학박사/기술사/기술지도사 / 권오운 TPM TPS
PROCUREMENT MANAGEMENT
ISO 9004 개 요.
ERP란? 기업 전체를 경영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수단이다. 쉽게 말해 정보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최적으로 관리하자는 개념으로 기업자원관리 혹은 업무 통합관리라고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는 통합적인.
작업의 분류와 낭비의 발견 기법.
10강 단신기사,생활기사 이론 및 기사분석(1).
사회복지현장실습보고서 사회복지학과 4학년 이 자 형.
#1.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세요.
07.학습곡선을 낮추기 위한 경주 7조 옥경수 장민규 조성관
게임엔진 프로젝트 발표 상어 사냥 안 정 웅.
재고관리(在庫管理)와 경영 (재고는 자금력 약화요소) 산업경영학과.
부산에 대하여 6학년 6반 방 김 향.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제4장. 공정설계와 제조공학.
씨 름.
기업경영과 생산관리 교재 : 강의 홈 김태웅 지음, 생산, 운영관리의 이해 (제3판), 신영사
재고 절감,생산성 향상,원가절감,System 향상
매스펀 문제.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Presentation transcript:

기업과 경영 제 8 장 생산운영관리

목 차 8.1 생산관리의 기본적 개념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Management Science

Company and Management 8.1 생산관리의 기본적 개념 1. 생산관리란 기업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생산활동은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생산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원재료 투입이나 원가를 최소화하고 품질은 가장 좋아야 하며 단시간에 가장 많이 만들어야 하고 필요에 따라 품목이나 수량을 즉시 바꿀 수 있도록 생산활동을 관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생산관리는 원가, 품질, 납기, 유연성을 목표로 한다. - 생산조직의 투입, 전환, 산출 생산조직 INPUT 전환 OUTPUT 병원 환자 치료 건강해진 환자 식당 배고픈 고객 음식과 서비스 배부른 고객 자동차공장 원재료와 부품 조립과 제작 완성된 자동차 대학 신입생 교육 졸업생 Company and Management

8.1 생산관리의 기본적 개념 생산시스템 4

8.1 생산관리의 기본적 개념 1-2생산전략의 수립과정 1-1생산전략의 기본요소 ① 원가 : 싸게 만들어야 (원가절감) ① 원가 : 싸게 만들어야 (원가절감) ② 품질 :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품질향상) ③ 시간 : 물건을 제때 또는 빨리 만들어야(시간단축) ④ 유연성 : 유연성 있는 생산시스템을 확보 유지(유연성 증대) 1-2생산전략의 수립과정 ① 생산시스템의 목표설정 ② 경쟁요소의 우선순위 결정 ③ 생산자원의 합리적 배분 5

Company and Management 8.1 생산관리의 기본적 개념 • 기업의 사업전략에 적합한 생산전략을 수립하여야 하고 생산목표 달성에 적합한 생산 시스템이 설계되어야 함.            사업전략 생산전략 원가우위전략 차별화 전략 시장상황 가격에 민감, 성숙한 시장 , 높은 수량, 표준화된 제품 제품특성에 민감, 새로 성장하는 시장 낮은 수량, 고객화된 제품 생산전략의 목표 적절한 품질과 납기 유지 낮은 원가강조 합리적인 원가, 품질, 납기유지, 유연성 강조 생산의 차별성 우수한 공정기술과 수직적 통합을 통한 낮은 원가 제품개발 및 유연자동화를 통한 신속 하 고도 신뢰할 수 있는 신제품 도입 생산정책 우수한 공정, 통제적 공정통제 중앙 집중화된 공장, 규모의 경제 엄격한 재고관리, 낮은 기술의 노 동력, 높은 자동화 우수한 제품, 유연자동화, 변화에 대한 신속한 반응, 범위의 경제, 신제품 도입 팀의 활용, 숙련된 작업자, 낮은 자동화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1. 생산시스템의 설계 (1) 제품설계 기업의 생산시스템을 설계할 때 첫 번째 할 일은 무엇을 생산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일이다.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는 여러 방법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 신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수집한 후 회사의 목표, 마케팅,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타당성을 분석하여 신제품의 종류를 결정한다. 신제품이나 서비스의 종류를 결정한 후 제품의 사양(specification)을 결정한다. • 최근에는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시스템(computer-aided design)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빠른 시간에 만들 수 있어서 설계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품설계의 구성 Company and Management

토털 솔루션과 연결된 창조력, 고객을 기능횡단 개발 과정과 통합하기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1-1신제품개발의 역량과 필요성 요구되는 역량 왜 필요한가? 응 용 력 1. 빠른 반응 경쟁심화 고객의 기대 변화 기술적 변화 증가 짧아진 개발 사이클 : 향상된 타깃 제품 2. 높은 개발 생산성 제품 다양성 영리한 고객 기술적 타당성 프로젝트의 수 증가시키기 부족한 자원 레버리지, 엔지니어링 당 성공적 개발 3. 독특하고 완벽한 제품 까다로운 고객 복잡한 시장 경쟁의 심화 토털 솔루션과 연결된 창조력, 고객을 기능횡단 개발 과정과 통합하기 8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1-2신제품개발의 고려사항 ▶ 제품의 성능 :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정도 ▶ 개발속도 : 제품을 시장에 도입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 제품원가 : 제조원가를 포함한 고객이 지불하는 총비용 ▶개발프로그램비용 : 개발 프로젝트에 소요되는 비용 9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2) 공정설계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종류와 사양을 결정한 다음에는 생산공정을 결정한다. 공정(process)은 원재료를 투입하여 제품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모든 작업의 유기적 집합체로써 공장설계(process design)은 제품의 생산활동이나 작업흐름이 합리적으로 진행되도록 작업자 와 기계를 효율적으로 조직화하는 것이다. - 공정설계의 종류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2-1생산시스템의 분류 생산의 연속성 연속생산/ 로트생산/ 개별생산 수주와의 관계 생산량과 종류 예측생산/ 주문생산/ 부품중심생산 생산량과 종류 소품종 대량생산/중품종 대량생산 다품종 소량생산 Lot생산방식 : 같은 부품이나 제품을 일정한 수량만큼 모아서 생산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수량의 부품이나 제품을 로트(lot)라 한다.  이 생산 방식은 각 공정이 로트 단위로 이루어지므로 개별 생산 방식보다는 능률적이다. ※. 다품종 소량생산의 특징 생산품목의 다양성, 생산공정의 다양성, 생산능력의 복잡성, 수용의 불확실성, 공정계획 및 일정계획의 곤란성,생산변동의 동태성 11 11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2-2생산방식 종류 구분 라인(연속)생산방식 로트생산방식 개별생산방식 연속적인 제품 생산방식 개념 연속적인 제품 생산방식 철강, 약품 등 같은 종류를 로트로 정리하여 생산하는 방식 제품의 종류가 많음 반도체, 부품 등 고객의 주문에 응한 개별의 생산방식 배 건조, 제조 장치 등 특징 품종 수 적고, 생산량이 정해짐 공정의 생산속도를 일정 하고, 밸런스 유지필요. 품종 수 많음, 고객사양 과 범용적인 제품도 있음 고객의 납기의 요구보 다 생산의 사이클타임이 긴 케이스가 있음 생산능력 밸런스를 가진 공정편성을 행해야 한다. 품종 수, 고객별 1개 납기는 생산자가 결정하는 경우가 많음 주문마다 순서 계획이나, 일정 계획을 세워 생산 원가 관리를 제대로 관리 필요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2-3생산공정의 유형 및 특징 13 공정형태 및 특징 프로젝트 뱃치생산 (lot) 대량생산 연속생산 제품형태 독특 주문생산 계획생산 일용품 고객형태 1회1명 소수 개별 대량시장 제품종류 매우 다양 많고 다양 적음 매우 적음 생산시스템 장기 프로젝트 단속적 조립라인 장치산업 작업형태 전문화된 계약 제작 조립 혼합,가공,정제 숙련도 전문성 다양한 기술 제한된 기술 장비관리 장점 고객지향적 최신기술 유연성 품질 효율성 속도, 원가 높은 효율성 대량생산능력,통제용이 단점 비 반복성 소수 고객지향성 높은 비용 속도느림 관리어려움 자본적 투자 유연성부족 변화의 어려움 제한된 다양성 예 댐, KTX,선박,항공기 기계제작소 인쇄업, 제과점 자동차, 가전제품 비료,화학,시멘트,정유 13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3) 설비배치 설비배치는 생산에 필요한 기계, 작업장, 서비스 면적, 창고, 사무실 등을 합리적으로 배치하여 생산시스템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하는 일이다. 설비배치형태는 크게 제품별 배치(product layouts), 공정별 배치(process layouts), 고정형 배 치(fixed-position layouts)로 나눌 수 있다. - 설비배치 결정요인과 형태 배치유형 결정요인 제품별 공정별 고정형 제조공정 연속공정 단속공정 생산물 공정 제품속성 표준화된 단일품 다품종 주문품 특정제품 생산규모 대량생산 소량생산 프로젝트 생산 통제변수 Line balancing 기계배열 일정관리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3-1설비배치 결정요인과 형태 15 배치유형 결정요인 제품별 공정별 고정형 제조공정 연속공정 단속공정 생산물 고정 제품속성 표준화된 단일품 다품종 주문품 특정제품 생산규모 대량생산 소량생산 프로젝트생산 통제변수 Line balancing 기계배열 일정관리 15 15 15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4) 방법연구 및 작업측정 생산시스템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업무를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결정하는 일이 직무설계(job design)이다. 직무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점은 분업화의 정도(degree of labor specialization)를 결정하는 일이다. 직무설계 (job design) 작업방법 설계 (work methods) 직무평가 (work measurement) 보상시스템 설계 (wage payment plans) 방법연구의 종류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5) 공장 입지 결정 생산시스템의 생산능력을 결정한 다음에는 생산시설의 위치를 결정한다. 생산시설의 위치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요인 : 자연적 요인,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생산시설의 위치를 결정하는 두 단계 : 거시적인 분석을 통한 결정, 미시적인 분석을 통한 결정 공장입지선정기법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2. 생산시스템의 관리 (1) 총괄생산계획의 수립 총괄생산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이점 • 첫째, 적절한 생산계획을 통하여 생산시설을 적절하게 이용함으로써 과잉생산 또는 과소생산 을 피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둘째, 불규칙한 수요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처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셋째,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적절하게 확보함으로써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할 수 있다. (2) 기본생산계획의 수립 총괄생산계획을 보다 짧은 시간대별로 생산시스템의 운영에 이용될 수 있도록 분해한 계획이 기본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ing)이다. 기본생산계획의 목표는 고객의 수요에 적절하게 맞추고, 생산시설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 도록 생산량과 납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일이다.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3) 적절한 재고관리시스템 수립 재고를 유지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과 이익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량의 재고를 유지해야 한다. 생산시스템의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재고관리시스템(inventory control systems)이라 한다. 재고관리시스템의 목적은 소비자의 서비스를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비용을 최소화하는 주문 시 점과 주문량을 결정하는 재고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4) 적절한 자재소요계획의 수립 기본생산계획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부품의 종류, 부품의 수량, 납기, 발주일자 등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이라 한다. 자재소요계획의 중요한 목적은 생산에 필요한 종속적인 부품, 원자재 등의 재고를 적절하게 관 리 함으로써 생산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재고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5) 일정계획의 수립 보다 구체적으로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느 시설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생산을 해야 하 는지를 계획하는 것이 일정계획(scheduling)이다. 일정계획은 생산하는 품목의 종류, 생산 공 정, 작업유형, 작업순서 등에 따라서 특성을 달리 하고 있다. 3. 생산시스템의 개선 (1) 제품품질의 개선 제품의 기획단계에서 생산단계와 소비자의 손에서 이용되는 단계까지의 전체적인 과정에서 품질이 결정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품질관리는 초기에 생산 공정에서 투입되는 원자재의 품질관리, 생산 공정에서 품질관리, 완성 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등의 전통적인 통계적 품질관리에서 출발하였다. 최근에는 품질의 중요 성이 더욱 높아짐에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개발, 유지, 개선하기 위하여 기업의 전 부서가 통합 적으로 참여하는 전사적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 접근방법을 택하고 있다.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2) 적시생산시스템의 구축 적시생산시스템(Just-In-Time)의 기본적인 개념은 소비자의 주문을 생산하는 데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만큼 구매하고 생산하여 재고와 저장 공간을 줄여서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시간을 줄이 자는 것이다. 따라서 JIT는 전통적인 노동력과 기계의 효율성에다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JIT는 반복적인 생산공정, 대량생산, 생산일정이 정확하고 안정된 시스템에 적합하다. 재고관리시스템 Company and Management

Company and Management 8.2 생산관리의 기본적 기능 JIT와 MRP 시스템의 비교 JIT 시스템 MRP 시스템 목표 낭비제거 계획수행 시스템 pull 시스템 push 시스템 관리방식 눈으로 관리 컴퓨터로 처리 수요변화 적응 생산 율, 잔업, 생산능력 조절 자재소요계획 갱신 계획우선순위 평준화 생산을 기초로 한 품목별 일차적응 주 일정계획에 기초한 필요품목 중심 자재소요판단 칸반 자재소요계획 발주(생산)로트 준비비 축소에 의한 소 로트화 준비비+재고유지비의 경제적 로트 재고수준 최소한의 재고 조달기간 중 재고 공금업자의 품질 구성원 입장에서의 장기거래 경제적 구매위주의 거래 관계 무결점 추구 약간의 불량은 인정 (3) 생산설비의 보존과 관리 설비보존의 업무는 크게 고정 전에 관리하는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과 고장이 발생 하였을 때 보수하는 수리보전(repair maintenance)으로 나누어 진다. 특히 최근에는 설비보존 에 있어서 예방보전의 중요성과 현장 근로자 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Company an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