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의 역사 1900년대 이전 1900~1950 1950~1960 현 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소음성난청의 원인과 예방대책 2  청음의 생리 - 소리는 발생원의 진동면에서 공기압력이 높고 낮은 파동이 생겨서 이것이 발생원으로부터 전파되면서 귀에 닿아 청각을 자극 할 때에 느끼는 청감각을 말한다. - 소리는 주파수 (Hz), 음압 (dB), 음색으로 구 성된다.
Advertisements

제목 ( 책이름 ) : 기차 ㄱㄴㄷ. ㄱ ( 기역 ) : 기다란 기차가 칙칙폭폭 갑니다.
1 넷스팟 MAC ID 설정 방법 ( 서울캠퍼스 기준 )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각종 스마트폰의 WiFi 를 이용시 MAC ID 설정을 하는 방법 입니다. 아이폰의 경우는 별도의 설정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오니, 사용이 어려울 경우, 고객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글자가 짜인 순서 ★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ㅅ ㅆ ㅇ ㅈ ㅉ ㅊ.
훈민정음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역사적 가치, 만들어진 시대, 훈민정음의 분류의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 청각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 1. 대화를 할 때 수화 뿐만 아니라 입도 사용한다. 2. 입 안에 껌 등을 씹으며 말하지 않는다. 3. 얼굴의 표정을 조심한다. 4. 듣지 못한다고 하여 건청인 ( 말하고 듣 는 사람 ) 끼리 속삭이지 않는다.
문산고등학교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 수칙 사이버 예절, 건강한 디지털 세상의 시작입니다
나만의 광고 만들기 - 아동 성범죄 근절 - (공익 광고)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최현민.
보청기적합 보고서 한림대학교대학원 청각학과 U 바이갈마.
(1) 말소리와 발음 갈래 : 설명문 성격 : 체계적, 해설적, 객관적 제재 : 우리말의 음운
4. 알고 싶은 것, 묻고 싶은 것 ⑴ 국어의 음운 체계와 변동 이해하기.
제 4장 교실환경 4. 교실의 실제 신영섭.
강아지와 고양이 이름:방예지 5학년 3반 14번.
고장의 중심지 답사 보고서 3학년6반
파워포인트 2007.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Chapter 13 기타 연산 증폭기회로.
10장 랜덤 디지털 신호처리 1.
Medical Instrumentation. H.W #9
전기공학실험 함수발생기 설계.
실험 11.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부하선 해석 방 기 영.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converter
A B C 어린이 영어노트 학원 표지 - 1.
실험 3 - 비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와 능동 필터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 기 영.
실험1. 연산 증폭기 특성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방기영.
컴퓨터 계측 및 실습 D/A-converter
11장. 포인터 01_ 포인터의 기본 02_ 포인터와 Const.
1. 초음파 가공의 구성 1. 초음파 가공 ◆ 초음파 가공기의 장치 구성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602 LAB FDTD 를 이용한 Acoustic Simulation 지도: 이형원 교수님 차진형.
Multi – Disc CD Receiver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피임이란?.
보청기.
문제 2명의 사형수가 있다. 둘에게는 검정색 모자와 흰색 모자를 임의로 씌우는데, 자기가 쓴 모자의 색은 절대로 알 수가 없다. 서로 상대의 모자색만을 볼 수 있고, 이들이 살기 위해선 자신의 쓴 색의 모자를 맞춰야 한다. 단, 둘 중 한명만이라도 자신이 쓴 모자의 색을.
큐맨 PPT 활용법 매 달마다 큐맨이 나와서 직접 몸동작으로 정답을 알려주는 방법 외에 PPT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해 드립니다. 큐맨이 등장해서 PPT 퀴즈 형식을 설명한 후, 힌트를 보여줍니다. 주제를 변경하실 때에는 PPT 수정이 가능하오니 원하시는 주제로 변경하여.
말의 힘 풍영 초 등 학 교 교사 오은진.
5-9. 전기 에너지가 편리한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KV2191 품 명 WIRELESS RECEIVER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귀의 구조와 기능(1) 두드려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의 전달 경로.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
KELS 영어능력향상프로그램 이용 방법 KETS 영어교육실 KETS 영어교육실
좀비생존카드게임 좀비어택By 단재학교.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비행기의 발달과정.
제디아가 만들고 세계가 듣는다. 기능 특성 JFX-425 피크 클리핑 리미터 회로 채택 과전류 제한회로 내장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1/7) 아날로그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아날로그-디지털 부호화 과정.
“강력한 설득의 도구” Presentation Smarteg.
공명과 화음(resonance and harmony)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헤드라인 텍스트 샘플 텍스트
Cakewalk Sonar Graphic EQ.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장 비 사 양 서 제품특징 제품사양 제조국 브랜드 KEVIC 모 델 PT2117 품 명 AM/FM TUNER
Support Vector Machine
(2) 국어의 음운 단모음과 이중모음 단모음 체계 자음 체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학교 수행력 문 일 준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지능 로봇 연구회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이은오.
3. 가전 기기의 선택과 관리(194P). 날이 갈수록 종류, 성능 및 기능이 다양함
제2부 제2장 청각장애아동 특수교육학 개론.
PMC-6208 Easy Manual 작성일자 : 2015년 02월 17일 INTER-M C/S팀 김성배
전기공학실험 AM라디오(4석) 설계.
드럼 악보 보기 드럼 악보는 일반 악보와 표기 방법이 약간 다릅니다. 콩나물의 위치에 따라 악기가 선택되는 것이고 표시되는 음표에 따라 비트가 선택되는 겁니다. 드럼 악보는 드럼을 시작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알아야 하는 사항입니다. 또 드럼 좀 한다는 사람은 드럼을 튜닝.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A/D 변환 시 고려하여 할 샘플링 주파수 D/A 변환기
나의 꿈 발표 6학년3반 이서은.
8. 전기와 통신 생활속의 전기 위덕대학교 이수형.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학과 : e-biz 경영학과 2-2 학번 : 이름 : 이재섭.
1조 제안서 발표 홍주성 민신의 남솔지 이정훈 서동현 성태호.
Presentation transcript:

보청기의 역사 1900년대 이전 1900~1950 1950~1960 현 재

현재 기도형 보청기의 형태 귀걸이보청기(BTE) 갑개보청기(ITE) 외이도보청기(ITC) 고막보청기(CIC)

청각기관의 구조 이소골 이개 청신경 추골 침골 등골 달팽이관 외이도 고막 이관 귀볼

소리의 크기

보청기의 구조 Memory S/W Volume Mic Switch Receiver Hybrid IC Battery Ear hook

청력손실의 증상 주로 처음에 들리지 않게 되는 소리는 가장 고음의 소리들로, 여성이나 아이들 소리, 새가 지저귀는 소리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느끼는 증상은, 많은 사람이 모인 곳에서 듣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말하는 사람이 멀리 있는 경우 전혀 알아 들을 수가 없다. TV나 전화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듣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그룹 모임 시 대화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청력 이상을 겪는 사람들은 주로 다음과 같이 행동합니다. 말한 내용을 반복할 것을 요청해 준다. 말하는 사람쪽으로 머리를 기울인다. TV, 라디오, 오디오의 볼륨을 높인다. 사교 모임을 피한다.

디지털보청기의 장점 소리를 디지털화하여 증폭한 다음, 다시 음성으로 환원하면 아날로그 보청기에 비해 다음과 같은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역동범위의 정상화 – 정상청각으로 들을 수 있는 소리와 거의 비슷한 크기로 편안하게 들을 수 있다. 2. 신호대잡음비의 개선 - 소음의 관리가 쉬워져서 잡음 속에서도 쉽게 말소리를 알아들을 수 있다. 3. 여러 가지 환경에서도 별도의 조절 없이 보청기의 착용이 가능하다. 4. 청각손실의 형태에 적절한 조정이 가능하며, 착용 및 어음청취가 편리하도록 여러 가지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디지털신호처리 장치(DSP) 송화기 DSP 수화기 A/D D/A 음향신호 전기신호 2진 코드 전기신호 음향신호 ... 0101...

보청기를 구입하기 전에 청각손실을 가진 사람의 바른 건강관리는 보청기를 구입하기 전에 귀에 관련된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의료적인 처방을 먼저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료적 처방의 목적은 보청기를 구입하기 전에 청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의료적 치료법을 강구하는 것입니다.

보청기의 선택 청각손실의 종류 보청기와 청각손실의 관계는 매우 중요합니다.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의 경우, 서로 다른 보청기가 요구됩니다. 전음성 난청 단순한 보청기로도 충분한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청각손실자의 연세가 많거나, 주변환경이 소음이 많거나, 좀 더 세밀한 어음의 청취를 원한다면 좀 더 기능이 많은 보청기가 효과적입니다. 감각신경성 난청 음의 강도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고, 말소리에 대한 분별력이 없기 때문에 비선형 보청기 또는 보청기의 조절 및 말소리 분별력에 대한 기능이 강화된 프로그램식 보청기 혹은 디지털 보청기가 필요하게 됩니다. 특히 소음이 있는 상황이라면 다채널의 디지털 보청기가 효과적입니다.

보청기의 적응단계 보청기를 처음 착용하면 다음 사항을 체크하고 보청기 전문가와 상의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도록 한다. 1 단계 : 방과 같은 조용한 곳에서 듣는다. 2 단계 : 보청기를 집안의 여러 곳에서 사용해 본다. 3 단계 : 친한 사람들과 대화를 시도해 본다 4 단계 : 약간의 잡음이 있는 곳에서 친한 사람들과 대화를 시도해 본다 5 단계 : 약간의 잡음이 있는 곳에서 여러 사람들과 대화를 시도해 본다 6 단계 :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말을 이해하도록 한다. 7 단계 : 전화를 사용해 본다. 8 단계 : 보청기를 착용한 채로 밖으로 나가 본다. 이때 - 소리와 소리의 방향을 알아내도록 노력한다. - 듣고자 하는 소리에 집중하고 다른 잡음들은 무시한다. - 대화 시에는 말소리에 집중하고 다른 잡음은 무시한다. - 상황을 파악하고 대화 내용에서 그 내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보청기의 적응요령 적응하기 위한 인내와 시간이 필요하다. ---주위의 소음 무시 한 사람하고만 대화하도록 한다. --- 2 ~ 2.5m 가족 등과 대화할 때 화자는 먼저 주의를 끌도록 한다. 보청기를 착용한 채로 TV나 라디오를 들어 보도록 한다. 얼굴 표정이나 행동으로 말을 짐작하는 것이 필요. 전화 통화 요령 향상 연습. 방향성을 익히는 연습.

보청기의 관리요령 다음의 경우에는 보청기를 뺀다. 1. 얼굴을 씻을 때, 머리를 감을 때. 2. 헤어 드라이를 사용할 때 3. 헤어 스프레이나 화장을 할 때 4. 머리를 빗을 때 5. 스웨터나 기타 의류를 입을 때 6. 샤워, 목욕, 수영을 할 때. 밤에는 배터리 덮개를 열어 둔다.

건전지의 관리요령 새 배터리만 사용한다. 배터리 지갑이나, 서늘한 서랍장에 보관 --- 냉장고에 보관은 금물 약이 다 떨어진 보청기는 보청기 안에 남겨 두지 않도록 한다. 빗방울이나 땀에 노출된 경우는 잘 닦아 주도록 한다. 배터리 테스트는 사용하고 난 후 저녁에 하도록 한다. 테스트 후 약한 배터리는 버리도록 한다.

건전지가 약한 경우의 증상 이득이 충분치 않다. 출력이 정상보다 낮다. 소리의 왜곡, 긁히는 소리, 공명음, 둔한 소리, 울리는 소리, 음질 불량 윙윙대는 소리, 모터 소리, 진동, 전류불통 간헐적인 잡음 작동과 무작동의 반복 Feedback(‘삐 ~’ 소리가 난다)

난청의 정도 - - 10 10 10 10 20 20 경도 난청 30 30 40 40 중도 난청 dB HL dB HL 50 50 10 10 20 20 경도 난청 30 30 40 40 중도 난청 dB HL dB HL 50 50 60 60 고도 난청 70 70 80 80 심도 난청 90 90 100 100 농(deaf) 125 125 250 250 500 500 750 750 1000 1000 1500 1500 2000 2000 3000 3000 4000 4000 6000 6000 8000 8000 Hz Hz

청력손실의 형태 (A) (B) (C) (D) (E) (F) A) 수평형 : 일반적인 보청기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ㅍ ㅅ ㅌ ㅎ ㄹ ㅋ ㅊ ㅈ ㅁ ㅏ ㅜ 한국어음의 주파수분포 및 강도 ㅣ 쉬 ㅗ 청력손실역치(dB HL) Hz 20 40 60 청력손실역치(dB HL) 20 ㅍ ㅅ ㅌ ㅎ ㄹ ㅣ ㅋ ㅊ ㅈ ㅁ ㅏ 40 쉬 ㅗ ㅜ 60 80 100 120 Hz 250 500 1000 2000 4000 8000

각종 소리의 주파수분포 및 강도 자음 모음

청력손실의 종류와 보청기 착용효과 전음성 난청 : 증폭기를 통해 쉽게 극복할 수 있다. 감각신경성 난청 : 비선형, 다채널 혹은 디지털 증폭기를 고려한다. 혼합성 난청 : 비선형, 다채널 혹은 디지털 증폭기를 고려한다. 중추신경성 난청 : 보청기 착용 예후가 가장 나쁘다.

기도보청기의 형태와 특징

증폭기의 종류와 특징

건전지의 종류와 사용시간

건전지의 관리요령 및 안전수칙

귀꽂이(earmold)의 관리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