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학습이론 “보다 나은 학습은 교사가 보다 잘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는 데 있지 않고 학습자가 지식을 보다 잘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패퍼트 교수( Seymour Papert. 교육학자, M.I.T대 )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제 언 필 요 성 연구 목적 연구 문제 연구 범위 실천 과제 연구 결과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Internet Addiction Disorder
학 과 : 토목공학과 담당교수 : 김 수 용 분반,조 : 301분반,4조 조 이 름 : 다 크 호 스
(1.1 v) 엔트리교육연구소 엔트리 카드게임 설명서.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PBL 점수: 총점 20점 개별 성찰 일지 6점 (3회- 회당 각 2점)
관찰가능한 변화 & 구인(constructs)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구성주의(Constructionism)
창의공학설계 4주차 강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Professor C. K . KIM.
제2장 특수교육 교수방법의 이해 1.
Self Leadership Course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이야기를 듣고 앞뒤 내용 상상하여 말하기 말하기 듣기 4학년 1학기 2. 고운 꿈 아름답게 > 1) 이야기의 샘(1/9)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Multi Intelligence Theor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오리엔테이션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Problem-Based Learning
중등용 몸으로 말해요.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Ⅰ. 도형의 방정식 2. 직선의 방정식 (9/24)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수업계획 수업활동.
수학 6학년 가단계 9.문제를 해결 하기 3/7 9 문제를 해결 하기.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초기화면 미 술 5학년 10.판본체 궁체로 쓰기(3/8) 판본체와 궁체의 모양을 비교해 봅시다.
Problem-Based Learning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협동학습 박세정.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보건교육방법론 1주.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Chapter 2. 인지발달.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구성주의 교수학습 방법 9조 최정화 이미숙 김형진 박지훈 권해경
Ⅰ-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소단원 핵심 정리  (3) 담화 관습과 윤리 의식 고등 화법과 작문(박영목)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2. 독서의 원리 대단원 정리.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 수학 - 5학년 나 단계 - 3. 도형의 합동 > (7) 7. 수준별 학습 수업 계획 수업 활동.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3. 부등식의 영역에서 최대, 최소(5/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자원은 무엇이며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하는가
Recommended course of action for HRDers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Chapter 2. 인지발달.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졸업프로젝트.
Presentation transcript:

구성주의 학습이론 “보다 나은 학습은 교사가 보다 잘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는 데 있지 않고 학습자가 지식을 보다 잘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있다” - 패퍼트 교수( Seymour Papert. 교육학자, M.I.T대 )

학 습 목 표 1 2 3 4 구성주의학습목표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학습이론의 차이를 열거할 수 있다. 구성주의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환경의 학습 장소로는 어떤 곳이 되어야 하는지 세 가지를 열거할 수 있다. 4 구성주의이론에 의한 교수․학습의 절차와 방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한 가지 이상 설계할 수 있다.

목차 I I I I I 구성주의의 개념, 등장배경 객관주의 vs 구성주의 구성주의 학습의 원칙 구성주의 모형 및 사례적용의 예 구성주의의 개념, 등장배경 I 객관주의 vs 구성주의 I 구성주의 학습의 원칙 I 구성주의 모형 및 사례적용의 예 I 구성주의 문제점과 시사점

구성주의의 개념 1 2 3 “구성놀이” 에서 ‘구성주의’ Piaget와 신-Piaget, Vygotsky 이론에 기초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구성을 강조한 이론 2 내성적 추상 학습자를 지시적으로 가르칠 경우는 일어나지 않으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때 촉진 학습자들의 탐색활동이나 사고활동의 의미는 무엇인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들은 어떻게 발달하는 지에 관심을 갖고 학습자의 발달이 그들의 능동적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환경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3

탈중심성 decentralizationd 구성주의 등장배경 구성주의학습 탈중심성 decentralizationd 개인과 개인간의 관계가 수평적, 다원적으로 전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신장 교육. 비판 논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 교육 필요. 학습자에게 학습의 주도권,통제권을 부여. 다른 학습자들과 협동학습을 강조.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되는 교육. 정보화 사회도래 개인화,다양화, 창의성, 불확실성 주체적 인간 필요성

질적 평가: 교사자신의 교육 방법의 평가로이용 객관주의 VS 구성주의 객관주의 구성주의 지식의 수동적 수용자 지식의 보고,전달자, 지휘자 재촉자, 교육과정 실행자 의도적 교육과정 강의,암송,반복,일제수업 태권도 사범식 교육 완전학습 양적평가: 학습자 서열 정하는데 쓰임 학습자 지식전달교육,듣는 것 강조 이기적, 경쟁주의적 생각의 능동적 창조자 생각. 아이디어를 듣는자 안내자, 조력자,용기부여자 창조적, 실용적, 아이디어중심 협동수업, 소집단, 문장해결학습,고등사고학습 고등사고, 비판적,창조적사고 질적 평가: 교사자신의 교육 방법의 평가로이용 교사자신 자기학습능력신장 듣는 것 보다 말하는 것 강조 협동주의 교육 학습자 교사 역할 교육 과정 방법 강조점 평 가 책임 결과 VS

구성주의 유형 유형 인지적구성 사회적 구성 비고츠키, 윌취, 러고프, 저겐 피아제, 글아저스펠트,포스노, 콥 *근접 발달 지역 내의 사회적 중재를 통한 학습 *실천 공동체로의 문화적 동화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확립된 의미나 실천 공동체의 문화유산의 전달체 *지적으로 우수한 공동체 구성원으로부터의 지속적인 배움의 과정 *사회문화적 실행에의 참여 및 개인의 경험 속에 깃든 사회적 문화적 특성 흡수 *사회 공동체의 동일성을 강조하며, 개인적 사고, 인지의 질적차이에 대한 분석을 회피 피아제, 글아저스펠트,포스노, 콥 *인지적 재구성의 관점 *인지적 갈등을 통한 학습 *개인의 생각 표현 및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 *상호 적응과 의미 협상의 과정 *개인의 의미 구성과 해석 *적극적으로 인지하는 개인 *경험적 추상화, 성찰적 추상화 *개인의 다양성은 강조하나 사회 문화 적 활동에 대한 분석은 회피 유형

구성주의 학습 이론 지식 기본 가정 둘째, 지식은 구체적인 상황을 중심으로 한 맥락적인 것. 지식은 주관적이고 스스로 각자가 구성해 나가는 것 학습자들에게 매우 ‘개별적이며, 지속적으로’ 구성과 재구성을 반복하면서 변화한다는 전제에서 출발 지식 첫째, 지식은 인식의 주체에 의해 구성. 둘째, 지식은 구체적인 상황을 중심으로 한 맥락적인 것. 셋째, 지식은 협동적인 과정을 통해 형성. 기본 가정

학생 스스로 과거의 경험, 실험을 통하여 개념이나 원리를 능동적으로 찾아보는 방법 교수-학습의 원칙 학습자 환경 교사 교사의 역할 : 조언자 학습의 동료자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주인 의식 협동 학습 환경의 활용 구체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실제적 성격의 과제 객관주의와의 동행 자아 성찰적 실천 자기조절학습 협동학습 발견학습 또래 집단을 사용한 학습의 사회적 측면을 강조 수학, 언어학, 사회 과목 등 과목을 공부하는 데 적용 학생 스스로 과거의 경험, 실험을 통하여 개념이나 원리를 능동적으로 찾아보는 방법 자기 스스로 초인지적, 동기적으로, 행동적으로 참가하는 능동적인 학습자

인지적 도제 모형 1 '도제' 학습이나 지식습득은 체험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특정상황과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 내포 2 이 모델이 고전적 의미의 도제형태와 어떤 점이 다른가”내포 ‘인지적’ 학습자가 전문가의 수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을 확인하고, 이들이 적용되는 조건을 발견하여 이를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 3 학습

문제해결을 위하여 전문가가 구체적으로 시범을 보이는 단계 모델링 단계 (modeling) 문제해결을 위한 인지적 틀을 제시하는 단계 교수적 발판제공단계 (scaffolding)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적 도움을 점차 줄여가는 단계 교수지원중단 (fading)

비구조화된 고차원적 지식을 학습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교수설계원리로써 다양한 지식의 표상, 재학습, 인지적 융통성 모형 1 기본 전제 초보적 지식과 고차적 지식을 습득 할 때의 교수-학습전략이 결코 같을 수 없다 2 단순한 일차원적 개념이 아니라 복잡하고 다원적 개념으로 형성 지식 비구조화된 고차원적 지식을 학습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교수설계원리로써 다양한 지식의 표상, 재학습, 그리고 조망교차를 제안 3 학습 제안

생 각 꺼 내 기 협의하기 생 각 묶 기 초 고 쓰 기 다 듬 기 평 가 하 기

학문적인 지식과 실세간의 갭을 극복해 보고자 하는 접근. 학교 교육과 실제가 분리되어 있는 우리의 교수 환경의 상황적 학습모델 상황 학습 실생활의 유용성을 반영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도록 하는 것 1 2 다양한 상황에서의 지식 활용법 학습, 발명의 촉진, 지식의 함의 파악, 지식의 구조화 장점 학문적인 지식과 실세간의 갭을 극복해 보고자 하는 접근. 학교 교육과 실제가 분리되어 있는 우리의 교수 환경의 문제해결을 위해 일말의 시사점을 제공. 3 시사점

수학수업(초등) <혼자서 해봅시다> <친구들과 함께 해봅시다> 1.연필 한 자루와 공책 한 권 사기. I 교실에 슈퍼마켓 설치 값을 표시한 물건을 모의화폐 이용 구매 1.연필 한 자루와 공책 한 권 사기. 2. 각각 얼마짜리를 샀습니까? 3. 처음에 받은 돈은 얼마입니까? 4. 쓴 돈은 얼마입니까? 5. 남은 돈은 얼마입니까? 우리 조에서 누가 돈을 가장 많이 썼습니까? 2. 우리 조에서 쓴 돈은 모두 얼마입니까?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PBL(문제중심학습)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의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나름대로의 인지적 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학습법 1 정의 협력학습과 자기주도 학습으로 구성 학습자 주도의 학습 안내자로서의 교사 2 특징 문제해결능력 , 협동학습능력 관련분야의 지식과 기능의 습득,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제시, 수 있는 능력의 습득 3 목표

PBL의 활용사례 1 5 2 4 3 문제중심시나리오 시뮬레이션활용 발견학습, 자기조절학습, 협동학습가능 문제 해결을 문제제기 1 5 자기 평가서 및 결과물 제출 2 4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 발표와 토론 3 문제의 재확인

시사점과 문제점 문 제 점 시 사 점 -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 강조 - 실제적 과제와 맥락 강조 - 문제 해결 중심의 학습 - 교사는 학습 보조자, 촉진자 - 협동학습의 강조 - 수행평가의 도입 - 정해진 목적이 전혀 없는 교수활동이 바람직하며 가능한가? - 지식은 학습자에 의하여 구성. - 선수학습과 자극이 잘 파악되지 않으면 학습의 효율성 저하. - 다인수 학습에서는 적용 어려움. - 인지 과부하와 방향감 상실 학습자는 하나의 정보나 지식, 사물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하며, 사례와 문제 상황이 풍부하게 제시되는 환경을 구상할 수 있을 것. 객관주의를 전면 부정하기 보다는 구성주의와 객관주의의 장점을 적절히 선택, 현 교육상황에 맞게끔 재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구성주의 추천영화

감 사 합 니 다